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2. 12. 18:48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촉규(蜀葵)[본초강목]
^^^^^^^^^^^^^^^^^^^^^^^^^^^^^^^^^^^^^^^^^^^^^^^^^^^^^^^^^^^^^^^^^^^^^^^^^^^^^^
蜀葵
(宋《嘉祐》)
【校正】
自菜部移入此。並入有名未用《別錄》吳葵華。
【釋名】
戎葵(《爾雅》)、吳葵。
藏器曰︰《爾雅》雲︰菺,戎葵也。郭璞注雲︰今蜀葵也。葉似葵,花如木槿花。戎蜀其所自來,因以名之。
爾雅(이아)에 “菺(견)은 戎葵(융규)이다.”라고 하며, 郭璞(곽박)의 註(주)에 “지금의 蜀葵(촉규)이다. 葉(엽)은 葵(규)와 유사하고 꽃은 木槿花(목근화)와 같다. 戎(융)이라고 하고 蜀(촉)이라 하는 것은 거기에서 由來(유래)되어 名稱(명칭)이 된 것이다.” 라고 되어 있다.
時珍曰︰羅願《爾雅翼》︰吳葵作胡葵,雲胡,戎也。《夏小正》雲︰四月小滿後五日,吳葵華,《別錄》吳葵,即此也。而唐人不知,退入有名未用。《嘉佑本草》重於菜部出蜀葵條。蓋未讀《爾雅注》及《千金方》,吳葵一名蜀葵之文故也。今並為一。
羅願(나원)의 爾雅翼(이아익)에는 吳葵(오규)를 胡葵(호규)라 書記(서기)하여 “胡(호)는 戎(융)이라는 뜻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夏小正(하소정)에는 “四月(사월)의 小滿(소만) 後(후) 五日(오일)에 吳葵(오규)의 꽆이 핀다.”라고 되어 있다. 別錄(별록)의 吳葵(오규)가 바로 이것이다. 그러나 唐代(당대)의 사람들은 그것을 몰랐으며 뒤늦게 有名未用(유명미용)의 部(부)에 넣었고, 嘉佑本草(가우본초)에서는 重複(중복)하여 菜部(채부)에 蜀葵(촉규) 一條(일조)를 記載(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爾雅註(이아주) 및 千金方(천금방)의 “吳葵(오규) 一名(일명) 蜀葵(촉규)”라 한 記述(기술)을 보지 못한 것 같다. 지금 여기에 倂記(병기)한다.
【集解】
頌曰︰蜀葵似葵,花如木槿花,有五色。小花者名錦葵,功用更強。
時珍曰︰蜀葵處處人家植之。春初種子,冬月宿根亦自生苗,嫩時亦可茹食。葉似葵菜而大,亦似絲瓜葉,有岐叉。過小滿後長莖,高五、六尺。花似木槿而大,有深紅淺紅紫黑白色、單葉千葉之異。昔人謂其疏莖密葉、翠萼艷花、金粉檀心者,頗善狀之。惟紅、白二色入藥。其實大如指頭,皮薄而扁,內仁如馬兜鈴仁及蕪荑仁,輕虛易種。其秸剝皮,可緝布作繩。一種小者名錦葵,即荊葵也。《爾雅》謂之 (音喬)。其銖錢,粉紅色,有紫縷紋。掌禹錫《補注本草》,謂此即戎葵,非矣。然功用亦相似。
苗
【氣味】
甘,微寒,滑,無毒。
思邈曰︰不可久食,鈍人志性。若被狗嚙者食之,永不瘥也。
久食(구식)해서는 안 된다. 사람의 意志(의지)와 性(성)을 鈍(둔)하게 한다. 개에게 물린 후에 이것을 먹게 되면 오래도록 낫지 않는다.
李廷飛曰︰合豬肉食,人無顏色。
豬肉(저육)과 함께 먹게 되면 얼굴의 色澤(색택)이 없어진다.
【主治】
除客熱,利腸胃(思邈)。
客熱(객열)을 除(제)하고 腸胃(장위)를 利(이)한다.
煮食,治丹石發熱 大小人熱毒下,(藏器)。
煮食(자식)하면 丹石(단석)의 發熱(발열), 成人(성인), 小兒(소아)의 熱毒下痢(열독하리)를 治(치)한다.
作蔬食,滑竅治淋,潤燥易產(時珍)。
蔬(소)로 해서 먹으면 滑竅(활규)하고, 淋(임)을 治(치)하며, 潤燥(윤조)하고, 分娩(분만)을 容易(용이)하게 한다.
搗爛塗火瘡,燒研敷金瘡(大明)。
搗爛(도란)해서 火瘡(화창)에 바르고 燒硏(소연)해서 金瘡(금창)에 傅(부)한다.
根莖
【主治】
客熱,利小便,散膿血惡汁(藏器)。
客熱(객열), 小便(소변)을 利(이)하고 膿血(농혈), 惡汁(악즙)을 散(산)한다.
【發明】
宗奭曰︰蜀葵,四時取紅色、單葉者根,陰乾,治帶下,排膿血惡物, 有效驗.
蜀葵(촉규)의 四時紅色(사시홍색)으로 單葉(단엽)인 것의 根(근)을 陰乾(음건)하여 帶下(대하)를 治(치)하는데 쓰게 되면 膿血(농혈), 惡物(오물)을 排(배)하는 데에 매우 效驗(효험)이 있다.
