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사(본초강목)

2024. 10. 26. 20:56[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택사(본초강목)

 

 

 

 

 

 

 

 

^^^^^^^^^^^^^^^^^^^^^^^^^^^^^^^^^^^^^^^^^^^^^^^^^^^^^^^^^^^^^^^^^^^^^^^^^

 

澤瀉

 

(《本經上品

 

 

釋名

 

水瀉(《本經》)鵠瀉(《本經》)及瀉(《別錄》) 芒芋(《本經》)禹孫

 

時珍曰去水曰瀉如澤水之瀉也禹能治水故曰禹孫余未詳

 

去水(거수)한 것을 ()라 한다. 澤水(택수)()함과 같다는 意味(의미)이다. ()全國(전국)의 물을 整理(정리), 處置(처치)한 바 있기 때문에 이것과 관련 지어 禹孫(우손)이라고 한다. 그 밖의 名稱(명칭)意味(의미)明確(명확)하지 않다.

 

 

集解

 

別錄澤瀉生汝南池澤五月採葉八月採根九月採實陰乾

 

弘景曰汝南郡屬豫州今近道亦有不堪用惟用漢中南鄭青州代州者形大而長尾間必有兩歧為好此物易朽蠹常須密藏之叢生淺水中葉狹而長

 

恭曰今汝南不複采惟以涇州華州者為善

 

頌曰今山東淮亦有之漢中者為佳春生苗多在淺水中葉似牛舌獨莖而長秋時開白花作叢似穀精草秋末采根曝乾

 

 

 

修治

 

雷斅曰不計多少細銼酒浸一宿取出曝乾任用

 

多少(다소) 不問(불문)하고 細剉(세좌)해서 하룻밤 술에 담가 取出(취출)하여 曝乾(폭건)한 후 必要(필요)에 따라서 使用(사용)한다.

 

 

 

氣味

 

無毒

 

別錄

權曰

元素曰沉而降陰也

杲曰陰也

好古曰陰中微陽入足太陽少陰經

 

陰中(음중)微陽(미양)이다. 足太陽經(족태양경), 足少陰經(족소음경)()한다.

 

 

扁鵲曰多服病患眼

 

多服(다복)하면 眼病(안병)()한다.

 

 

之才曰畏海蛤文蛤

 

海蛤(해합), 文蛤(문합)()한다.

 

 

主治

 

風寒濕痺乳難養五臟益氣力肥健消水久服耳目聰明不飢延年輕身面生光能行水上。(《本經》)

 

風寒濕痺(풍한습비), 乳難(유난), 五臟(오장)()하고, 氣力(기력)()하며, 肥健(비건)하고 消水(소수)한다. 久服(구복)하면 耳目(이목)聰明(총명)하고, 不飢(불기)하며, 延年(연년)하고, 輕身(경신)하며, 顔面(안면)光澤(광택)이 나고, ()水上(수상)()한다.

 

補虛損五勞除五臟痞滿起陰氣止泄精消渴淋瀝逐膀胱三焦停水(《別錄》)。

 

虛損(허손)五勞(오로)()한다. 五臟(오장)痞滿(비만), 陰氣(음기)()하고, 泄精(설정)()하며, 消渴(소갈), 淋瀝(임력)에는 膀胱(방광), 三焦(삼초)停水(정수)()한다.

 

 

主腎虛精自出治五淋利膀胱熱宣通水道甄權)。

 

腎虛(신허)()自出(자출)하는데 主效(주효)하고, 五淋(오림)()하며, 膀胱熱(방광열)()하고, 水道(수도)宣通(선통)한다.

 

 

主頭旋耳虛鳴筋骨攣縮通小腸止尿血主難產補女人血海令人有子大明)。

 

頭旋(두선), ()虛鳴(허명), 筋骨(근골)攣縮(연축)主效(주효)가 있고, 小腸(소장)通利(통리)하며, 尿血(뇨혈)()하고, 難産(난산)主效(주효)하다. 婦人(부인)血海(혈해)()하고, 生殖(생식)完全(완전)하게 한다.

 

 

入腎經去舊水養新水利小便消腫脹滲泄止渴元素)。

 

腎經(신경)에 들어가 舊水(구수)()하고, 新水(신수)()하며, 小便(소변)()하고, 腫脹(종창)消解(소해)하고, 滲洩(삼설)하며, 止渴(지갈)한다.

 

 

去脬中留垢心下水痞李杲)。

 

脬中(포중)留垢(유구), 心下(심하)水痞(수비)()한다.

 

 

滲濕熱行痰飲止嘔吐瀉痢疝痛腳氣時珍)。

 

濕熱(습열)()하고, 痰飮(담음)()하며, 嘔吐(구토), 瀉痢(사리), 疝痛(산통), 脚氣(각기)를 멈춘다.

