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493)
-
첨당향(詹糖香)[본초강목]
첨당향(詹糖香)[본초강목] 비목나무 이명:[보얀목] [윤여리나무] 학명:Lindera erythrocarpa Makino 분류군:Lauraceae(녹나무과) 일명:カナクギノキ(Kanakugino-ki) 영명:Redfruit Spicebush 잎 잎은 호생하며 3출맥과 우상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도피침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6~13cm, 넓이 1.5-2.5㎝로서 잎표면은 윤태가 나고 뒷면은 녹백색이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엽병은 길이 4-8㎜로서 붉은빛이 돈다. 노란색 단풍이 돈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8mm정도이고 9-10월에 3~10개씩 모여서 적색으로 익는다. 꽃 꽃은 이가화로서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황색이며 햇가지 밑의 엽액에서 나온 산형화서에 많이 달리고 화..
2020.11.10 -
산해라(山海螺)[본초강목습유]
산해라(山海螺)[본초강목습유] 푸른더덕/산해라(山海螺) 푸른더덕 이명 : [민더덕] 학명 : Codonopsis lanceolata for. emaculata (Honda) H.Hara 분류군 : Campanulaceae(초롱꽃과) 일명 : ミドリツルニンジン(Midori-tsuru-ninjin) &&&&&&&&&&&&&&&&&&&&&&&&&&&&&&&&&&&&&&&&&&&&&&&&&& 더덕/산해라(山海螺) 더덕 이명 : [참더덕] 학명 :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분류군 : Campanulaceae(초롱꽃과) 일명 : ツルニンジン(Tsuru-ninjin) 영명 : Lance Asiabell 漢名 : 羊乳(양 양, 젖 유) ^^^^^^^^^^^^..
2020.10.29 -
황기(黃耆)[본초강목]
황기(黃耆)[본초강목] ^^^^^^^^^^^^^^^^^^^^^^^^^^^^^^^^^^^^^^^^^^^^^^^^^^^^^^^^^^^^^^^^^^^^^^^^^^^ 黃耆 (《本經》上品) 【釋名】 黃耆(《綱目》)、戴糝(《本經》)、戴椹(《別錄》,又名獨椹)、芰草(《別錄》,又名蜀脂)、百本(《別錄》)、王孫(《藥性論》)。 時珍曰︰耆,長也。黃耆色黃,為補藥之長,故名。今俗通作黃 。或作蓍者,非矣。蓍,乃蓍龜之蓍,音尸。王孫與牡蒙同名異物。 耆(기)는 長(장)이라는 意味(의미)로 黃耆(황기)는 黃色(황색)의 것으로 補藥(보약)의 長(장)으로 삼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되었다. 지금에 와서는 文字(문자)를 通用(통용)하여 黃芪(황기)라고도 쓴다. 蓍(시)라고 쓰는 것은 잘못이다. 蓍字(시자)는 蓍龜(시구)의 蓍(시)이다. 王孫(왕손)이..
2020.10.29 -
상기생(桑寄生)[본초강목]
상기생(桑寄生)[본초강목] ^^^^^^^^^^^^^^^^^^^^^^^^^^^^^^^^^^^^^^^^^^^^^^^^^^^^^^^^^^^^^^^^^^^^^^^^^ 桑上寄生 (《本經》上品) 【釋名】 寄屑(《本經》)寓木(《本經》)宛童(《本經》)蔦。 時珍曰︰此物寄寓他木而生,如鳥立於上,故曰寄生、寓木、蔦木。俗呼為寄生草。 이것은 다른 나무에 寄寓(기우)하여 生長(생장)하는데 마치 새가 위에 서 있는 것 같다. 그래서 寄生(기생), 寓木(우목), 蔦木(조목)이라고 하는 것이다. 俗稱(속칭) 寄生草(기생초)라고 한다. 《東方朔傳》云︰在樹為寄生, 在地為窶藪。 東方朔傳(동방삭전)에는 “樹(수)에 있어서는 寄生(기생)하고, 땅에 있어서는 窶藪(구수)가 된다.”고 하였다. 【集解】 《別錄》曰︰桑上寄生,生弘農川谷桑樹上。三月三日采莖..
2020.10.11 -
제(薺)[본초강목]
제(薺)[본초강목] ^^^^^^^^^^^^^^^^^^^^^^^^^^^^^^^^^^^^^^^^^^^^^^^^^^^^^^^^^^^^^^^^^^^^^ 薺 (《別錄》上品) 【釋名】 護生草。 時珍曰︰薺生濟澤,故謂之薺。釋家取其莖作挑燈杖,可辟蟻、蛾,謂之護生草,云能護眾生也。 薺(제)는 나오면 많고 성하기 때문에 薺(제)라고 한 것이다. 釋家(석가)에서는 그 莖(경)을 取(취)하여 挑燈杖(도등장)으로 蚊(문)과 蛾(아)를 辟(피)한다. 이것을 護生草(호생초)라 하는 것은 능히 衆生(중생)을 保護(보호)한다는 意味(의미)이다. 【集解】 普曰︰薺生野中。 弘景曰︰薺類甚多,此是今人所食者。葉作菹、羹亦佳。《詩》云︰誰謂荼苦,其甘如薺,是也。 時珍曰︰薺有大、小數種。小薺葉花莖扁,味美。其最細小者,名沙薺也。大薺科、葉皆大,而味不及。其莖硬有毛者..
2020.10.11 -
소맥(小麥)[본초강목
소맥(小麥)[본초강목] ^^^^^^^^^^^^^^^^^^^^^^^^^^^^^^^^^^^^^^^^^^^^^^^^^^^^^^^^^^^^^^^^^^^^^^^^ 小麥 (《別錄》中品) 【校正】 《拾遺》麥苗並歸為一。 【釋名】 來。 時珍曰︰來亦作(내/禾+来) 。許氏《說文》云︰天降瑞麥,一來二麰,象芒刺之形,天所來也。 如足行來,故麥字從來從。夂音綏,足行也。《詩》云︰“貽我來牟”是矣。又云︰來象其實,夂象其根。《梵書》名麥曰迦師錯。 【集解】 頌曰︰大、小麥秋種冬長,春秀夏實,具四時中和之氣,故為五穀之貴。地暖處亦可春種,至夏便收。然比秋種者,四氣不足,故有毒。 時珍曰︰北人種麥漫撒,南人種麥撮撒。北麥皮薄麵多,南麥反此。或云︰收麥以蠶沙和之,辟蠹。或云︰立秋前以蒼耳銼碎同晒收,亦不蛀。秋後則蟲已生矣。蓋麥性惡濕,故久雨水潦,即多不熟也。 小麥 【氣味】 甘,微寒,無..
202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