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0. 30. 21:32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길경(본초강목)
^^^^^^^^^^^^^^^^^^^^^^^^^^^^^^^^^^^^^^^^^^^^^^^^^^^^^^^^^^^^^^^^^^^^^^^^^
桔梗
(《本經》下品)
【釋名】
白藥(《別錄》)、梗草(《別錄》)、薺苨(《本經》)。
時珍曰︰此草之根結實而梗直,故名。
이 초(草)의 근(根)이 결실(結實)하여 경직(梗直)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吳普本草》一名利如,一名符扈,一名房圖,方書並無見,蓋亦瘦辭爾。桔梗、薺 乃一類,有甜、苦二種,故《本經》桔梗一名薺 ,而今俗呼薺 為甜桔梗也。至《別錄》始出薺 條,分為二物,然其性味功用皆不同,當以《別錄》為是。
오보본초(吳普本草)에는 일명(一名) 이여(利如), 일명(一名) 부호(符扈), 일명(一名)방도(房图)라고 하였으나 방서(方書)에는 이러한 명칭(名稱)이 기록(記錄)되어 있지 않다. 은어(隱語)인 것 같다. 길경(桔梗), 제니(薺苨)는 일류(一流)중에서 단 것과 쓴 것의 二種(이종)이다. 따라서 본경(本經)에서는 길경(桔梗) 일명(一名) 제니(薺苨)라고 하였고 요즘은 흔히들 제니(薺苨)를 첨(甛:달첨)길경(桔梗)이라 부른다. 별록(別錄)에 이르러서 처음으로 제니(薺苨)의 일조(一條)를 독립(獨立)시켜서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성미(性味), 공용(功用)의 점에서 이자(二者)는 서로 상이(相異)하기 때문에 별록(別錄)의 처리가 정당하게 여겨진다.
【集解】
《別錄》曰︰桔梗,生嵩高山谷及冤句。二、八月採根,曝乾。
숭고(嵩高)의 산곡(山谷) 및 원구(冤句)에서 생(生)한다. 이월(二月), 팔월(八月)에 근(根)을 채(采)하여 폭건(曝乾)한다.
普曰︰葉如薺 ,莖如筆管,紫赤色,二月生苗。
弘景曰︰近道處處有,二、三月生苗,可煮食之。桔梗療蠱毒,甚驗。俗方用此,乃名薺。今別有薺苨,能解藥毒,可亂人參,葉甚相似。但薺 葉下光明滑澤無毛為異,葉生又不如人參相對耳。
恭曰︰薺苨、桔梗,葉有差互者,亦有葉三、四對者,皆一莖直上,葉既相亂,惟以根有心為別耳。
頌曰︰今在處有之。根如小指大,黃白色。春生苗,莖高尺餘。葉似杏葉而長橢,四葉相對而生,嫩時亦可煮食。夏開小花紫碧色,頗似牽牛花,秋後結子。八月採根,其根有心,若無心者為薺 。關中所出桔梗,根黃皮,似蜀葵根。莖細,青色。葉小,青色,似菊葉也。
根
【修治】
斅曰︰凡使勿用木梗,真似桔梗,只是咬之腥澀不堪。凡用桔梗,須去頭上尖硬二、三分以來,並兩畔附枝。於槐砧上細銼,用生百合搗膏,投水中浸一伏時濾出,緩火熬令乾用。每桔梗四兩,用百合二兩五錢。
무릇 桔梗(길경)을 用(용)할 때 木梗(목경)을 用(용)하면 안 된다. 桔梗(길경)과 흡사하나, 씹어보면 비리고 떫어서 使用(사용)할 수 없다. 대개 桔梗(길경)을 用(용)할 때 頭上(두상)의 尖硬(첨경) 部分(부분)의 二(이)~三分(삼분) 정도의 兩側(양측)에 있는 枝根(지근)을 따내고, 槐砧(괴침) 위에서 細銼(세좌)한 뒤에 生百合(생백합)을 混合(혼합)하여 찧어서 膏(고)로 만든다. 一伏時(일복시) 동안 水中(수중)에 담갔다가 濾出(여출)하고, 緩火(완화)로 熬乾(오건)하여 用(용)한다. 桔梗(길경) 四兩(사량)에다 百合(백합) 二兩五錢(이량오전)의 比率(비율)로 使用(사용)한다.
