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3. 24. 23:44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육두구(肉荳蔲)[본초강목]
^^^^^^^^^^^^^^^^^^^^^^^^^^^^^^^^^^^^^^^^^^^^^^^^^^^^^^^^^^^^^^^^^^^^^^^^^^^
肉豆蔻
(宋《開寶》)
【釋名】
肉果(《綱目》)、迦拘勒。
宗奭曰︰肉豆蔻對草豆蔻為名,去殼只用肉。肉油色者佳,枯白瘦虛者劣。
肉豆蔻(육두구)는 草豆蔻(초두구)에 對(대)한 名稱(명칭)으로서 殼(각)을 除去(제거)하고 肉(육)만을 使用(사용)하는 것이다. 그 肉(육)이 油色(유색)인 것이 佳品(가품)읻. 하얗게 시들어 瘦虛(수허)한 것은 劣等品(열등품)이다.
時珍曰︰花實皆似豆蔻而無核,故名。
꽃이나 열매 모두 豆蔻(두구)와 類似(유사)하나 核(핵)이 없기 때문에 붙여진 名稱(명칭)이다.
【集解】
藏器曰︰肉豆蔻生胡國,胡名迦拘勒。大舶來即有,中國無之。其形圓小,皮紫緊薄,中肉辛辣。
珣曰︰生昆侖,及大秦國。
頌曰︰今嶺南人家亦種之。春生苗,夏抽莖開花,結實似豆蔻,六月、七月採。
時珍曰︰肉豆蔻花及實狀雖似草豆蔻,而皮肉之顆則不同。顆外有皺紋,而內有斑纈紋,如檳榔紋。最易生蛀,惟烘乾蜜封,則稍可留。
實
【修治】
雷斅曰︰凡使,須以糯米粉熟湯搜裹豆蔻,於煻灰火中煨熟,去粉用。勿令犯鐵。
무릇 使用(사용)할 때는 糯米粉(나미분)에 熱湯(열탕)을 넣어 잘 둬 섞은 것으로 豆蔻(두구)를 싸서 煻灰火中(당회화중)에 煨熟(외숙)하고, 그 粉(분)을 除去(제거)한 후에 使用(사용)하는 것이다. 鐵物類(철물류)를 犯(범)해서는 안 된다.
【氣味】
辛,溫,無毒。
權曰︰苦、辛。
好古曰︰入手足陽明經。
【主治】
溫中,消食止泄,治積冷心腹脹痛,霍亂中惡,鬼氣冷疰,嘔沫冷氣,小兒乳霍(《開寶》)。
溫中(온중)하고 消食(소식), 止泄(지설)하며, 積冷(적랭)의 心腹脹痛(심복창통), 霍亂中惡(곽란중악), 鬼氣冷疰(귀기냉주), 小兒(소아)의 乳霍(유곽)을 治癒(치유)한다.
調中下氣,開胃,解酒毒,消皮外絡下氣(大明)。
調中(조중)하고, 下氣(하기)하며, 開胃(개위)하고, 酒毒(주독)을 解(해)하며, 皮外絡下(피외낙하)의 氣(기)를 消(소)한다.
治宿食痰飲,止小兒吐逆,不下乳,腹痛(甄權)。
宿食(숙식), 痰飮(담음)을 治(치)하고, 小兒(소아)가 吐逆(토역)으로 젖을 飮下(음하)시키지 못하여 腹痛(복통)하는 것을 멎게 한다.
主心腹蟲痛,脾胃虛冷,氣並冷熱,虛泄赤白痢,研末粥飲服之(李珣)。
心腹蟲痛(심복충통), 脾胃虛(비위허), 冷氣(냉기)를 비롯하여 冷熱虛泄(냉열허설), 赤白痢(적백리)에 主效(주효)가 있다. 硏末(연말)하여 粥(죽)으로 飮服(음복)한다.
暖脾胃,固大腸(時珍)。
脾胃(비위)를 暖(난)하고, 大腸(대장)을 固(고)하게 한다.
