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마(蕁麻)[본초강목]

2023. 12. 4. 22:04[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담마(蕁麻)[본초강목]

 

 

 

애기쐐기풀/담마(蕁麻)

 

 

 

애기쐐기풀

 

이명:작은잎쐐기풀, 아기쐐기풀, 쐐기풀

학명:Urtica laetevirens Maxim

분류군:Urticaceae(쐐기풀과)

일명:コバノイラクサ(Kobano ira kusa)

영명:Broadleaf Nettle

 

잎은 대생하고 밝은 녹색이며 길이 5-10cm, 나비 2.5cm이고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과 선점이 있다. 엽병은 잎 길이의 1/3이상이고 탁엽은 4개이며 길이 6-7mm로서 선형이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 녹색이고 길이 2mm정도이며 난상 원형이다.

 

꽃은 일가화로서 7-10월에 피고 녹색이며 웅화서는 가지 끝에, 자화서는 밑부분에 달린다. 꽃부분은 4수이고 수꽃은 지름 2mm정도이다.

 

줄기

높이 50-10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위를 향한 잔털이 있고 여러대가 한군데에서 나오며 가지가 갈라져서 큰 포기로 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50-100cm로 자란다.

 

 

 

 

생육환경

산간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결실기

9,10

 

 

이용방안

 

가는잎쐐기풀, 애기쐐기풀의 전초(全草)蕁麻(담마), ()蕁麻根(담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蕁麻(담마)

전초를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전초에는 다종의 비타민과 tannin이 함유되어 있고, 경피(莖皮)에는 蟻酸(의산), 酪酸(락산) 및 자극성이 있는 산성 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류머티즘에 의한 疼痛(동통), 소아마비, 産後抽風(산후추풍), 疝痛(산통), 小兒驚風(소아경풍), 蕁麻疹(담마진)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하거나 고기와 같이 삶아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혹은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蕁麻根(담마근)

약효 : 祛風(거풍), 活血(활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疼痛(동통), 고혈압, 수족마비, 습진, 痲風(마풍-Hansen씨병)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유사종

가는잎쐐기풀(U. angustifolia Fischer): 줄기는 둔한 사각형, 잎은 긴 타원형, 피침형, 길이 6-12, 양 면에 털이 약간 있다.

쐐기풀(U. thunbergiana S. et Z.): 줄기에 능선이 있다. 잎은 난형, 난상 원형, 길이 5-12, 표면에 황색의 드문 털, 뒷면 맥위에 짧은 털이 있다.

 

특징

온몸에 쐐기 가시털이 퍼져 난다.

 

 

 

 

 

 

 

 

학명 Urtica laetevirens Maxim.

Bull. Acad. Imp. Sci. Saint-Petersbourg 22 : 236 (1877)

1. Urtica cyanescens Kom.

Fl. URSS 5 : 392, 714 (193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Urtica pachyrrhachis Hand.-Mazz.

Symb. Sin. 7 : 113 (192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Urtica silvatica Hand.-Mazz.

Symb. Sin. 7 : 113 (192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Urtica thunberiana Siebold & Zucc.

Bot. Jahrb. 29 : 301 (Diels, 190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애기쐐기풀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쐐기풀

2. 아기쐐기풀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작은잎쐐기풀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영문명 : Broadleaf Nettle

일본명 : コバノイラクサ

북한명 : 쐐기풀

 

 

 

 

Urtica laetevirens Maxim.

Bull. Acad. Petersb. xxii. (1877) 236.

xxii. (1877) 236. 0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寬葉蕁麻(관엽담마)

Urtica laetevirens Maxim.

 

異名(이명)

 

Urtica laetevirens subsp. dentata (Hand.-Mazz.) C. J. Chen

Urtica silvatica Hand.-Mazz.

Urtica dentata Hand.-Mazz.

Urtica pachyrrhachis Hand.-Mazz.

