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4. 4. 21:53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가려륵(訶黎勒)[본초강목]
^^^^^^^^^^^^^^^^^^^^^^^^^^^^^^^^^^^^^^^^^^^^^^^^^^^^^^^^^^^^^^^^^^^^^^^^^^^
訶黎勒
(《唐本草》)
【釋名】
訶子。
時珍曰︰訶黎勒,梵言天主持來也。
诃黎勒(가려륵)이란 梵語(범어)로 天主(천주)가 가져왔다는 것이다.
【集解】
恭曰︰訶黎勒生交州、愛州。
頌曰︰今嶺南皆有而廣州最盛。樹似木患子,花白。子形似梔子、橄欖,青黃色,皮肉相著。七月、八月實熟時采,六路者佳。《嶺南異物志》云︰極小而味不澀,皆是六路。每歲州貢,只以此寺者。寺有古井,木根蘸水,水味不咸。每子熟時,有佳客至,則院僧煎湯以延之。其法用新摘訶子五枚,甘草一寸,破之,汲井水同煎,色若新茶。今其寺謂之乾明古寺,尚在,舊木猶有六、七株。南海風俗必盡如昔時之法也。訶子未熟時,風飄墮者,謂之隨風子,曝乾收之,益小者佳,彼人尤珍貴之。
蕭炳曰:波斯舶上來者,六路黑色肉厚者良。六路即六棱也。
斅曰:幾使勿用毗黎勒,個個毗頭也。若訶黎勒文只有六路。或多或少,並是雜路勒,皆圓而露,文或八路至十三路,號曰榔精勒,澀不堪用。
【修治】
雷斅曰︰凡用訶黎勒,酒浸後蒸一伏時,刀削去路,取肉銼焙用。用核則去肉。
대개 诃黎勒(가려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酒浸(주침)한 다음 一伏時(일복시)동안 蒸(증)하고, 刀(도)로 皮(피)를 削去(삭거)하고, 肉(육)을 取(취)하여 銼焙(좌배)한 다음 사용한다. 核(핵)을 사용할 때에는 肉(육)을 除去(제거)한다.
【氣味】
苦,溫,無毒。
權曰︰苦、甘。
炳曰︰苦、酸。 珣曰︰酸,澀,溫。
好古曰︰苦、酸,平。苦重酸輕,味厚,陰也,降也。
【主治】
冷氣,心腹脹滿,下食(《唐本》)。
冷氣(냉기), 心腹脹滿(심복창만), 食(식)을 下(하)한다.
破胸膈結氣,通利津液,止水道,黑髭髮(甄權)。
胸膈(흉격)의 結氣(결기)를 破(파)하고 津液(진액)을 通利(통리)하며, 水道(수도)를 멎게 하고, 髭髮(자발)을 검게 한다.
下宿物,止腸澼久泄,赤白痢(蕭炳)。
宿食(숙식)을 下(하)하고, 腸澼久泄(장벽구설), 赤白痢(적백리)를 멎게 한다.
消痰下氣,化食開胃,除煩治水,調中,止嘔吐霍亂,心腹虛痛,奔豚腎氣,肺氣喘急,五膈氣,腸風瀉血,崩中帶下,懷孕漏胎,及胎動欲生,脹悶氣喘。並患痢人肛門急痛,產婦陰痛,和蠟燒煙熏之,及煎湯熏洗(大明)
消痰(소담), 下氣(하기)하며 化食開胃(화식개위)하며, 除煩治水(제번치수)하고, 調中(조중)한다. 嘔吐(구토), 霍亂(곽란), 心腹虛痛(심복허통), 奔豚腎氣(분돈신기), 肺氣喘急(폐기천급), 五膈氣(오격기), 腸風瀉血(장풍사혈), 崩中帶下(붕중대하)를 멎게 한다. 懷孕漏胎(회잉루태) 및 胎動(태동)하여 産出(산출)하려고 하며 脹悶氣喘(창민기천)하는 경우, 痢患(이환)으로서 肛門急痛(항문급통), 産婦(산부)의 陰痛(음통)에는 蠟(납)과 調和(조화)하고 燒煙(소연)하여 熏(훈)한다. 또한 煎湯(전탕)하여 熏洗(훈세)한다.
