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반(山礬)[본초강목]

2020. 3. 13. 02:30[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산반(山礬)[본초강목]

 

검은재나무/산반(山礬)

 

 

 




 

검은재나무

학명:Symplocos prunifolia Siebold & Zucc.

분류군:Symplocaceae(노린재나무과)

일어:クロバイ

 

잎은 호생, 넓은 피침형, 타원형,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5~8cm, 2~3cm,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황갈색, 양 면에 털이 없고, 파상의 톱니가 드물게 있으며, 엽병은 길이 1-1.5cm이다.

열매

열매는 지름 0.5-0.7로서 긴 난형이고 흑색으로 익어간다.

꽃은 연한 녹색 또는 황록색, 양성화, 지름 7mm로서 전년도 가지 끝의 엽액에서 10~30송이씩 총상화서로 달리고, 화축은 길이 3~7cm로서 길이 1.5-3mm의 소화경과 더불어 잔털이 밀생한다. 꽃받침통은 털이 없으며 열편은 넓은 난형이고 연모가 있으며 화관열편은 난형이고 수술이 5군으로 갈라진다. 자방은 3실이다.

줄기

줄기는 곧게 올라가 원정형을 만들고,가지는 녹색이며 골 속은 계단상으로 되어 있다. 가지는 굵으며 회갈색 또는 흑갈색이다.

원산지

한국,일본

분포

일본 / 한국(제주도)

형태

상록활엽소교목

크기

수고 8m 정도

희귀, 특산식물 정보

[취약종]

평가내용:취약종 / 국가단위

 

생육환경

추위에 약해서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나 음지에서는 잘 견디며 비옥적윤한 토양에서 생장이 양호하다.

광선

중생

내한성

약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번식방법

번식은 겨울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직파하거나 1년생 도장지를 택하여 꺾꽂이한다.

결실기

9, 10, 11

이용방안

잎과 수관이 곱고 아름다워 학교나 공원에 관상용으로 식재하면 좋다.

보호방안

제주도에 제한되어 분포하나, 자생지 및 개체수는 안정적이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특징

제주도에도 몇 그루밖에 없는 희귀수종으로 학술적으로 보존이 요청되는 수종이다.

 

 

 

 

학명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 Zucc.

Abh. Math.-Phys. Cl. Konigl. Bayer. Akad. Wiss. 4-3 : 133 (1846)

1. Bobua prunifolia (Siebold & Zucc.) Miers

J. Linn. Soc., Bot. 17 : 306 (18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Dicalyx prunifolia (Siebold & Zucc.) Hara

Enum. sperm. Jap. 1 : 107 (194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Dicalyx prunifolia (Siebold & Zucc.) Nakai

J. Jap. Bot. 23 : 17 (194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검은재나무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4)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영문명 :

일본명 : クロバイ

북한명 :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 Zucc.

Abh. Akad. Muench. iv. Itt. (1846) 133.

iv. Itt. (1846) 133 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et Zucc. 异名桃叶山矾

 

 

 

 

산반(山矾)

 

Symplocos sumuntia Buch.-Ham. ex D. Don

이명(异名)

 

Symplocos urceolaris Hance

Symplocos botryantha Franch.

Symplocos ovatibracteata Y. F. Wu

Symplocos cavaleriei Lévl.

Symplocos decora Hance

Symplocos subconnata Hand.-Mazz.

Symplocos dolichostylosa Y. F. Wu

Symplocos rachitricha Y. F. Wu

Bobua austrosinensis Migo

Dicalix austrosinensis (Migo) Migo

Dicalix urceolaris (Hance) Migo

Dicalix swinhoeanus (Hance) Migo

Dicalix botryanthus (Franch.) Migo

Dicalix decorus (Hance) Migo

Symplocos fuboensis M. Y. Fang

Symplocos sasakii Hayata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et Zucc.

Symplocos macrostroma Hayata

Symplocos sozanensis Hayata

Symplocos caudata Wall. ex G. Don

Symplocos punctata Brand

Symplocos swinhoeana Hance

Symplocos somai Hayata

Symplocos botryantha var. stenophylla Brand

Symplocos caerulea H. Lév.

