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릉향(零陵香)[본초강목]

2023. 12. 23. 20:46[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영릉향(零陵香)[본초강목]

 

 

^^^^^^^^^^^^^^^^^^^^^^^^^^^^^^^^^^^^^^^^^^^^^^^^^^^^^^^^^^^^^^^^^^^^^^^^^^^^^^

 

 

薰草 別錄中品零陵香開寶》)

 

 

 

釋名

 

蕙草(《別錄》)香草(《開寶》)燕草綱目黃零草玉冊》。

 

時珍曰古者燒香草以降神故曰薰曰蕙薰者熏也蕙者和也

 

古代(고대)에는 香草(향초)를 구워 ()降下(강하)한 것이라 한 데서 ()이라고 하고, ()라 하는 것으로서 ()()이 되며, ()()가 된다.

 

 

漢書薰以香自燒是矣或雲古人祓除以此草熏之故謂之薰亦通

 

漢書(한서)()香氣(향기)가 있기 때문에 절로 그 몸을 불사른다.” 라고 한 것은 이것이다. 혹은 古代(고대)에서는 祓除(불제)儀式(의식)에 이 ()()하였기 때문에 이것을 ()이라고 한 것이다.” 라고도 한다. 이것으로도 意味(의미)()한다.

 

 

範成大虞衡志零陵即今永州不出此香惟融宜等州甚多土人以編席薦性暖宜人謹按零陵舊治在今全州全乃湘水之源多生此香今人呼為廣零陵香者乃真薰草也

 

範成大(범성대)虞衡志(우형지)에는 零陵(영릉)은 지금의 永州(영주)땅이다. ()은 나지 않는다. 단지 融州(융주), 宜州(의주) 등에 매우 많으며, 地方民(지방민)은 이것으로 席薦(석천)을 짠다. ()()한 것으로서 人體(인체)에 좋은 것이다.” 라고 하는데, 생각해보면 零陵(영릉)의 옛날 所轄廳(소할청)은 지금의 全州(전주)에 있는 것이다. 全州(전주)湘水(상수)水源地(수원지)로서 그 ()이 많이 ()한다. 요즘 世間(세간)에서 廣零陵香(광영릉향)이라 불리고 있는 것이 즉, ()薰草(훈초)이다.

 

 

若永州道州武岡州皆零陵屬地也今鎮江丹陽皆蒔而刈之以酒灑製貨之芬香更烈謂之香草與蘭草同稱

 

永州(영주), 道州(도주), 武岡州(무강주) 등은 모두 零陵(영릉) 管轄下(관할하)屬地(속지)였다. 지금은 鎮江(진강)(영릉) 丹陽(단양) 등지에서 栽培(재배)하고 베어 거둬들이면 술을 뿌려서 修治(수치)하여 賣出(매출)하고 있다. 芬香(분향)이 더욱 ()해지는 것이다. 이것을 蘭草(난초)와 똑같이 香草(향초)라고 부른다.

 

 

楚辭既滋蘭之九畹又樹蕙之百畝則古人皆栽之矣

 

楚辭(초사)에 이미 滋蘭(자란)九畹(구원)” 또는 樹蕙(수혜)百畝(백무)” 또는 九畹(구원)" 등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古代(고대)에도 이것을 栽培(재배)하고 있었다.

 

 

張揖廣雅薰也其葉謂之蕙而黃山穀言一幹數花者為蕙蓋因不識蘭草蕙草強以蘭花為分別也鄭樵修本草》,言蘭即蕙蕙即零陵香亦是臆見殊欠分明

 

張揖(장음)廣雅(광아)에는 ()()이며, ()()라 한다.” 라고 하엿으나, 그것은 蘭草(난초), 蕙草(혜초)에 대한 智識(지식)이 없는 탓이며, 굳이 蘭花中(난화중)에서 區別(구별)하려 試驗(시험)한 것에 不過(불과)하다. 鄭樵(정초)本草(본초)()하면서 ()은 즉 ()이고, ()는 즉 零陵香(영릉향)이다.” 라고 한 것도 역시 臆見(억견)이다. 全然(전연) 明確(명확)說明(설명)이 아니다.

 

 

但蘭草蕙草乃一類二種耳

 

단지 蘭草(난초), 蕙草(혜초)라는 것은 一類(일류) ()二種(이종)不過(불과)한 것이다.

 

 

集解

 

別錄薰草一名蕙草生下濕地三月採陰乾脫節者良又曰蕙實生魯山平澤

 

弘景曰︰《桐君藥錄》︰薰草葉如麻兩兩相對。《山海經浮山有草麻葉而方莖赤華而黑實氣如蘼蕪名曰薰草可以已癘今俗人皆呼燕草狀如茅而香者為薰草人家頗種之者非也詩書家多用蕙而竟不知是何草尚其名而迷其實皆此類也

 

藏器曰薰草即是零陵香薰乃蕙草根也

 

志曰零陵香生零陵山穀葉如羅勒。《南越志土人名燕草又名薰草即香草也。《山海經薰草即是此

 

頌曰零陵香今湖嶺諸州皆有之多生下濕地葉如麻兩兩相對莖方常以七月中旬開花至香古雲薰草是也嶺南人皆作窯灶以火炭焙乾令黃色乃佳江淮亦有土生者亦可作香但不及湖嶺者至枯槁香尤芬熏耳古方但用薰草不用零陵香今合香家及面 脂澡豆諸法皆用之都下市肆貨之甚便

 

時珍曰今惟吳人栽造貨之亦廣

 

薰草

 

(《別錄中品

 

氣味

 

無毒

權曰無毒

珣曰無毒不宜多服令人氣喘〔《玉冊伏三黃朱砂

 

多服(다복)하면 안 된다. 사람을 氣喘(기천)하게 한다. 玉冊(옥책)에서는 三黃(삼황), 朱砂(주사)()한다.

