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9. 24. 21:2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정력자(葶藶子)[본초강목]
^^^^^^^^^^^^^^^^^^^^^^^^^^^^^^^^^^^^^^^^^^^^^^^^^^^^^^^^^^^^^^^^^^^^^^^
葶藶
(《本經》下品)
【釋名】
丁曆《別錄》蕇蒿 大室《本經》大適《本經》狗薺《別錄》。
時珍曰︰名義不可強解。
名稱(명칭)의 뜻은 굳이 해석할 것이 없다.
【集解】
《別錄》曰︰葶藶生 城平澤及田野,立夏後采實,陰乾。
弘景曰︰出彭城者最勝,今近道亦有。母即公薺也。子細黃至苦,用之當熬。
頌曰︰今汴東、陝西、河北州郡皆有之,曹州者尤佳。初春生苗葉,高六七寸,似薺。 根白色,枝莖俱青。三月開花,微黃。結角,子扁小如黍粒微長,黃色。《月令》︰孟夏之月,靡草死。許慎、鄭玄注皆雲靡草,薺、葶藶之屬是也。一說葶藶單莖向上,葉端出角,粗且短。又有一種狗芥草,葉近根下作歧,生角細長。取時必須分別此二種也。
雷斅曰︰凡使勿用赤須子,真相似,只是味微甘苦耳。葶藶子之苦,入頂也。
時珍曰︰按《爾雅》雲︰ ,葶藶也。
郭璞注雲︰實葉皆似薺,一名狗薺。然則狗薺即是葶藶矣。蓋葶藶有甜苦二種。狗薺味微甘,即
子
【修治】
雷斅曰︰凡使葶藶,以糯米相合,置於燠上,微焙,待米熟,去米,搗用。
대개 葶藶(정력)을 사용할 경우에는 糯米(나미)와 함께 竈(조)위에 두고 微焙(미배)하고, 米(미)가 熟(숙)하기를 기다려서 米去(미거)한 후에 찧어서 使用(사용)한다.
【氣味】
辛,寒,無毒。
《別錄》曰︰苦,大寒。得酒良。
權曰︰酸,有小毒。入藥炒用。
杲曰︰沉也,陰中陽也。
沈(침)으로 陰中(음중)의 陽(양)이다.
張仲景曰︰葶藶敷頭瘡,藥氣入腦,殺人。
葶藶(정력)을 頭瘡(두창)에 傅(부)하면 藥氣(약기)가 腦(뇌)에 들어가 死亡(사망)한다.
之才曰︰榆皮為之使,得酒良,惡白僵蠶、石龍芮。
楡皮(유피)가 使(사)가 된다. 술과 配合(배합)하면 좋다. 白殭蠶(백강잠), 石龍芮(석용예)를 惡(오)한다.
時珍曰︰宜大棗。
大棗(대조)와 適合(적합)하다.
【主治】
症瘕積聚結氣,飲食寒熱,破堅逐邪,通利水道(《本經》)。
癥瘕(징가), 積聚(적취), 結氣(결기), 飲食寒熱(음식한열), 堅(견)을 破(파)하고, 邪(사)를 逐(축)하며, 水道(수도)를 通利(통리)한다.
下膀胱水,伏留熱氣,皮間邪水上出,面目浮腫,身暴中風熱痱癢,利小腹。久服令人虛。《別錄》。
膀胱(방광)의 水分(수분), 伏留熱氣(복류열기), 皮間(피간)의 邪水(사수)가 上(상)하고, 顔面(안면)으로 나와서 浮腫(부종)하는 것, 身體(신체)가 별안간 風熱(풍열)에 걸린 탓으로 痱癢(비양)하는 것을 下(하)하고, 小腹(소복)을 利(이)한다. 久服(구복)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虛(허)하게 한다.
療肺壅上氣咳嗽,止喘促,除胸中痰飲。(甄權)。
肺壅(폐옹), 上氣咳嗽(상기해수)를 療(요)하고, 喘促(천촉)을 멎게 하며, 胸中(흉중)의 痰飮(담음)을 除(제)한다.
通月經。(時珍)。
月經(월경)을 通(통)한다.
【發明】
杲曰︰葶藶大降氣,與辛酸同用,以導腫氣。《本草十劑》雲︰泄可去閉,葶藶、大黃之屬。此二味皆大苦寒,一泄血閉,一泄氣閉。蓋葶藶之苦寒,氣味俱濃,不減大黃,又性過於諸藥,以泄陽分肺中之閉,亦能泄大便,為體輕、象陽故也。
葶藶(정력)은 크게 降氣(강기)하고, 辛味(신미), 酸味(산미)를 함께 使用(사용)하면 腫氣(종기)를 導引(도인)한다. 本草(본초) 十劑(십제)의 章(장)에 “泄(설)은 閉(폐)를 去(거)하는 것으로 葶藶(정력), 大黃(대황)의 類屬(유속)이다.”라고 하며, 二味(이미)는 모두 大苦(대고), 大寒(대한)하여 一(일)은 血閉(혈폐)를 泄(설)하고, 一(일)은 氣閉(기폐)를 泄(설)하는 것이다. 대개 葶藶(정력)의 苦(고), 寒(한)의 氣味(기미)는 모두 大黃(대황)에 뒤지지 않는다. 또 性(성)이 諸藥(제약)보다도 過激(과격)한 것으로 陽分(양분), 肺中(폐중)의 閉(폐)를 泄(설)하며 또 능히 大便(대변)을 泄(설)한다. 그 본체는 輕(경)한 것으로 陽(양)의 象徵(상징)이기 때문이다.
