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맥(小麥)[본초강목

2020. 10. 11. 05:31[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소맥(小麥)[본초강목]

 

 

^^^^^^^^^^^^^^^^^^^^^^^^^^^^^^^^^^^^^^^^^^^^^^^^^^^^^^^^^^^^^^^^^^^^^^^^

 

小麥

 

(《別錄中品

 

校正

 

拾遺麥苗並歸為一

 

 

釋名

 

 

時珍曰來亦作(/+) 許氏說文天降瑞麥一來二麰象芒刺之形天所來也如足行來故麥字從來從音綏足行也。《貽我來牟是矣又云來象其實象其根。《梵書名麥曰迦師錯

 

 

集解

 

頌曰小麥秋種冬長春秀夏實具四時中和之氣故為五穀之貴地暖處亦可春種至夏便收然比秋種者四氣不足故有毒

 

時珍曰北人種麥漫撒南人種麥撮撒北麥皮薄麵多南麥反此或云收麥以蠶沙和之辟蠹或云立秋前以蒼耳銼碎同晒收亦不蛀秋後則蟲已生矣蓋麥性惡濕故久雨水潦即多不熟也

 

 

 

小麥

 

氣味

 

微寒無毒

 

入少陰太陽之經

 

少陰(소음), 太陽(태양)()에 들어간다.

 

甄權曰有小毒

 

恭曰小麥作湯不許皮坼坼則性溫不能消熱止煩也

 

小脈(소맥)으로 ()을 만들 때 ()()하듯 하면 안 된다. 벗겨지면 ()()해지므로 消熱(소열), 止煩(지번)功力(공력)이 없어진다.

 

 

藏器曰小麥秋種夏熟受四時氣足兼有寒熱溫涼故麥涼曲溫麩冷麵熱宜其然也河渭之西白麥麵亦涼以其春種闕二氣也

 

小脈(소맥)은 가을에 심어서 夏熟(하숙)하는 것이니 四時(사시)()完全(완전)하게 받아서 (), (), (), ()兼有(겸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 ()(), ()(), ()()한데 극히 당연한 歸結(귀결)이라 할 수 있다. (), (), 以西(이서)白麥麵(백맥면)()하지만 역시 봄에 심기 때문에 秋冬(추동)二氣(이기)()해 있는 結果(결과)이다.

 

時珍曰新麥性熱陳麥平和

 

新麥(신맥)()()하지만, 陳麥(진맥)(), ()하다.

 

 

 

主治

 

除客熱止煩渴咽燥利小便養肝氣止漏血唾血令女人易孕(《別錄》)。

 

客熱(객열)除去(제거)하고, 煩渴(번갈), 咽燥(인조)를 멈추며, 利小便(이소변)하고 肝氣(간기)()하며, 漏血(누혈), 唾血(타혈)을 멈추고, 婦人(부인)姙娠(임신)도 쉽게 한다.

 

 

養心氣心病宜食之思邈)。

 

心氣(심기)()하고, 心病(심병)에는 이것을 먹는 것이 좋다.

 

 

煎湯飲治暴淋寇宗奭 )。

 

煎湯(전탕)으로 暴淋(폭림)()한다.

 

熬末服殺腸中蛔蟲(《藥性》)。

 

熬末(오말)해서 服用(복용)하면 腸中(장중)蛔蟲(회충)()한다.

 

 

陳者煎湯飲止虛汗燒存性油調塗諸瘡湯火傷灼時珍)。

 

오래된 것은 煎湯(전탕)으로 마시면 虛汗(허한)을 멈춘다. 燒存性(소존성)하고 油調(유조)해서 諸瘡(제창), 湯火傷灼(탕화상작)에 바른다.

