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단&고](72)
-
아교고
아교고 조성(組成) 흑지마(黑芝麻)、아교(阿膠)、핵도인(核桃仁)、홍조(紅棗)、구기자(枸杞子)、황주(黃酒)、빙당(冰糖) 아교(阿膠) 엽천사 气平.味甘.无毒. 主心腹内崩劳极.洒洒如疟状.腰腹痛四肢酸疼.女子下血.安胎.久服轻身益气.阿胶气平.禀天秋收之金气.入手太阴肺经.味甘无毒.得地中正之土味.入足太阴脾经.气味降多于升.色黑质润.阴也.心腹者.太阴经行之地也.内崩劳极者.脾血不统.内崩而劳极也.阴者中之守.阴虚则内气馁.而洒洒恶寒如疟状也.其主之者.味甘可以益脾阴也.腰腹皆藏阴之处.阴虚则空痛.阿胶色黑益阴.所以止痛.四肢脾主之.酸疼者血不养筋也.味甘益脾.脾统血.四肢之疼自止.女子下血.脾血不统也.味甘以统脾血.血自止也.安胎者亦养血之功也.久服轻身益气者.气平益肺.肺主气.气充则身轻也. 제방(制方) 阿胶同杜仲、杞子、白芍、山药、生地、人参、黄耆、续..
2024.06.22 -
산더덕 고[완성]
산더덕 고[완성] 종독(腫毒)을 치(治)한다. 나력(瘰癧)에는 즙을 취하여 술로 담아 음용하며 사재(渣滓)는 환처(患處)에 도포(塗布)한다. 왕련사는 묘(苗)는 만생이며 근(根)은 나복(羅蔔)과 같고 미(味)는 다취(多臭)하다. 양매악창(楊梅惡瘡)을 치(治)하는데 신효(神效)가 있다. 왕안채약방(王安采藥方)에는 산해라(山海螺) 일명 백하거(白河車)라고 한다. 자하거(紫河車), 홍, 백석고를 가(加)한 것을 사성산(四聖散)이라고 하며, 장옹(腸癰), 변독(便毒), 장옹(腸癰), 유옹저(乳癰疽)의 치료에 유효(有效)하다. ^^^^^^^^^^^^^^^^^^^^^^^^^^^^^^^^^^^^^^^^^^^^^^^^^^^^^^^^^^^^^^^^^^^^^^^ 공능(功能) 소종(消腫),해독(解毒),배농(排膿),거담(祛痰..
2023.12.04 -
산더덕 고[2]
산더덕 고[2] 종독(腫毒)을 치(治)한다. 나력(瘰癧)에는 즙을 취하여 술로 담아 음용하며 사재(渣滓)는 환처(患處)에 도포(塗布)한다. 왕련사는 묘(苗)는 만생이며 근(根)은 나복(羅蔔)과 같고 미(味)는 다취(多臭)하다. 양매악창(楊梅惡瘡)을 치(治)하는데 신효(神效)가 있다. 왕안채약방(王安采藥方)에는 산해라(山海螺) 일명 백하거(白河車)라고 한다. 자하거(紫河車), 홍, 백석고를 가(加)한 것을 사성산(四聖散)이라고 하며, 장옹(腸癰), 변독(便毒), 장옹(腸癰), 유옹저(乳癰疽)의 치료에 유효(有效)하다. ^^^^^^^^^^^^^^^^^^^^^^^^^^^^^^^^^^^^^^^^^^^^^^^^^^^^^^^^^^^^^^^^^^^^^^^ 공능(功能) 소종(消腫),해독(解毒),배농(排膿),거담(祛痰)..
2023.12.04 -
음양곽고[1]
음양곽고[1] ^^^^^^^^^^^^^^^^^^^^^^^^^^^^^^^^^^^^^^^^^^^^^^^^^^^^^^^^^^^^^^^^^^^^^^^^^^^ 일체(一切)의 냉풍(冷風), 노기(勞氣), 요슬(腰膝)을 보(補)하고 남자(男子)의 절양불기(絶陽不起), 여인(女人)의 절음(絶陰)으로 무자(無子), 노인(老人)의 혼모(昏耄), 중년(中年)의 건망(健忘)에 주효(主效)하다. 음위(陰痿), 경중통(莖中痛)을 치(治)하고 기력(氣力)을 익(益)하며, 근골(筋骨)을 견(堅)하고 남자(男子)가 구복(久服)하면 유자(有子)한다. 나력(癩癧)을 소(消)하고, 하부(下部)의 창(瘡)을 세(洗)하면 충(蟲)이 출(出)한다. 사람이 이것을 복용(服用)하면 음양(陰陽)이 호(好)하다. 음양(陰羊)이 일일(一日) 백회(百回)..
2023.11.23 -
당삼고[2]
당삼고[2] 당삼고(當參膏) 약물조성(藥物組成) 당삼(黨參)(去芦)480两,황기(黄耆)320两,승마(升麻)40两,계원육(桂圓肉)80两,생지(生地)160两,숙지(熟地)160两,당귀(當歸)160两,자하거(紫河車)10具。 처방래원(處方來源) 《北京市中药成方选集》。 방제주치(方劑主治) 기혈우허(氣血亏虛),비위허약(脾胃虛弱),지체산연(肢体痠軟),정신피권(精神疲倦)。 방제공효(方劑功效) 대보기혈(大補氣血),건비양위(健脾養胃)。 제비방법(制備方法) 上药酌予切碎,水煎3次,分次过滤,去滓,滤液合并,用文火煎熬,浓缩至膏状,以不渗纸为度,每1两膏汁兑炼蜜1两成膏,装瓶,重2两。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3-5钱,开水冲服,每日2次。 ○당삼(黨參)(去芦) 味(미)는 甘(감), 平(평)하고, 補中益氣(보중익기)하며, 脾胃(비위)를 和(화)..
2023.11.13 -
흑도라지고 완성
흑도라지고 완성 1.실음(失音)에는 가자(訶子)를 가(加)하고, 2.말을 못 할때는 반하(半夏)를 가(加)하고, 3.상기(上氣)에는 진피(陳皮)를 가(加)하고, 4.연수(涎嗽)에는 지모(知母)와 패모(貝母)를 첨가하고, 5.해갈(咳渴)에는 오미자(五味子)를 가(加)하고, 6.주독(酒毒)에는 갈근(葛根)을 넣고, 7.소기(少氣)에는 인삼(人參)을 가(加)하고, 8.구(嘔)에게는 반하(半夏)와 생강(生薑)을 가(加)하고, 9.타농혈(唾膿血)에는 자완(紫菀)을 가(加)하고, 10.폐위(肺痿)에는 아교(阿膠)를 가(加)하고, 11.흉격불리(胸膈不利)에는 지각(枳殼)을 가(加)하고, 12.심흉비만(心胸痞滿)에는 지실(枳實)을 가(加)하고, 13.목적(目赤)에는 치자(梔子)와 대황(大黃)을, 14.면종(面腫)에는 ..
2023.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