【發明】
大明曰︰肉豆蔻調中下氣,消皮外絡下氣,味珍,力更殊。
肉豆蔻(육두구)는 中(중)을 調(조)하고, 下氣(하기)하며, 皮外絡下(피외낙하)의 氣(기)를 消(소)한다. 味(미)가 珍奇(진기)하여 功力(공력)이 顯著(현저)하다.
宗奭曰︰亦善下氣,多服則泄氣,得中則和平其氣。
역시 下氣(하기)하나 많이 服用(복용)하면 洩氣(설기)하게 된다. 中(중)을 得(득)하면 그 氣(기)는 和平(화평)하게 된다.
震亨曰︰屬金與土,為丸溫中補脾。《日華子》稱其下氣,以脾得補而善運化,氣自下也。非若陳皮、香附之快泄。寇氏不詳其實,遂以為不可服也。
이것은 金(금)과 土(토)에 屬(속)한 것으로서 丸(환)을 만들어 사용하면 中(중)을 溫(온)하고 補脾(보비)한다. 日华子(일화자)大明(대명)은 그 그 下氣(하기)하는 것을 특히 稱(칭)하고 있는데, 그것은 脾(비)가 補作用(보작용)을 받아 그 機能(기능)을 完全(완전)히 發揮(발휘)하기 때문에 氣(기)가 절로 내리는 것으로 陳皮(진피), 香附(향부)처럼 아주 迅速(신속)하게 泄(설)하는 것은 아니다. 寇宗奭(구종석)은 그 事實(사실)을 詳細(상세)히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服(복)해서는 안 된다고 한 듯하다.
機曰︰痢疾用此澀腸,為傷乳泄瀉之要藥。
痢疾(이질)에 사용하면 腸(장)을 원활하지 않게 한다. 傷乳泄瀉(상유설사)의 要藥(요약)이다.
時珍曰︰土愛暖而喜芳香,故肉豆蔻之辛溫,理脾胃而治吐利。
土(토)는 煖(난)을 愛(애)하며 芳香(방향)을 喜(희)하기 때문에 肉豆蔻(육두구)의 辛溫(신온)은 脾胃(비위)를 理(이)하여 吐利(토리)를 治癒(치유)하는 것이다.
【附方】舊一,新七。
暖胃除痰,進食消食。肉豆蔻二個,半夏(薑汁炒)五錢,木香二錢半,為末,蒸餅丸芥子大,每食後津液下五丸、十丸。(《普濟》)
霍亂吐利︰肉豆蔻為末,薑湯服一錢。(《普濟方》)
久瀉不止︰肉豆蔻(煨)一兩,木香二錢半,為末,棗肉和丸,米飲服四五十丸。又方︰ 肉豆蔻(煨)一兩,熟附子七錢。為末糊丸。米飲服四五十丸。又方︰肉豆蔻(煨)、粟殼 (炙)等分為末,醋糊丸,米飲服四、五十丸。(並《百一選方》)
老人虛瀉︰肉豆蔻三錢(面裹煨熟,去面研),乳香一兩,為末,陳米粉糊丸梧子大。 每服五七十丸,米飲下。此乃常州侯教授所傳方。(《瑞竹堂方》)
小兒泄瀉︰肉豆蔻五錢,乳香二錢半,生薑五片。同炒黑色,去薑,研為膏收,旋丸綠 豆大。每量大小,米飲下。(《全幼心鑒》)
脾泄氣痢︰豆蔻一顆(米醋調面裹,煨令焦黃,和面研末),更以 子(炒研末)一兩,相和。又以陳廩米炒焦,為末和勻。每以二錢煎作飲,調前二味三錢,旦暮各一服,便瘥。 (《續傳信方》)
冷痢腹痛,不能食者。肉豆蔻一兩(去皮)。醋和面裹煨,搗末。每服一錢,粥飲調下。(《聖惠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려륵(訶黎勒)[본초강목] (0) | 2020.04.04 |
---|---|
정류(檉柳)[본초강목] (0) | 2020.04.04 |
몰식자(沒食子)[본초강목] (0) | 2020.03.24 |
삼목(杉木) (0) | 2020.03.24 |
산반(山礬)[본초강목] (0) | 2020.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