宗奭曰︰葶藶有甜、苦二種,其形則一也。《經》既言味辛苦,即甜者不複更入藥也。大概治體皆以行水走泄為用,故曰久服令人虛,蓋取苦泄之義,《藥性論》不當言味酸。
葶藶(정력)에 甛(첨), 苦(고)의 二種(이종)이 있으나 그 모양은 同一(동일)하다. 本經(본경)에 이미 “味(미)는 辛(신)하고 苦(고)하다.”라고 있으므로 甛(첨)한 것은 역시 藥(약)에 넣지 않는다. 해서 治功(치공)은 모두 물을 行(행)하고, 泄(설)을 走行(주행)시키는 點(점)을 應用(응용)하는 까닭에 “久服(구복)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虛(허)하게 한다.”라고 말했던 것이다. 대개 苦(고)는 泄(설)하다는 뜻에 의거한 것이다. 藥性論(약성론)에 “味(미)는 酸(산)하다.”라고 있는 것은 가당치 않다.
震亨曰︰葶藶屬火性急,善逐水。病患稍涉虛者,宜遠之。且殺人甚捷,何必久服而後致虛也。
葶藶(정력)은 火(화)에 屬(속)하며 性(성)이 急擊(급격)하여서 쉽게 물을 逐(축)한다. 따라서 虛弱(허약)한 患者(환자)는 가능한 멀리 하는 것이 좋다. 자칫 잘못하면 사람을 눈 깜짝할 사이에 殺(살)한다. 久服(구복)한 후에 반드시 虛(허)한다는 것은 아니다.
好古曰︰苦、甜二味,主治不同。仲景瀉肺湯用苦,餘方或有用甜者,或有不言甜苦者。
苦(고), 甛(첨)의 二味(이미)는 主(주)된 治療(치료)의 對症(대증)이 同一(동일)하지 않다. 仲景(중경)의 瀉肺湯(사폐탕)에는 苦(고)한 것을 使用(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方(방)에는 甛(첨)한 것을 使用(사용)하는 수도 있고 혹은 甛(첨), 苦(고) 가운데 어느 것이라고 指定(지정)하지 않는 것도 있다.
大抵苦則下泄,甜則少緩,量病患虛實用之,不可不審。本草雖雲治同,而甜苦之味安得不異?
그러나 대개 苦(고)는 下泄(하설)하고 甛(첨)은 緩(완)한 것이니 患者(환자)의 虛(허), 實(실)을 잘 判斷(판단)해서 使用(사용)하여야 하며 많은 愼重(신중)을 要(요)한다. 가령 本草(본초)에서 治功(치공)을 同一(동일)한 것이라고 해도 味(미)에 甛(첨)과 苦(고)의 區別(구별)이 있는 以上(이상) 어찌 다른 것이 아니라 斷定(단정)지을 수 있겠는가?
時珍曰︰甘、苦二種,正如牽牛,黑、白二色,急、緩不同,又如壺蘆,甘、苦二味,良、毒亦異。
甘(감), 苦(고)의 二種(이종)은 마치 牽牛(견우)에 黑白(흑백)의 二色(이색)이 있는 것처럼 急(급), 緩(완)의 不同(부동)이 있다. 또 胡虜(호로)에 甘(감), 苦(고)의 二味(이미)가 있는 것 같이 良(양), 毒(독)에도 달리 하는 것이 있다.
大抵甜者,下泄之性緩,雖泄肺而不傷胃;苦者,下泄之性急,既泄肺而易傷胃,故以大棗輔之。
대개 甛(첨)은 下泄(하설)의 性(성)이 緩(완)하므로 肺(폐)를 泄(설)하면서도 胃(위)까지 傷(상)하게 하지 않는다. 苦(고)는 下泄(하설)의 性(성)이 急激(급격)하므로 肺(폐)를 泄(설)함은 물론 胃(위)도 傷(상)하기 쉽게 한다. 따라서 大棗(대조)를 써서 이것을 補充(보충)해야 한다.
