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인(桃仁)[본초강목]

2023. 3. 12. 03:08[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도인(桃仁)[본초강목]

 

 

 

 

 

^^^^^^^^^^^^^^^^^^^^^^^^^^^^^^^^^^^^^^^^^^^^^^^^^^^^^^^^^^^^^^^^^^^

 

 

 

(《本經下品

 

 

 

校正

 

木部有拾遺桃橛今並入此

 

木部(목부)에 있던 拾遺(습유)桃橛(도궐)을 여기로 倂入(병입)한다.

 

 

釋名

 

時珍曰桃性早花易植而子繁故字從木十億曰兆言其多也或云從兆諧聲也

 

()()開花(개화)하는 것이 빠르고, 심기가 쉽고, ()繁茂(번무)한다. 그래서 文字(문자)()()에 따르기 때문에 十億(십억)()라 하고, 그 많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혹은 ()에 따르는 諧聲文字(해성문자)라고도 한다.

 

 

集解

 

別錄桃生太山川谷

 

弘景曰今處處有之核仁入藥當取解核者種之為佳山桃仁不堪用

 

頌曰汴東陝西者尤大而美大抵佳果肥美者皆圃人以他木接成殊失本性入藥當用本生者為佳今市肆賣者多雜接核之仁為不堪也

 

宗奭曰山中一種桃正合月令桃始華者花多子少不堪啖惟堪取仁入藥汴中有油桃小於眾桃光如塗油不益脾胃太原有金桃色深黃洛中有昆侖桃肉深紅紫色又有餅子桃狀如香餅子其味皆甘

 

時珍曰桃品甚多易於栽種且早結實五年宜以刀 其皮出其脂液則多延數年

其花有紅千葉二色之殊其實有紅桃緋桃碧桃緗桃白桃烏桃金桃銀桃胭脂桃皆以色名者也有綿桃油桃御桃方桃匾桃偏核桃皆以形名者也

有五月早桃十月冬桃秋桃霜桃皆以時名者也並可供食惟山中毛桃爾雅所謂 桃者小而多毛核粘味惡其仁充滿多脂可入藥用蓋外不足者內有餘也冬桃一名西王母桃一名仙人桃即昆侖桃形如栝蔞表裡微赤得霜始熟方桃形微方匾桃出南番形匾肉澀核狀如盒其仁甘美番人珍之名波淡樹樹甚高碩偏核桃出波斯形薄而尖頭偏狀如半月其仁酷似新羅松子可食性熱又楊維楨宋濂集中並載元朝御庫蟠桃核大如碗以為神異

 

 

王子年拾遺記漢明帝時常山獻巨核桃霜下始花隆暑方熟。《玄中記積石之桃大如斗斛器。《酉陽雜俎九疑有桃核半扇可容米一升及蜀後主有桃核杯半扇容水五升良久如酒味可飲此皆桃之極大者昔人謂桃為仙果殆此類歟生桃切片瀹過曝乾為脯可充果食又桃酢法取爛熟桃納瓮中蓋口七日漉去皮核密封二七日酢成香美可食。《種樹書柿接桃則為金桃李接桃則為李桃梅接桃則脆桃樹生蟲煮豬頭汁澆之即止皆物性之微妙也

 

 

 

 

氣味

 

微毒多食令人有熱

 

多食(다식)하면 發熱(발열)한다.

 

詵曰能發丹石毒生者尤損人

 

곧잘 丹石(단석)()()한다. ()것은 가장 사람을 損傷(손상)한다.

 

思邈曰︰《黃帝書食桃飽入水浴令人成淋及寒熱病

 

黃帝書(황제서)에는 ()飽食(포식)하고 물에 들어가 ()하면 () 寒熱病(한열병)()하게 한다.”라고 하였다.

 

時珍曰生桃多食令人膨脹及生癰癤有損無益五果列桃為下以此

 

生桃(생도)多食(다식)하면 膨脹(팽창)하게 하고 또한 (), ()發生(발생)하기 때문에 ()이 되며 ()은 없다. 五果(오과)에서 ()()에 두는 것은 이 때문인 것이다.

 

 

瑞曰桃與鱉同食患心痛服術人忌食之

 

()()과 함께 먹으면 心痛(심통)을 일으킨다. ()服用(복용)하는 사람은 이것을 禁忌(금기)한다.

