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8. 16. 15:34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어성초(본초강목)
^^^^^^^^^^^^^^^^^^^^^^^^^^^^^^^^^^^^^^^^^^^^^^^^^^^^^^^^^^^^^^^^^^^^^^^^^^^^^
蕺菜
《別錄》下品)
【釋名】
菹菜(恭)、魚腥草。
時珍曰︰蕺字,段公路《北戶錄》作蕊,音戢。秦人謂之菹子。菹、蕺音相近也。其葉腥氣,故俗呼為魚腥草。
蕺字(즙자)를 段公路(단공로)의 北戶錄(북호록)에서는 蕊(예)라고 하였다. 秦地方(진지방)에서는 이것을 菹子(저자)라고 한다. 菹(저)와 蕺(즙)은 發音(발음)이 相近(상근)한다. 그 잎에는 腥氣(성기)가 있기 때문에 俗稱(속칭) 鱼腥草(어성초)라고 한다.
【集解】
恭曰︰蕺菜生濕地山谷陰處,亦能蔓生。葉似蕎麥而肥,莖紫赤色。山南、江左人好生食之。關中謂之菹菜。
保升曰︰莖、葉俱紫,赤英,有臭氣。
時珍曰︰案︰趙叔文《醫方》云︰魚腥草即紫蕺。葉似荇,其狀三角,一邊紅,一邊青。
可以養豬。又有五蕺(即五毒草),花、葉相似,但根似狗脊。
見草部。
葉
【氣味】
辛,微溫,有小毒。
《別錄》曰︰多食,令人氣喘。
多食(다식)하면 氣喘(기천)을 일으킨다.
弘景曰︰俗傳食蕺不利人腳,恐由閉氣故也。今小兒食之,便覺腳痛。
世間(세간)의 傳言(전언)에 의하면 蕺(즙)을 먹으면 脚(각)을 쓰지 못하게 된다고 하는데 어쩌면 氣閉(기폐)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실 小兒(소아)가 이것을 먹으면 脚痛(각통)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詵曰︰小兒食之,三歲不行。久食,發虛弱,損陽氣,消精髓。
小兒(소아)가 이것을 먹으면 三歲(삼세)가 되어도 걷지 못한다. 久食(구식)하면 虛弱(허약)해지고 陽氣(양기)를 損傷(손상)하며, 精髓(정수)를 없앤다.
思邈曰︰素有腳氣人食之,一世不愈。
元來(원래) 脚氣(각기)통이 있는 사람이 이것을 먹으면 一生(일생)동안 不治(불치)한다.
【主治】
蠷螋尿瘡(《別錄》)。
蠷螋尿瘡(구수뇨창).
(<동의보감(東醫寶鑑)>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이 벌레를 팔각충(八角蟲)이라고 한다. 벽 틈에 숨어서 오줌을 내쏘는데 그것이 묻으면 온몸에 헌데가 생겨서 끓는 물이나 불에 덴 것처럼 된다.이 벌레를 팔각충(八角蟲)이라고 한다. 벽 틈에 숨어서 오줌을 내쏘는데 그것이 묻으면 온몸에 헌데가 생겨서 끓는 물이나 불에 덴 것처럼 된다. 라고 오줌으로 생긴 헌데는 땀띠 같으나 약간 크고 허리에 돌아가면서 생기는데 잘 낫지 않는다. 벌레는 작은 왕지네 같고 빛이 검푸르며 발이 길다.)
淡竹筒內煨熟,搗敷惡瘡、白禿(大明)。
淡竹筒內(담죽통내)로 煨熟作末(외숙작말)하여 惡瘡(악창), 白禿(백독)에 傅(부)한다.
散熱毒癰腫,瘡痔脫肛,斷痁疾,解磠毒(時珍)。
热毒痈肿(열독옹종), 瘡痔脫肛(창치탈항)을 散(산)하고, 痁疾(점질)을 斷(단)하며, 磠毒(요독)을 解消(해소)한다.
【附方】
舊一,新七。
背瘡熱腫︰蕺菜搗汁塗之,留孔以泄熱毒,冷即易之。(《經驗方》)。
痔瘡腫痛︰魚腥草一握,煎湯熏洗,仍以草挹痔即愈。一方︰洗後以枯礬入片腦少許,敷之。(《救急方》)。疔瘡作痛︰魚腥草搗爛敷之。痛一、二時,不可去草,痛後一、二日即愈。徽人所傳方也。(陸氏《積德堂方》)
小兒脫肛︰魚腥草擂如泥,先以朴消水洗過,用芭蕉葉托住藥坐之,自入也。(《永類方》)
蟲牙作痛︰魚腥草、花椒、菜子油等分,搗勻,入泥少許,和作小丸如豆大。隨牙左右塞耳內,兩邊輪換,不可一齊用,恐閉耳氣。塞一日夜,取看有細蟲為效。(《簡便方》)
斷截瘧疾︰紫蕺一握。搗爛絹包,周身摩擦,得睡有汗即愈。臨發前一時作之。(《救急易方》)
惡蛇蟲傷︰魚腥草、皺面草、槐樹葉、草決明,一處杵爛,敷之甚效。(同上)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종용(본초강목) (0) | 2024.08.16 |
---|---|
해금사(본초강목) (1) | 2024.08.16 |
골쇄보(본초강목) (0) | 2024.08.16 |
남가새(본초강목) (0) | 2024.08.07 |
삼지구엽초(본초강목) (1) | 2024.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