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9. 28. 02:32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관중(貫衆)[본초강목]
^^^^^^^^^^^^^^^^^^^^^^^^^^^^^^^^^^^^^^^^^^^^^^^^^^^^^^^^^^^^^^^^^^^^^^^
貫眾
(《本經》下品)
【釋名】
貫節(《本經》)貫渠(《本經》)百頭(《本經》又名虎卷、扁苻)草鴟頭(《別錄》)黑狗脊(《綱目》)鳳尾草(《圖經》)。
時珍曰︰此草葉莖如鳳尾,其根一本而眾枝貫之,故草名鳳尾,根名貫眾、貫節、貫渠。渠者,魁也。
이 草(초)는 葉(엽)과 莖(경)이 鳳(봉)의 꼬리모양이며, 根(근)이 一本(일본)으로 많은 가지를 貫(관)하고 있다. 그래서 草(초)를 鳳尾(봉미)라 하고, 根(근)을 關節(관절), 貫衆(관중), 貫渠(관거)등으로 呼稱(호칭)하는데, 渠(거)란 魁(괴)를 말한다.
《吳普本草》作貫中,俗名貫仲、管仲者,皆謬稱也。
吳普本草(오보본초)에 貫中(관중)리라 書記(서기)하고, 俗(속)에서는 흔히 貫仲(관중), 管仲(관중) 등으로 부른데 모두 呼稱(호칭)의 잘못이다.
《爾雅》云︰濼,貫眾,即此也。《別錄》一名伯萍,一名藥藻,皆字訛也。金星草一名鳳尾草,與此同名,宜互考之。
爾雅(이아)는“濼(낙)을 貫衆(관중)을 말한다.” 라고 했는데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 別錄(별록)에 一名(일명) 伯萍(백평), 一名(일명) 藥藻(약조)등으로 쓰여 있으나 모두가 字(자)의 訛誤(와오)이다. 金星草(금성초)를 一名(일명) 鳳尾草(봉미초)라 하여 이 草(초)의 別名(별명)과 같은데 兩者(양자)를 서로 參考(참고)해 볼 必要(필요)가 있다.
弘景曰︰近道皆有之。葉如大蕨。其根形色毛芒,全似老鴟頭,故呼為草鴟頭。
가까운 地方(지방)에 많이 散在(산재)한다. 葉(엽)은 大蕨(대궐)과 같고, 根(근)의 形狀(형상), 色澤(색택), 毛芒(모망)은 곡 老鴟(노치)의 頭部(두부)를 닮아서 草鴟頭(초치두)라고 한다.
【集解】
《別錄》曰︰貫眾生玄山山谷及冤句少室山。二月、八月採根,陰乾。
普曰︰葉青黃色,兩兩相對,莖有黑毛,叢生,冬夏不死。四月花白,七月實黑,聚相連卷旁生。三月、八月採根,五月採葉。
保升曰︰苗似狗脊,狀如雉尾,根直多枝,皮黑肉赤,曲者名草鴟頭,所在山谷陰處則有之。
頌曰︰今陝西、河東州郡及荊、襄間多有之,而少有花者。春生苗,赤。葉大如蕨。莖幹三棱。葉綠色似雞翎,又名鳳尾草。其根紫黑色,形如犬爪,下有黑須毛,又似老鴟。郭璞注《爾雅》云︰葉圓銳,莖毛黑,布地,冬不死,《廣雅》謂之貫節是矣。
時珍曰︰多生山陰近水處。數根叢生,一根數莖,莖大如箸,其涎滑。其葉兩兩對生,如狗脊之葉而無鋸齒,青黃色,面深背淺。其根曲而有尖嘴,黑須叢簇,亦似狗脊根而大,狀如伏鴟。
根
【氣味】
苦,微寒,有毒。
之才曰︰雚菌、赤小豆為之使,伏石鐘乳。
雚菌(관균), 赤小豆(적소두)가 使(사)가 된다. 石鐘乳(석종유)를 伏(복)한다.
【主治】
腹中邪熱氣,諸毒,殺三蟲(《本經》)。
腹中邪熱(복중사열)의 氣(기), 諸毒(제독), 三蟲(삼충)을 殺(살)한다,
去寸白,破症瘕,除頭風,止金瘡(《別錄》)。
寸白(촌백)을 去(거)하고 癥瘕(징가)를 破(파)하고 頭風(두풍)을 除(제)하고, 金瘡(금창)을 止(지)한다.
為末,水服一錢,止鼻血有效(蘇頌)。
末(말)로 하여 물로 一錢(일전)을 服用(복용)하면 脾血(비혈)을 止(지)하는데 效(효)가 있다.
治下血崩中帶下,產後血氣脹痛,斑疹毒,漆毒,骨哽。解豬病(時珍)。
下血(하혈), 崩中(붕중), 帶下(대하), 産後(산후)의 血氣(혈기), 瘡痛(창통), 斑疹(반진)의 毒(독), 漆毒(칠독), 骨硬(골경)을 治療(치료)한다. 豬病(저병)을 解(해)한다.
【發明】
時珍曰︰貫眾大治婦人血氣,根汁能制三黃,化五金,伏鐘乳,結砂制汞,且能解毒軟堅。
貫衆(관중)은 크게 婦人(부인)의 血氣(혈기)를 治(치)하는 것으로 根汁(근즙)은 三黃(삼황)을 制(제)하고, 五金(오금)을 化(화)하고, 鍾乳(종유), 結沙(결사)를 다스리며, 汞(홍)을 制(제)하고, 능해 毒(독)을 解(해)하며, 굳은 것을 軟(연)하게 풀어 준다.
