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4. 4. 21:15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정류(檉柳)[본초강목]
^^^^^^^^^^^^^^^^^^^^^^^^^^^^^^^^^^^^^^^^^^^^^^^^^^^^^^^^^^^^^^^^^^^^^^
檉柳
(宋《開寶》)
【釋名】
赤檉(《日華》)、赤楊(《古今注》)垂絲柳《綱目》、人柳(《綱目》)、三眠柳(《衍義》)、觀音柳。
時珍曰︰按︰羅願《爾雅翼》云︰天之將雨,檉先知之,起氣以應,又負霜雪不乃木之聖者也。故字從聖,又名雨師。或曰︰得雨則垂垂如絲,當作雨絲。
羅願(나원)의 爾雅翼(이아익)에서는 “하늘이 막비를 내리려고 하면 정(檉)이 먼저 이것을 알고, 氣(기)를 發(발)하여 應(응)한다. 또한 霜雪(상설)을 負(부)하고서도 시들지 않는다. 즉 木(목)의 聖(성)인 것이다. 그래서 字(자)는 聖(성)에 따른다.”고 하였다. 또한 雨師(우사)라고 이름을 붙였다. 혹은 비를 만나면 垂垂(수수)하여 실과 같다. 이것은 雨絲(우사)라고 써야 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又《三輔故事》云︰漢武帝苑中有柳,狀如人,號曰人柳,一日三起三眠。則檉柳之聖,又不獨知雨、負雪而已。今俗稱長壽仙人柳,亦曰觀音柳,謂觀音用此洒水也。
또한 三輔故事(삼보고사)에 “漢武帝(한무제)의 苑中(원중)에 柳(유)가 있었는데 그 모양이 사람과 같았기 때문에 이름하여 人柳(인류)라고 하였다.” 고 했다. 一日(일일) 三回(삼회)일어나고 三回(삼회) 잠을 잔다고 한 것을 보면 檉柳(정류)의 聖(성)한 것은 單只(단지) 비가 올 것을 알고, 눈을 負(부)하는 것만이 아니다. 지금은 俗稱(속칭) 長壽仙人柳(장수선인류)라 하고 또는 觀音柳(관음류)라고도 한다. 그것은 觀音(관음)이 이것으로 洒手(세수)하기 때문이다.
宗奭曰︰今人謂之三春柳,以其一年三秀故名。
지금은 世間(세간)에서 이것을 三春柳(삼춘류)라고 한다. 그것은 一年(일년)에 三回(삼회) 秀(수)하기 때문에 붙인 이름인 것이다.
【集解】
志曰︰赤檉木生河西沙地。皮赤色,細葉。
禹錫曰︰《爾雅》︰檉,河柳也。
郭璞注云︰今河旁赤莖小楊也。陸機《詩疏》云︰生水旁,皮赤如絳,枝葉如松。
時珍曰︰檉柳小幹弱枝,插之易生。赤皮,細葉如絲,婀娜可愛。一年三次作花,花穗長三、四寸,水紅色如蓼花色。南齊時,益州獻蜀柳,條長,狀若絲縷者,即此柳也。段成式《酉陽雜俎》言︰涼州有赤白檉,大者為炭,其灰汁可以煮銅為銀。故沈炯賦云︰檉似柏而香。王禎《農書》云︰山柳赤而脆,河柳白而明。則檉又有白色者也。宗 ︰汴京甚多。
河西戎人取滑枝為鞭。
木
【氣味】
甘、鹹,溫,無毒。
【主治】
剝驢馬血入肉毒,取木片火炙熨之,並煮汁浸之。(《開寶》)。
驢馬(여마)를 剝(박)하고 血(혈)이 肉(육)에 들어간 毒(독)에는 木片(목편)을 取(취)하여 火炙(화자)하여 熨(위)하고, 兼(겸)하여 煮汁(자즙)에다 浸(침)한다.
枝葉︰消痞,解酒毒,利小便(時珍)。
枝葉(지엽)은 消痞(소비)하고 酒毒(주독)을 解消(해소)하며, 小便(소변)을 通利(통리)한다.
【附方】
新三。
腹中痞積︰觀音柳煎湯,露一夜,五更空心飲數次,痞自消。(《衛生易簡方》)
一切諸風,不問遠近︰檉葉半斤(切,枝亦可),荊芥半斤,水五升,煮二升,澄清,入白蜜五合,竹瀝五合,新瓶盛之,油紙封,入重湯煮一伏時。每服一小盞,日三服。(《普濟方》)
檉乳(即脂汁)
【主治】
合質汗藥,治金瘡 (開寶)
質汗藥(질한약)에 加(가)하여 金瘡(금창)을 治(치)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紫珠)[본초강목] (0) | 2020.04.05 |
---|---|
가려륵(訶黎勒)[본초강목] (0) | 2020.04.04 |
육두구(肉荳蔲)[본초강목] (0) | 2020.03.24 |
몰식자(沒食子)[본초강목] (0) | 2020.03.24 |
삼목(杉木) (0) | 202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