Symplocos caudata var. macrantha Hand.-Mazz.

Symplocos caudata var. macrocalyx Hand.-Mazz.

Symplocos leucophylla Brand

Eugeniodes urceolare (Hance) Kuntze

 

 

 

Symplocos sumuntia Buch.-Ham. ex D.Don

 

Prodr. Fl. Nepal. 145. 1825 [26 Jan-1 Feb 1825]

Original Data:

Notes: Reg. Himal

 

^^^^^^^^^^^^^^^^^^^^^^^^^^^^^^^^^^^^^^^^^^^^^^^^^^^^^^^^^^^^^^^

 

山礬

 

(《綱目》)

 

 

 

釋名

 

芸香柘花 㻛花 春桂() 七里香

時珍曰: 芸盛多也老子曰:万物芸芸是也

 

()이란 ()하면서 많다는 것이다. 老子(노자)萬物芸芸(만물운운)” 이라고 한 그것이다.

 

老子曰萬物芸芸各歸其根歸根曰靜靜曰複命

 

 

此物 山,野叢生甚多 而花繁香馥 故名

 

이것은 山野(산야)에서 叢生(총생)하고, 매우 많으며, 꽃이 繁多(번다)하고, 香氣(향기)롭다. 그래서 이렇게 命名(명명)한 것이다.

 

周必大云柘音陣南史》。荊俗訛柘為鄭呼為鄭礬而江南又訛鄭為

 

周必大(주필대)()()으로 發音(발음)한다는 것이 南史(남사)記載(기재)되어 있는데 荊地方(형지방)俗間(속간)에서는 ()()이라 轉訛(전와)하여 이것을 鄭礬(정반)이라고 한다. 그런데 江南(강남)에서는 또한 ()()으로 轉訛(전와)하고 있다.” 고 하였다.

 

黃庭堅云江南野中碇花極多野人採葉燒灰以染紫為黝不借礬而成子因以易其名為山礬

 

黃庭堅(황정견)江南(강남)野中(야중)에는 碇花(정화)가 매우 많다. 野人(야인)은 잎을 採取(채취)하여 燒灰(소회)하고, 그것으로 ()染色(염색)하여 ()하게 하고, ()을 쓰지 않고 染色(염색)한다. 나는 그곳에서 그 이름을 바꾸어 山礬(산반)이라고 한다.” 고 하였다.

 

 

集解

 

時珍曰山礬生江蜀野中樹之大者株高丈生不對節光澤堅強略有齒凌冬不凋三月開花繁白如雪六出黃蕊甚芬香結子大如椒青黑色熟則黃色可食其葉味澀人取以染黃及收豆腐或雜入茗中

 

沈括筆談古人藏書辟蠹用芸香謂之芸草即今之七裡香也葉類豌豆作小叢生啜嗅之極芬香秋間葉上微白如粉污辟蠹殊驗

 

又按︰《蒼頡解詁芸香似邪蒿可食辟紙蠹許慎說文似苜蓿成公綏芸香賦莖類秋竹枝象青松郭義恭廣志有芸香膠。《杜陽編芸香草也出於闐國其香潔白如玉入土不朽

 

元載造芸暉堂以此為屑塗壁也據此數說則芸香非一種沈氏指為七裡香者不知何據所云葉類豌豆啜嗅芬香秋間有粉者亦與今之七裡香不相類狀頗似烏藥葉恐沈氏亦自臆度爾曾端伯以七裡香為玉蕊花未知的否

 

 

 

氣味

 

微甘無毒

 

 

主治

 

久痢止渴殺蚤用三十片同老薑三片浸水蒸熱洗爛弦風眼時珍)。

 

 

久痢(구리) 止渴(지갈)하고 (), ()()한다. 十二片(십이편)老薑(노강) 三片(삼편)과 함께 水浸(수침)한 다음 ()하여 뜨거울 때 爛弦風眼(난현풍안)을 씻는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식자(沒食子)[본초강목]  (0) 2020.03.24
삼목(杉木)  (0) 2020.03.24
초과(草果)[본초강목]  (0) 2020.03.03
재백피(梓白皮)[본초강목]  (0) 2020.03.03
자위(紫葳)[본초강목]  (0) 2020.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