 

 

 

 

發明

 

時珍曰︰《素問麥屬火心之穀也鄭玄云麥有孚甲屬木許慎云麥屬金金王而生火王而死三說各異別錄麥養肝氣與鄭說合孫思邈云麥養心氣素問夷考其功除煩止渴收汗利溲止血皆心之病也

 

素問(소문)()()()하고, ()()이다.”라고 하였으며, 鄭玄(정현)()에는 孚甲(부갑)이 있고, ()()g나다.”라고 하였고, 許愼(허신)()()()한다. 金王(금왕)으로 자라고 火旺(화왕)으로 ()한다라고 하였는데 三說(삼설)은 저마다 달리하고 있는 것이니 別錄(별록)()肝氣(간기)()한다.”라고 한 것은 鄭氏(정씨)()合致(합치)하고, 孫思邈(손사막)()心氣(심기)()한다. ”라고 한 것은 素問(소문)合致(합치)하고 있다. 그러나 그 功力(공력)()公平(공평)하게 觀察(관찰)하건대 除煩(제번)하고 止渴(지갈)하며, 收汗(수한)하고, 利溲(이수)하며, 止血(지혈)하는 것은 모두 心病(심병)()한 것이다.

 

 

當以素問為準蓋許以時鄭以形素問以功性故立論不同爾

 

素問(소문)論據(논거)가 매우 바른 것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許氏(허씨)()中心(중심)으로 하였으며, 素問(소문)功性(공성)中心(중심)으로 하였으므로 立論(입론)들이 달리 된 것에 不過(불과)하다.

 

 

震亨曰飢年用小麥代穀須晒燥以少水潤舂去皮煮為飯食可免麵熱之患

 

饑饉(기근)으로 小脈(소맥)()代用(대용)으로 쓸 때는 晒燥(쇄조)해서 小量(소량)의 물로 ()하고 찧어서 去皮(거피)한 후 煮飯(자반)으로 먹게 한다. 이렇게 함녀 煩熱(번열)惡影響(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附方舊二新五

 

消渴心煩用小麥作飯及粥食。(《心鏡》)

老人五淋身熱腹滿小麥一升通草二兩水三升煮一升飲之即愈。(《奉親書》)

項下癭氣用小麥一升醋一升漬之晒乾為末以海藻洗研末三兩和勻每以酒服方寸匕日三。(《短劇》)。

眉煉頭瘡用小麥燒存性為末油調敷。(《儒門事親》)。

白癜風癬用小麥攤石上燒鐵物壓出油搽之甚效。(《醫學正傳》)。

湯火傷灼未成瘡者用小麥炒黑研入膩粉油調塗之勿犯冷水必致爛。(《袖 珍方》)。

金瘡腸出用小麥五升水九升煮取四升綿濾取汁待極冷令病患臥席上含汁使腸自入十日中但略食羹物慎勿驚動即殺人。(《劉涓子鬼遺方》)。

 

 

浮麥

 

即水淘浮起者焙用)。

 

즉 물로 걸렀을 때 浮上(부상)하는 것들이다. 배용(焙用)한다.

 

氣味

 

無毒

 

主治

 

益氣除熱止自汗盜汗骨蒸虛熱婦人勞熱時珍)。

 

 

益氣(익기)하고 除熱(제열)하며, 自汗(자한), 盜汗(도한), 骨蒸(골증), 虛熱(허열), 婦人(부인)勞熱(노열)을 멎게 한다.

 

麥麩

 

主治

 

時疾熱瘡湯火瘡爛撲損傷折瘀血醋炒罯貼之(《日華》)。

 

時疾熱瘡(시질열창), 湯火瘡爛(탕화창란), 撲損傷折(박손상절)瘀血(어혈)에는 酒炒(주초)해서 罯貼(암첩)한다.

 

 

和麵作餅止泄痢調中去熱健人以醋拌蒸熱袋盛包熨人馬冷失腰腳傷折處止痛散血藏器)。

 

()()해서 ()을 만들어 먹으면 洩痢(설리)를 멈추고, ()調()하며, ()()하고, 身體(신체)壯健(장건)하게 한다. ()를 섞어 蒸熱(증열)해서 ()에 담아 ()하고, 人馬(인마)冷疾(냉질), 腰腳傷折(요각상절)患部(환부)()하면 止痛(지통)하고 散血(산혈)한다.