 

 

 

 

 

主治

 

 

作脯食益顏色大明)。

 

()를 만들어 먹으면 顔色(안색)을 좋게 한다.

 

 

肺之果肺病宜食之思邈)。

 

()()이다. 肺病(폐병)은 이것을 먹는 것이 좋다.

 

 

冬桃食之解勞熱時珍爾雅注》)。

 

冬桃(동도)를 먹으면 勞熱(노열)解消(해소)한다. 記載(기재)爾雅(이아) ()에 있다.

 

 

 

 

核仁

 

修治

 

別錄七月採取仁陰乾

 

七月(칠월)採取(채취)하여 取仁陰乾(취인음건)한다.

 

 

雷斅曰凡使須去皮用白朮烏豆二味同於坩鍋中煮二伏時漉出劈開心黃如金色乃用

 

대개 이것을 사용하려면 去皮(거피)하고, 白朮(백출), 烏豆(오두)二味(이미)와 함께 坩鍋中(감과중)二伏时(이복시) ()하고 漉出(녹출)한 다음 劈開(벽개)하면 ()金色(금색)과 같이 黃色(황색)으로 된다.

 

時珍曰桃仁行血宜連皮尖生用潤燥活血宜湯浸去皮尖炒黃用或麥麩同炒或燒存性各隨本方雙仁者有毒不可食說見杏仁下

 

桃仁(도인)()走行(주행)하게 할 경우에는 (), ()除去(제거)하고, 黃炒(황초)하여 使用(사용)하는 것이 좋다. 혹은 麥麩(맥부)와 함께 ()하고, 혹은 ()하여 ()을 남겨 各各(각각) 用處(용처)本方(본방)에 따른다. 雙仁(쌍인)인 것은 有毒(유독)한 만큼 먹어서는 안 된다. ()杏仁(행인)條下(조하)參照(참조)

 

 

 

氣味

 

無毒

 

思邈曰

詵曰

弘景曰桃仁作酪性冷香附為之使

 

桃仁(도인)으로 만든 ()()()하다. 香附(향부)使()가 된다.

 

主治

 

瘀血血閉症瘕邪氣殺小蟲(《本經》)。

 

瘀血(어혈), 血閉(혈폐), 癥痂(징가), 邪氣(사기), 小蟲(소충)()한다.

 

 

 

 

止咳逆上氣消心下堅硬除卒暴擊血通月水止心腹痛(《別錄》)。

 

咳逆上氣(해역상기)를 멎게 하고, 心下(심하)堅硬(견경)解消(해소)하며, 卒然(졸연)暴擊血(폭격혈)除去(제거)한다. 月水(월수)通利(통리)하고 心腹痛(심복통)을 멎게 한다.

 

 

 

治血結血秘血燥通潤大便破畜血元素)。殺三蟲

 

血結(혈결), 血秘(혈비), 血燥(혈조)()하고, 大便(대변)通潤(통윤)하고, 畜血(축혈)()한다.

 

 

 

又每夜嚼一枚和蜜塗手面良孟詵)。主血滯風痺骨蒸肝瘧寒熱鬼注疼痛產後血病時珍)。

 

三蟲(삼충)()한다.또한 每夜(매야) 一個(일개)를 씹어 ()()하여 (), ()에 바른 것이 좋다. 血滯(혈체), 風痹(풍비), 骨蒸(골증), 肝瘧寒熱(간학한열), 鬼注疼痛(귀주동통), 産後(산후)血病(혈병)主效(주효)가 있다.

 

 

 

 

發明

 

杲曰桃仁苦重於甘氣薄味厚沉而降陰中之陽足厥陰經血分藥也

苦以泄滯血甘以生新血故破凝血者用之其功有四治熱入血室一也泄腹中滯血二也除皮膚血熱燥癢三也行皮膚凝聚之血四也

 

桃仁(도인)()()보다 ()하고, ()()하며, ()()하고, ()하며, ()한다. 陰中(음중)()으로 (), 足厥陰經(족궐음경)血分藥(혈분약)

이다. ()滯血(체혈)()하고 ()生血(생혈)()한다. 그래서 凝血(응혈)()하는 데는 이것을 사용한다. ()은 네 가지가 있는데 ()血室(혈실)에 들어가는 것을 ()하는 것이 하나, 服中(복중)滯血(체혈)()하는 것이 둘, 皮膚(피부)血熱燥癢(혈열조양)除去(제거)하는 것이고 셋, 皮膚(피부)凝聚血(응취혈)走行(주행) 하는 것이 넷이다.

