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17. 19:42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소방목(蘇方木)[본초강목]
^^^^^^^^^^^^^^^^^^^^^^^^^^^^^^^^^^^^^^^^^^^^^^^^^^^^^^^^^^^^^^^^^^^^^^^^^^^^^
蘇方木
(《唐本草》)
【釋名】
蘇木。
時珍曰︰海島有蘇方國,其地產此木,故名。今人省呼為蘇木爾。
海島(해도)에 蘇方國(소방국)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곳에서 이 나무가 나온다. 그래서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이다. 지금은 略稱(약칭)하여 蘇木(소목)이라 한다.
【集解】
恭曰︰蘇方木自南海、昆侖來,而交州、愛州亦有之。樹似庵羅,葉若榆葉而無澀,抽條長丈許,花黃,子生青熟黑。其木,人用染絳色。
珣曰︰按︰徐表《南州記》雲︰生海畔。
葉似絳,木若女貞。
時珍曰︰按︰嵇含《南方草木狀》雲︰蘇方樹類槐,黃花黑子,出九真。煎汁忌鐵器,則色黯。其木蠹之糞名曰紫納,亦可用。暹羅國人賤用如薪。
【修治】
雷斅曰︰凡使去上粗皮並節。若得中心紋橫如紫角者,號曰木中尊,其力倍常百等。須細銼重搗,拌細梅樹枝蒸之,從巳至申,陰乾用。
대개 이것을 使用(사용)할 경우에는 上(상)의 粗皮(조피), 節(절)을 除去(제거)한다. 만약 中心(중심)의 文(문)이 橫(횡)이면서 紫角(자각)과 같은 것을 얻으면 그것을 木中尊(목중존)이라는 것이다. 그 힘은 普通品(보통품)에 培(배)하는 것의 百等(백등)이다. 반드시 細剉(세좌)해서 겹처 搗(도)하고 細(세)한 梅樹(매수)의 枝(지)를 拌(반)하여 午前(오전) 十時(십시)부터 午後(오후)四時(사시)까지 蒸(증)한 다음 陰乾(음건)하여 使用(사용)한다.
【氣味】
甘、鹹,平,無毒。
杲曰︰甘、鹹,涼。可升可降,陽中陰也。
好古曰︰味甘而微酸、辛,其性平。
【主治】
破血。產後血脹悶欲死者,水煮五兩,取濃汁服。《唐本》。
破血(파혈)한다. 産後血(산후혈)로 脹悶(창민)하여 瀕死之境(빈사지경)에 있는 것에는 물로 五兩(오량)을 煮(자)하고, 膿汁(농즙)을 取(취)하여 服用(복용)한다.
婦人血氣心腹痛,月候不調及蓐癆,排膿止痛,消癰腫撲損瘀血,女人失音血噤,赤白痢,並後分急痛(大明)。
婦人(부인)의 血氣(혈기), 心腹痛(심복통), 月候不調(월후부조) 및 蓐癆(욕로), 排膿止痛(배농지통)하고 癰腫(옹종), 撲損瘀血(박손어혈)을 解消(해소)한다. 婦人(부인)의 失音(실음), 血噤(혈금), 赤白痢(적백리), 後分急痛(후분급통)
虛勞血癖氣壅滯,產後惡露不安,心腹攪痛,及經絡不通,男女中風,口噤不語。並宜細研乳頭香末方寸匕,以酒煎蘇方木,調服,立吐惡物瘥(《海藥》)。
虛勞(허로), 血癖(혈벽), 氣(기)의 壅滯(옹체), 産後(산후)의 惡露(오로), 不安(불안), 心腹攪痛(심복교통) 및 經絡不通(경락불통), 男女(남녀)의 中風(중풍), 口噤不語(구금불어), 모두 細硏(세연)한 乳頭香末(유두향말) 方寸匕(방촌비)를 술로 蘇方木(소방목)을 煎(전)한 것으로 調服(조복)하는 것이 좋다.즉시 惡物(오물)을 吐(토)하고 瘵(채)한다.
霍亂嘔逆,及人常嘔吐,用水煎服(藏器)。
霍亂嘔逆(곽란구역) 및 恒常(항상) 嘔吐(구토)하는 경우에는 水煎(수전)하여 服用(복용)한다.
破瘡瘍死血,產後敗血(李杲)。
破瘡瘍(파창양)의 死血(사혈), 産後(산후)의 敗血(패혈).
【發明】
元素曰︰蘇木性涼,味微辛。發散表裡風氣,宜與防風同用。又能破死血,產後血腫脹滿欲死者宜之。
蘇木(소목)의 性(성)은 凉(양), 味(미)는 微辛(미신)으로서 表裏(표리)의 風氣(풍기)를 發散(발산)한다. 防風(방풍)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곧잘 死血(사혈)을 破(파)한다. 産後(산후)의 血腫(혈종), 脹滿(창만)으로 瀕死之境(빈사지경)인 경우에 좋다.
時珍曰:蘇方木乃三陰經血分藥。少用則和血,多用則破血。
蘇方木(소방목)은 三陰經(삼음경)의 血分藥(혈분약)으로서 小量(소량)을 사용하면 和血(화혈)하고, 多用(다용)하면 破血(파혈)한다.
【附方】
舊一,新五。
產後血暈︰蘇方木三兩,水五升,煎取二升,分再服。(《肘後方》)。
產後氣喘,面黑欲死,乃血入肺也︰用蘇木二兩,水兩碗,煮一碗,入人參末一兩服。
隨時加減,神效不可言。(胡氏方)。
破傷風病︰蘇方木(為散)三錢,酒服立效。
名獨聖散。(《普濟方》)。
腳氣腫痛︰蘇方木、鷺鷥藤等分,細銼,入澱粉少許,水二鬥,煎一鬥五升,先熏後洗。(《普濟方》)。
偏墜腫痛︰蘇方木二兩,好酒一壺煮熟,頻飲立好。(《集簡方》)。
金瘡接指︰凡指斷及刀斧傷。用真蘇木末敷之,外以蠶繭包縛完固,數日如故。(《攝生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륙(商陸)[본경/동의보감] (1) | 2024.02.27 |
---|---|
원지(遠志)[본초강목] (0) | 2024.02.17 |
운실(雲實)[본초강목] (1) | 2024.02.17 |
진교(秦艽)[본초강목] (1) | 2024.01.31 |
산두근(山豆根)[본초강목] (1)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