 

 

醋蒸熨手足風濕痺痛寒濕腳氣互易至汗出並良末服止虛汗時珍)。

 

醋蒸(초증)해서 手足(수족)風濕痹痛(풍습비통), 寒濕脚氣(한습각기)()하고 ()이 날 때까지 交互(교호)해서 갈아가며 ()하는데 매우 좋고 ()로 해서 服用(복용)하면 發汗(발한)을 멈추게 한다.

 

 

發明

 

時珍曰麩乃麥皮也與浮麥同性而止汗之功次於浮麥蓋浮麥無肉也凡人身體疼痛及瘡瘍腫爛沾漬或小兒暑月出痘瘡潰爛不能著席睡臥者並用夾褥盛麩縫合藉臥性涼而軟誠妙法也

 

 

()()()를 말한다. 浮麥(부맥)()이 같으나 땀을 멈추는 功力(공력)浮麥(부맥)次位(차위)가 된다. 하지만 浮麥(부맥)이란 ()이 없는 ()이다. 무릇 身體(신체)疼痛(동통)하는 것 및 瘡瘍(창양)腫爛(종란)해서 ()沾漬(첨지)하는 것, 혹은 小兒(소아)에게 여름철에 나는 痘瘡(두창)으로 潰爛(궤란)하여 ()이나 寢具(침구)()하기 때문에 잠자지 못하는 것에는 모두 蒲團皮(포단피)()를 담아서 縫合(봉합)하고 ()하여 눕히면 ()()하고 또한 ()한 까닭으로 놀라운 妙法(묘법)이 된다.

 

 

附方新七

 

虛汗盜汗︰《衛生寶鑒》︰用浮小麥文武火炒),為末每服二錢半米飲下日三服或煎湯代茶飲一方以豬觜脣煮熟切片蘸食亦良

產後虛汗小麥麩牡蠣等分為末以豬肉汁調服二錢日二服。(胡氏婦人方》)。

走氣作痛用釅醋拌麩皮炒熱袋盛熨之。(《生生編》)。

滅諸瘢痕春夏用大麥麩秋冬用小麥麩篩粉和酥敷之。(《總錄》)。

小兒眉瘡小麥麩炒黑研末酒調敷之

小便尿血麵麩炒香以肥豬肉蘸食之。《集玄》。

 

 

 

 

氣味

 

有微毒不能消熱止煩(《別錄》)。

大明曰性壅熱小動風氣發丹石毒

 

()壅熱(옹열)하고 風氣(풍기)를 움직이며 丹石(단석)()()한다.

 

 

思邈曰多食長宿澼加客氣畏漢椒蘿蔔

 

多食(다식)하면 宿澼(숙벽)增進(증진)시켜 客氣(객기)()한다. 漢椒(한초), 蘿蔔(나복)()한다.

 

主治

 

補虛久食實人膚體厚腸胃強氣力藏器)。

 

補虛(보허)하고 久服(구복)하면 膚體(부체)()하게 하고, 腸胃(장위)()하게 하며, 氣力(기력)强化(강화)한다.

 

養氣補不足助五臟(《日華》)。

 

()()하고, 不足(부족)()하며 五臟(오장)()한다.

 

水調服治人中暑馬病肺熱寇宗奭 )。

 

水調(수조)해서 服用(복용)하면 人間(인간)中暑(중서), ()肺熱病(폐열병)()한다.

 

敷癰腫損傷散血止痛生食利大腸水調服止鼻衄吐血時珍)。

 

癰腫損傷(옹종손상)()하면 ()()하고 止痛(지통)한다. 生食(생식)하면 大腸(대장)()한다. 水調(수조)해서 服用(복용)하면 鼻衄(비뉵), 吐血(토혈)을 멈춘다.