 

 

 

發明

 

頌曰︰《素問治酒風身熱汗出用澤瀉;《深師方治支飲亦用澤瀉但煮法小別爾

 

素問(소문)酒風(주풍)으로 身熱(신열)이 나서 땀이 나는 것을 ()하는데 澤瀉(택사)()使用(사용)한다.” 라고 하였으며, 深師方(심사방)支飮(지음)()하는 데도 역시 澤瀉(택사), ()使用(사용)하는 것으로 오직 煮法(자법)이 조금 다를 뿐이다.

 

張仲景治雜病心下有支飲苦冒有澤瀉湯治傷寒有大小澤瀉湯五苓散輩皆用澤瀉行利停水為最要藥

 

張仲景(장중경)難病(난병)心下(심하)支飮(지음)이 있고, 苦冒(고모/가슴이 답답한..)하는 것을 ()하는데 澤瀉湯(택사탕)이 있으며, 傷寒(상한)()하는 데 大小(대소)澤瀉湯(택사탕), 五笭散(오령산) 등이라는 것이 있어서 모두 澤瀉(택사)使用(사용)하여 停水(정수)行利(행리)하는 가장 重要(중요)()으로 取扱(취급)한다.

 

 

元素曰澤瀉乃除濕之聖藥入腎經治小便淋瀝去陰間汗無此疾服之令人目盲

 

澤瀉(택사)()()하는 聖藥(성약)으로, 腎經(신경)에 들어가 小便淋瀝(소변임력)()하고, 陰間(음간)()()한다. 하지만 이 ()이 없는 사람이 이것을 ()하면 目盲(목맹)이 된다.

 

 

宗奭曰澤瀉之功長於行水張仲景治水蓄渴煩小便不利或吐或瀉五苓散主之方用澤瀉故知其長於行水

 

澤瀉(택사)功力(공력)特長(특장)行水(행수)하는 것이다. 張仲景(장중경)水蓄渴煩(수축갈번), 小便不利(소변불리)로 혹은 ()하고, 혹은 ()하는 데에 ()로 하는 五笭散(오령산)()에도 澤瀉(택사)使用(사용)하는 것을 볼수 있는 것도, 行水(행수)하는 特長(특장)窺知(규지)할 수 있다.

 

本草引扁鵲云多服病患眼誠為行去其水也凡服澤瀉散人未有不小便多者小便既多腎氣焉得複實

 

本草(본초)引用(인용)하고 있는 扁鵲(편작)多服(다복)하면 眼病(안병)()한다.” 라고 한 것도 참으로 그 ()()行去(행거)하기 때문이다. 무릇 澤瀉散(택사산)()하는 患者(환자)小便(소변)이 많은 사람에게 局限(국한)하며, 小便(소변)이 많다는 것은 腎氣(신기)가 또한 ()할 리가 없는 것이다.

 

 

今人止泄精多不敢用之仲景八味丸用之者亦不過引接桂附等歸就腎經別無他意

 

요즘 一般(일반)에서는 洩情(설정)을 멈추게 하기 위해서 이것을 使用(사용)하는 ()가 없다. 仲景(중경)八味丸(팔미환)에 이것을 使用(사용)目的(목적)(), () 등의 藥力(약력)腎經(신경)에 들어가게 하기 위한 것에 不過(불과)하며 이밖에 意味(의미)는 없는 것이다.

 

 

 

好古曰︰《本經云久服明目扁鵲云多服昏目何也易老云去脬中留垢以其味鹹能瀉伏水故也瀉伏水去留垢故明目小便利腎氣虛故昏目

 

本經(본경)久服(구복)하면 明目(명목)한다.” 라고 했고, 扁鵲(편작)多服(다복)하면 ()()한다.” 라고 한 것은 무엇인지 궁금하다. 易老(역로)議論(의론)에 의하면 脬中(포중)留垢(유구)()하는 데는 그 ()()이 곧잘 伏水(복수)()하는 關係(관계)에 따른다. 伏水(복수)()하고, 留垢(유구)()하기 때문에 눈이 밝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小便(소변)()하면 腎氣(신기)()하기 때문에 昏目(혼목)한다.” 고 하였다.

 

 

 

王履曰寇宗奭之說王好古韙之竊謂八味丸以地黃為君余藥佐之非止補血兼補氣也所謂陽旺則能生陰血也

 

王好古(왕호고)寇宗奭(구종석)()을 옳다고 認定(인정)하고 있지만, 내가 確信(확신)하는 바에 의하면 八味丸(팔미환)地黄(지황)()으로, 他諸藥(타제약)()로 하고 있어 單純(단순)하게 補血(보혈)할 뿐만 아니라, 同時(동시)補氣(보기)하는 것이 된다. 소위 ()旺盛(왕성)하면 능히 陰血(음혈)이 생긴다.”事實(사실)이다.