 

 

 

成無己曰肝者血之源血聚則肝氣燥肝苦急急食甘以緩之桃仁之甘以緩肝散血故張仲景抵當湯用之以治傷寒八九日內有畜血發熱如狂小腹滿痛小便自利者

 

()()()으로 血聚(혈취)하면 肝氣(간기)()하고, ()은 갑자기 作痛(작통)한다. 서둘러 ()을 먹음으로 이를 ()해야 하는 것인데, 桃仁(도인)()()()하게 하고 散血(산혈)한다. 그래서 張仲景(장중경)抵當湯(저당탕)에서는 이것으로 傷寒(상한) ~구일로 ()畜血(축혈)이 있고 發熱(발열)하는 것이 ()과 같으며 小腹滿痛(소복만통)하고 小便自利(소변자리)하는 것을 ()한다.

 

 

又有當汗失汗熱毒深入吐血及血結胸煩躁譫語者亦以此湯主之與虻蟲水蛭大黃同用

 

또 땀이 나와야 하는데도 땀이 나오지 않고 熱毒(열독)이 깊이 들어가 吐血(토혈)하며, ()結胸(결흉)하여 煩燥(번조)하고, 譫語(섬어)하는 ()가 있는데 역시 이 ()()로 하고 虻虫(맹충), 水蛭(수질), 大黄(대황)과 함께 사용한다.

 

 

 

 

附方

 

舊十九新十一

 

延年去風令人光潤用桃仁五合去皮用粳米飯漿同研絞汁令盡溫溫洗面極妙。(《千金翼》)。

偏風不遂及癖疾用桃仁二千七百枚去皮雙仁以好酒一斗三升浸二十一日取出晒乾杵細作丸如梧子大每服二十丸以原酒吞之。(《外台秘要》)。

風勞毒腫攣痛或牽引小腹及腰痛桃仁一升去皮尖熬令黑煙出熱研如脂膏以酒三升攪和服暖臥取汗不過三度瘥。(《食醫心鏡》)。

瘧疾寒熱桃仁一百枚去皮尖乳缽內研成膏不得犯生水入黃丹三錢丸梧子大

每服三丸當發日面北溫酒吞下五月五日午時合之忌雞婦人。(見唐慎微本草》)。

骨蒸作熱桃仁一百二十枚留尖去皮及雙仁杵為丸平旦井花水頓服之令盡量飲酒至醉仍須任意吃水隔日一劑百日不得食肉。(《外台秘要》)。

上氣喘急方見杏仁

上氣咳嗽胸滿氣喘桃仁三兩去皮尖以水一大升研汁和粳米二合煮粥食之。(《心鏡》)。

卒得咳嗽桃仁三升去皮杵著器中密封蒸熟晒乾絹袋盛浸二斗酒中七日可飲日飲四五合

 

尸疰鬼疰乃五尸之一又挾鬼邪為祟其病變動有三十六種至九十九種大略使人寒熱淋瀝沉沉默默不知所苦而無處不惡累年積月以至於死死後複傳旁人急以桃仁五十枚研泥水煮取四升服之取吐吐不盡四日再吐。(《肘後方》)。

 

 

傳尸鬼氣咳嗽 癖注氣血氣不通日漸消瘦桃仁一兩去皮尖杵碎水一升半煮汁入米作粥空心食之。(《心鏡》)。

鬼疰心痛桃仁一合爛研煎湯服之。(《備急方》)。

卒然心痛桃仁七枚去皮尖研爛水一合服之。(《肘後方》)。

人好魘寐桃仁熬去皮尖七枚以小便服之。(《千金方》)。

下部蟲 病患齒齦無色舌上白喜睡憒憒不知痛癢處或下痢乃下部生蟲食肛也桃仁十五枚苦酒二升鹽一合煮六合服之。(《肘後方》)。

崩中漏下不止者桃核燒存性研細酒服方寸匕日三。(《千金》)。

婦人難產數日不出桃仁一個劈開一片書可字一片書出字還合吞之即生。(《刪繁方》)。

產後百病︰《千金桃仁煎治婦人產後百病諸氣取桃仁一千二百枚去皮雙仁熬搗極細以清酒一斗半研如麥粥法納小項瓷瓶中面封入湯中煮一伏時每服一匙溫酒和服日再。(《圖經本草》)。