王海藏治夏月痘出不快,快斑散用之。云貫眾有毒,而能解腹中邪熱之毒。病因內感而發之於外者多效,非古法之分經也。
王海藏(왕해장)은 여름철에 豆(두)가 나와 不快(불쾌)해지는 病(병)을 치료하는 快斑散(쾌반산)에 이것을 使用(사용)하여 “貫衆(관중)은 有毒(유독)하나 능히 腹中邪熱(복중사열)의 毒(독)을 解(해)하여 준다. 病(병)이 內感(내감)으로 因(인)하여 外部(외부)로 發生(발생)한 것에 특히 卓效(탁효)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古法(고법)의 分經(분경)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又黃山谷《煮豆帖》,言荒年以黑豆一升 淨,入貫眾一斤,銼如骰子大,同以水煮,文火斟酌至豆熟,取出日乾,覆令展盡餘汁,簸去貫眾。每日空心 豆五、七粒,能食百草木枝葉有味可飽。
또 黃山谷(황산곡)의 煮豆帖(자두첩)에는 “饑饉(기근)이 든 해에 黑豆(흑두) 一升(일승)을 水中(수중)에서 주물러 깨끗해진 貫衆(관중) 一斤(일근)을 骰子大(투자대) 정도로 다져서 함께 물로 삶아서 불의 强弱(강약)을 加減(가감)하여 黑豆(흑두)가 익으면 꺼내어 日光(일광)에 말려서 덮어두고 餘汁(여즙)을 다 낸 후에 貫衆(관중)을 簸去(파거)하고 매일 空腹(공복)에 그 豆(두) 五(오)~六粒(육립)을 먹으면 如何(여하)한 草本(초본)의 楮叶(저엽)을 먹어도 맛이 있고 충분히 虛氣(허기)를 견딜 수 있다.”라고 하였다.
又王 《百一選方》,言滁州蔣教授,因食鯉魚玉蟬羹,為肋肉所哽,凡藥皆不效。或令以貫眾濃煎汁一盞半,分三服,連進至夜,一咯而出。亦可為末,水服一錢。觀此可知其軟堅之功,不但治血、治瘡而已也。
또 王璆(왕구)의 百一選方(백일선방)에는 “滁州(저주)의 蔣教授(장교수)는 鯉魚玉蟬羹(이어옥선갱)을 먹고 그 魚(어)의 筋肉(근육)이 목구멍에 막혀서 百方(백방)으로 藥(약)을 써보아도 奏效(주효)하지 못했는데 어떤 이가 貫衆(관중)의 濃煎汁(농전즙) 一盞(일잔)을 三服(삼복)으로 나누어 계속해서 마시게 했더니 그날 밤 一回(일회)에 咯出(각출)되었다. 末(말)로 하여 물로 一錢(일전)을 服用(복용)해도 좋다.”라고 되어 있다. 이로써 미루어 보면 이것의 功力(공력)은 堅固(견고)한 것을 軟(연)하게 하는 것으로서 오직 血(혈)을 다스리고, 瘡(창)을 治療(치료)하는 것뿐만이 아닌 것을 認定(인정)할 수 있다.
【附方】新一十五。
鼻衄不止︰貫眾根末,水服一錢。(《普濟方》)
諸般下血︰腸風酒痢,血痔鼠痔下血。黑狗脊,黃者不用,須內肉赤色者,即本草貫眾也。去皮毛,銼焙為末。每服二錢,空心米飲下。或醋糊丸梧子大,每米飲下三、四十丸。或燒存性,出
火毒為末,入麝香少許,米飲服二錢。(《普濟方》)
女人血崩︰貫眾半兩,煎酒服之,立止。(《集簡方》)
產後亡血︰過多,心腹徹痛者。用貫眾狀如刺 者一個,全用不銼,只揉去毛及花萼,以赤白帶下︰年深,諸藥不能療者,用上方治之亦驗,名獨聖湯。方同上。年深咳嗽出膿血。貫眾、蘇方木等分,每服三錢,水一盞,生薑三片,煎服,日二服。久咳,漸成勞瘵。鳳尾草為末,用魚 蘸食之。(《聖惠方》)
痘瘡不快︰快斑散︰用貫眾、赤芍藥各一錢,升麻、甘草各五分。入淡竹葉三片,水一盞半,煎七分,溫服。(王海藏方)
頭瘡白禿︰貫眾、白芷為末,油調塗之。又方︰貫眾燒末,油調涂。(《聖惠方》)
漆瘡作癢︰油調貫眾末,塗之。(《千金方》)
雞魚骨哽︰貫眾、縮砂、甘草等分。為粗末,綿包少許,含之咽汁,久則隨痰自出。(《普濟方》)
解輕粉毒︰齒縫出血,臭腫。貫眾、黃連各半兩。煎水,入冰片少許,時時漱之。(陸氏《積德堂方》)
血痢不止︰鳳尾草根(即貫眾)五錢,煎酒服。陳解元吉言所傳。(《集簡方》)
便毒腫痛︰貫眾,酒服二錢,良。(《多能鄙事》)
花
【主治】
惡瘡,令人泄(《別錄》)。
惡瘡(악창)에 使用(사용)하여 泄下(설하) 시킨다.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박(琥珀)[본초강목] (0) | 2019.10.06 |
---|---|
해송자(海松子)[본초강목] (0) | 2019.09.28 |
포황(蒲黃) 향포(香蒲)[본초강목] (0) | 2019.09.10 |
목근(木槿)[본초강목] (0) | 2019.08.20 |
부용화(芙蓉花)[본초강목] (0) | 2019.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