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모(仙茅)[본초강목]

2023. 9. 24. 20:30[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선모(仙茅)[본초강목]

 

 

 

 

선모

 

선모(仙茅) Curculigo orchioides Gaertner (수선화과 Amarylidaceae)의 뿌리줄기이다. 일명 파라문삼(婆羅門參)이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로 원기둥모양이고 약간 구부러져 있으며 길이 3~10cm, 지름 0.4~0.8cm이다. 바깥 면은 흑갈색~적갈색으로 거칠며 수염뿌리가 붙어 있던 자국과 가로 세로의 주름이 있다. 꺾은 면은 평탄하지 않고 연한 갈색~적갈색이고 중심부는 색이 짙다. 질은 단단하나 쉽게 부러진다. 특유한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쓰고 약간 맵다.

 

 

仙茅

 

仙茅學名Curculigo orchioides Gaertn.),又名地棕四川貴州),獨茅四川),山黨參福建),仙茅參雲南),海南參海南),茅爪子婆羅門參屬仙茅科花期4~9藥用植物具有補腎助陽益精血強筋骨和行血消腫的作用

 

 

 

형태특정(形態特征)

 

 

根狀莖近圓柱狀粗厚直生直徑約1厘米長可達10厘米葉線形線狀披針形或披針形大小變化甚大10~45 ~90厘米5~25毫米頂端長漸尖基部漸狹成短柄或近無柄兩面散生疏柔毛或無毛

 

花莖甚短6~7厘米大部分藏於鞘狀葉柄基部之內亦被毛苞片披針形2.5~5厘米具緣毛總狀花序多少呈傘房狀通常具4~6朵花花黃色花梗長約2毫米花被裂片長圓狀披針形8~12毫米2.5~3毫米外輪的背面有時散生長柔毛雄蕊長約爲花被裂片的1/2花絲長1.5~2.5毫米花藥長2~4毫米柱頭3分裂部分較花柱爲長子房狹長頂端具長喙連喙長達7.5毫米喙約占l/3),被疏毛

 

漿果近紡錘狀1.2~1.5厘米寬約6毫米頂端有長喙種子表面具縱凸紋花果期4~9

 

 

 

^^^^^^^^^^^^^^^^^^^^^^^^^^^^^^^^^^^^^^^^^^^^^^^^^^^^^^^^^^^^^^^^^^^^^^

仙茅

 

(《開寶》)

 

 

釋名

 

獨茅(《開寶》)茅爪子(《開寶》)婆羅門參

 

珣曰其葉似茅久服輕身故名仙茅梵音呼為阿輸幹陀

 

()()를 닮아고 久服(구복)하면 身體(신체)輕快(경쾌)하게 만들기 때문에 仙茅(선모)라고 한다. 梵音(범음)에서는 阿輸幹陀(아수간타)라 부른다.

 

 

頌曰其根獨生始因西域婆羅門僧獻方於唐玄宗故今江南呼為婆羅門參言其功補如人參也

 

()은 단지 一本(일본)으로 獨生(독생)한다. 西域(서역)婆羅門僧(파라문승)()玄宗皇帝(현종황제)에게 이것을 ()하는 ()()한 것이 中國(중국)에서 始初(시초)()한 것이라 하며 지금도 江南地方(강남지방)에서 婆羅門參(파라문삼)이라 일컫는다. ()功力(공력)人參(인삼)과 같다는 意味(의미)이다.

 

 

 

集解

 

珣曰仙茅生西域葉似茅其根粗細有筋或如筆管有節紋理其花黃色多涎自武城來蜀中諸州亦皆有之

 

頌曰今大庾嶺蜀川江湖兩浙諸州亦有之葉青如茅而軟且略闊面有縱紋又似初生棕櫚秧高尺許至冬盡枯春初乃生三月有花如梔子花黃色不結實其根獨莖而直大如小指下有短細肉根相附外皮稍粗褐色內肉黃白色二月八月採根曝乾用衡山出者花碧五月結黑子

 