產後身熱如火皮如粟粒者桃仁研泥同臘豬脂敷之日日易之。(《千金方》)。

產後血閉桃仁二十枚去皮尖),藕一塊水煎服之良。(唐瑤經驗方》)。

產後陰腫桃仁燒研敷之

婦人陰癢桃仁杵爛綿裹塞之。(《肘後方》)。

男子陰腫作癢用桃仁炒香為末酒服方寸匕日二仍搗敷之。(《外台》)

小兒卵 方同上

小兒爛瘡初起腫漿似火瘡桃仁研爛敷之。(《秘錄》)。

小兒 耳桃仁炒研綿裹日日塞之。(《千金方》)。

風蟲牙痛針刺桃仁燈上燒煙出吹滅安痛齒上咬之不過五六次愈。(《衛生家寶方》)。

唇乾裂痛桃仁搗和豬脂敷。(《海上》)。

大便不快裡急後重用桃仁三兩去皮),吳茱萸二兩食鹽一兩同炒熟去鹽每嚼桃仁五七粒。(《總錄》)

急勞咳嗽煩熱用桃仁三兩去皮尖),豬肝一枚童子小便五升同煮乾於木臼內搗爛入蒸餅和丸梧子大每溫水下三十丸。(《聖惠方》)。

冷勞減食漸至黑瘦用桃仁五百顆吳茱萸三兩同入鐵鐺中微火炒一炊久將桃仁一顆去皮看似微黃色即漸加火待微煙出即乘熱收入新瓶內濃紙封住勿令泄氣

每日空心取桃仁二十粒去皮嚼之以溫酒下至重者服五百粒愈。(《聖惠方》)。

預辟瘴癘桃仁一斤吳茱萸青鹽各四兩同炒熟以新瓶密封一七取出揀去茱將桃仁去皮尖每嚼一二十枚山居尤宜之。(余居士選奇方》)

 

 

 

 

 

桃毛 毛桃實上毛也刮取用之

 

毛桃(모도)實上(실상)에 있는 털로 刮取(괄취)하여 사용한다.

 

 

氣味

 

微毒

 

 

 

 

主治

 

破血閉下血瘕寒熱積聚無子帶下諸疾(《別錄》)。

 

血閉(혈폐)()하고 血瘕(혈가)()한다. 寒熱(한열), 積聚(적취), 無子(무자), 帶下(대하)諸疾(제질)

 

 

療崩中破癖氣大明)。

 

崩中(붕중)()하고 癖氣(벽기)()한다.

 

 

 

治惡鬼邪氣孟詵)。

 

惡氣(악기), 邪氣(사기)()한다.

 

 

 

 

桃梟

 

釋名

 

桃奴(《別錄》)桃景同上神桃

 

別錄此是桃實著樹經冬不落者正月採之中實者良

 

이것은 ()()이 나무에 붙은 채 越冬(월동)한 것을 말한다. 正月(정월)採取(채취)한다. 속이 充實(충실)한 것을 良品(양품)으로 친다.

 

時珍曰桃子乾懸如梟首磔木之狀故名奴者言其不能成實也。《家寶方謂之神桃言其辟惡也千葉桃花結子在樹不落者名鬼髑髏雷斅炮炙論有修治之法而方書未見用者

 

桃子(도자)가 말라 붙어 있는 모양이 마치 梟首(효수)를 나무에 ()한 것과 같은 데서 붙인 이름이다. ()()이 되지 못하는 것을 말한 것이다. 家寶方(가보방)에서 이것을 神桃(신도)라고 한 것은 ()()한다는 뜻이다. 千葉桃花(천엽도화)結子(결자)가 나무에 있으면서 떨어지지 않는 것을 鬼髑髏(귀촉루)라 하고, 雷斅炮炙论(뇌효포자론)에는 修治法(수치법)이 있으나 方書(방서)에서는 사용된 적이 없는 것이다.