 

 

地黃山茱萸茯苓牡丹皮皆腎經之藥附子官桂乃右腎命門之藥皆不待澤瀉之接引而後至也則八味丸之用此蓋取其瀉腎邪養五臟益氣力起陰氣補虛損五勞之功而已雖能瀉腎從於諸補藥群眾之中則亦不能瀉矣

 

地黄(지황), 山茱萸(산수유), 茯苓(복령), 牡丹皮(목단피)는 모두 腎經(신경)()이며, 附子(부자), 官桂(관계)가 되는 것은 右腎(우신)으로 命門藥(명문약)이다. 모두 澤瀉(택사)誘導(유도)를 기다려 비로소 ()이 거기에 ()한다는 것은 아닌 것이다. 이것으로 본다면 八味丸(팔미환)에 이것을 使用(사용)하고 있는 것은 澤瀉(택사)()()()하고, 五臟(오장)()하며, 氣力(기력)()하고, 陰氣(음기)發起(발기)하며, 虛損(허손), 五勞(오로)()하는 ()使用(사용)하는 것이 目的(목적)이었던 것이다. 澤瀉(택사)는 능히 ()()하는 것이 틀림없다 하여도, 諸種(제종)補藥(보약)이 많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이렇게 ()의 힘을 發揮(발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時珍曰澤瀉氣平味甘而淡淡能滲泄氣味俱薄所以利水而泄下脾胃有濕熱則頭重而目昏耳鳴澤瀉滲去其濕則熱亦隨去而土氣得令清氣上行天氣明爽故澤瀉有養五臟益氣力治頭旋聰明耳目之功

 

澤瀉(택사)()(), ()()하며 ()하다. ()()滲泄(삼설)하는 것이다. 氣味(기미) 모두 ()한 것은 利水(이수)하고 泄下(설하)하는 것으로써 脾胃(비위)濕熱(습열)이 있으면 머리가 무거워지고, 눈이 침침하며, 耳鳴(이명)이 있는 것인데, 그것에 대해서 澤瀉(택사)는 그 ()滲去(삼거)하여 ()도 따라 ()하고 그래서 土氣(토기)가 그 本來(본래) 發揮(발휘)하는 完全(완전)함을 얻어 淸氣(청기)上行(상행)하고, 天氣(천기)明爽(명상)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澤瀉(택사)에는 五臟(오장)()하고, 氣力(기력)()하며, 頭旋(두선)()하고, 耳目(이목)聰明(총명)하게 하는 ()이 있는 것이다.

 

若久服則降令太過清氣不升真陰潛耗安得不目昏耶

 

만약 久服(구복)하게 되면 ()發揮(발휘)()()를 지나쳐 淸氣(청기)()하지 못하고, 眞陰(진음)의 힘이 潛逃(잠도)해서 消耗(소모)한다. 目昏(목혼)惹起(야기)시키지 않고는 있을 수 없지 않겠는가?

 

 

仲景地黃丸用茯苓澤瀉者乃取其瀉膀胱之邪氣非引接也古人用補藥必兼瀉邪邪去則補藥得力一辟一闔此乃玄妙後世不知此理專一於補所以久服必致偏勝之害也

 

張仲景(장중경)地黃丸(지황환)茯苓(복령), 澤瀉(택사)를 쓰는 것은 澤瀉(택사)膀胱(방광)邪氣(사기)()하는 ()目的(목적)으로 한 것으로 誘導(유도)目的(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古人(고인)들은 補藥(보약)使用(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邪瀉(사사)하는 것을 兼用(겸용)하고 있었다. ()()하면 補藥(보약)充分(충분)하게 힘을 發揮(발휘)한다. 결국 一面(일면)에서는 열어주고, 一面(일면)에서는 덜어주니 이것이야말로 참으로 理想的(이상적)手段(수단)이라 하는 것이다. 後世(후세)에서는 이런 機微(기미)必然關係(필연관계)注意(주의)를 소홀히 하여 오로지 ()하는 一方(일방)으로만 ()하기 때문에 結局(결국)原則(원칙)대로 久服(구복)하여 偏勝(편승)()招來(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正誤

 

弘景曰︰《仙經服食斷谷皆用之亦云身輕能步行水上

 

頌曰仙方亦單服澤瀉一物搗篩取末水調日分服六兩百日體輕而健行

 

時珍曰神農書列澤瀉於上品複云久服輕身面生光能行水上。《典術澤瀉久服令人身輕日行五百里走水上一名澤芝蘇皆以為信然愚竊疑之澤瀉行水瀉腎久服且不可又安有此神功耶其謬可知

 