時珍曰蘇頌所說詳盡得之但四五月中抽莖四五寸開小花深黃色六出不似梔子處處大山中有之人惟取梅嶺者用會典成都歲貢仙茅二十一斤

 

 

 

 

修治

 

斅曰採得以清水洗刮去皮於槐砧上用銅刀切豆許大以生稀布袋盛於烏豆水中浸一宿取出用酒拌濕蒸之從巳至亥取出曝乾勿犯鐵器及牛乳斑人鬢須

 

採收(채수)하여 淸水(청수)로 씻고 잘라서 ()刮去(괄거)하여 槐砧上(괴침상)에서 銅刀(동도)() 정도 크기로 잘라서 生稀布袋(생희포대)에 가득히 담고 烏頭水(오두수)에 하룻밤 담갔다 꺼내어 술을 섞고 午前(오전) 十時(십시)부터 午後(오후) 十時(십시)까지 찌고 꺼내어 暴乾(폭건)한다. 鐵器(철기)牛乳(우유)에 닿으면 안 된다. 닿으면 사람의 머리털이 거의 빠져 버린다.

 

 

大明曰彭祖單服法以竹刀刮切糯米泔浸去赤汁出毒後無妨損

 

烹調(팽조)單服法(단복법)에는 竹刀(죽도)로 베어 자르고 糯米泔(나미감)에 담가서 赤汁(적즙)을 내어 ()을 빼낸 후에 ()하면 ()를 입지 않는다.”라고 되어 있다.

 

 

氣味

 

有毒

珣曰微溫有小毒又曰宣而複補無大毒有小熱小毒

 

 

 

主治

 

心腹冷氣不能食腰腳風冷攣痺不能行丈夫虛勞老人失溺無子益陽道久服通神強記助筋骨益肌膚長精神明目(《開寶》)。

 

心腹(심복)冷氣(냉기)食事不能(식사불능)인 것, 腰腳風冷(요각풍냉)으로 攣痺(연비)하고, 步行不能(보행불능)한 것, 男子(남자)虛勞(허로), 無子(무자)()에게는 陽道(양도)()하게 한다. 久服(구복)하면 神通(신통)하고 記憶力(기억력)을 되살리고, 筋骨(근골)()하며, 肌膚(기부)()하고, 精神(정신)을 가다듬고 明目(명목)한다.

 

 

治一切風氣補暖腰腳清安五臟久服輕身益顏色丈夫五勞七傷明耳目填骨髓)。

 

一切(일체)風氣(풍기)()하고 腰腳(요각)補暖(보난)하며, 五臟(오장)清安(청안)한다. 久服(구복)하면 身體(신체)輕快(경쾌)히 하고 顔色(안색)을 좋게 하며, 男子(남자)五勞七傷(오로칠상)은 물론 (), ()을 밝게 하고, 骨髓(골수)()한다.

 

 

開胃消食下氣益房事不倦(《大明》)。

 

開胃(개위), 消食(소식), 下氣(하기)하며, 房事(방사)()하고, 倦怠(권태)하지 않는다.

 

 

 

發明

 

 

頌曰五代偽唐筠州刺史王顏著續傳信方》,因國書編錄西域婆羅門僧服仙茅方當時盛行雲五勞七傷明目益筋力宣而複補雲十斤乳石不及一斤仙茅表其功力也

 

五代後唐(오대후당)筠州(균주) 刺史王顏(자사왕안)續傳信方(속전신방)著述(저술)하여 國書編(국서편)에 의해서 西域(서역)婆羅門僧(파라문승)()하는 仙茅(선모)()載錄(재록)하였다. 그때부터 當時(당시) 盛行(성행)하여 五勞七傷(오로칠상)()하고, 明目(명목)하며, 筋力(근력)()하게 한다. 續傳信方(속전신방)에는 다시 그것을 敷衍(부연)하여 補足(보족)으로 十斤(십근)乳石(유석)一斤(일근)仙茅(선모)에 미치지 못한다 함은 그 功力(공력)을 잘 表現(표현)하고 있다.

