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자(梔子)[본초강목]

2020. 2. 1. 18:38[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치자(梔子)[본초강목]

 

 

 












 

 

^^^^^^^^^^^^^^^^^^^^^^^^^^^^^^^^^^^^^^^^^^^^^^^^^^^^^^^^^^^^^^^^^^^^^^^^

 

梔子

 

(《本經中品

 

釋名

 

木丹(《本經》)、越桃(《別錄》)、鮮支綱目花名薝蔔

 

時珍曰酒器也梔子象之故名俗作梔司馬相如賦云鮮支黃礫注云鮮支即支子也佛書稱其花為薝蔔謝靈運謂之林蘭曾端伯呼為禪友或曰薝蔔金色非梔子也

 

()()가 그와 닮아 있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대개 ()라고 記述(기술)한다. 司馬相如(사마상여)()에는 鮮支黃礫(선지황력)”으로 되어 있고, ()에는 鮮支(선지) 支子(지자)이다.” 라고 하였다. 佛書(불서)에는 그 꽃을 薝蔔(담복)이라고 나다. 謝靈運(사령운)은 이것을 林蘭(임란)이라 하고, 曾端伯(증단백)神友(신우)라고 한다. 또는 薝蔔(담복)金色(금색)인 것이며, 梔子(치자)가 아니라고도 한다.

 

 

 

集解

 

別錄梔子生南陽川谷九月採實曝乾

 

弘景曰: 處處有之

 

亦兩三種小異以七棱者爲良經霜乃取入染家用於藥甚稀

 

頌曰:今南方及西蜀州郡皆有之木高七八尺葉似李而厚硬又似樗蒲子二三月生白花花皆六出甚芬香俗說即西域薝蔔也夏秋結實如訶子狀生青熟黃中仁深紅南人競種以售利。《史記·貨殖傳茜千石與千戶侯等言獲利博也入藥用山梔子方書所謂越桃也皮薄而圓小刻房七棱至九棱者爲佳其大而長者雷斅炮炙論謂之伏屍梔子入藥無力

 

時珍曰梔子葉如兔耳濃而深綠春榮秋瘁入夏開花大如酒杯白瓣黃實薄皮細子有須霜後收之蜀中有紅梔子花爛紅色其實染物則赭紅色

 

 

 

修治

 

雷斅曰凡使須要如雀腦並須長有九路赤色者為上先去皮須取仁以甘草水浸一宿漉出焙乾搗篩為末用

 

대개 이것을 使用(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雀腦(작뇌)와 같으면서 ()가 길고 九路(구로)있으며, 赤色(적색)인 것을 使用(사용)하는 것을 ()을 친다. 먼저 ()()除去(제거)하고 ()()하여, 甘草水(감초수)一宿(일숙) ()하고, 漉出焙乾(녹출배건)한 다음 搗篩作末(도사작말)하여 사용한다.

 

 

震亨曰治上焦中焦連殼用下焦去殼洗去黃漿炒用治血病炒黑用

 

대개 上焦(상초), 中焦(중초)()하는 경우에는 ()이 있는 그대로 사용하고, 下焦(하초)에는 去殼(거각)하여 씻어서 黃漿(황장)除去(제거)한 다음 炒用(초용)한다. 血病(혈병)()하는 경우에는 黑炒(흑초)하여 使用(사용)한다.

 

好古曰 :用仁去心胸中熱, 用皮去肌表熱

 

心胸中(심흉중)()除去(제거)하는 경우에는 ()을 사용하며, 肌表(기표)()除去(제거)하는 경우에는 ()를 사용한다.

 

 

 

氣味

 

無毒

 

別錄大寒

 

元素曰氣薄味厚輕清上行氣浮而味降陽中陰也

 

()()하고, ()()하며 輕淸(경청)하면서 上行(상행)하며, ()()하고, ()()한 것이다. 陽中(양중)()이다.

 

 

杲曰沉也陰也入手太陰肺經血分。《丹書》︰梔子柔金

 

()하고, ()하며,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血分(혈분)으로 들어간다. 丹書(단서)에는 ()()하게 한다.