時珍曰︰今但刮去浮皮,米泔水浸一夜,切片微炒用。
요즘은 단지 浮皮(부피)를 깎아 내고 米泔水(미감수)에 하룻밤 재웠다가 切片(절편)하여 微炒(미초)해서 使用(사용)한다.
【氣味】
辛,微溫,有小毒。
普曰︰神農、醫和︰苦,無毒
黃帝、扁鵲︰辛、鹹;岐伯、
雷公︰甘,無毒。
李當之︰大寒。
權曰︰苦、辛。
時珍曰︰當以苦、辛、平為是。
之才曰︰節皮為之使。畏白芨、龍眼、龍膽草忌豬肉。得牡蠣、遠志,療恚怒;得消石石膏,療傷寒。白粥解其籤毒。
節皮(절피)가 使(사)가 된다. 白及(백급), 龍膽草(용담초)를 畏(외)하고, 豬肉(저육)을 忌(기)한다. 牡蠣(모려), 遠志(원지)를 配合(배합)하면 恚怒(애노)를 療(요)하고, 消石(소석), 石膏(석고)와 配合(배합)하면 傷寒(상한)을 療(요)한다. 白粥(백죽)은 그 독특한 味(미)를 解(해)한다.
時珍曰︰伏砒。徐之才所云節皮,不知何物也。
砒毒(비독)을 푼다. 徐之才(서지재)가 言及(언급)한 節皮(절피)란 것이 무엇인지 판별이 안 된다.
【主治】
胸脅痛如刀刺,腹滿腸鳴幽幽,驚恐悸氣(《本經》)。
칼로 찌르는 듯한 胸脇痛(흉협통), 服滿(복만), 腸(장)에서 골골하고 소리 나는 것, 驚恐(경공)의 悸氣(계기).
利五臟腸胃,補血氣,除寒熱風痺,溫中消穀,療喉咽痛,下蠱毒(《別錄》)。
五臟(오장), 腸(장), 胃(위)를 利(이)하고, 血氣(혈기)를 補(보)하며, 寒熱風痺(한열풍비)를 除去(제거)하고, 溫中(온중), 穀物(곡물)을 消化(소화)시키며, 喉咽痛(후인통)을 治療(치료)하고, 蟲毒(충독)을 下(하)한다.
治下痢,破血去積氣,消積聚痰涎,去肺熱氣促嗽逆,除腹中冷痛,主中惡及小兒驚癇(甄權)。
下痢(하리)를 治(치)하고, 破血(파혈)하며, 積氣(적기)를 去(거)하고, 積聚痰涎(적취담연)을 消(소)하며, 肺熱(폐열)의 氣促(기촉), 嗽逆(수역)을 去(거)하고, 腹中(복중)이 冷痛(냉통)을 除去(제거)하며, 中惡(중악) 및 小兒(소아)의 驚癎(경간)에 主效(주효)하다.
下一切氣,止霍亂轉筋,心腹脹痛,補五勞,養氣,除邪辟溫,破症瘕肺癰,養血排膿,補內漏及喉痺(大明)。
一切(일체)의 氣(기)를 下(하)하고, 癨亂轉筋(곽란전근), 心腹脹痛(심복창통)을 멈추고, 五勞(오로)를 補(보)하고, 氣(기)를 養(양)하며, 邪(사)를 除去(제거)하고, 瘟(온)을 물리치며, 癥瘕(징가), 肺癰(폐옹)을 破(파)한다. 養血(양혈), 排膿(배농)하고, 內漏(내루) 및 喉痹(후비)를 補(보)한다.