 

 

本西域道人所傳開元元年婆羅門僧進此藥明皇服之有效當時禁方不傳天寶之亂方書流散上都僧不空三藏始得此方傳與司徒李勉尚書路嗣恭給事齊杭仆射張建封服之皆得力路公久服金石無效得此藥其益百倍

 

元來(원래)西域(서역)에서 ()해져 온 것으로 開元(개원) 元年(원년)婆羅門僧(파라문승)이 이 ()玄宗明皇帝(현종명황제)에 권하여 效驗(효험)이 있었기 때문에 禁方(금방)이 디어 當時(당시) 一般(일반)에게는 ()해지지 못했다. () 天寶亂(천보란)朝廷(조정)에 있던 方書(방서)들이 모두 散佚(산일)되었다. 上都(상도)僧不(승불)이었던 空三藏(공삼장)이 처음으로 現行(현행)()求得(구득)하여 司徒李勉(사도이면), 尚書路嗣恭(상서노사공), 給事齊杭(급사제항) 仆射張建封(복사장건봉)傳授(전수)하여 모두들 이것을 服用(복용)하고 功驗(공험)을 얻게 되었다. 路上書(노상서)는 오랫동안 今夕(금석)服用(복용)하여 效能(효능)이 없었는데, ()得用(득용)하여 百倍(백배)나 되는 効果(효과)를 올렸다.

 

 

齊給事守縉雲日少氣力風疹繼作服之遂愈九月採得竹刀刮去黑皮切如豆粒米泔浸兩宿陰乾搗篩熟蜜丸梧子大每旦空心酒飲任便下二十丸忌鐵器禁食牛乳及黑牛肉大減藥力

 

齊給事(제급사)縉雲地方(진운지방)長官(장관)으로 在任(재임)氣力(기력)()해지고 끊일 사이 없이 風疹(풍진)이 계속 되었으나 이것을 服用(복용)하고 마침내 ()하였다. ()()~九月(구월)採收(채수)하여 竹刀(죽도)黑皮(흑피)를 벗겨 버리고 豆粒(두립)정도로 잘라서 米泔(미감)에 이틀 밤 재워서 陰乾(음건)한다. 그것을 찧고 체로 쳐서 熟蜜(숙밀) 梧子(오자) 크기의 ()을 만들어 早朝(조조), 空腹(공복)에 술이나 물등의 마실 것으로 二十丸(이십환)씩을 服用(복용)한다. 鐵器(철기)()하고, 牛乳(우유)黑牛(흑우)()을 먹는 거을 ()한다. 그것들이 크게 藥力(약력)減退(감퇴)시키기 때문이다.“라고 쓰여 있다.

 

機曰五台山有仙茅患大風者服之多瘥

 

五台山(오태산)仙茅(선모)가 있다. 大風(대풍)患者(환자)는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大部分(대부분) ()한다.

 

 

時珍曰︰《許真君書仙茅久服長生其味甘能養肉辛能養肺苦能養氣鹹能養骨滑能養膚酸能養筋宜和苦酒服之必效也

 

살펴보면 許真君(허진군)의 글에 仙茅(선모)久服(구복)하면 長生(장생)한다. ()()은 능히 ()()하고, ()()()()하고, ()()()()하고, ()은 능히 ()()하며, ()은 능히 ()()하고, ()()()()한다. 苦酒(고주)()하여 服用(복용)하면 좋다. 반드시 効果(효과)가 있다.”라고 되어 있다.

 

又範成大虞衡志廣西英州多仙茅其羊食之舉體悉化為筋不複有血肉食之補人名乳羊

 

範大成(범대성)虞衡志(우형지)廣西(광서)英州(영주)仙茅(선모)가 많다. 그 땅의 ()은 이것을 먹고 全身(전신)悉化(실화)하여 ()이 되어 血肉(혈육)이 모두 없어지고 말았다. 그것을 먹으면 人體(인체)()한다. 乳羊(유양)이라 부르고 있다.”라고 되어 있다.