然肺中水氣膹滿急者,非此不能除。但水去則止,不雲︰大戟去水,葶藶愈脹,用之不節,乃反成病。亦在用之有節。
하지만, 肺(폐)속에 水氣膹滿(수기분만)이 急(급)한 경우에는 이 藥(약)이 아니고는 除去(제거)하기 어렵다. 다만 水氣(수기)가 사라지면 服藥(복약)을 중지하고 過劑(과제)하지 않도록 깊은 注意(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오랫동안 服用(복용)하지만 않는다면 반드시 사람을 殺(살)하는 것은 아니다. 淮南子(회남자)에 “大戟(대극)은 去水(거수)하고 葶藶(정력)은 脹(창)을 治癒(치유)하는 것이지만, 使用上(사용상)의 節度(절도)를 지키지 않으면 오히려 病(병)이 된다.”라고 되어 있다. 역시 使用上(사용상)의 節度(절도)가 필요하다.
【附方】舊十,新十。
(炒研末),漢防己末二兩,以綠頭鴨血及頭,合搗萬杵,丸梧子大。甚者,空腹白湯下十丸,輕者五丸,日三四服,五日止,小便利為驗。一加豬苓末二兩。(《經驗方》)
通身腫滿︰苦葶藶(炒)四兩,為末,棗肉和丸梧子大。每服十五丸,桑白皮湯下,日三服。此方,人不甚信,試之自驗。
水腫尿澀︰《梅師方》︰用甜葶藶二兩,炒為末,以大棗二十枚,水一大升,煎一小升,去棗,入葶藶末,煎至可丸如梧子大。每飲服六十丸,漸加,以微利為度。崔氏方︰用葶藶三兩,絹包飯上蒸熟,搗萬杵,丸梧子大,不須蜜和。每服五丸,漸加至七丸,以微利為佳。不可多服,令人不堪。若氣發,服之得利,氣下即止。此方治水氣無比。蕭駙馬水腫,服此得瘥。《外科精義》︰治男婦大小頭面手足腫。用苦葶藶炒研,棗肉和丸小豆大。每服十丸,煎麻子湯下,日三服。五七日小便多,則消腫也。忌鹹酸生冷。
大腹水腫︰《肘後方》︰用苦葶藶二升,炒為末,割 雄雞血及頭,合搗丸梧子每小豆湯下十丸,日三服。又方︰葶藶二升,春酒五升,漬一夜。稍服一合,小便當利。
又方︰葶藶一兩,杏仁二十枚,並熬黃色,搗。分十服,小便去當瘥。
腹脹積聚︰葶藶子一升(熬),以酒五升浸七日,日服三合。(《千金方》)
肺濕痰喘︰甜葶藶(炒)為末,棗肉丸服。(《摘玄方》)
痰飲咳嗽︰含膏丸︰用曹州 葶藶子一兩(紙襯炒令黑),知母一兩,貝母一兩,為末,棗肉半兩,砂糖一兩半,和丸彈 子大。每以新綿裹一丸,含之咽津。甚者不過三丸。(《篋中方》)
氣腫,或單面腫,或足腫,並主之︰葶藶子三升,微火熬研,以絹袋盛,浸清酒五升中,冬 七日,夏三日。初服如胡桃許大,日三夜一,冬月日二夜二。量其氣力,取微利一、二為度。如患急者,不待日滿,亦可絞服。(崔知悌方)
肺癰喘急不得臥,葶藶大棗瀉肺湯主之︰葶藶炒黃搗末,蜜丸彈子大。每用大棗二十枚,水三升,煎取二升,乃入葶藶一丸,更煎取一升,頓服。亦主支飲不得息。(仲景《金匱玉函方》)
月水不通︰葶藶一升,為末,蜜丸彈子大,綿裹納陰中二寸,一宿易之,有汁出,止。(《千金方》)
卒發顛狂︰葶藶一升,搗三千杵,取白犬血和丸麻子大。酒服一丸,三服取瘥。(《肘後》)
頭風疼痛︰葶藶子為末,以湯淋汁沐頭,三四度即愈。(《千金翼》)
疳蟲蝕齒︰葶藶、雄黃等分,為末,臘月豬脂和成,以綿裹槐枝蘸點。(《金匱要略》)
白禿頭瘡︰葶藶末塗之。(《子母秘錄》)
瘰癧已潰︰葶藶二合,豉一升,搗作餅子,如錢大,濃二分,安瘡孔上,艾作炷灸之,令溫熱,不可破肉,數易之而灸。但不可灸初起之瘡,恐葶藶氣入腦傷人也。(《永類方》)
馬汗毒瓦斯入腹︰葶藶子一兩(炒研),水一升浸湯服,取下惡血。(《續十全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개자(白芥子)[본초강목] (1) | 2023.10.05 |
---|---|
숭채(菘菜)[본초강목] (1) | 2023.10.05 |
선모(仙茅)[본초강목] (2) | 2023.09.24 |
수선화(水仙花) (0) | 2023.09.24 |
검실(芡實)[본초강목]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