治痰嗽咽喉不利,含三數枚殊勝(蘇頌)。
痰嗽(담수), 咽喉不利(인후불리)를 治(치)하는 경우에는 三數枚(삼수매)를 含(함)하는 것이 좋다.
實大腸,斂肺降火。(震亨)。
大腸(대장)을 實(실)하게 하고, 斂肺降火(염폐강화)한다.
【發明】
宗奭曰︰訶黎勒,氣虛人亦宜緩緩煨熟少服。此物雖澀腸而又泄氣,其味苦澀故爾。
诃黎勒(가려륵)은 氣虛(기허)한 者(자)도 緩和(완화)하게 煨熟(외숙)하여 少服(소복)gkmss 것이 좋다. 이것은 濇腸(색장)하는 것이긴 하나 또한 氣(기)를 泄(설)한다 그 味(미)가 苦濇(고색)하기 때문이다.
杲曰: 肺苦氣上逆,急食苦以泄之,以酸補之。訶子苦重瀉氣,酸輕不能補肺,故嗽藥中不用。
肺(폐)는 氣(기)의 上逆(상역)을 괴로워 한다. 急(급)히 苦(고)로서 泄(설)하고 酸(산)으로서 補(보)한다. 訶子(가자)는 苦(고)가 重(중)하여 氣(기)를 泄(설)하나, 酸(산)은 輕(경)하여 補肺(보폐)하는 것이 不可能(불가능)하다. 그래서 嗽藥中(수약중)에는 넣지 않는다.
震亨曰: 訶子下氣,以其味苦而性急。肺苦急,急食苦以瀉之,謂降而下走也,氣實者宜之。若氣虛者,似難輕服。又治肺氣,因火傷極,遂鬱遏脹滿。其味酸苦,有收斂降火之功也。
訶子(가자)의 下氣(하기)하는 것은 특히 苦(고)하고 性(성)이 急(급)하기 때문인데 肺(폐)는 給(급)을 苦(고)한다. 그래서 急(급)히 苦(고)로서 瀉(사)한다. 降(강)으로 下走(하주)하는 것을 말한 rjtdelk. 氣(기)가 實(실)한 者(자)에게는 適合(적합)하나, 氣虛(기허)한 경우에는 輕率(경솔)하게 服用(복용)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肺氣(폐기)가 火(화)로 因(인)해 傷極(상극)하고 끝내 鬱遏(울알)하여 脹滿(창만)하는 것을 治(치)한다. 그 味(미)는 酸苦(산고)로서 收斂(수렴), 降火(강화)의 功(공)이 있다.
時珍曰︰訶子同烏梅、五倍子用則收斂,同橘皮、厚朴用則下氣,同人參用則能補肺治咳嗽。
東垣言嗽藥不用者,非矣。但咳嗽未久者,不可驟用爾。
訶子(가자)는 烏梅(오매), 五倍子(오배자)와 함께 사용하면 收斂(수렴)하고, 橘皮(귤피), 厚朴(후박)과 함께 服用(복용)하면 下氣(하기)하고, 人參(인삼)과 함께 服用(복용)하면 곧잘 補肺(보폐)하고, 咳嗽(해수)를 治(치)한다. 東垣(동원)이 嗽藥中(수약중)에 使用(사용)하지 않는 다고 한 것은 잘못한 것이다. 단 咳嗽(해수)가 오래되지 않은 것에는 갑자기 사용할 수 없을 뿐인 것이다.
嵇含《草木狀》言作飲久服,令髭發白者變黑,亦取其澀也。
嵇含(혜함)의 草木狀(초목상)에는 “飮(음)으로 만들어 久服(구복)하면 髭髮(자발)이 白色(백색)인 것을 黑色(흑색)으로 變(변)하게 한다.”라고 한 것도 역시 그 濇(색)함을 取(취)한 것이다.