 

 

 

發明

 

詵曰麵有熱毒者多是陳黝之色又為磨中石末在內故也但杵食之即良

 

()熱毒(열독)이 있는 것은 그것이 大部分(대부분) 오래된 것으로 黝色(유색)이 된 것이든가 또는 磨臼(마구)안의 石末(석말)混入(혼입)된 탓이다. 하지만 杵食(저식)하면 아무런 일이 없다.

 

藏器曰麵性熱惟第二磨者涼為其近麩也河渭以西白麥麵性涼以其春種闕二氣也

 

()()()하지만 二番(이번) ()한 것만은 ()하다. 그것은 그 ()()에 가깝기 때문이다. (), ()以西(이서)白麥麵(백맥면)()()하다. 그것은 봄에 심었기 때문에 二氣(이기)가 결함된 탓이다.

 

穎曰東南卑濕春多雨水麥已受濕氣又不曾出汗故食之作渴動風氣助濕發熱西北高燥春雨又少麥不受濕複入地窖出汗北人稟濃少濕故常食而不病也

 

 

東南(동남) 땅은 卑濕(비습)하고 봄에 雨水(우수)가 많기 때문에 ()이 그 濕氣(습기)를 받고 있다. 또 이미 ()을 내지 못한다. 그러므로 먹어도 ()하고 風氣(풍기)()하여 ()을 도와서 發熱(발열)한다.西北(서북) 땅의 것은 高燥(고조)로서 春雨(춘우)가 적기 때문에 ()을 받지 않느다. 또한 地窖(지교)貯藏(저장)해서 그 ()을 낸 후가 된다. 이렇듯 北方人(북방인)體質(체질)()한데다 ()이 적다. 그러므로 常食(상식)하여도 ()이 나지 않는 것이다.

 

 

 

時珍曰北面性溫食之不渴南面性熱食之煩渴西邊面性涼皆地氣使然也吞漢椒食蘿蔔皆能解其毒見蘿蔔條醫方中往往用飛羅麵取其無石末而性平易爾陳麥麵水煮食之無毒以糟發脹者能發病發瘡惟作蒸餅和藥取其易消也

 

北方(북방)()()()하여 이것을 먹으면 ()하지 않는다. 南方(남방)()()()하기 때문에 그것을 먹으면 煩渴(번갈)한다. 西方(서방)國境附近(국경부근)()()()하다. 모두가 그 地氣(지기)關係(관계)에서 나타나는 特色(특색)들이다. 漢椒(한초)를 삼키고 蘿蔔(나복)을 먹으면 모두 ()히 그 ()()한다. 그것에 관해서는 蘿蔔(나복)條下(조하)說明(설명)해 두었다. 醫方中(의방중)往往(왕왕) 飛羅麵(비라면)을 쓸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은 그 石末(석말)을 없이 하고 ()平易(평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陳麥麵(진맥면)水煮(수자)해서 먹으면 ()이 없고, ()()()하고, ()을 잘 일으키고 ()()한다. 다만 이것을 蒸餠(증병)해서 ()()하는 것은 그것이 消化(소화)하기 쉬운 ()利用(이용)하는 것이다.

 

 

 

李鵬飛延壽書北多霜雪故麵無毒南方雪少故麵有毒顧元慶檐曝偶談江南麥花夜發故發病江北麥花晝發故宜人又曰魚稻宜江淮羊麵宜江洛亦五方有宜不宜也

 

생각하여 보면 李鵬飛(이붕비)延壽書(연수서)北方(북방)霜雪(상설)이 많아서 ()()이 없다. 南方(남방)()이 적어 ()이 있다.”라고 하였고, 顧元慶(고원경)檐曝偶談(첨폭우담)에는 江南(강남)()은 꽃이 밤에 피기 때문에 ()()한다. 江北(강북)()은 꽃이 낮에 피기 때문에 人體(인체)에 좋은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게다가 ()()江淮(강회)것이 좋고, ()()江洛(강락)것이 좋다. 라고 하였다. 역시 五方(오방)이 제각기 (), 不適(부적)이 있는 것이다.