利竅,除肺部風熱,清利頭目咽嗌,胸膈滯氣及痛,除鼻塞(元素)。
利竅(이규)하고 肺部(폐부)의 風熱(풍열)을 除去(제거)하며, 頭(두), 木(목), 咽(인), 嗌(익), 胸膈(흉격)의 滯氣(체기) 및 痛症(통증)을 淸利(청리)하며, 鼻塞(비색)을 除(제)한다.
治寒嘔(李杲)。
寒嘔(한구)를 治(치)한다.
主口舌生瘡,赤目腫痛(時珍)。
口舌生瘡(구설생창), 赤目腫痛(적목종통)에 主效(주효)가 있다.
【發明】
好古曰︰桔梗氣微溫,味苦辛,味厚氣輕,陽中之陰,升也。入手太陰肺經氣分及足少陰經。
桔梗(길경)의 氣(기)는 微溫(미온), 味(미)는 苦辛(고신)하고, 또한 厚(후)하고 氣(기)는 輕(경)하여 陽中(양중)의 陰(음)이며 升(승)이다.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의 기분(氣分) 및 足少陰經(족소음경)에 들어간다.
元素曰︰桔梗清肺氣,利咽喉,其色白,故為肺部引經。與甘草同行,為舟楫之劑。
길경(桔梗)은 폐기(肺氣)를 맑게 하고, 인후(咽喉)를 이롭게 하며, 그 색(色)은 희다. 따라서 폐부(肺部)의 인경약(引经藥)으로서 감초(甘草)와 더불어 사용(使用)하면 그 공력(功力)의 행(行)함은 실(實)로 배에 노와 같은 일을 해내는 약제(藥劑)가 된다.
如大黃苦泄峻下之藥,欲引至胸中至高之分成功,須用辛甘之劑升之。譬如鐵石入江,非舟楫不載。所以諸藥有此一味,不能下沉也。
대황(大黄)처럼 고(苦), 설(泄)하며 날카롭게 하부(下赴)하는 약(藥)을 흉중(胸中), 최고(最高)의 부분(部分)까지 도달(導達)시켜서 주효(奏效)하는 데 필요(必要)한 수단(手段)은 신(辛), 감(甘)을 용제(用劑)하는 것으로, 말하자면 철(鐵)이나 돌을 대하중(大河中)에서 운반(運搬)하려면 주즙(舟楫)을 사용(使用)하는 방법(方法)이외(以外)는 달리 없는 것과 같다. 이러한 관계(關係)에서 제종(諸種)의 약중(藥中)에 이 길경(桔梗)의 일미(一味)가 첨가되면 하부(下部)로 침(沈)하는 성질(性質)의 것도 침하(沈下)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時珍曰︰朱肱《活人書》治胸中痞滿不痛,用桔梗、枳殼,取其通肺利膈下氣也。
朱肱(주굉)의 活人書(활인서)에 “胸中(흉중)의 痞滿(비만)에 痛症(통증)이 없는 증상을 治(치)할 때에는 桔梗(길경), 枳殼(지각)을 用(용)하는 것은 자체의 肺(폐)를 通(통)하여 膈(격)을 이롭게 하고, 下氣(하기)하는 功力(공력)을 利用(이용)하는 것이다.”