珣曰︰訶黎皮主嗽,肉主眼澀痛。波斯人將訶黎勒、大腹等在舶上,用防不虞。或遇大魚放涎滑水中數裡,船不能通,乃煮此洗其涎滑,尋化為水,則其治氣消痰功力可知矣。
诃黎勒(가려륵)의 皮(피)는 嗽(수)에 主效(주효)가 있다. 肉(육)은 眼澀痛(안삽통)에 主效(주효)가 있다. 波斯人(파사인)은 诃黎勒(가려륵), 大腹(대복)등을 商船(상선)에 싣고 不虞(불우)을 막는데 사용하고 또는 大魚(대어)가 涎滑(연활)을 水中(수중), 水里(수리)에 放散(방산)하여 船(선)의 通行(통행)이 不能(불능)한 경우에는 이것을 煮(자)하여 그 涎滑(연활)을 씻는다. 따라서 化(화)하여 물이 된다고 한다. 이것을 보면 이것의 治氣(치기)하고 消痰(소담)하는 功力(공력)을 窺知(규지)할 수가 있다.
慎微曰︰《金光明經》。流水長者子除病品云︰熱病下藥,服訶黎勒。又《廣異記》云︰高仙芝在大食國得訶黎勒,長五寸,置抹肚中,便覺腹中痛,因大利十餘行,疑訶黎勒為祟。
後問大食長老。云︰此物人帶一切病消,利者乃出惡物爾。仙芝寶之,後被誅,失所在。
金光明經(금광명경)에서 解說(해설)하고 있는데 流水長者子除病品(유수장자자제병품)에서 “熱病(열병)의 下藥(하약)에는 诃黎勒(가려륵)을 服(복)한다.”고 하였다. 또한 廣異記(광이기)에서는 “高仙芝(고선지)는 大食國(대식국)에 있는 诃黎勒(가려륵)의 길리 三寸(삼촌)인 것을 얻어 肚下(두하)에 扶(부)해 두자 腹中(복중)에 痛症(통증)을 느끼고, 大痢(대리)하여 十餘行下(십여행하)했기 때문에 诃黎勒(가려륵)에게 呪咀(주저)받은 것으로 疑心(의심)하고 後(후)에 大食長老(대식장로)에게 물어보자 ”이것은 사람이 帶(대)하면 一切(일절)의 病(병)이 消(소)하는 것이다. 痢(이)한 것은 惡物(오물)을 輩出(배출)했을 뿐인 것이다.“라고 하여싿. 仙芝(선지)는 그것을 소중히 간직하고 있었는데 後(후)에 誅(주)를 당하였고, 그것의 所在(소재)도 不明(불명)하게 되고 말았다.”고 되어 있다.
頌曰︰訶黎主痢,《唐本草》不載。張仲景治氣痢有方。唐‧劉禹錫《傳信方》云︰予赤白下,諸藥服遍久不瘥,轉為白膿。令狐將軍傳此方︰用訶黎勒三枚,兩炮一生,並取皮末之,以沸漿水一合服之。若只水痢,加一錢匕甘草末;若微有膿血,加二匕;血多,加三匕。
诃黎勒(가려륵)은 痢(이)에 主效(주효)가 있는데, 唐本草(당본초)에는 記載(기재)가 없으나, 張仲景(장중경)에는 氣痢(기리)를 治(치)하는 方(방)이 있고, 唐(당)의 劉禹錫(유우석)傳信方(전신방)에는 “나는 前(전)에 赤白下(적백하)로 苦生(고생)하였고, 온갖 藥(약)을 服用(복용)하였으나 오랫동안 不瘥(불채)하였으며, 轉(전)하여 白膿(백농)이 되었는데 令狐將軍(영호장군)으로부터 이 方(방)은 傳授(전수) 받았다. 诃黎勒(가려륵) 三個(삼개)를 사용하여 二個(이개)를 炮(포)하고, 一個(일개)는 生(생)으로 모두 取皮作末(취피작말)하여 沸漿水(비장수)로 一合(일합)으로 服用(복용)하였다. 만약 단순한 水痢(수리)라면 一錢匕(일전비)의 甘草末(감초말)을 加(가)하고, 만약 약간 膿血(농혈)이 있는 경우에는 二匕(이비)를 加(가)하며 血(혈)이 많은 경우에는 또한 三匕(삼비)를 加(가)한다.”고 하였다.