 

 

主治

 

五內邪氣胃中熱氣面赤酒皰 齇鼻白癩赤癩瘡瘍(《本經》)。

 

五內(오내)邪氣(사기), 胃中(위중)熱氣(열기), 面赤酒皰(면적주포), 皶鼻(사비), 白癞(백라), 赤癩(적라), 瘡瘍(창양)

 

療目赤熱痛大小腸大熱心中煩悶(《別錄》)。

 

目赤熱痛(목적열통), 胸心(흉심), (),小腸(소장)大熱(대열), 心中煩熱(심중번열)()한다.

 

 

去熱毒風除時疾熱解五種黃病利五淋通小便解消渴明目主中惡蟲蟲毒甄權)。

 

熱毒風(열독풍)除去(제거)하고 時疾(시질)()除去(제거)하며, 五種(오종)黃病(황병)解消(해소)한다. 五淋(오림)小便(소변)通利(통리)하고, 消渴(소갈)解消(해소)하며, 明目(명목)한다. 中惡(중악)主效(주효)가 있으며, 䗪蟲(자충)蠱毒(고독)()한다.

 

解玉支毒(弘景)羊躑躅也

 

玉支(옥지)()解消(해소)한다. 洋躑躅(양척촉)이다.

 

主喑啞紫癜風(孟詵)。

 

喑啞(암아), 紫癜风(자전풍)主效(주효)가 있다.

 

治心煩懊惱不得眠臍下血滯而小便不利元素)。

 

心煩(심번)하고, 懊惱(오뇌)하여 安眠不能(안면불능)인 경우 臍下(제하)血滯(혈체)小便不利(소변불리)한 것을 ()한다.

 

 

瀉三焦火清胃脘血治熱厥心痛解熱郁行結氣震亨)。

 

三焦(삼초)()()하고, 胃脘(위완)()()하게 하며, 熱厥心痛(열궐심통)()하고, 熱癰(열옹)解消(해소)하고, 結氣(결기)()하게 한다.

 

 

治吐血衄血血痢下血血淋損傷瘀血及傷寒勞複熱厥頭痛疝氣燙火傷時珍)。

 

吐血(토혈), 衄血(육혈), 血痢(혈리), 下血(하혈), 血淋(혈림), 損傷瘀血(손상어혈), 熱厥頭痛(열궐두통), 疝氣(산기), 燙火傷(탕화상)()한다.

 

 

 

發明

 

元素曰梔子輕飄而象肺色赤而象火故能瀉肺中之火其用有四心經客熱一也除煩躁二也去上焦虛熱三也治風四也

 

梔子(치자)輕飄(경표)함으로서 ()象徵(상징)하고, ()은 붉어 ()象徵(상징)한다. 그래서 곧잘 肺中(폐중)()()한다. 用處(용처)에 네가지가 있는데 心經(심경)客熱(객열)(), 煩燥(번조)除去(제거)하는 것이 (), 上焦(상초)虛熱(허열)除去(제거)하는 것이 (), ()()하는 것이 ()이다.

 

 

震亨曰梔子瀉三焦之火及痞塊中火邪最清胃脘之血其性屈曲下行能降火從小便中泄去凡心痛稍久不宜溫散反助火邪故古方多用梔子以導熱藥則邪易伏而病易退

 

梔子(치자)三焦(삼초)() 痞塊中(비괴중)火邪(화사)()하고, 가장 잘 胃脘(위완)()()하게 한다. ()屈曲下行(굴곡하행)하는 것으로서 곧잘 降火(강화)하여 小便(소변)에 따라 泄去(설거)한다. 대개 心痛(심통)은 약간 오래된 경우에는 溫散(온산)하는 데 不適(부적)하다. 도리어 火邪(화사)를 돕는 것이다. 거래서 古方(고방)에서는 梔子(치자)多用(다용)하여 熱藥(열약)引導(인도)하고 있다. 그래서 ()伏易(복이)하고 ()退易(퇴이)하는 것이다.