 

 

雷斅曰鬼髑髏十一月採得以酒拌蒸之從巳至未焙乾以銅刀切焙取肉用

 

鬼髑髏(귀촉루)十日月(십일월)採取(채취)하여 拌酒(반주)하고, 午前(오전) 十時(십시)부터 午後(오후) 二時(이시)까지 ()한 다음 焙乾(배건)하고, 銅刀(동도)切焙(절배)한다. ()()하여 使用(사용)한다.

 

 

 

氣味

 

微溫有小毒

 

 

 

主治

 

殺百鬼精物(《本經》)。

 

百鬼精物(백귀정물)()한다.

 

 

殺精魅五毒不祥療中惡腹痛(《別錄》。

 

精魅(정매), 五毒(오독), 不祥(부상)()하고 中惡腹痛(중악복통)()한다.

 

 

頌曰胡洽治中惡毒瓦斯蠱疰有桃梟湯

 

胡洽(호흡)中惡(중악), 毒氣(독기), 蠱疰(고주)()하는 桃梟湯(도효탕)이라는 것이 있다.

 

 

治肺氣腰痛破血療心痛酒磨暖服之大明)。

 

폐기(肺氣), 腰痛(요통)()하고 破血(파혈), 心痛(심통)()한다. 술에 ()하여 暖服(난복)한다.

 

 

 

主吐血諸藥不效燒存性研末米湯調服有驗汪穎)。

 

吐血(토혈)하고 諸藥(제약)()가 없는 것에 主效(주효)가 있다. ()하여 ()은 남겨 硏末(연말)하고, 米湯(미탕)으로 調服(조복)하면 效驗(효험)이 있다.

 

 

治小兒虛汗婦人妊娠下血破伏梁結氣止邪瘧燒煙熏痔瘡燒黑油調敷小兒頭上肥瘡軟癤時珍)。

 

小兒(소아)虛汗(허한), 婦人(부인)妊娠下血(임신하혈)()하고 伏梁結氣(복량결기)()하며, 邪瘧(사학)을 멎게 한다. 烟燒(연소)하여 痔瘡(치창)()하고, 黑燒(흑소)하여 ()調和(조화)하고, 小兒頭上(소아두상)肥瘡(비창), 軟癤(연절)()한다.

 

 

 

 

 

 

附方

 

舊三新五

 

伏梁結氣在心下不散桃奴三兩為末空心溫酒每服二錢。(《聖惠》)。

鬼瘧寒熱樹上自乾桃子二七枚為末滴水丸梧子大朱砂為衣每服一丸侵晨面東井華水下。(《聖濟總錄》)。

五種瘧疾︰《家寶通神丸用神桃即桃奴十四枚巴豆七粒黑豆一兩研勻以冷水和丸梧子大朱砂為衣發日五更念藥王菩薩七遍井華水下一丸立瘥不過二次妙不可言。(王隱君養生主論》)

妊娠下血不止用桃梟燒存性水服取瘥。(葛洪方

盜汗不止樹上乾桃子一個霜梅二個蔥根七個燈心二莖陳皮一錢稻根大麥芽各一撮水二鐘煎服。(《經驗方》)

白禿頭瘡乾桃一兩黑豆一合為末臘豬脂調搽。(《聖惠》)。

小兒頭瘡樹上乾桃燒研入膩粉麻油調搽。(《聖惠》)。

食桃成病桃梟燒灰二錢水服取吐即愈陸光祿說有人食桃不消化作病時於林間得槁桃燒服登時吐出即愈此以類相攻也。(張文仲備急方》)

 

 

 

 

修治

 

別錄三月三日采陰乾之

 

三月(삼월)三一(삼일)()하여 陰乾(음건)한다.

雷斅曰桃花勿用千葉者令人鼻衄不止目黃收花揀淨以絹袋盛懸檐下令乾用

 

桃花(도화)千葉(천엽)인 것을 使用(사용)해서는 안 된다. 鼻衄(비뉵)하고 不止(불지)하게 하며, 目黃(목황)이 되게 한다. 꽃은 採取(채취)하면 揀淨(간정)하여 絹袋(견대)에 담아 簷下(첨하)에 걸고 乾用(건용)한다.

 

 

氣味

 

無毒

 

 

 

主治

 

殺疰惡鬼令人好顏色(《本經》)。

 

(), 惡鬼(악귀)()하고 顔色(안색)을 좋게 한다.

