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5. 17. 04:04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부육(鳧肉)[본초강목]
^^^^^^^^^^^^^^^^^^^^^^^^^^^^^^^^^^^^^^^^^^^^^^^^^^^^^^^^^^^^^^^^^^^^^^^^^^^
鳧
(《食療》)
【釋名】
野鴨(《詩疏》)、野鶩 (《同上》)鸍 沉鳬
時珍曰︰鳧從儿(音殊),短羽高飛貌,鳧義取此。《爾雅》云︰鸍沉鳬也。鳬性好沒故也。俗作晨鳧,云鳧常以晨飛,亦通。
鳧(부)는 儿(인)을 從(종)한다. 儿(인)이라는 것은 羽短(우단)하며, 높이 飛翔(비상)하는 모양이며 鳧(부)라는 것은 그 뜻을 取(취)한 文字(문자)이다. 爾雅(이아)에 “鸍(시)는 沉鳬(침부)이다.” 라고 한 것은 鳧(부)의 性(성)이 沒(몰)하는 것을 즐기기 때문이다. 俗(속)으로 晨鳧(신부)라 書(서)하는 것은 鳧(부)는 恒常(항상) 晨(신)에 飛翔(비상)하기 때문이다. 이렇게도 意味(의미)는 通(통)한다.
【集解】
時珍曰︰鳧,東南江海湖泊中皆有之。數百為群,晨夜蔽天,而飛聲如風雨,所至稻粱一空。陸璣《詩疏》云︰狀似鴨而小,雜青白色,背上有紋,短喙長尾,卑腳紅掌,水鳥之謹願者,肥而耐寒。或云食用綠頭者為上,尾尖者次之。海中一種冠鳧,頭上有冠,乃石首魚所化也。並宜冬月取之。
肉
【氣味】
甘,涼,無毒。
詵曰︰九月以後,立春以前,即中食,大益病患,全勝家者,雖寒不動氣。
九月(구월)以後(이후), 立春(입춘) 以前(이전)에는 食物(식물)로서 病人(병인)에 有益(유익)하며, 人家(인가)에서 飼養(사양)한 것보다 매우 優秀(우수)하다. 性(성)은 寒(한)하지만 氣(기)를 動(동)하지 않는다.
《日華》曰︰不可合胡桃、木耳、豆豉同食。
胡桃(호도), 木耳(목이), 豆豉(두시)와 合食(합식)해서는 안 된다.
【主治】
補中益氣,平胃消食,除十二種蟲。身上有諸小熱瘡,年久不愈者,但多食之,即瘥(孟詵)。
補中益氣(보중익기)하며, 平胃(평위)하며, 食物(식물)을 消(소)하며, 十二種(십이종)의 蟲(충)을 除(제)한다. 諸種(제종)의 小熱瘡(소열창) 이 年久不愈(연구불유)한 것에는 오직 多食(다식)하면 治癒(치유)된다.
治熱毒風及惡瘡癤殺腹臟一切蟲治水腫(日華)。
熱毒風(열독풍) 및 惡瘡癤(악창절)을 治(치)하고, 腹臟(복장) 一切(일체)의 蟲(충)을 殺(살)하며 水腫(수종)을 治(치)한다.
血
【主治】
解挑生蠱毒,熱飲探吐(時珍。出《摘玄》)。
挑生蠱毒(도생고독)을 解(해)함에는 熱飮(열음)하여 探吐(담토)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호로(苦壺盧)[본초강목] (0) | 2020.05.26 |
---|---|
영묘향(靈貓香)[본초강목] (0) | 2020.05.17 |
원앙(鴛鴦)[본초강목] (0) | 2020.05.17 |
섬서(蟾蜍)[본초강목] (0) | 2020.05.17 |
향연(香橼)[본초강목] (0) | 2020.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