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0. 5. 22:52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숭채(菘菜)[본초강목]
^^^^^^^^^^^^^^^^^^^^^^^^^^^^^^^^^^^^^^^^^^^^^^^^^^^^^^^^^^^^^^^^^^^
菘
(《別錄》上品)
【釋名】
白菜
時珍曰︰按︰陸佃《埤雅》雲︰菘性淩冬晚凋,四時常見,有松之操,故曰菘。今俗謂之白菜,其色青白也。
陸田(육전)의 埤雅(비아)에는 “菘(숭)은 性(성)이 겨울을 견디고 늦게 시들며, 四時(사시) 언제나 볼 수 있어 松操(송조)가 있다. 그래서 菘(숭)이라고 한 것이다.” 라고 하였다. 오늘날 俗間(속간)에서는 이것을 白菜(백채)라고 한다. 그 色(색)은 靑白(청백)하다.
【集解】
弘景曰︰菘有數種,猶是一類,只論其美與不美,菜中最為常食。
宗奭曰︰菘葉如蕪菁,綠色差淡,其味微苦,葉嫩稍闊。
頌曰︰揚州一種菘葉,圓而大,或若 ,啖之無渣,絕勝他土者,疑即牛肚菘也。
時珍曰︰菘(即今人呼為白菜者)有二種︰一種莖圓濃微青,一種莖扁薄而白。其葉皆淡青白色。燕、趙、遼陽、揚州所種者,最肥大而濃,一本有重十餘斤者。南方之菘畦內過冬,北方者多入窖內。燕京圃人又以馬糞入窖壅培,不見風日,長出苗葉皆嫩黃色,脆美無滓,謂之黃芽菜,豪貴以為嘉品,蓋亦仿韭黃之法也。菘子如芸苔子而色灰黑,八月以後種之。
二月開黃花,如芥花,四瓣。三月結角,亦如芥。其菜作菹食尤良,不宜蒸曬。
【正誤】
恭曰︰菘有三種︰牛肚菘葉最大濃,味甘;紫菘葉薄細,味少苦;白菘似蔓荊也。菘菜 不生北土。有人將子北種,初一年即半為蕪菁,二年菘種都絕;將蕪菁子南種,亦二年都變。土地所宜如此。
頌曰︰菘,今南北皆有之。與蔓荊相類,梗長葉不光者為蕪菁,梗短葉闊濃而肥腴者為菘。舊說北土無菘,今京洛種菘都類南種,但肥濃差不及爾。
機曰︰蔓荊、菘菜恐是一種。但在南土,葉高而大者為菘,秋冬有之;在北土,葉短而小者為蔓荊,春夏有之。
時珍曰︰白菘,即白菜也。牛肚菘,即最肥大者。紫菘即蘆菔也,開紫花,故曰紫菘。蘇恭謂白菘似蔓荊者,誤矣。根葉俱不同,而白菘根堅小,不可食。又言南北變種者,蓋指蔓荊、紫菘而言。紫菘根似蔓荊而葉不同,種類亦別。又言北土無菘者,自唐以前或然,近則白菘、紫菘南北通有。惟南土不種蔓荊,種之亦易生也。蘇頌漫為兩可之言,汪機妄起 臆斷之辨,俱屬謬誤,今悉正之。
莖葉
【氣味】
甘,溫,無毒。
大明曰︰涼,微毒。多食發皮膚風瘙癢。
涼(량)하고 微毒(미독)이 있다. 多食(다식)하면 皮膚(피부)의 風瘙癢(풍소양)을 일으킨다.
詵曰︰發風冷內虛人不可食,有熱人食亦不發病,性冷可知。《本草》言性溫,未解其意。
風冷(풍랭)을 發(발)한다. 內虛(내허)한 사람이 먹어서는 안 된다. 熱(열)이 있는 사람이 먹어서 전혀 發病(발병)하지 않는 것을 보면 性(성)이 冷(냉)하다는 것을 首肯(수긍)할 수 있다. 本草(본초)에서는 性(성)이 溫(온)하다고 하였는데 그 까닭을 알 수 없다.
弘景曰︰性和利人,多食似小冷。張仲景言藥中有甘草,食菘即令病不除也。
性(성)이 和(화)한 것으로서 사람을 利(이)하나 多食(다식)하면 약간 冷(냉)하다. 張仲景(장중경)은 “藥中(약중)에 甘草(감초)가 있더라도 菘(숭)을 먹으면 病(병)을 除去(제거) 할 수 없게 된다.”라고 하였다.
頌曰︰有小毒不可食多,多則以生薑解之。
小毒(소독)이 있다. 多食(다식)해서는 안 된다. 多食(다식)하더라도 生薑(생강)을 먹으면 解消(해소)된다.
瑞曰︰夏至前食,發氣動疾。有足疾者忌之。
夏至(하지) 前(전)에 먹으면 發氣(발기)하고, 動疾(동질)한다. 足疾(족질)이 있는 者(자)는 이를 忌(기)한다.
時珍曰︰氣虛胃冷人多食,惡心吐沫,氣壯人則相宜。
氣虛(기허), 胃冷(위랭) 者(자)가 多食(다식)하면 惡心(오심)하고 吐沫(토말)한다. 氣壯人(기장인)에게 適合(적합)하다.
【主治】
通利腸胃,除胸中煩,解酒渴(《別錄》)。
腸胃(장위)를 通利(통리)하고 胸中(흉중)의 煩(번)을 除去(제거)하며, 酒渴(주갈)을 解消(해소)한다.
消食下氣,治瘴氣,止熱氣嗽。冬汁尤佳(蕭炳)。
食物(식물)을 消和(소화)하고, 下氣(하기)하며, 瘴氣(장기)를 治(치)하고, 熱氣嗽(열기수)를 멎게 한다. 겨울의 汁(즙)이 가장 佳(가)하다.
和中,利大小便(寧原)。
和中(화중)하고 大小便(대소변)을 通利(통리)한다.
【附方】
舊一,新二。
小兒赤遊,行於上下,至心即死︰菘菜搗敷之,即止。(張傑《子母秘錄》)。
漆毒生瘡︰白菘菜搗爛塗之。
飛絲入目︰白菜揉爛帕包,滴汁三、二點入目,即出。(《普濟方》)。
子
【氣味】
甘,平,無毒。
【主治】
作油,塗頭長發,塗刀劍不鏽(弘景)。
油(유)로 항여 頭(두)에 바르면 髮(발)을 길게 한다. 刀劍(도검)에 바르면 녹슬지 않는다.
【附方】
舊一。
酒醉不醒︰菘菜子二合細研,井華水一盞調,為二服。(《聖惠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복자(莱菔子)[본초강목] (1) | 2023.10.21 |
---|---|
백개자(白芥子)[본초강목] (1) | 2023.10.05 |
정력자(葶藶子)[본초강목] (2) | 2023.09.24 |
선모(仙茅)[본초강목] (2) | 2023.09.24 |
수선화(水仙花) (0)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