2020. 6. 3. 04:00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웅담(熊膽)[본초강목]
^^^^^^^^^^^^^^^^^^^^^^^^^^^^^^^^^^^^^^^^^^^^^^^^^^^^^^^^^^^^^^^^^^^^^^^^
熊
(《本經》上品)
【釋名】
時珍曰︰熊者雄也。熊字篆文象形。俗呼熊為豬熊,羆為人熊、馬熊,各因形似以為別也。
熊(웅)은 雄(웅)이며, 熊字(웅자)의 篆文(전문)을 象形(상형)한 것이다. 俗(속)으로 熊(웅)을 豬熊(저웅)이라 부르며, 羆(비)를 人熊(인웅), 馬熊(마웅)이라고 함은 各各(각각) 形狀(형상)이 類似(유사)한 것에 基因(기인)하여 區別(구별)한 것이다.
《述異記》云︰在陸曰熊,在水曰能(即鯀所化者)。故熊字從能。《續搜神記》云︰熊居樹孔中,東土人擊樹,呼為“子路”則起,不呼則不動也。又狒狒亦名人熊,見本條。
膽
頌曰︰熊膽陰乾用。然多偽者,但取一粟許滴水中,一道若線不
熊膽(웅담)은 陰乾(음건)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가짜가 많아서 오직 粟(속) 一粒(일립)정도를 水中(수중)에 滴下(적하)하여 보면 一條(일조)의 絲狀(사상)을 이루어 흩어지지 않으면 眞品(진품)이다.
時珍曰︰按錢乙云︰熊膽佳者通明。每以米粒點水中,運轉如飛者良。余膽亦轉,但緩爾。
錢乙(전을)은“熊膽(웅담)이 良質(양질)의 것은 通明(통명)하며, 米粒(미립) 정도를 水中(수중)에 點(점)하면 나는 듯이 움직이는 것이 上質(상질)이다. 他獸(타수)의 膽(담)은 움직여도 緩慢(완만)하다.”라고 하였다.
周密《齊東野語》云︰熊膽善辟塵。試之以淨水一器,塵幕其上,投膽米許,則凝塵豁然而開也。
周密(주밀)의 齊東野語(제동야어)에서는 “熊膽(웅담)은 能(능)히 塵(진)을 辟(피)하므로 그 眞僞(진위)를 試驗(시험)하는 데는 一器(일기)의 淨水(정수)의 表面(표면)에 塵(진)을 넣어 두고 여기에 米粒(미립) 정도의 熊膽(웅담)을 滴下(적하)하면 凝集(응집)된 塵(진)이 豁然(활연)히 흩어진다.” 라고 하였다.
【氣味】
苦,寒,無毒。
權曰︰惡防己、地黃。
【主治】
時氣熱盛,變為黃疸,暑月久痢,疳 心痛疰忤(蘇恭)。
時氣(시기)의 熱(열)이 盛(성)하여 黃疸(황달)로 變(변)한 것, 暑期(서기)의 久痢(구리), 疳䘌(감닉), 心痛(심통), 疰忤(주오)
治諸疳、耳鼻瘡、惡瘡,殺蟲(孟詵)
諸疳(제감), 耳鼻(이비)의 惡瘡(악창)을 治(치)하며, 殺蟲(살충)한다.
小兒驚癇瘛疭,以竹瀝化兩豆許服之,去心中涎,甚良。(孟詵)。
小兒(소아)의 驚癎(경간), 瘈瘲(계종)에는 竹瀝(죽력)에 豆(두) 二粒(이립) 정도를 溶化(용화)하여 服用(복용)한다. 心中(심중)의 涎(연)을 去(거)하는 것이 심히 좋다.
退熱清心,平肝明目去翳,殺蛔、蟯蟲(時珍)。
退熱(퇴열)하고, 淸心(청심)하며, 平肝(평간)하고, 明目(명목)하며, 去翳(거예)하고 蛔(회), 蟯蟲(요충)을 殺(살)한다.
【發明】
時珍曰︰熊膽,苦入心,寒勝熱,手少陰、厥陰、足陽明經藥也。故能涼心平肝殺蟲,為驚癇疰忤、翳障疳痔、蟲牙蛔痛之劑焉。
熊膽(웅담)은 微苦(미고)하여 入心(입심)하며, 寒(한)은 勝熱(승열)하여, 手少陰(수소음), 厥陰(궐음), 足陽眀經(족양명경)의 藥(약)이다. 그래서 能(능)히 心(심)을 凉(양)하고 肝(간)을 平(평)하며, 蟲(충)을 殺(살)하므로, 驚癎(경간), 疰忤(주오), 예장(翳障), 疳痔(감치), 蟲牙(충아), 蚘通(회통)의 劑(제)이다.
【附方】
舊五,新五。
赤目障翳︰熊膽丸,每以膽少許化開,入冰片一二片,銅器點之,絕奇。或淚癢,加生薑粉些須。(《齊東野語》)
如三日不開,服四物加甘草、天花粉。(《全幼心鑒》)
小兒鼻蝕︰熊膽半分,湯化抹之。(《聖惠方》)
十年痔瘡︰熊膽塗之神效,一切方不及也。(《外台》)
腸風痔 ︰熊膽半兩,入片腦少許研,和豬膽汁塗之。(《壽域方》)
蛔蟲心痛︰熊膽一大豆,和水服之,大效。(《外台》)
小兒驚癇︰方見主治。
風蟲牙痛︰熊膽三錢,片腦四分,每以豬膽汁調少許搽之。(《攝生方》)
水弩射人︰熊膽塗之。更以雄黃同用酒磨服,即愈。(《斗門方》)
諸疳羸瘦︰熊膽、使君子末等分研勻,瓷器蒸溶,蒸餅丸麻子大。每米飲下二十丸。(幼大全》)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릉자(瓦楞子)[본초강목] (0) | 2020.06.03 |
---|---|
유기노(劉寄奴)[본초강목] (0) | 2020.06.03 |
고호로(苦壺盧)[본초강목] (0) | 2020.05.26 |
영묘향(靈貓香)[본초강목] (0) | 2020.05.17 |
부육(鳧肉)[본초강목] (0) | 2020.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