神農(신농)書記(서기)에는 澤瀉(택사)上品(상품)으로 하였고, 久服(구복)하면 輕身(경신)하고, 顔面(안면)光澤(광택)이 생기고, ()水上(수상)步行(보행)할 수 있다.” 라고 하였고, 典術(전술)에는 澤瀉(택사)久服(구복)하면 사람의 身體(신체)를 가볍게 한다. 하루에 五百里(오백리)步行(보행)하고, 水上(수상)走行(주행)한다. 一名(일명) 澤芝(택지)라 한다.” 라고 하였다. 陶氏(도씨), 蘇氏(소씨)는 모두 이것을 事實(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으나 나는 根本的(근본적)으로 이것을 의아하게 여긴다. 澤瀉(택사)()()하고 ()()하는 것이어서 久服(구복)한다는 것은 不可能(불가능)한 것이다. 여기에 神功(신공)이 있을 이유가 없다. 잘못된 判斷(판단)인 것은 말할 바가 못 된다.

 

 

附方舊三新四

 

酒風汗出方見麋銜下

 

水濕腫脹白朮澤瀉各一兩為末或為丸每服三錢茯苓湯下。(《保命集》)

 

冒暑霍亂小便不利頭運引飲三白散用澤瀉白朮白茯苓各三錢水一盞薑五片燈心十莖煎八分溫服。(《局方》)

 

支飲苦冒仲景澤瀉湯用澤瀉五兩白朮二兩水二升煮一升分二服。《深師方》︰ 先以水二升煮二物取一升又以水一升煮澤瀉取五合合此二汁分再服病甚欲眩者服之必瘥

 

腎臟風瘡澤瀉皂莢水煮爛),焙研煉蜜丸如梧子大空心溫酒下十五丸至二十丸。 (《經驗方》)

 

瘧後怪症口鼻中氣出盤旋不散凝如黑蓋色過十日漸至肩胸與肉相連堅勝金石

 

 

 

 

氣味

 

無毒

 

 

主治

 

大風乳汁不出產難強陰氣久服輕身(《別錄》)。

 

大風(대풍), 乳汁(유즙)이 나오지 않는 것, 難産(난산), 陰氣(음기)强化(강화)한다. 久服(구복)하면 輕身(경신)한다.

 

壯水臟通血脈大明)。

 

水臟(수장)()하고, 血脈(혈맥)()한다.

 

 

 

 

氣味

 

無毒

 

 

主治

 

風痺消渴益腎氣強陰補不足除邪濕久服面生光令人無子(《別錄》)。

 

風痹(풍비), 消渴(소갈), 腎氣(신기)()하고, 强陰(강음)하며, 不足(부족)()하고, 邪濕(사습)除去(제거)한다. 久服(구복)함녀 顔面(안면)光澤(광택)이 나고 無子(무자)하게 된다.

 

 

發明

 

時珍曰︰《別錄言澤瀉葉及實強陰氣久服令人無子日華子言澤瀉催生補女人血海令人有子似有不同既云強陰何以令人無子既能催生何以令人有子

 

別錄(별록)澤瀉(택사)() ()陰氣(음기)强化(강화)하고, 久服(구복)하면 ()生産(생산)하지 못한다.”라고 한 것으로 같은 것이 아닌 듯 하다. ()()하게 한다는 것에서 왜 ()를 갖지 못하게 한다는 것인지? ()催生(최생)한다고 한 것이 ()를 갖게 한다는 것은 왜인지?

 

蓋澤瀉同補藥能逐下焦濕熱邪垢邪氣既去陰強海淨謂之有子可也若久服則腎氣大泄血海反寒謂之無子可也所以讀書不可執一

 

하지만, 이것은 澤瀉(택사)補藥(보약)과 함께 쓴다면 ()下焦(하초)濕熱(습열), 邪垢(사구)驅逐(구축)하는 것이므로 邪氣(사기)()하면 ()()하게 되어 ()가 깨끗해진다. 이러한 關係(관계)를 본다면 ()를 갖게 한다고 解釋(해석)하는 것도 無理(무리)는 아니다. 만약 久服(구복)하게 되면 腎氣(신기)가 크게 ()하여 血海(혈해)가 오히려 ()하다. 이런 關係(관계)로는 ()生産(생산)하지 못하게 한다고 解釋(해석)한 것도 無理(무리)는 아니다. 結局(결국)文獻記載(문헌기재)를 읽을 때는 한쪽만을 固執(고집)할 수만 없는 것이다.

 

 

附錄酸惡

 

別錄有名未用曰主惡瘡去白蟲生水旁狀如澤瀉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경(본초강목)  (0) 2024.10.30
선태(본초강목)  (0) 2024.10.29
소계(본초강목)  (0) 2024.10.23
방기(본초강목)  (1) 2024.10.23
지실(본초강목)  (3) 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