 

 

主治

 

明目止淚療泄精去臭惡氣傷寒頭痛上氣腰痛(《別錄》)。

 

明目(명목)하고, 止淚(지루)하며, 泄精(설정)()하며, 臭惡(취악)()()한다. 傷寒(상한), 頭痛(두통), 上氣(상기), 腰痛(요통)

 

 

單用治鼻 中息肉甄權)。

 

單用(단용)하면 鼻中(비중)息肉(식육), 鼻齆(비옹)()한다.

 

零陵香主惡氣疰心腹痛滿下氣令體香和諸香作湯丸用得酒良(《開寶》)。

 

零陵香(영릉향)惡氣(악기), 心腹痛滿(심복통만)主效(주효)가 있으며, 下氣(하기)하고 身體(신체)香氣(향기)롭게 한다. 諸香(제향)調和(조화)해서 (), ()을 만들어 使用(사용)한다. 良好(양호)結果(결과)()한다.

 

 

主風邪沖心虛勞疳䘌得升麻細辛煎飲治牙齒腫痛善李珣)。

 

風邪(풍사)衝心(충심), 虛勞(허로), 疳䘌(감닉)主效(주효)가 있다. 升麻(승마), 細辛(세신)과 함께 달여 마시면 牙齒(아치)腫痛(종통)治療(치료)하는데 좋다.

 

 

治血氣腹脹莖葉煎酒服大明)。

 

血氣(혈기), 腹脹(복창)()할때에는 莖葉(경엽)을 술로 달여서 服用(복용)한다.

 

 

婦人浸油飾發香無以加 (宗奭)

 

婦人(부인)의 머리를 裝飾(장식)할 때 이것을 기름에 적셔서 사용한다. 以上(이상)의 좋은 ()은 없다.

 

 

發明

 

時珍曰薰草芳馨其氣辛散上達故心腹惡氣齒痛鼻塞皆用之脾胃喜芳 香芳香可以養鼻是也多服作喘為能耗散真氣也

 

薰草(훈초)芳馨(방형)()(), ()作用(작용)上部(상부)()하기 때문에 심복악기(心腹惡氣), 치통(齒痛), 비색(鼻塞) 등에 모두 이것을 사용한다. 비위(脾胃)는 방향(芳香)을 좋아 한다. 방향(芳香)으로 비()를 양()한다는 것은 바로 이것이다. 다복(多服)하면 천()을 일으키는데 능()히 진기(眞氣)를 모산(耗散)하기 때문이다.

 

附方新十

 

傷寒下痢蕙草湯用蕙草當歸各二兩黃連四兩水六升煮二升服日三服。(《範汪方》)

傷寒狐惑食肛者蕙草黃連各四兩以白酸漿一鬥漬一宿煮取二升分三服。(《短劇方》)

頭風旋運痰逆惡心懶食真零陵香霍香葉莎草根等分為末每服二錢茶下日三服。(《本事方》)

小兒鼻塞頭熱用薰草一兩羊髓三兩銚 內慢火熬成膏去滓日摩背上三四次。(《聖惠方》)

頭風白屑零陵香白芷等分水煎汁入雞子白攪勻敷數十次終身不生。(《聖惠方》)。

牙齒疼痛零陵香梗葉煎水含漱之。(《普濟方》)

風牙疳牙零陵香洗炙)、蓽茇等分為末摻之。(《普濟方》)

夢遺失精薰草湯用薰草人參白朮白芍藥生地黃各二兩茯神桂心甘草各二兩大棗十二枚水八升煮三升分二服。(《外台秘要》)

婦人斷產零陵香為末酒服二錢每服至一兩即一年絕孕蓋血聞香即散也。(《醫林集要》)

五色諸痢返魂丹用零陵香草去根以鹽酒浸半月炒乾每兩入廣木香一錢半為末裡急腹痛者用冷水服一錢半通了三四次用熱米湯服一錢半止痢只忌生梨一味。(《集簡方》)

 

 

 

 

蕙實別錄有名未用部

 

 

藏器曰:即蘭蕙之蕙也五月采之辛香

 

蘭蕙(난혜)()이다. 五月(오월)採收(채수)한다. ()하고 香氣(향기)롭다.

 

氣味

 

無毒

 

 

 

主治

 

明目補中(《別錄》)。

 

明目(명목)하고 補中(보중)한다.

 

 

根莖中涕

 

主治

 

傷寒寒熱出汗中風面腫消渴熱中逐水(《別錄》)。

 

傷寒寒熱(상한한열)出汗(출한), 中風(중풍), 面腫(면종), 消渴(소갈), 熱中(열중), 水氣(수기)를 쫓는다.

 

 

主五痔脫肛有蟲時珍千金》)。

 

五痔脫肛(오치탈항)()이 있는 ()에게 主效(주효)가 있다. 千金方(천금방)記載(기재)되어 있다.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