 

 

麵性雖熱而寒食日以紙袋盛懸風處數十年亦不壞則熱性皆去而無毒矣入藥尤良

 

()()()하지만 寒食(한식)날에 紙袋(지대)에 담아서 바람이 부는 場所(장소)에 걸어두면 數十年(수십년)이 지나도 腐敗(부패)하거나 變質(변질)하지 않으므로 熱性(열성)은 모두 없어지고 ()도 없어진다. ()에 쓰기에는 가장 좋은 것이 된다.

 

 

附方舊六新二十三

 

 

熱渴心悶溫水一盞調麵一兩飲之。(《聖濟總錄》)。

中 卒死井水和麵一大抄服之。(《千金》)。

夜出盜汗麥麵作彈丸空心臥時煮食之次早服妙香散一帖取效

內損吐血飛羅麵略炒以京墨汁或藕節汁調服二錢。(《醫學集成》)。

大衄血出口耳皆出者用白麵入鹽少許冷水調服三錢。(《普濟方》)。

中蠱吐血小麥麵二合水調服半日當下出。(《廣記》)。

嘔噦不止醋和麵作彈丸二三十枚以沸湯煮熟漉出投漿水中待溫吞三兩枚噦定即不用再吞未定至晚再吞。(《兵部手集》)。

寒痢白色炒麵每以方寸匕入粥中食之能療日瀉百行師不救者。(《外台》)。

泄痢不固白麵一斤炒焦黃每日空心溫水服一二匙。(《正要》)。

諸瘧久瘧用三姓人家寒食麵各一合五月五日午時采青蒿擂自然汁和丸綠豆大臨頭皮虛腫薄如蒸餅狀如裹水以口嚼麵敷之良。(《梅師方》)。

咽喉腫痛卒不下食白麵和醋塗喉外腫處。(《普濟方》)。

婦人吹奶水調麵煮糊欲熟即投無灰酒一盞攪勻熱飲令人徐徐按之藥行即瘳。 (《經驗方》)。

乳癰不消白麵半斤炒黃醋煮為糊塗之即消。(《聖惠方》)。

破傷風病白麵燒鹽各一撮新水調塗之。(《普濟方》)。

金瘡血出不止用生麵乾敷七日即愈。(《藺氏經驗方》)。

遠行腳趼成泡者水調生麵塗之一夜即平。(《海上》)。

折傷瘀損白麵梔子仁同搗以水調敷之即散

火燎成瘡炒麵入梔子仁末和油敷之。(《千金》)。

瘡中惡肉寒食麵二兩巴豆五分水和作餅燒末摻之。(《仙傳外科》)。

白禿頭瘡白麵豆豉和研酢和敷之。(《普濟方》)。

小兒口瘡寒食麵五錢消石七錢水調半錢塗足心男左女右。(《普濟方》)。

婦人斷產白麵一升酒一升煮沸去渣分三服經水至時前日夜次日早及天明服之陰冷悶痛漸入腹腫滿醋和麵熨之。(《千金方》)。

一切漏瘡麵和團燒研敷之。(《千金方》)。

瘭疽出汁生手足肩背累累如赤豆剝淨以酒和麵敷之。(《千金方》)。

一切疔腫麵和臘豬脂封之良。(《梅師方》)。

傷米食積白麵一兩白酒曲二丸炒為末每服二匙白湯調下如傷肉食山楂湯下。(《簡便方》)

 

 

 

麥粉

 

氣味

 

無毒

 

 

主治

 

補中益氣脈和五臟調經絡又炒一合湯服斷下痢孟詵)。

 

補中(보중)하고 氣脈(기맥)()하며, 五臟(오장)()하고, 經絡(경락)調()한다. 또 볶아서 一合(일합)湯服(탕복)하면 ()를 멈춘다.

 

 

醋熬成膏消一切癰腫湯火傷時珍)。

 

醋熬(초오)해서 ()로 만든 것은 一切(일체)癰腫(옹종), 燙火傷(탕화상)()한다.

