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피(秦皮)[본초강목]

2022. 3. 10. 20:57[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진피(秦皮)[본초강목]

 

 

 

 

^^^^^^^^^^^^^^^^^^^^^^^^^^^^^^^^^^^^^^^^^^^^^^^^^^^^^^^^^^^^^^^

秦皮

 

(《本經中品

 

校正

 

並入拾遺桪木

 

 

 

釋名

 

 

梣皮 樳木石檀別錄》。樊槻 (弘景)盆槻日華》。苦樹 (蘇恭)苦櫪

 

時珍曰秦皮本作梣皮其木小而岑高故以爲名人訛爲桪木又訛爲秦或雲本出秦地故得秦名也高誘注淮南子苦櫪木也

 

秦皮(진피)元來(원래) 梣皮(침피)라고 썼다. 그 나무는 작으면서 岑高(잠고)하기 때문에 그에 衍由(연유)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世人(세인)轉訛(전와)하여 桪木(심목)이라 하였고, 轉訛(전와)되어 秦木(진목)이라고 하였다. 혹은 元來(원래) 秦地(진지)에서 産出(산출)된 것이기 때문에 ()이라는 이름이 생긴 것이라고도 한다. 高誘(고유)淮南子(회남자)()하기를 ()苦櫪木(고력목)이다.”라고 하였다.

 

恭曰樹葉似檀故名石檀俗因味苦呼為苦樹

 

(), ()()과 같다. 그래서 石檀(석단)이라고 命名(명명)한 것이다. ()()한데서 俗稱(속칭) 苦樹(고수)라고도 한다.

 

 

 

集解

 

別錄秦皮生廬江川穀及冤句水邊二月八月採

弘景曰俗雲是樊 皮而水漬以和墨書

恭曰此樹似檀葉細皮有白點而不粗錯取皮漬水便碧色書紙看之皆青色者是真

頌曰今陝西州郡及河陽亦有之其木大都似檀枝幹皆青綠色葉如匙頭許大而不光並無花實根似槐根俗呼為白 木

 

 

 

 

氣味

 

微寒無毒。《別錄大寒

普曰神農雷公黃帝岐伯無毒李當之小寒

權曰惡苦瓠防葵

之才曰惡吳茱萸大戟為之使

 

 

 

主治

 

風寒濕痺洗洗寒氣除熱目中青翳白膜久服頭不白輕身(《本經》)。

 

風寒濕痺(풍한습비), 씻는듯한 寒氣(한기), (), 目中(목중)青翳(청예), 白膜(백막)除去(제거)한다. 久服(구복)하면 白髮(백발)이 없어지고 輕身(경신)한다.

 

 

療男子少精婦人帶下小兒癇身熱可作洗目湯久服皮膚光澤肥大有子(《別錄》)。

 

男子(남자)()이 적은 것, 婦人(부인)帶下(대하), 小兒(소아)(), 身熱(신열)()한다. 洗目湯(세목탕)을 만드는데 좋다. 久服(구복)하면 皮膚(피부)光澤(광택)이 나게 되고 肥大(비대)해지며 ()를 낳게 된다.

 

 

明目去目中久熱兩目赤腫疼痛風淚不止作湯浴小兒身熱煎水澄清洗赤目極效(《甄權》)。

 

 

明目(명목), 目中(목중)久熱(구열), 兩目(양목)赤腫(적종), 疼痛(동통), 風淚(풍루)가 멎지 않는 것을 ()한다. ()을 만들어 小兒(소아)身熱(신열)()한다. 水煎(수전)해서 澄淸(징청)하고 赤目(적목)을 씻는다. 극히 有效(유효)하다.

 

主熱痢下重下焦虛。(《好古》)。

 

熱痢下重(열리하중), 下焦(하초)()主效(주효)하다.

 

 

同葉煮湯洗蛇咬並研末傅之。(《藏器》)。

 

 

()과 함께 煮湯(자탕)하여 蛇咬(사교)를 씻고, 또한 硏末(연말)하여 ()한다.

 

 

發明

 

弘景曰秦皮俗方惟以療目道家亦有用處

 

 

秦皮(진피)俗方(속방)에서 단지 눈을 ()하는데 사용하였으며, 道家(도가)에서도 用處(용처)가 있다.

 

 

大明曰秦皮之功洗肝益精明目退熱

 

秦皮(진피)()洗肝益精(세간익정)하고 明目退熱(명목퇴열)하게 하는데 있다.