張仲景《傷寒論》治寒實結胸,用桔梗、貝母、巴豆,取其溫中消穀破積也。又治肺癰唾膿,用桔梗、甘草,取其苦辛清肺,甘溫瀉火,又能排膿血、補內漏也。
張仲景(장중경)의 傷寒論(상한론)에 “寒實結胸(한실결흉)을 治(치)함에는 桔梗(길경), 貝母(패모), 巴豆(파두)를 用(용)한 것은 그 자체의 中(중)을 溫(온)하게 하여 穀物(곡물)을 消化(소화)하고, 積(적)을 破(파)하는 功力(공력)을 利用(이용)하는 것이다. 또 肺癰(폐옹)으로 唾(타)에 膿(농)이 함께 나오는 것을 治療(치료)할 때에 桔梗(길경), 甘草(감초)를 用(용)한 것은 그 自體(자체)의 苦(고), 辛(신)이 肺(폐)를 맑게 하고, 甘(감), 溫(온)이 火(화)를 瀉(사)하고, 또한 膿血(농혈)을 잘 排出(배출)하고, 內漏(내루)를 補(보)하는 힘을 利用(이용)한 것이다.
其治少陰証二、三日咽痛,亦用桔梗、甘草,取其苦辛散寒,甘平除熱,合而用之,能調寒熱也。
少陰(소음)의 病證(병증)에 二(이)~三日(삼일) 咽痛(인통)하는 것을 治(치)할 때도 역시 桔梗(길경), 甘草(감초)를 用(용)한다. 그것은 苦(고), 辛(신)으로 散寒(산한)하고, 甘(감), 平(평)이 除熱(제열)하며, 그 二味(이미)의 功力(공력)을 倂用(병용)하여 능히 寒熱(한열)을 調整(조정)하는 것이다.
後人易名甘桔湯,通治咽喉口舌諸病。宋仁宗加荊芥、防風、連翹,遂名如聖湯,極言其驗也。
後世(후세)에 와서는 簡單(간단)하게 甘桔湯(감길탕)이라 부르며, 인후(咽喉), 口舌(구설)의 諸病(제병)을 治(치)하는데 用(용)한다. 宋(송)의 仁宗皇帝(인종황제)는 荊芥(형개), 防風(방풍), 連翹(연교)를 加(가)하여 그 效驗(효험)을 極讚(극찬)하였다.
按︰王好古《醫壘元戎》載之頗詳,云失音,加訶子;聲不出,加半夏;上氣,加陳皮;涎嗽,加知母、貝母;咳渴,加五味子;酒毒,加葛根;少氣,加人參;嘔,加半夏、生薑;唾膿血,加紫菀;肺痿,加阿膠;胸膈不利,加枳殼;心胸痞滿,加枳實;目赤,加梔子、大黃;面腫,加茯苓;膚痛,加黃耆;發斑,加防風、荊芥;疫毒,加鼠粘子、大黃;不得眠,加梔子。
왕호고(王好古)의 의루원융(医垒元戎)에 매우 상세(詳細)하게 기재(記載)되었는데 “실음(失音)에는 가자(诃子)를 가(加)하고, 말을 못 할때는 반하(半夏)를 가(加)하고, 상기(上氣)에는 진피(陳皮)를 가(加)하고, 연수(涎嗽)에는 지모(知母)와 패모(貝母)를 첨가하고, 해갈(咳渴)에는 오미자(五味子)를 가(加)하고, 주독(酒毒)에는 갈근(葛根)을 넣고, 소기(少氣)에는 인삼(人参)을 가(加)하고, 구(嘔)에게는 반하(半夏)와 생강(生姜)을 가(加)하고, 타농혈(唾脓血)에는 자완(紫菀)을 가(加)하고, 폐위(肺痿)에는 아교(阿胶)를 가(加)하고, 흉격불리(胸膈不利)에는 지각(枳殼)을 가(加)하고, 심흉비만(心胸痞滿)에는 지실(枳实)을 가(加)하고, 목적(目赤)에는 치자(栀子)와 대황(大黄)을, 면종(面腫)에는 복령(茯苓)을, 부통(肤痛)에는 황기(黃芪)를 , 발반(發斑)에는 방풍(防风), 형개(荊芥)를, 역독(疫毒)에는 서점자(鼠粘子)와 대황(大黄)을 불면증(不眠症)에는 치자(栀子)를 첨가한다.”라고 되어 있다.