 

 

悅澤人面除水氣破石淋利大小便下三蟲(《別錄》)。

 

사람의 얼굴을 悦泽(열택)하게 하고, 水氣(수기)除去(제거)하며, 石淋(석림)()하고, 大小便(대소변)通利(통리)하며, 三蟲(삼충)()한다.

 

消腫滿下惡氣蘇恭)。

 

腫滿(종만)解消(해소)하고 惡氣(악기)()한다.

 

 

 

治心腹痛及禿瘡孟詵)。

 

心腹痛(심복통) 禿瘡(독창)()한다.

 

 

 

利宿水痰飲積滯治風狂研末敷頭上肥瘡手足瘑瘡時珍)。

 

宿水痰飲(숙수담음), 積滯(적체)通利(통리)하고 風狂(풍광)()한다. 硏末(연말)하여 頭下(두하)肥瘡(비창), 手足(수족)瘑瘡(과창)()한다.

 

 

 

 

 

發明

 

弘景曰︰《肘後方服三樹桃花盡則面色紅潤悅澤如桃花也

 

肘后方(주후방)三樹(삼수)桃花(도화)를 모두 服用(복용)하면 顔色(안색)紅潤(홍윤), 悦泽(열택)하여 桃花(도화)처럼 된다.”라고 하였다.

 

頌曰︰《太清草木方酒漬桃花飲之除百疾益顏色

 

太清草木方(태청초목방)에서는 술에 桃花(도화)()하여 마시면 온갖 ()除去(제거)하고, 顔色(안색)()한다.”라고 하였다.

 

 

時珍曰歐陽詢初學記北齊崔氏以桃花白雪與兒靧面云令面妍華光悅蓋得本草令人好顏色悅澤人面之義而陶蘇二氏乃引服桃花法則因本草之言而謬用者也

 

歐陽詢(구양순)初學記(초학기)에는 北齊(북제)崔氏(최씨)桃花(도화), 白雪(백설)()에게 주어 얼굴에 ()하게 하고 <얼굴이 妍華(연화), 光悅(광열)해졌다.>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미상불 本草(본초)<사람의 顔色(안색)을 좋게 하고, 悅澤(열택)하게 한다.> 라고 한 뜻을 正解(정해)한 것이다. 그런데 (), () 兩氏(양씨)桃花(도화)服用(복용)하는 方法(방법)引用(인용)하고 있으나, 그것은 本草(본초)()에 의한 것으로 謬用(유용)한 것이다.

 

 

桃花性走泄下降利大腸甚快用以治氣實人病水飲腫滿積滯小便閉塞者則有功無害若久服即耗人陰血損元氣豈能悅澤顏色耶

 

桃花(도화)()走泄(주설)하고, 下降(하강)하며, 大腸(대장)通利(통리)하는 것이 매우 迅速(신속)한 것이다. 이것을 사용하여 ()()한 사람의 水飲腫滿(수음종만), 積滯(적체), 大小便(대소변)閉塞(폐색)을 앓고 있는 것을 ()하는 데는 有功無害(유공무해)하지만, 만약 久服(구복)한다면 陰血(음혈)()하고, 元氣(원기)損傷(손상)하게 하는 것이다. 곧잘 顔色(안색)悅澤(열택)하게 할 까닭이 없는 것이다.

 

張從正儒門事親一婦滑瀉數年百治不效或言此傷飲有積也桃花落時以棘針刺取數十萼勿犯人手以麵和作餅煨熟食之米飲送下不一二時瀉下如傾七日行至數百行昏困惟飲涼水而平觀此則桃花之峻利可征矣

 

張從正(장종정)儒门事亲(유문사친)에는 어느 婦人(부인)數年(수년)에 걸쳐 滑泄(활설)하고, 온갖 治法(치법)()가 없었는데 어떤 사람이 <이것은 傷飮(상음)으로 ()이 있는 것이다.>라 하고, 桃花(도화)가 떨어질때 사람의 손이 닿지 않도록 棘針(극침)으로 數十萼(수십악)刺取(자취)하고, ()으로 ()하여 ()을 만들어 煨熟(외숙)해서 먹이고, 米飮(미음)으로 送下(송하)하자 ()~二時間內(이시간내)에 기울듯이 瀉下(사하)하였고, ()~七日間(칠일간) 數百回(수백회) 通利(통리)하여 昏困(혼곤)하였으나 다만 凉水(양수)만을 마시게 함으로써 平癒(평유)하였다.” 라고 하였다. 이것을 보면 桃花(도화)가 얼마나 峻利(준리)한 것인가를 알 수 있다.