 

 

多年生草本莖高40-100厘米疏生螫毛和微柔毛不分枝或分枝葉對生葉片狹卵形至寬卵形4-9厘米2.5-4.5厘米先端短漸尖至長漸尖基部寬楔形或圓形邊緣有銳牙齒兩面疏生短毛基出脈3葉柄長1-3厘米托葉離生條狀披針形雌雄同株雄花序生於莖上部長約達8厘米雄花花被片4雄蕊4;雌花序生於雄花序之下較短雌花花被片4柱頭畫筆頭狀瘦果卵形稍扁長達1.5毫米

 

分布在華北和東北朝鮮日本也有生於山地林下或溝邊莖皮纖維供紡織和制繩索用全草供藥用治風濕蟲咬等

 

 

&&&&&&&&&&&&&&&&&&&&&&&&&&&&&&&&&&&&&&&&&&&&&&&&&&&&&&&&&&&&&

 

가는잎쐐기풀/담마(蕁麻)

 

 

가는잎쐐기풀

 

이명:가는쐐기풀, 꼬리쐐기풀

학명: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분류군:Urticaceae(쐐기풀과)

일본명:ホソバイラクサ(Hosoba ira kusa)

영명:Narrowleaf Nettle

 

잎은 대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6-12cm, 나비 1.5-5cm로서 짙은 녹색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둥글며 양면에 털이 그다지 많지 않고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짧은 털이 있거나 없으며 기부 양쪽의 탁엽은 4개로서 길이 7-8mm이고 선형이다.

 

 

열매

수과는 납작한 난형으로 길이 1mm 가량이고 매끈하며 8-9월에 성숙한다.

 

꽃은 대개 일가화로서 7-8월에 피고 녹색이며 수상화서는 각 엽액에서 2개씩 나오고 윗부분에서 나온 화서에는 암꽃, 밑부분에서 나온 화서에는 수꽃이 달린다. 수꽃은 화피열편과 수술이 각각 4개이다. 자화서(雌花序)는 액생하며 암꽃은 4개의 화피열편과 1개의 암술이 있다. 화피는 숙존한다.

 

줄기

높이 50-100cm이고 가지가 다소 갈라지며 총생하고 둔하게 네모지며 자모(刺毛)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50-100cm이다.

 

 

 

 

생육환경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줄기의 섬유는 직포와 펄프공업에 쓰인다.

가는잎쐐기풀, 애기쐐기풀의 전초(全草)蕁麻(담마), ()蕁麻根(담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蕁麻(담마)

전초를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전초에는 다종의 비타민과 tannin이 함유되어 있고, 莖皮(경피)에는 蟻酸(의산), 酪酸(락산) 및 자극성이 있는 산성 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류머티즘에 의한 疼痛(동통), 소아마비, 産後抽風(산후추풍), 疝痛(산통), 小兒驚風(소아경풍), 蕁麻疹(담마진)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하거나 고기와 같이 삶아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혹은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蕁麻根(담마근)

약효 : 祛風(거풍), 活血(활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疼痛(동통), 고혈압, 수족마비, 습진, 痲風(마풍-Hansen씨병)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유사종

애기쐐기풀(U. laetevirens Maxim.): 줄기는 네모지며 위를 향한 잔털이 있다. 잎은 길이 5-10, 난형,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 양면에 털과 선점이 있다.

쐐기풀(U. thunbergiana S. et Z.): 줄기에 능선이 있다. 잎은 난형, 난상 원형, 길이 5-12, 표면에 황색의 드문 털, 뒷면 맥위에 짧은 털이 있다

 

 

 

 

 

 

 

 

 

학명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Suppl. Hort. Hafn. 107 (1819)

1. Urtica dioica var. angustifolia Ledeb.

Fl. altaic. 4 : 240 (1833)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Urtica foliosa Blume

Mus. Bot. 2 : 142 (Blume, 1856)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가는잎쐐기풀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가는쐐기풀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꼬리쐐기풀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영문명 : Narrowleaf Nettle

일본명 : ホソバイラクサ

북한명 : 가는잎쐐기풀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Suppl. Hort. Bot. Hafn. 107. 1819

107 1819

Links:

basionym of:Urticaceae Urtica dioica L. var.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Ledeb. Fl. Altaic. [Ledebour]. 4: 241. 1833 [Jul-Dec 1833]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狹葉蕁麻(협엽담마)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異名(이명)

Urtica foliosa Blume

 

 

 

多年生草本莖高40-150厘米四稜形有螫毛分枝或不分枝葉對生葉片披針形或狹卵形4-10厘米1.2-2.8厘米先端漸尖基部圓形邊緣有尖牙齒上面疏生短毛下面沿脈有疏生短毛葉柄長0.5-2厘米托葉分生條形雌雄異株花序約長達4厘米多分枝雄花直徑約2毫米花被片4雄蕊4;雌花較雄花小花被片4在果期增大柱頭畫筆頭狀瘦果卵形長約1毫米光滑