 

 

發明

 

時珍曰麥粉乃是麩麵麵洗筋澄出漿粉今人漿衣多用之古方鮮用萬表積善堂方烏龍膏治一切癰腫發背無名腫毒初發焮熱未破者取效如神用隔年小粉愈久者愈佳以鍋炒之

 

麥粉(맥분)이란 麩麵(부면)을 말한다. ()을 씻어서 ()으로 할 때 澄出(징출)된느 漿粉(장분)이다. 요즘은 漿衣(장의)에 이것을 많이 쓰지만 古方(고방)에서 ()하였다는 일은 드물다. 살펴보면 萬表(만표)積善堂方(적선당방)에는 烏龍膏(오룡고)는 모든 痈肿发背(옹종발배), 無名腫毒(무명종독)初期(초기)(흔열)해져서 아직 ()하지 못한 것을 ()]하는데 ()를 보면 마치 ()과 같다. 一年(일년) 이상을 거치 小紛(소분)/오래된 것일 수록 좋다. 鍋炒(과초)한다.

 

 

初炒如餳久炒則乾成黃黑色冷定研末陳米醋調成糊熬如黑漆瓷罐收之用時攤紙上剪孔貼之即如冰冷疼痛即止少頃覺癢乾亦不能動久則腫毒自消藥力亦盡而脫落甚妙此方蘇州杜水庵所傳屢用有驗藥易而功大濟生者宜收藏之

 

볶을 시초에는 ()처럼 되지만 久炒(구초)하는 동안에 말라서 黃黑色(황흑색)이 된다. 그것을 식힌 다음에 硏末(연말)하고 陳米醋(진미초)調和(조화)해서 ()를 만드어 다시 ()하면 黑漆(흑칠)과 비슷해지는데 瓷罐(자관)貯藏(저장)해 두었다가 使用(사용)할 때는 종이에 펴서 구멍을 내고 붙인다. 그러면 얼음처럼 ()해져서 疼痛(동통)이 멎게 되고, 얼마 간이 지나면 그대로 오래두어 腫毒(종독)自消(자소)할 무렵이면 藥力(약력)도 또하 다 되어서 脫落(탈락)한다. 甚妙(심묘)하다. ()蘇州(소주)杜水庵(두수암)所傳(소전)으로 종종 用劑(용제)해서 效驗(효험)을 얻었다. ()()히 쉽게 ()할 수 있는데 그 功力(공력)偉大(위대)한 것이다. 醫術(의술)()하는 자는 적절하게 收藏(수장)해 두어야 할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麵筋

 

氣味

 

無毒

 

主治

 

解熱和中勞熱人宜煮食之時珍)。

 

解熱(해열)하고 和中(화중)한다. 勞熱(노열)患者(환자)煮食(자식)하면 좋다.

 

 

寬中益氣寧原)。

 

()()하고 益氣(익기)한다.

 

 

 

 

發明

 

時珍曰麵筋以麩與麵水中揉洗而成者古人罕知今為素食要物煮食甚良今人多以油炒則性熱矣

 

麵筋(면근)()()水中(수중)에서 주물러 씻어서 만드는 것이다. 故人(고인)은 모르는 듯하다 요즘은 素食(소식)으로 重要(중요)한 것이 되었다. 煮食(자식)하면 매우 좋다. 요즘은 일반적으로 대개 油炒(유초)하지만 그렇게 만든 것은 ()()하다.

 

 

宗奭曰生嚼白麵成筋可粘禽

 

()으로 白麪(백면)을 씹으면 ()이 된다. ()()()할 수 있는 것이다.

 

 

麥麨

 

即糗也以麥蒸磨成屑

 

 

()()을 쪄서 ()하면 생기는 ()이다.

 

 

氣味

 

微寒無毒

 

主治

 

消渴止煩(《蜀本》)。

 

消渴(소갈), 止煩(지번)한다.