 

 

又蘇鶚杜陽編范純佑女喪夫發狂閉之室中夜斷窗櫺登桃樹上食桃花幾盡及旦家人接下自是遂愈也

 

蘇鶚(소악)杜陽編(두양편)에는 范純佑(범순우)()喪夫(상부)하고 發狂(발광)하였을 때 一室(일실)監禁(감금)해 두었는데 夜中(야중)窗櫺(창령)()하고 桃樹(도수)에 올라가 桃花(도화)를 거의 모두 먹어 치웠다. 다음날 아침 家人(가인)發見(발견)하고 ()에서 안아 내렸는데, 그로부터 마침내 治癒(치유)되고 말았다.”라고 하였다.

 

 

珍按此亦驚怒傷肝痰夾敗血遂致發狂偶得桃花利痰飲散滯血之功

 

時珍(시진)이 생각하건대 이것은 역시 驚怒(경노)傷肝(상간)하고 ()敗血(패혈)()하므로 發狂(발광)하였던 것이나 우연히 桃花(도화)痰飮(담음)通利(통리)하고, 滯血(체혈)()하는 功力(공력)을 얻었던 것이다.

 

 

與張仲景治積熱發狂用承氣湯畜血發狂用桃仁承氣湯之意相同而陳藏器乃言桃花食之患淋何耶

 

張仲景(장중경)積熱發狂(적열발광)()하는 데는 承氣湯(승기탕)使用(사용)하였고, 畜血發狂(축혈발광)에는 桃仁承氣湯(도인승기탕)을 사용했던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런데 陳藏器(진장기)()桃花(도화)를 먹으면 ()을 앓게 되다고 하는 것은 理解(이해)할 수 없다.

 

 

 

 

附方

 

舊三新十三

 

大便艱難桃花為末水服方寸匕即通。(《千金》)。

產後秘塞小便不通用桃花葵子滑石檳榔等分為末每空心蔥白湯服二錢即利。(《集驗方》)。

心腹積痛三月三日采桃花晒乾杵末以水服二錢匕。(孟詵食療本草》)。

瘧疾不已桃花為末酒服方寸匕良。(《梅師方》)。

痰飲宿水桃花散收桃花陰乾為末溫酒服一合取利覺虛食少粥不似轉下藥也。(崔行功纂要方》)。

腳氣腫痛桃花一升陰乾為末每溫酒細呷之一宿即消。(《外台秘要》)。

腰脊作痛三月三日取桃花一斗一升井華水三斗曲六升米六斗炊熟如常釀酒每服一升日三服神良。(《千金》)。

膿 不止桃花為末豬脂和敷之日二。(《千金》)。

頭上禿瘡三月三日收未開桃花陰乾與桑椹赤者等分作末以豬脂和先取灰汁洗去痂即塗之。(《食療》)。

頭上肥瘡一百五日寒食節收桃花為末食後以水半盞調服方寸匕日三甚良。(崔元亮海上方》)。

黃水面瘡方同上

足上 瘡桃花食鹽等分杵勻醋和敷之。(《肘後方》)。

雀卵面 桃花冬瓜仁研末等分蜜調敷之。(《聖惠》)。

乾糞塞腸脹痛不通用毛桃花濕者一兩和面三兩作餛飩煮熟空心食之日午腹鳴如雷當下惡物也。(《聖惠方》)。

面上粉刺子如米粉用桃花丹砂各三兩為末每服一錢空心井水下日三服

十日知二十日小便當出黑汁面色瑩白也。(《聖惠方》)。

令面光華三月三日收桃花七月七日收雞血和塗面上二日後脫下則光華顏色也。(《聖濟總錄》)。

 

 

 

 

 

頌曰采嫩者名桃心入藥尤勝

 

嫩葉(눈엽)採取(채취)한다. 桃心(도심)이라고 하는 것인데 ()에 넣으면 가장 좋은 것이다.

 

 

氣味

 

無毒

 

 

 

主治

 

除尸蟲出瘡中小蟲(《別錄》)。

 

尸蟲(시충)除去(제거)하고 瘡中(창중)小蟲(소충)()한다.