【附方】
舊十,新五。
下氣消食︰訶黎一枚為末,瓦器中水一大升,煎三、兩沸,下藥更煎三、五沸,如曲塵色,入少鹽,飲之。(《食醫心鏡》)。
一切氣疾、宿食不消︰訶黎一枚,入夜含之,至明嚼咽。又方︰訶黎三枚,濕紙包,煨熟去核,細嚼,以牛乳下。(《千金方》)。
氣嗽日久︰生訶黎一枚,含之咽汁。瘥後口爽,不知食味,卻煎檳榔湯一碗服,立便有味。此知連州嘔逆不食︰訶黎勒皮二兩。炒研,糊丸梧桐子大。空心湯服二十丸,日三服。(《廣濟方》)。
風痰霍亂,食不消,大便澀︰訶黎三枚,取皮為末。和酒頓服,三、五次妙。(《外台秘要》)。
小兒霍亂︰訶黎一枚,為末。沸湯服一半,未止再服。(《子母小兒風痰壅閉,語音不出,氣促喘悶,手足動搖︰訶子(半生半炮,去核)、大腹皮等分,水煎服。名二聖散。(《全幼心鑒》)。
風熱沖頂、熱悶︰訶黎二枚(為末),芒硝一錢。同入醋中,攪令消,摩塗熱處。(《外台秘要》)。
氣痢水瀉︰訶黎勒十枚面裹, 火煨熟,去核研末,粥飲頓服。亦可飯丸服。一加木香。
又長服方︰訶黎勒、陳橘皮、厚朴各三兩,搗篩,蜜丸大如梧子。每服二、三十丸,白湯下。(《圖經本草》)。
水瀉下痢︰訶黎勒(炮)二分,肉豆蔻一分,為末。米飲每服二錢。(《聖惠方》)。
下痢轉白︰訶子三個,二炮一生,為末,沸湯調服。
水痢,加甘草末一錢。(《普濟方》)。
赤白下痢︰訶子十二個,六生六煨,去核,焙為末。赤痢,生甘草湯下;白痢,炙甘草湯下。不過再服。(趙原陽《濟急方》)。
妒精下疳︰大訶子燒灰,入麝香少許,先以米泔水洗,後搽之。或以荊芥、黃柏、甘草、馬鞭草、蔥白煎湯洗亦可。昔方士周守真醫唐靖爛莖一、二寸,用此取效也。(洪邁《夷堅志》)
核
【主治】
磨白蜜注目,去風赤澀痛,神良(蘇頌)。
白蜜(백밀)에다 磨(마)하여 눈에 注(주)하면 風赤痛(풍적통)을 除去(제거)하는데 神效(신효)가 있다.
止咳及痢(時珍)。
欬(해), 痢(이)를 止(지)한다.
葉
【主治】
下氣消痰,止渴及泄痢,煎飲服,功同訶黎(時珍)。唐‧包佶有“病中謝李吏部惠訶黎勒葉”詩。
下氣消痰(하기소담)하고, 止渴(지갈)한다. 泄痢(설리)에는 煎服(전복)한다. 功(공)은 诃黎勒(가려륵)과 같다. 唐(당)의 包佶(포길)에는 病中(병중)에 李吏部(이리부)가 诃黎勒葉(가려륵엽)을 얻은 것을 謝(사)하는 詩(시)가 있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구목(烏臼木)[본초강목] (0) | 2020.04.15 |
---|---|
자주(紫珠)[본초강목] (0) | 2020.04.05 |
정류(檉柳)[본초강목] (0) | 2020.04.04 |
육두구(肉荳蔲)[본초강목] (0) | 2020.03.24 |
몰식자(沒食子)[본초강목] (0) | 202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