 

元素曰秦皮沉也陰也其用有四治風寒濕邪成痺青白幻翳遮睛女子崩中帶下小兒風熱驚癇

 

陳皮(진피)()하는 ()인데 그 用途(용도)에는 네가지가 있다. 風寒濕邪(풍한습사)()로 된 것, 青白幻翳(청백환예)()()하는 것, 婦人(부인)崩中帶下(붕중대하), 小兒(소아)風熱驚癎(풍열경간)()하는 것이다.

 

 

好古曰痢則下焦虛故張仲景白頭翁湯以黃柏黃連秦皮同用皆苦以堅之也秦皮浸水青藍色與紫草同用治目病以增光暈尤佳

 

()下焦(하초)()한 탓이다. 그래서 張仲景(장중경)白頭翁湯(백두옹탕)黃蘗(황벽), 黃連(황련), 秦皮(진피)를 함께 사용하였다. 모두 ()로써 ()하게 하는 것이다. 秦皮(진피)水浸(수침)하면 青藍色(청람색)이 된다. 紫草(자초)와 함께 사용하면 目病(목병)()하고 따라서 光暈(광훈)增強(증강)하는데 가장 좋다.

 

 

 

時珍曰秦皮皮色青氣寒味苦性澀乃是厥陰肝少陽膽經藥也

 

秦皮(진피)()(), ()(), ()(), ()()하다. 厥陰(궐음)(), 少陽膽經(소양담경)()인 것이다.

 

 

故治目病驚癇取其平木也治下痢崩帶取其收澀也

 

그래서 目病(목병), 驚癎(경간)()하는 데는 그 ()()하게 하는 것을 ()하고, 下痢(하리), 崩帶(붕대)()하는 데는 그 收澀(수삽)으로 ()하는 것이

 

 

又能治男子少精益精有子皆取其澀而補也

 

. 또한 곧잘 男子(남자)少精(소정)()하여 益精(익정)하고 ()를 낳게 하는 것은 모두 그 ()하면서 ()하는 것을 ()하는 것이다.

 

 

老子天道貴澀此藥乃服食及驚癇崩痢所宜而人止知其治目一節幾於廢棄良爲可惋。《淮南子梣皮色青治目之要藥也

 

그래서 老子(노자)天道(천도)()()히 여긴다.”라고 하였다. ()服食(복식), 驚癎(경간), (), ()適合(적합)한 것이지만, 一般的(일반적)으로는 단지 눈을 ()하는 一節(일절)을 알 뿐 거의 廢棄(폐기)하고 있는 實情(실정)이다. 매우 遺憾(유감)스러운 일이다. 淮南子(회남자)에는 秦皮(진피)靑色(청색)이다. 눈을 ()하는 要藥(요약)이다.”라고 하였다.

 

 

 

萬畢術雲梣皮止水謂其能收淚也高誘解作致水言能使水沸者謬也

 

 

또한 萬畢術(만필술)에는 梣皮止水(침피지수)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이것이 곧잘 눈물을 거둔다는 뜻이다. 高誘(고유)()()한다. 라고 解釋(해석)하여 능히 물을 ()하게 하는 것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 된 것이다.

 

 

 

 

附方

 

舊三新三

 

赤眼生翳秦皮一兩水一升半煮七合澄清日日溫洗一方加滑石黃連等分。(《外台秘要》)

眼暴腫痛秦皮黃連各一兩苦竹葉半升水二升半煮取八合食後溫服此乃謝道人方也。(《外台秘要》)。

赤眼睛瘡秦皮一兩清水一升白碗中浸春夏一食頃以上看碧色出即以箸頭纏綿仰臥點令滿眼微痛勿畏良久瀝去熱汁日點十度以上不過兩日瘥也。(《外台秘要》)

眼弦挑針乃肝脾積熱銼秦皮夾沙糖水煎調大黃末一錢微利佳。(《仁齋直指方》)

血痢連年秦皮鼠尾草薔薇根等分以水煎取汁銅器重釜煎成丸如梧桐子大

每服五六丸日二服稍增以知為度亦可煎飲

天蛇毒瘡似癩非癩天蛇乃草間黃花蜘蛛也人被其螫為露水所濡乃成此疾

以秦皮煮汁一鬥飲之即瘥。(沈存中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리화(茉莉花)[본초강목]  (0) 2022.03.10
소형(素馨)[본초강목]  (0) 2022.03.10
무환자(無患子)[본초강목]  (0) 2022.03.01
용안(龍眼)[본초강목]  (0) 2022.03.01
신이(辛夷)[본초강목]  (0) 2022.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