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척초(鴨跖草)[본초강목]

2021. 4. 20. 07:10[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압척초(鴨跖草)[본초강목]

 

 

좀닭의장풀/압척초(鸭跖草)

 

 

 

 

좀닭의장풀

 

이명 : [가는닭의밑씻개] [가는잎달개비] [산닭개비]

학명 :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Nakai

분류군 : Commelinaceae(닭의장풀과)

일명 : ホソバツユクサ(Hosoba-tsuyu-kusa)

 

잎은 호생하고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3~10cm, 나비 1cm정도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갑자기 좁아져 막질의 엽초와 연결되며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은 백록색으로 털이 있다.

 

열매

삭과는 타원형이며 마르면 3개로 갈라진다.

 

꽃은 6~8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잎짬에서 나온 화경 끝의 총포 안쪽에 달리며 하나씩 나와서 핀다. 총포는 앞같거나 접혀서 합쳐진 조개껍질 같으며 겉에 9~10맥이 있고 맥위에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 꽃잎, 수술이 각각 3개이고 헛수술이 4개이다.

 

줄기

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곧추 자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낸다.

 

분포

거의 전도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형태

1년초

 

 

 

 

생육 환경

원야의 길가

이용방안

전초는 약용, 어린순은 식용, 꽃은 염색용으로 한다.

 

 

 

학명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Nakai

Fl. kor. 2:265 (1911)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1. Commelina coreana H.Lev.

Repert. Spec. Nov. Regni Veg. 8 : 284 (1910)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국명 좀닭의장풀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가는닭의밑씻개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가는잎달개비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산닭개비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영문명 :

일본명 : ホソバツユクサ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狭叶鸭跖草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Nakai 异名

 

正名Commelina communis L. 鸭跖草

 

압척초(鸭跖草)

Commelina communis L.

 

이명(异名)

 

Commelina coreana H. Lév. et Vaniot

Commelina ludens Miq.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Nakai

 

 

 

一年生披散草本仅叶鞘及茎上部被短毛茎下部匍匐生根长可达1叶披针形至卵状披针形3-8厘米总苞片佛焰苞状1.5-4厘米长的柄与叶对生心形稍镰刀状弯曲顶端短急尖长近2厘米边缘常有硬毛聚伞花序有花数朵略伸出佛焰苞;萼片膜质长约5毫米内面2枚常靠近或合生花瓣深蓝色有长爪长近1厘米雄蕊63枚能育而长3枚退化雄蕊顶端成蝴蝶状花丝无毛蒴果椭圆形5-7毫米2,2瓣裂有种子4种子长2-3毫米具不规则窝孔

 

分布于云南甘肃以东的南北各省区越南朝鲜日本苏联远东地区及北美也有常见于湿地供药用

 

 

Commelina communis L.

Sp. Pl. 1: 40. 1753 [1 May 1753]

1: 40 1753

Original Data:

Notes: China

 

 

 

 

 

&&&&&&&&&&&&&&&&&&&&&&&&&&&&&&&&&&&&&&&&&&&&&&&&&

 

 

닭의장풀/압척초(鸭跖草)

 

 

 

 

닭의장풀

 

이명 : [닭개비][닭의밑씻개] [닭기씻개비] [닭의꼬꼬] [닭의발씻개]

학명 : Commelina communis L.

분류군 : Commelinaceae(닭의장풀과)

일명 : ツユクサ

영명 : Common Dayflower

漢名 : 竹葉菜

 

잎은 호생하며 마디가 굵고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난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막질의 엽초로 되며 길이 5-7cm, 1-2.5cm로서 털이 없거나 뒷면에 약간 있다. 엽초는 입구에 긴 털이 있고 약간 두꺼우며 질이 연하다.

 

열매

삭과는 타원형이고 육질이지만 마르면 3개로 갈라지며 2-4개의 종자를 산출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엽액에서 나온 화경(花莖) 끝의 포로 싸여 하늘색 꽃이 핀다. 포는 넓은 심장형이며 안으로 접히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2cm로서 겉에 털이 없거나 있다. 외화피 3개는 무색이고 막질이며 안쪽 3개 중 위쪽의 2개는 둥글고 하늘색이며 지름 6mm이지만 다른 1개는 작고 무색이다. 2개의 수술과 꽃밥이 없는 4개의 수술이 있다.

 

줄기

높이 15-5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란다. 가지가 갈라지고 상부는 비스듬히 올라가며 마디는 크다.

 

뿌리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사할린, 우수리,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1년초.

크기

높이 15-50cm이다.

 

 

생육 환경

밭이나 길가, 습지에서 잘 자란다.

수분

습윤

/번식방법

종자 및 분근으로 번식한다.

결실기

9, 10

 

이용방안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전초를 압척초라 하며 약용한다.

