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단&고](72)
-
위령선환
위령선환 男子(남자), 婦人(부인)이 中風(중풍)으로 言語不能(언어불능), 手足不遂(수족불수), 口眼歪斜(구안왜사)해져 말이 새는 것, 筋骨節(근골절)의 風(풍), 繞臍風(요제풍), 태풍(胎風), 頭風(두풍), 暗風(암풍), 心風(심풍), 風狂(풍광), 大風(대풍), 皮膚(피부)의 風癢(풍양), 白癜風(백전풍), 熱毒風瘡(열독풍창), 頭旋(두선), 目眩(목현), 手足頑痺(수족완비), 腰膝疼痛(요슬동통)으로 오래 서지 못하는 것, 이미 損墜(손추)로 인한 腰痛(요통), 腎臟(신장)의 風壅(풍옹), 傷寒瘴氣(상한장기), 憎寒壯熱(증한장열), 頭痛流涕(두통유체), 黃疸(황달), 黑疸(흑달), 頭面(두면)의 浮腫(부종), 腹內宿滯(복내숙체), 心頭痰水(심두담수), 膀胱宿膿(방광숙농), 口中涎水(구중연수), 冷熱..
2022.12.12 -
당삼고(완성)
당삼고 약물조성(藥物組成) 당삼(黨參)960兩。 처방래원(處方來源) 《전국중약성약처방집(全國中藥成藥處方集)》(상해방(上海方))。 방제주치(方劑主治) 체권기겁(體倦氣怯),식소변당(食消便溏)。 용법용량(用法用量) 將黨參煎汁3次榨淨,將各次所煎藥汁澄清過濾,蒸發成濃汁,加冰糖20斤收膏。每次1羹匙,開水化服。 ○당삼(黨參)(去蘆) 甘平 補中益氣.和脾胃.除煩渴.中氣微虛.用以調補.甚爲平妥. 味(미)는 甘(감), 平(평)하고, 補中益氣(보중익기)하며, 脾胃(비위)를 和(화)하고, 煩惱(번뇌)를 除(제)하며, 渴(갈)를 解(해)한다. 中氣微虛(중기미허)에는 이것을 使用(사용)하여 調補(조보)하면 甚(심)히 妙(묘)하다. 按古本草雲.參須上黨者佳.今真黨參久已難得.肆中所賣黨參.種類甚多.皆不堪用.唯防風黨參.性味和平和足貴。根有獅子盤頭..
2022.11.29 -
당삼고(1)
당삼고(1) 약물조성(藥物組成) 당삼(黨參)960兩。 처방래원(處方來源) 《전국중약성약처방집(全國中藥成藥處方集)》(상해방(上海方))。 방제주치(方劑主治) 체권기겁(體倦氣怯),식소변당(食消便溏)。 용법용량(用法用量) 將黨參煎汁3次榨淨,將各次所煎藥汁澄清過濾,蒸發成濃汁,加冰糖20斤收膏。每次1羹匙,開水化服。 ○당삼(黨參)(去蘆) 甘平 補中益氣.和脾胃.除煩渴.中氣微虛.用以調補.甚爲平妥. 味(미)는 甘(감), 平(평)하고, 補中益氣(보중익기)하며, 脾胃(비위)를 和(화)하고, 煩惱(번뇌)를 除(제)하며, 渴(갈)를 解(해)한다. 中氣微虛(중기미허)에는 이것을 使用(사용)하여 調補(조보)하면 甚(심)히 妙(묘)하다. 按古本草雲.參須上黨者佳.今真黨參久已難得.肆中所賣黨參.種類甚多.皆不堪用.唯防風黨參.性味和平和足貴。根有獅..
2022.11.29 -
황기고(기원약재)[2]
황기고(기원약재)[2] 처방(處方) 황기(黃芪)480兩。 제법(制法) 上藥酌予切碎,水煎3次,分次過濾,去滓,濾液合並,用文火煎熬濃縮至膏狀,以不滲紙爲度,每1兩膏汁兌煉蜜2兩成膏,裝瓶,重2兩。 공능주치(功能主治) 보중익기(補中益氣),조양영위(調養榮衛),탁리생기(托裏生肌)。 主 기허혈휴(氣虛血虧),허로도한(虛勞盜汗),폐허작천(肺虛作喘),신체리수(身體羸瘦)。 창면구불유합(瘡面久不愈合),음창농독미진(陰瘡膿毒未盡),하지완고성궤양(下肢頑固性潰瘍),어린선(魚鱗蘚)(사피증(蛇皮症))。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5錢,日服2次,開水沖服。 적록 《북경시중약성방선집(北京市中藥成方選集)》
2022.11.29 -
황기고(기원약재)[1]
황기고(기원약재)[1] 처방(處方) 황기(黃芪)480兩。 제법(制法) 上藥酌予切碎,水煎3次,分次過濾,去滓,濾液合並,用文火煎熬濃縮至膏狀,以不滲紙爲度,每1兩膏汁兌煉蜜2兩成膏,裝瓶,重2兩。 공능주치(功能主治) 보중익기(補中益氣),조양영위(調養榮衛),탁리생기(托裏生肌)。 主 기허혈휴(氣虛血虧),허로도한(虛勞盜汗),폐허작천(肺虛作喘),신체리수(身體羸瘦)。 창면구불유합(瘡面久不愈合),음창농독미진(陰瘡膿毒未盡),하지완고성궤양(下肢頑固性潰瘍),어린선(魚鱗蘚)(사피증(蛇皮症))。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5錢,日服2次,開水沖服。 적록 《북경시중약성방선집(北京市中藥成方選集)》
2022.11.29 -
흑도라지고 완성
흑도라지고 완성 1.실음(失音)에는 가자(訶子)를 가(加)하고, 2.말을 못 할때는 반하(半夏)를 가(加)하고, 3.상기(上氣)에는 진피(陳皮)를 가(加)하고, 4.연수(涎嗽)에는 지모(知母)와 패모(貝母)를 첨가하고, 5.해갈(咳渴)에는 오미자(五味子)를 가(加)하고, 6.주독(酒毒)에는 갈근(葛根)을 넣고, 7.소기(少氣)에는 인삼(人參)을 가(加)하고, 8.구(嘔)에게는 반하(半夏)와 생강(生薑)을 가(加)하고, 9.타농혈(唾膿血)에는 자완(紫菀)을 가(加)하고, 10.폐위(肺痿)에는 아교(阿膠)를 가(加)하고, 11.흉격불리(胸膈不利)에는 지각(枳殼)을 가(加)하고, 12.심흉비만(心胸痞滿)에는 지실(枳實)을 가(加)하고, 13.목적(目赤)에는 치자(梔子)와 대황(大黃)을, 14.면종(面腫)에는 ..
2022.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