 

 

麥苗

 

(《拾遺》)

 

氣味

 

無毒

 

主治

 

消酒毒暴熱酒疸目黃並搗爛絞汁日飲之又解蠱毒煮汁濾服藏器)。

 

酒毒(주독)暴熱(폭열), 酒疸(주달)目黃(목황)()한다. 모두 搗爛(도란)하여 ()을 짜서 날마다 마신다. 蠱毒(고독)()하는 데는 ()을 달여 ()한 후 服用(복용)한다.

 

除煩悶解時疾狂熱退胸膈熱利小腸作齏食甚益顏色。《日華》。

 

煩悶(번민)()하고 時疾(시질)狂熱(광열)()하며, 胸膈(흉격)()을 물리치고, 小腸(소장)()한다. ()로 만들어서 먹으면 매우 顔色(안색)이 좋아진다.

 

 

 

麥奴

 

藏器曰麥穗將熟時上有黑霉者也

 

()의 수()()하려고 할 때 그 위에 나오는 黑霉(흑매)가 그것이다.

 

 

主治

 

熱煩天行熱毒解丹石毒藏器)。

 

熱煩(열번), 擅行熱毒(천행열독), 丹石(단석)()()한다.

 

 

治陽毒溫毒熱極發狂大渴及溫瘧時珍)。

 

陽毒(양독), 溫毒(온독)極端(극단)()發狂(발광)해서 大渴(대갈)하는 것 및 温疟(온학)()한다.

 

 

發明

 

時珍曰朱肱南陽活人書》︰治陽毒溫毒熱極發狂發斑大渴倍常者用黑奴丸水化服一丸汗出或微利即愈其方用小麥奴梁上塵釜底煤灶突墨同黃芩麻黃硝黃等分為末蜜丸彈子大

 

朱肱(주굉)南陽活人書(남양활인서)陽毒(양독)極端(극단)적인 ()發狂(발광)해서 發斑(발반)하고, 大渴(대갈)하며, 程度(정도)通常(통상)()()해질 때는 黑奴丸(흑노환) 一丸(일환)水化(수화)해서 服用(복용)한다. 出汗(출한)하고 혹은 微利(미리)해져서 ()한다. ()小麥奴(소맥노)梁上塵(양상진)釜底煤(부저매)灶突墨(조돌묵)黃芩(황금)麻黃(마황)硝黃(초황) 等分(등분)作末(작말)해서 ()彈子(탄자) 크기의 ()을 만들어 ()한다. 라고 한다.

 

蓋取火化者從治之義也麥乃心之穀屬火而奴則麥實將成為濕熱所蒸上黑霉者與釜煤灶墨同一理也其方出陳延之小品方》,名麥奴丸初虞世古今錄驗名高堂丸水解丸誠救急良藥也

 

생각건대 火化(화화)作用(작용)利用(이용)한 것으로서 從治(종치)法則(법칙)依據(의거)한 것이다. ()이라는 것은 ()()으로서 ()()하는 것이고, () 自体(자체)麥實(맥실)이 아니고 濕熱(습열)로 인한 蒸上(증상)黑霉(흑매)이기 때문에 釜煤(부매), 灶墨(조묵)과 같은 關係(관계)인 셈이다. ()陳延之(진연지)小品方(소품방)에는 麥奴丸(맥노환), 初虞世(초우세)古今錄驗(고금록험)에는 高堂丸(고당환), 水解丸(수해환)이라는 名稱(명칭)으로 記載(기재)되어 있다. 참으로 救急(구급)良藥(양약)이다.

 

 

 

 

主治

 

燒灰入去疣痣蝕惡肉膏中用時珍)。

 

 

燒灰(소회)해서 疣痣(우지)()하고 惡肉(악육)()하는 膏中(고중)에 넣어 使用(사용)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기생(桑寄生)[본초강목]  (0) 2020.10.11
제(薺)[본초강목]  (0) 2020.10.11
괴(塊)[본초강목  (0) 2020.10.11
백약자(白藥子)[본초강목]]  (0) 2020.09.29
오렴매(烏蘞莓)[본초강목]  (0) 2020.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