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24. 00:03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추목피(楸木皮)[본초강목]
^^^^^^^^^^^^^^^^^^^^^^^^^^^^^^^^^^^^^^^^^^^^^^^^^^^^^^^^^^^^^^^^^^^^^
楸
(《拾遺》)
【釋名】
榎。
時珍曰︰楸葉大而早脫,故謂之楸; 葉小而早秀,故謂之 。唐時立秋日,京師賣楸葉,婦女、兒童剪花戴之,取秋意也。
楸(추)는 잎이 早落(조락)한다. 그래서 이를 楸(추)라고 한다. 榎(가)는 잎이 작으면서 早秀(조수)한다. 그래서 이것을 榎(가)라 한다. 唐代(당대)에는 入秋日(입추일)에 京師(경사)엣 楸葉(추엽)을 팔았고, 婦女(부녀)와 兒童(아동)이 꽃을 잘라 머리에 꽂았다는 것은 가을의 뜻을 取(취)한 것이다.
《爾雅》云︰葉小而皵,榎。葉大而皵,楸。皵音鵲,皮粗也。
爾雅(이아)에서는 “잎이 작고 皵(작)한 것은 榎(가)이다. 잎이 크고 皵(작)한 것은 楸(추)이다.”라고 하였다. 皵(작)은 皮(피)가 거친 것을 말한 것이다.
【集解】
見梓下。
周定王曰︰楸有二種。一種刺楸,其樹高碩,皮色蒼白,上有黃白斑點,枝梗間多大刺。葉似楸而薄,味甘,嫩時炸熟,水淘過拌食。
時珍曰︰楸有行列,莖幹直聳可愛。至秋垂條如線,謂之楸線,其木濕時脆,燥則堅,故謂之良材,宜作棋枰,即梓之赤者也。
木白皮
【氣味】
苦,小寒,無毒。
李珣曰︰微溫。
【主治】
吐逆,殺三蟲及皮膚蟲。煎膏,粘敷惡瘡疽 ,癰腫疳痔。除膿血,生肌膚,長筋骨(藏器)。
토역(吐逆), 삼충(三蟲) 밑 피부(皮肤)의 충(蟲)을 살(殺)한다. 고(膏)를 만들어 악창(惡瘡), 저루(疽瘻)옹종(痈肿), 감치(疳痔)에 점부(粘傅)하면 농혈(膿血)을 제거(除去)하고, 기부(肌膚)부가 살아나며 근골(筋骨)이 생장(生長)한다. [진장기(陳藏器)]
消食澀腸下氣,治上氣咳嗽。亦入面藥(李珣)。
소식삽장(消食澁腸)하고 하기(下氣)하며, 상기해수(上氣咳嗽)를 치(治)한다. 또한 면약(面藥)에도 넣는다.
口吻生瘡,貼之,頻易取效。(時珍)。
口吻(구문)에 瘡(창)이 發生(발생)한 경우에는 이것을 붙이고, 頻回(빈회)로 바꾸어 取效(취효)한다.
【附方】
舊一,新一。
瘡︰楸枝作煎,頻洗取效。(《肘後方》)
白癜風瘡︰楸白皮五斤,水五斗,煎五升,去滓,煎如稠膏。日三摩之。(《聖濟總錄》)。
葉
【氣味】
同皮。
【主治】
搗敷瘡腫。煮湯,洗膿血。冬取乾葉用之。諸癰腫潰及內有刺不出者,取葉十重貼之(藏器。出《范汪方》)。
찧어서 瘡腫(창종)에 傅(부)하고, 煮湯(자탕)하여 膿血(농혈)을 씻는다. 겨울에는 乾葉(건엽)을 사용한다. 諸癰腫潰(제옹종궤) 속에 가시가 있고 나오지 않는 것에는 잎을 열 겹으로 붙인다.(陳藏器(진장기),范汪方(범왕방)에 있다.)
【發明】
時珍曰︰楸乃外科要藥,而近人少知。葛常之《韻語陽秋》云︰有人患發背潰壞,腸胃可窺,百方不瘥。一醫用立秋日太陽未升時,采楸樹葉,熬之為膏,敷其外;內以雲母膏作小丸服,盡四兩,不累日而愈也。
楸(추)는 外科(외과)의 要藥(요약)인데 近來(근래)에는 이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 적다. 葛常之(갈상지)의 韻語陽秋(운어양추)에는 “어떤 사람이 發背(발배)를 앓고, 潰壞(궤괴)하여 腸胃(장위)를 엿보게 되었는데 온갖 方(방)으로도 不瘥(불채)하였으나, 한 醫師(의사)가 立秋日(입추일)에 해가 뜨기 전 楸樹葉(추수엽)을 採取(채취)하여 膏(고)를 만들어 그 겉에 붙이고, 속에는 雲母膏(운모고)를 少丸(소환)으로 만들어 服用(복용)시켰던 바 四兩(사량)을 모두 사용하자 治癒(치유)되었다.” 고 하였다.
東晉范汪,名醫也,亦稱楸葉治瘡腫之功。則楸有拔毒排膿之力可知。
東晋(동진)의 范汪(범왕)은 名醫(명의)였다. 역시 楸叶(추엽)의 瘡腫(창종)을 治(치)하는 功(공)을 稱誦(칭송)하고 있다. 이것을 보면 楸(추)에는 拔毒排膿(발독배농)하는 힘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附方】
舊七,新一。
上氣咳嗽,腹滿羸瘦者︰楸葉三斗,水三斗,煮三十沸,去滓,煎至可,丸如棗大。以筒納入下部中,立愈。(崔元亮《海上集驗方》)。
一切毒腫不問硬軟︰取楸葉十重敷腫上,舊帛裹之,日三易之。當重重有毒瓦斯為水,流在葉上。冬月取乾葉,鹽水浸軟,或取根皮搗爛,敷之皆效。止痛消腫,食膿血,勝於眾藥。(《范汪東陽方》)。
十五斤,以水一石,淨釜中煎取三斗,又換鍋煎取七、八升,又換鍋煎取二升,乃納不津器中。用時先取麻油半合,蠟一分,酥一栗子許,同消化。又取杏仁七粒,生薑少許,同研。
米粉二錢,同入膏中攪勻。先塗瘡上,經二日來乃拭卻,即以篦子勻塗楸煎滿瘡上,仍以軟帛裹之。且日一拭,更上新藥。不過五、六上,已破者即便生肌,未破者即內消。瘥後須將慎半年。采藥及煎時,並禁孝子、婦人、僧道、雞犬見之。(不瘥。楸葉及根皮為末,敷之。(《聖惠方》)
兒發不生︰楸葉中心,搗汁頻塗。(《千金翼》)。,燒乾去泥,入水少許,絞汁,銅器慢熬如稀餳,瓷合收之。每旦點之。(《普濟方》)。
小兒禿瘡︰楸葉搗汁,塗之。(《子母秘錄》)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백피(梓白皮)[본초강목] (0) | 2020.03.03 |
---|---|
자위(紫葳)[본초강목] (0) | 2020.02.24 |
과루(瓜蔞) (0) | 2020.02.13 |
치자(梔子)[본초강목] (0) | 2020.02.01 |
감초(甘草)[본초강목] (0) | 2020.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