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2. 23:52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합환피(合歡皮)[본초강목]
^^^^^^^^^^^^^^^^^^^^^^^^^^^^^^^^^^^^^^^^^^^^^^^^^^^^^^^^^^^^^^^^^^^^^^^^^
合歡
(《本經》中品)
【釋名】
合昏(《唐本》)夜合(《日華》)青裳《圖經》萌葛《綱目》烏賴樹。
頌曰︰崔豹《古今注》雲︰欲蠲人之忿,則贈以青裳。青裳,合歡也。植之庭除,使人不忿。故嵇康《養生論》雲︰合歡蠲忿,萱草忘憂。
崔豹(최표)의 古今注(고금주)에서는 “사람의 忿(분)을 蠲(견)하려고 하면 곧 靑裳(청상)을 贈呈(증정)하였다.” 고 하였다. 靑裳(청상)은 合歡(합환)인데 庭除(정제)에 심으면 사람을 忿怒(분노)하지 않게 한다. 그래서 嵇康(혜강)의 養生論(양생론)에는 “合歡(합환)은 蠲忿(견분)하게 하고, 萱草(훤초)는 忘憂(망우)하게 한다.”고 하였다.
藏器曰︰其葉至暮即合,故雲合昏。
그 잎은 저녁에 되면 合(합)한다. 그래서 合昏(합혼)이라 한다.
時珍曰︰按︰王 《百一選方》雲︰夜合俗名萌葛,越人謂之烏賴謂之屍利灑樹。
생각하면 王璆(왕구)의 百一選方(백일선방)에서는 “夜合(야합)은 俗稱(속칭) 萌葛(맹갈)이라고 하고, 越人(월인)은 이것을 烏賴樹(오퇴수)라고 한다.” 고 하였다. 또한 金光明經(금광명경)에는 屍利灑樹(시리쇄수)라 한다.
【集解】
《本經》曰︰合歡生豫州河內山穀。樹如狗骨樹。
《別錄》曰︰生益州山穀。
弘景曰︰俗間少識,當以其非療病之功也。
恭曰︰此樹葉似皂莢及槐,極細。五月花發,紅白色,上有絲茸。秋實作莢,子極薄細。所在山穀有之,今東西京第宅山池間亦有種者,名曰合昏。
頌曰︰今汴洛間皆有之,人家多植於庭除間。木似梧桐,枝甚柔弱。葉似皂角,極細而繁密,互相交結。每一風來,輒自相解了,不相牽綴。采皮及葉用,不拘時月。
宗奭曰︰合歡花,其色如今之醮暈線,上半白,下半肉紅,散垂如絲,為花之異。其綠葉至夜則合也。嫩時炸熟水淘,亦可食。
木皮(去粗皮炒用)
【氣味】
甘,平,無毒。
【主治】
安五臟,和心志,令人歡樂無憂。久服,輕身明目,得所欲(《本經》)。
오장(五臟)을 안정(安定)시키고, 心地(심지)를 調和(조화)하며, 사람으로 하여금 歡樂無憂(환악무우)하게 한다. 久服(구복)하면 輕身(경신)하고 明目(명목)하며, 뜻한 바를 이룰 수 있다.
煎膏,消癰腫,續筋骨(大明)。
煎膏(전고)는 癰腫(옹종)을 解消(해소)하고, 筋骨(근골)을 잇는다.
殺蟲。搗末,和鐺下墨,生油調,塗蜘蛛咬瘡 用葉,洗衣垢。(藏器)。
殺蟲(살충)한다. 作末(작말)하여 鐺下墨(당하묵)과 調和(조화)하고, 生油(생유)로 調和(조화)하여 蜘蛛咬瘡(지주교창)에 바른다. 잎을 사용하여 衣垢(의구)를 씻는다.
折傷疼痛,花研末,酒服二錢匕(宗奭)。
折傷疼痛(절상동통)에는 硏末(연말)하여 수로 二錢匕(이전비)를 服用(복용)한다.
和血消腫止痛。(時珍)。
和血消腫(화혈소종)하고 止痛(지통)한다.
【發明】
震亨曰︰合歡屬土,補陰之功甚捷。長肌肉,續筋骨,概可見矣。與白蠟同入膏用神效,而外科家未曾錄用何也?
合歡(합환)은 土(토)에 屬(속)하는데 補陰(보음)의 功(공)이 매우 迅速(신속)핟. 肌肉(기육)을 生長(생장)하게 하고, 筋骨(근골)을 잇는 것도 首肯(수긍)이 간다. 白蠟(백랍)과 함께 膏(고)에 넣어 使用(사용)하면 神效(신효)가 있다. 그런데도 外科醫(외과의)가 아직껏 錄用(녹용)하지 않고 있는 것은 무슨 까닭인지 알 수가 없다.
【附方】
舊二,新三。
肺癰唾濁,心胸甲錯︰取夜合皮一掌大,水三升,煮取一半,分二服。(韋宙《獨行方》)。
撲損折骨︰夜合樹皮(即合歡皮,去粗皮,炒黑色)四兩,芥菜子(炒)一兩,為末。每服二錢,溫酒臥時服,以滓敷之,接骨甚妙。(王 《百一選方》)
發落不生︰合歡木灰二合,牆衣五合,鐵精一合,水萍末二合,研勻,生油調塗,一夜一次。(《普濟方》)。
小兒撮口︰夜合花枝濃煮汁,拭口中,並洗之。(《子母秘錄》)
中風攣縮夜合枝酒:夜合枝、柏枝、槐枝、桑枝、石榴枝各五兩(並生銼)。糯米五升,黑豆五升,羌活二兩,七斤半。先以水五鬥煎五枝,取二鬥五升,浸米、豆蒸熟,入曲與防風、羌活如常釀酒法,封三七日,壓汁。
每飲五合,勿過醉致吐,常令有酒氣也。(《奇效良良方》。
[本草綱目(본초강목)]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교(秦艽)[본초강목] (1) | 2024.01.31 |
---|---|
산두근(山豆根)[본초강목] (1) | 2024.01.31 |
자단(紫檀)[본초강목] (1) | 2024.01.02 |
영릉향(零陵香)[본초강목] (2) | 2023.12.23 |
황촉규(黃蜀葵)[본초강목] (0) | 2023.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