 

 

分布在山西河北內蒙古遼寧吉林和黑龍江朝鮮蘇聯西伯利亞地區日本也有生於山地林邊或溝邊莖皮纖維是很好的紡織品和紙張原料葉含鞣質可提制栲膠民間供藥用

 

 

&&&&&&&&&&&&&&&&&&&&&&&&&&&&&&&&&&&&&&&&&&&&&&&&&&&&&

 

 

담마(蕁麻)/담마(蕁麻)

 

蕁麻(담마)

Urtica fissa E. Pritz.

 

異名(이명)

Urtica pinfaensis H. Lév. et Blin.

 

 

 

 

多年生草本莖高60-100厘米生螫毛和反曲的微柔毛葉對生葉片寬卵形或近五角形長及寬均5-12厘米先端漸尖基部圓形或淺心形近掌狀淺裂裂片三角形有不規則牙齒下面生微柔毛沿脈生螫毛葉柄長1-7厘米托葉合生卵形雌雄同株或異株雄花序長約達10厘米生稀疏分枝在雌雄同株時生雌花序之下雄花直徑約2.5毫米4花被片雌花序較短分枝極短雌花小長約0.4毫米柱頭畫筆頭狀分布在雲南中部貴州四川東南部湖北和浙江生於山地林中或路邊

 

 

 

Urtica fissa E.Pritz. ex Diels

Bot. Jahrb. Syst. 29(2): 301. 1900 [4 Sep 1900]

29(2): 301 1900

Original Data:

Notes: China

 

 

 

&&&&&&&&&&&&&&&&&&&&&&&&&&&&&&&&&&&&&&&&&&&&&&&&&&&&

 

 

마엽담마(麻葉蕁麻)/담마(蕁麻)

 

 

 

마엽담마(麻葉蕁麻)

Urtica cannabina Linn.

 

 

 

異名(이명)

Urtica cannabina f. angustiloba Chu

 

 

 

 

多年生草本莖高達150厘米有稜生螫毛和緊貼的微柔毛葉對生葉片輪廓五角形4-12厘米3.5-12厘米3深裂或3全裂一回裂片再羽狀深裂兩面疏生短柔毛下面疏生螫毛葉柄長2-8厘米托葉離生狹三角形雌雄同株或異株花序長達12厘米雄花序多分枝雄花直徑約2毫米花被片4雄蕊4;雌花花被片花後增大長達2.5毫米有短柔毛和少數螫毛柱頭畫筆頭狀瘦果卵形長約2毫米光滑

 

分布在西北華北東北蒙古蘇聯西伯利亞地區歐洲也有生於幹燥山坡或沙丘坡上莖皮纖維可作紡織原料全草可人藥治風濕解蟲咬等小堅果含油約20%供工業用

 

 

 

 

Urtica cannabina L.

Sp. Pl. 2: 984. 1753 [1 May 1753] View page [BHL]

2: 984 1753

Original Data:

Notes: As. bor.; Persia

 

 

 

출처:IPNI

 

^^^^^^^^^^^^^^^^^^^^^^^^^^^^^^^^^^^^^^^^^^^^^^^^^^^^^^^^^^^^^^^^^^^^^^

蕁麻

 

圖經》)

 

 

釋名

 

毛䕭

 

時珍曰蕁字本作䕭杜子美有除蕹草詩是也

 

蕁字(담자)는 원래 ()이라고 쓴다. 杜子美(두자미)()蕹草(옹초)()하는 ()라는 것이 있다. ()를 가리킨다.

 

 

集解

 

頌曰麻生江寧府山野中

 

時珍曰川黔諸處甚多其莖有刺高二三尺葉似花桑或青或紫背紫者入藥上有毛芒可畏觸人如蜂蠆螫 以人溺濯之即解有花無實冒冬不凋投水中能毒魚

 

氣味

 

有大毒吐利人不止

 

 

主治

 

蛇毒搗塗之蘇頌)。

 

蛇毒(사독)에 찧어서 바른다.

 

 

風疹初起以此點之一夜皆失時珍)。

 

風疹(풍진)初起(초기), 이것을 붙이면 一夜(일야)에 모두 없어진다.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