 

沈括筆談夏文莊公稟賦異於人但睡則身冷如逝者既覺須令人溫之良久乃能動常服仙茅鐘乳硫黃莫知紀極觀此則仙茅蓋亦性熱補三焦命門之藥也惟陽弱精寒稟賦素怯者宜之若體壯相火熾盛者服之反能動火

 

沈括(심괄)筆談(필담)에는 夏文莊公(하문장공)體質(체질)天稟(천품)通商人(통상인)과 달라서 잠자면 身體(신체)가 차가워져서 死者(사자)처럼 되고 눈을 떠도 한참 동안은 他人(타인)이 몸을 따뜻하게 덥혀주어야 겨우 움직일 수 있는 상태였다. 그런데 仙茅(선모), 從遊(종유), 硫黃(유황)常服(상복)한 후로는 誠力(성력)絶倫(절륜)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이것으로 보면 仙茅(선모)라는 것도 역시 ()()하고 三焦(삼초), 命門(명문)()하는 ()이다. 다만 陽弱(양약)하여 精寒(정한)하고 天稟(천품)虛弱(허약)()에게는 適合(적합)하나 體力(체력)壯大(장대)하고 相火(상화)熾盛(치성)()服用(복용)하면 오히려 그 ()煽動(선동)하는 ()이 된다.

 

張杲醫說一人中仙茅毒舌脹退場門漸大與肩齊因以小刀 之隨破隨合至百數始有血一點出曰可救矣煮大黃樸消與服以藥摻之應時消縮此皆火盛性淫之人過服之害也

 

생각건대 張杲(장고)醫說(의설)에는어떤 ()仙茅(선모)中毒(중독)으로 舌腫(설종)하여 입에서 밖으로 漸次(점차) 膨大(팽대)해져서 어깨와 나란히 할 정도가 되어 小刀(소도)切開(절개)했는데 몇 번이나 잘라도 금새 도로 아물었다. 百回餘(백회여)나 자르니 겨우 一點(일점)밖에 안 되는 피가 처음으로 나왔다. 이것을 살릴수 있다고 確信(확신)하게 되어 大黃(대황), 樸硝(박소)를 넣어 服用(복용)하고, ()()을 뿌리니 마침내 ()이 도로 가라앉게 되었다.”라고 되어 있다. 이것은 모두 火盛(화성)하고 性淫(성음)한 사람이 仙茅(선모)過度(과도)하게 服用(복용)하였기 때문에 입은 解毒(해독)이었다.

 

 

弘治間東海張弼梅嶺仙茅詩有使君昨日才持去今日人來乞墓銘之句皆不知服食之理惟借藥縱恣以速其生者於仙茅何尤

 

弘治年間(홍치년간) 東海(동해)의 사람, 張弼(장필)梅嶺仙茅(매령선모)()()으로 하여 어제 잠깐 사이에 가시고 오늘 사람이 와서 墓銘(묘명)을 구하도다.”라는 ()가 있다 한결같이 服食(복식)()理法(이법)을 모르고서 단지 藥力(약력)을 빌려 淫逸放縱(음일방종)根道(근도)를 걸어가니 어찌 그 生涯(생애)短縮(단축)하지 않으랴, 仙茅(선모)에게 무슨 ()가 있겠는가?

 

附方新二

 

仙茅丸壯筋骨益精神明目黑髭須

 

仙茅二斤糯米泔浸五日去赤水夏月浸三車前子十二兩白茯苓去皮)、茴香)、柏子仁去殼各八兩生地黃)、熟地黃各四兩為末酒煮糊丸如梧子大每服五十丸食前溫酒下日二服。(《聖濟總錄》)

 

定喘下氣補心腎神秘散用白仙茅半兩米泔浸三宿曬炒),團參二錢半阿膠一兩半),雞 一兩)。為末每服二錢糯米飲空心下日二服。(《三因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숭채(菘菜)[본초강목]  (1) 2023.10.05
정력자(葶藶子)[본초강목]  (2) 2023.09.24
수선화(水仙花)  (0) 2023.09.24
검실(芡實)[본초강목]  (0) 2023.09.20
순채(蓴菜)[본초강목]  (0) 2023.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