 

 

好古曰本草不言梔子能吐仲景用為吐藥梔子本非吐藥為邪氣在上拒而不納食令上吐則邪因以出所謂其高者因而越之或用為利小便藥實非利小便乃清肺也肺清則化行而膀胱津液之府得此氣化而出也

 

本草(본초)에는 栀子(치자)가 곧잘 ()하는 것을 言及(언급)하고 있지 않다. 張仲景(장중경)은 이것을 吐藥(토약)으로 썼는데 梔子(치자)本來(본래) 吐藥(토약)이 아니고,邪氣(사기)가 위에 있기 때문에 拒食不納(거식불납)하는 것을 ()하게 하여 ()함으로써 ()가 나타나게 되는 것인데 이른바 그 높은 ()는 그래서 이것을 ()한다.” 고 하였다. 또는 이것을 사용하여 小便(소변)通利(통리)하는 ()으로 하지만 ()小便(소변)通利(통리)하는 것이 아니고, 淸肺(청폐)하는 것이다. 淸肺(청폐)하면 化行(화행)하여 膀胱(방광),津液(진액)()가 이 氣化(기화)를 얻어 나오게 되는 것이다.

 

 

本草言治大小腸熱乃辛與庚合又與丙合又能泄戊先入中州故也仲景治煩躁用梔子豉湯煩者氣也躁者血也氣主肺血主腎故用梔子以治肺煩香豉以治腎躁

 

本草(본초)에서는 (), 小便(소변)()()한다고 하였다. 그것은 ()()()하고, ()()하며, 또한 곧잘 ()()하여 먼저 中州(중주)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張仲景(장중경)煩燥(번조)()하는데 梔子豉湯(치자시탕)을 사용하였는데 ()한 것은 ()이고, ()한 것은 ()로서 ()()()로 하고, ()()()로 한다. 그래서 梔子(치자)使用(사용)하여 ()()()하고, 香豉(향시)로써 腎躁(신조)()한 것이다.

 

 

杲曰仲景以梔子色赤味苦入心而治煩香豉色黑味鹹入腎而治躁

 

張仲景(장중경)梔子(치자)()은 붉고, ()()한데 ()에 들어가므로 治煩(치번)하고, 香豉(향시)黑色(흑색)이면서 ()()한데 ()에 들어가기 때문에 治煩(치번)한다.

 

宗奭曰仲景治傷寒發汗吐下後虛煩不得眠若劇者必反覆顛倒心中懊憹梔子豉湯治之因其虛故不用大黃有寒毒故也

 

張仲景(장중경)傷寒(상한)發汗(발한), 吐下(토하)()虛煩(허번)하여 熟眠(숙면)할 수 없고, ()한 경우에는 반드시 反覆(반복), 顛倒(전도)하며, 心中懊憹(심중오뇌)하는 것을 ()하는데 梔子豉湯(치자시탕)으로 ()하였다. 容體(용체)()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大黃(대황)을 사용하지 않는다. ()하면서 ()이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梔子雖寒而無毒治胃中熱氣既亡血亡津液腑臟無潤養內生虛熱非此物不可去也又治心經留熱小便赤澀用去皮梔子火煨)、大黃連翹炙甘草等分末之水煎三錢服無不利也

 

梔子(치자)()하기는 하나 ()이 없으며, 胃中(위중)熱氣(열기)()하는 것이다. 이미 亡血(망혈)하고, 津液(진액)亡失(망실)하여 臟腑(장부)潤養(윤양)이 없어진데서 ()虛熱(허열)發生(발생)하는 경우에는 이것이 아니고서는 除去(제거)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心經(심경)留熱(유열), 小便赤澁(소변적삽)()하는데는 去皮(거피)梔子(치자), 불에다 ()大黃(대황), 連翹(연교),炙甘草(자감초) 登盆(등분)作末(작말)하여 물로 三錢(삼전)煎服(전복)하면 通利(통리)하지 않는 것이 없다.