【附方】新七。
小便淋痛︰葵花根洗銼,水煎五七沸,服之如神。(《衛生寶鑒》)
小便血淋︰葵花根二錢,車前子一錢,水煮,日服之。(《簡便單方》)
小便尿血︰葵莖,無灰酒服方寸匕,日三。(《千金》)
腸胃生癰︰懷忠丹︰治內癰有敗血,腥穢殊甚,臍腹冷痛,用此排膿下血︰單葉紅蜀葵根、白芷各一兩,白枯礬、白芍藥各五錢。為末,黃蠟溶化,和丸梧子大,每空心米飲下二十丸。待膿血出盡,服十宣散補之。(《坦仙皆效方》)
不可忍者︰葵花根(去黑皮),搗爛,入井華水調稠貼之。(《普濟方》)。
小兒吻瘡,經年欲腐︰葵根燒研敷之。(《聖惠方》)
小兒口瘡︰赤葵莖(炙乾)為末,蜜和含之。(《聖惠方》)
吳葵華(《別錄》)
【氣味】
鹹,寒,無毒。
《禹錫》曰︰蜀葵華︰甘,冷,無毒。
【主治】
理心氣不足(《別錄》)。
心氣不足(심기부족)을 理(이)한다.
小兒風疹痎瘧(《嘉祐》)。
小兒(소아)의 風疹(풍진), 痎瘧(해학)
治帶下,目中溜火,和血潤燥,通竅,利大小腸(時珍)。
帶下(대하), 目中(목중)의 溜火(유화)를 治癒(치유)하고, 和血(화혈)하며, 潤燥(윤조)하고, 通規(통규)하며 大小腸(대소장)을 利(이)한다.
【發明】
張元素曰︰蜀葵花,陰中之陽也。赤者治赤帶;白者治白帶;赤者治血燥;白者治氣燥,皆取其寒滑潤利之功也。又紫葵花,入染髭髮方中用。
蜀葵花(촉규화)는 陰中(음중)의 陽(양)으로 붉은 것은 赤帶(적대)를 治(치)하고, 하얀 것은 白帶(백대)를 治(치)하며, 붉은 것은 血燥(혈조)를 治(치)하고, 흰 것은 氣燥(기조)를 治(치)한다. 어느 것이나 그 寒(한), 滑(활), 潤(윤), 利(이)의 功力(공력)을 應用(응용)하는 것이다. 또 紫葵花(자규화)는 髭髮(자발)을 물들이는 方(방)에 넣어 쓴다.
【附方】舊三,新四。
二、三日則殺人︰蜀葵花一兩(搗爛),麝香半錢。水一大盞,煎服。根亦可用。 瘧邪熱︰蜀葵花白者,陰乾為末,服之。午日取花 手,亦能去瘧。(蘇頌《圖經本草》)
婦人帶下,臍腹冷痛,面色痿黃,日漸虛困︰用葵花一兩,陰乾為末,每空心溫酒服二錢匕。赤帶用赤葵,白帶用白葵。(《聖惠方》)
橫生倒產︰葵花為末,酒服方寸匕。(《千金方》)
酒渣赤鼻︰蜀葵花研末,臘豬脂和勻,夜敷旦洗。(《仁存方》)
誤吞針錢︰葵花煮汁服之。(《普濟方》)
蜂蠍螫毒︰五月五日午時,收蜀葵花、石榴花、艾心等分,陰乾為末,水調塗之。(《肘後
子
【氣味】
甘,冷,無毒。
【主治】
淋澀,通小腸,催生落胎,療水腫,治一切瘡疥並瘢疵赤靨(大明)。
淋澀(임삽)하는 것, 小腸(소장)을 通(통)하고 分娩(분만)을 催促(최촉)하며, 落胎(낙태)하고, 水腫(수종)을 療(요)하며, 一切(일체)의 瘡疥(창개)및 瘢疵(반자), 赤靨(적엽)을 治療(치료)한다.
【發明】
時珍曰︰按︰楊士瀛《直指方》雲︰蜀葵子炒,入宣毒藥中最驗。
살펴보면 楊士瀛(양사영)의 直指方(직지방)에 “蜀葵子(촉규자)는 몪아서 宣毒藥(선독약) 속에 넣으면 가장 效驗(효험)이 있다.
又催生方︰用子二錢,滑石三錢,為末。順流水服五錢,即下。
또 催生方(최생방)에 子(자) 二錢(이전), 滑石(활석) 三錢(삼전)을 作末(작말)하여 流水(유수)로 五錢(오전)을 服用(복용)하면 下(하)한다.” 라고 되어 있다.
【附方】舊一,新二。
大小便閉不通者︰用白花胡葵子為末,煮濃汁服之。(《千金方》)
石淋破血︰五月五日,收葵子炒研,食前溫酒下一錢,當下石出。(《聖惠方》)
癰腫無頭︰蜀葵子為末,水調敷之。(《經驗後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규자(冬葵子)[본초강목] (1) | 2023.12.12 |
---|---|
경마자(檾麻子)[본초강목] (1) | 2023.12.12 |
담마(蕁麻)[본초강목] (1) | 2023.12.04 |
저마근(苧麻根)[본초강목] (1) | 2023.12.04 |
해동피(海桐皮)[본초강목] (0) | 2023.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