震亨曰︰乾咳嗽,乃痰火之邪郁在肺中,宜苦梗以開之;痢疾腹痛,乃肺金之氣郁在大腸,亦宜苦梗開之,後用痢藥。此藥能開提氣血,故氣藥中宜用之。
건해수(乾咳嗽)는 담화(痰火)의 사울(邪鬱)이 폐중(肺中)에 있기 때문인데 고경(苦梗)을 용(用)하여 이것을 여는 것이 좋다. 이질복통(痢疾腹痛)은 폐금(肺金)의 기울(氣鬱)이 대장(大腸)에 있기 때문인데 고경(苦梗)을 용(用)하여 이것을 열어서 이약(痢藥)을 용(用)하는 것이 좋다. 이 약(藥)은 기혈(氣血)을 개제(開提)하기 때문에 기약(氣藥)안에 이것을 용(用)하면 매우 좋다.
【附方】
舊十,新八。
胸滿不痛︰桔梗、枳殼等分。水二鐘,煎一鐘,溫服。(《南陽活人書》)
傷寒腹脹︰陰陽不和也,桔梗半夏湯主之。桔梗、半夏、陳皮各三錢,薑五片。水二鐘,煎一鐘服。(《南陽活人書》)
痰嗽喘急︰桔梗一兩半。為末。用童子小便半升,煎四合,去滓,溫服。(《簡要濟眾方》)
肺癰咳嗽︰胸滿振寒,脈數咽乾,不渴,時出濁唾腥臭,久久吐膿如粳米粥者,桔梗湯主之。桔梗一兩,甘草二兩。水三升,煮一升,分溫再服。朝暮吐膿血則瘥。(張仲景《金匱玉函方》)
喉痺毒瓦斯︰桔梗二兩。水三升,煎一升,頓服。(《千金方》)
少陰咽痛︰少陰証,二、三日,咽痛者,可與甘草湯;不瘥者,與桔梗湯主之。桔梗一兩,甘草二兩。水三升,煮一升,分服。(張仲景《傷寒論》)
口舌生瘡︰方同上。齒 腫痛︰桔梗、薏苡仁等分。為末服。(《永類方》)
骨槽風痛,牙根腫痛︰桔梗為末,棗瓤和丸皂子大。綿裹咬之。仍以荊芥湯漱之。(《經驗後方》)
牙疳臭爛︰桔梗、茴香等分。燒研,敷之。(《衛生易簡方》)
肝風眼黑︰目睛痛,肝風盛也,桔梗丸主之。桔梗一斤,黑牽牛(頭末)三兩,為末,蜜丸梧子大。每服四十丸,溫水下,日二服。(《保命集》)
鼻出衄血︰桔梗為末,水服方寸匕,日四服。一加生犀角屑。(《普濟方》)
吐血下血︰方同上。打擊瘀血在腸內,久不消,時發動者。桔梗為末,米湯下一刀圭。(《肘後要方》)
中蠱下血如雞肝,晝夜出血石餘,四臟皆損,惟心未毀,或鼻破將死者。苦桔梗為末,以酒服方寸匕,日三服。不能下藥,以物拗口灌之。心中當煩,須臾自定,七日止。當食豬肝 以補之。神良。一方加犀角等分。(《古今錄驗》)
妊娠中惡,心腹疼痛︰桔梗一兩(銼)。水一鐘,生薑三片,煎六分,溫服。(《聖惠方》)
小兒客忤,死不能言︰桔梗(燒研)三錢,米湯服之。仍吞麝香少許。(張文仲《備急方》)
蘆頭
【主治】
吐上膈風熱痰實,生研末,白湯調服一二錢,探吐(時珍)。
上膈(상격)의 風熱(풍열), 痰實(담실)을 吐(토)하게 한다. 生(생)으로 硏末(연말)하여 一錢(일전)을 白湯(백탕)으로 調(조)하여 服用(복용)하고 探吐(탐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