약효 : 利水(이수), 淸熱(청열), 凉血(양혈), 解毒(해독)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脚氣(각기), 小便不利(소변불리), 감기, 丹毒(단독), 耳下腺炎(이하선염), 황달성간염, 熱痢(열리), 말라리아, 鼻出血(비출혈), 혈뇨, 血崩(혈붕), 白帶(백대), 咽喉腫痛(인후종통), 癰疽賽瘡(옹저정창) 등의 치유에 응용된다.

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60-90g, 대량투여시에는 150-210g까지 쓸 수 있다)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 즙으로 복용한다. <외용>짓찧은 즙을 塗布(도포)한다.

 

유사종

큰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var. hortensis Makino) : 꽃은 한 장의 커다란 포에 싸여 있고 위쪽의 보라색 꽃잎은 2장이며 둥글고 가장자리에 주름이 있다.

흰닭의장풀(Commeline communis for. albiflora Makino) : 옛 선비들은 대나무를 닮은 이 풀을 수반의 맑은 물에 재배하며 여름을 시원하게 보냈다.

 

 

 

학명 Commelina communis L.

Sp. pl. 40 (1753)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Kitag., 1979)

국명 닭의장풀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닭개비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닭기씻개비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닭의꼬꼬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닭의밑씻개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5. 닭의발씻개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영문명 : Common Dayflower

일본명 : ツユクサ

북한명 : 닭개비(닭의장풀)

 

Commelina communis L.

Sp. Pl. 1: 40. 1753 [1 May 1753]

1: 40 1753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鸭跖草(압척초)

Commelina communis Linn.

 

异名(이명)

Commelina coreana H. Lév. et Vaniot

Commelina ludens Miq.

Commelina communis var. angustifolia Nakai

 

 

一年生披散草本仅叶鞘及茎上部被短毛茎下部匍匐生根长可达1叶披针形至卵状披针形3-8厘米总苞片佛焰苞状1.5-4厘米长的柄与叶对生心形稍镰刀状弯曲顶端短急尖长近2厘米边缘常有硬毛聚伞花序有花数朵略伸出佛焰苞;萼片膜质长约5毫米内面2枚常靠近或合生花瓣深蓝色有长爪长近1厘米雄蕊63枚能育而长3枚退化雄蕊顶端成蝴蝶状花丝无毛蒴果椭圆形5-7毫米2,2瓣裂有种子4种子长2-3毫米具不规则窝孔

 

分布于云南甘肃以东的南北各省区越南朝鲜日本苏联远东地区及北美也有常见于湿地供药用

 

 

 

^^^^^^^^^^^^^^^^^^^^^^^^^^^^^^^^^^^^^^^^^^^^^^^^^^^^^^^^^^^^^^^^^^^^^^^^^^

鴨跖草

 

嘉祐

 

 

釋名

 

雞舌草(《拾遺》)碧竹子同上竹鷄草綱目竹葉菜同上淡竹葉同上耳環草同上耳環草 同上碧蟬花同上藍姑草

 

 

集解

 

藏器曰鴨跖生江東淮南平地葉如竹高一二尺花深碧好為色有角如鳥嘴

 

時珍曰竹葉菜處處平地有之三四月出苗紫莖竹葉嫩時可食五月開花如蛾形兩葉如翅碧色可愛結角尖曲如鳥喙實在角中大如小豆豆中有細子灰黑而皺狀如蠶屎巧匠采其花取汁作畫色及彩羊皮燈青碧如黛也

 

 

氣味

 

大寒無毒

 

 

 

主治

 

寒熱瘴瘧痰飲疔腫肉症澀滯小兒丹毒發熱狂癇大腹痞滿身面氣腫熱痢蛇犬咬癰疽等毒藏器)。

 

 

寒熱瘴瘧(한열장학), 痰飮疔腫(담음정종), 肉癥澀滯(육징삽체), 小兒(소아)丹毒(단독), 發熱狂癇(발열광간), 大腹痞滿(대복비만), 身體面部(신체면부)氣腫(기종), 熱痢(열리) 蛇犬(사견)咬傷(교상), 癰疽(옹저) 등의 ()

 

 

和赤小豆煮食下水氣濕痺利小便大明)。

 

赤小豆(적소두)()하여 煮食(자식)하면 水氣(수기), 濕痺(습비)()하고, 小便(소변)()한다.

 

消喉痺時珍)。

 

喉痺(후비)()한다.

 

 

附方新四

 

小便不通竹雞草一兩車前草一兩搗汁入蜜少許空心服之。(《集簡方》)

下痢赤白藍姑草即淡竹葉菜),煎湯日服之。(《活幼全書》)

喉痺腫痛鴨跖草汁點之。(《袖珍方》)

五痔腫痛耳環草一名碧蟬兒花), 軟納患處即效。(危亦林得效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극(大戟)[본초강목]  (0) 2021.04.30
지금초(地錦草)[본초강목]  (0) 2021.04.30
질려(蒺藜)[본초강목]  (0) 2021.04.20
석곡(石斛)[본초강목]  (0) 2021.04.20
초석잠(草石蠶)[본초강목]  (0) 2021.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