 

 

頌曰: 張仲景及古今名醫治發黃皆用梔子茵陳甘草香豉四物作湯飲又治大病後勞複皆用梔子鼠矢等湯利小便而愈其方極多不可悉載

 

張仲景(장중경)古方(고방)名醫(명의)發黃(발황)()하는데 모두 梔子(치자), 茵蔯(인진), 甘草(감초), 香豉(향시)四物(사물)을 사용하여 湯飲(탕음)으로 하였다. 또한 大病後(대병후)勞復(노복)()하는데 모두 梔子(치자), 鼠矢(서시) 登盆(등분)을 사용하여 小便(소변)通利(통리)함으로써 ()하였다. ()()히 많기 때문에 모두 記載(기재)할 수가 없다.

 

 

 

 

 

附方

 

舊十新十七

 

鼻中衄血山梔子燒灰吹之屢用有效。(黎居士簡易方》)。

小便不通梔子仁十四個獨頭蒜一個滄鹽少許搗貼臍及囊良久即通。(《普濟方》)。

血淋澀痛生山梔子末滑石等分蔥湯下。(《經驗良方》)。

下利鮮血梔子仁燒灰水服一錢匕。(《食療本草》)。

酒毒下血老山梔子仁焙研每新汲水服一錢匕。(《聖惠方》)。

熱毒血痢梔子十四枚去皮搗末蜜丸梧桐子大每服三丸日三服大效亦可水煎服。(《肘後方》)。

臨產下痢梔子燒研空心熱酒服一匙甚者不過五服。(《勝金方》)。

婦人胎腫屬濕熱山梔子一合炒研每服二三錢米飲下丸服亦可。(熱水腫疾山梔子仁炒研米飲服三錢若上焦熱者連殼用。(《丹溪纂要》)。

霍亂轉筋心腹脹滿未得吐下梔子二七枚燒研熟酒服之立冷熱腹痛 刺不思飲食山梔子川烏頭等分生研為末酒糊丸如梧桐子大每服十五丸生薑湯下小腹痛茴香湯下。(《博濟方》)

胃脘火痛大山梔子七枚或九枚炒焦 水一盞煎七分入生薑汁飲之立止複發者必不效用玄明粉一錢服立止。(《丹溪纂要》)。

五臟諸氣益少陰血用梔子炒黑研末生薑同煎飲之甚捷。(《丹溪纂要》)。

五尸疰病沖發心脅刺痛纏綿無時梔子三七枚燒末水服。(《肘後方》)。

熱病食複及交接後發動欲死不能語梔子三十枚水三升煎一升服令微汗。(《梅師方》)。

小兒狂躁蓄熱在下身熱狂躁昏迷不食梔子仁七枚豆豉五錢水一盞煎七分服之或吐或不吐立效。(閻孝盤腸釣氣越桃仁半兩草烏頭少許同炒過去草烏入白芷一錢為末每服半錢茴香蔥白酒下。(《普濟方》)。

赤眼腸秘山梔子七個鑽孔煨熟水一升煎半升去滓入大黃末三錢溫服。(《普濟方》)。

吃飯直出梔子二十個微炒去皮水煎服。(《怪症奇方》)。

風痰頭痛不可忍梔子末和蜜濃敷舌上吐即止。(《兵部手集》)。

鼻上酒 梔子炒研黃蠟和丸彈子大每服一丸嚼細茶下日二服忌酒煎火焰丹毒梔子搗和水塗之。(《梅師方》)。

火瘡未起梔子仁燒研麻油和封之已成瘡燒白糖灰粉之。(《千金方》)。

眉中練癬梔子燒研和油敷之。(《保幼大全》)。

折傷腫痛梔子白面同搗塗之甚效。(《集簡方》)。

犬咬傷梔子皮燒研)、石硫黃等分湯蕩火燒梔子末和雞子清濃掃之。(《救急方》)。

 

 

 

主治

 

悅顏色,《千金翼面膏用之時珍)。

 

顔色(안색)을 좋게 한다. 千金翼(천금익)에서는 面膏(면고)에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

 

 

附錄

 

木戟

 

藏器曰生山中葉如梔子味辛無毒

 

主痃癖氣在髒腑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목피(楸木皮)  (0) 2020.02.24
과루(瓜蔞)  (0) 2020.02.13
감초(甘草)[본초강목]  (0) 2020.02.01
편복(蝙蝠)[본초강목]  (0) 2020.02.01
파극천(巴戟天)  (0) 2020.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