 

 

治惡氣小兒寒熱客忤大明)。

 

惡氣(악기), 小兒(소아)寒熱客忤(한열객오)()한다.

 

 

療傷寒時氣風痺無汗治頭風通大小便止霍亂腹痛時珍)。

 

傷寒時氣(상한시기), 風痹(풍비)無汗(무한)한 것을 ()하고, 頭風(두풍)()하며, 大小便(대소변)通利(통리)하고 癨亂(곽란)腹痛(복통)()한다.

 

 

 

 

 

發明

 

頌曰桃葉蒸汗法張文仲備急方治天行病有支太醫桃葉湯熏法用水一石煮桃葉取七斗安床簀下濃被蓋臥床上乘熱熏之少時當雨汗汗遍去湯速粉之並灸大椎穴則愈

 

桃葉蒸汁(도엽증즙)(): 張文仲(장문중)備急方(비급방)天行病(천행병)()하는 支太醫(지태의)桃葉湯熏法(도엽탕훈법)은 물 二石(이석)桃葉(도엽)()하여 七斗(칠두)()하고, 그것을 床簀下(상책하)에 놓고, 患者(환자)를 두껍게 蓋被(개피)한 다음 床上(상상)()하게 하며, 뜨거운 때 ()한다. 잠 시후 비가 오듯 出汗(출한)하게 된다. 땀이 全身(전신)에서 나왔을 때 ()除去(제거)하고, 재빨리 ()하는 한편 大椎穴(대추혈)()한다. 그것을 ()한다.

 

 

又陳廩丘小品方》,有阮河南桃葉蒸法云連發汗汗不出者死可蒸之如中風法燒地令熱去火以少水洒之布干桃葉於上濃二三寸安席葉上臥之溫覆得大汗被中敷粉極燥便瘥也凡柏葉麥麩蠶砂皆可如此法用

 

또한 陳廩丘(진름구)小品方(소품방)에는 阮河南(완하남)桃葉蒸法(도엽증법)이 있는데 그에는 연달아 發汗(발한)한다. 發汗(발한)하지 않는 ()는 죽는다. 이것을 ()할 때에는 中風(중풍)()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땅을 ()하여 뜨겁게 한 다음 불을 除去(제거)하고 약간 물을 뿌린 다음 乾桃葉(건도엽)을 그 위에 ()~三寸(삼촌)의 두께로 깔며, 葉上(엽상)에다 자리를 깔고 ()한다. 따뜻하게 덮어 大汗(대한)을 내고, 被中(피중)에 있으면서 ()()한다. 極乾(극건)하게 되고, 그러써 ()한다. 대개 栢葉(백엽), 麥麩(맥부), 蠶沙(잠사)는 모두 이 方法(방법)과 같이 하여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張苗言曾有人疲極汗出臥簟受冷但苦寒倦四日凡八發汗汗不出用此法而瘥也

 

張苗(장묘)()或者(혹자)疲極(피극)하여 出汗(출한)하고, ()()하여 ()을 받아 寒倦(한권)으로 고생하였는데 四日(사일)에 대략 八回(팔회)發汗(발한)시켰는데 땀이 나오지 않았으나, ()을 사용한 바 ()하였다.”라고 하였다.

 

 

時珍曰許叔微本事方傷寒病醫者須顧表裡循次第昔范雲為梁武帝屬官得時疫熱疾召徐文伯診之是時武帝有九錫之命期在旦夕雲恐不預求速愈

 

许叔微(허숙미)本事方(본사방)<傷寒(상한)醫者(의자)는 반드시 (), ()를 살펴보고 그 상태에 따라야 하는 것이다. 옛날 范雲(범운)梁武帝(양무제)屬官(속관)이었을 때 時疫熱疾(시역열질)에 걸려 徐文伯(서문백)召致(소치)하여 診察(진찰)을 하게 하였다. 그때 마침 武帝(무제) 九錫(구석)()이 있었고, 盛儀(성의)()旦夕(단석)臨迫(임박)하고 있었기 때문에 ()은 그에 列席(열석), 關與(관여)하는 것이 不可能(불가능)하지 않을까 두려운 나머지 迅速(신속)治癒(치유)要求(요구)하였다.

 

 

 

文伯曰此甚易政恐二年後不複起爾雲曰朝聞道夕死可矣況二年乎文伯乃以火地煆布桃柏葉於上令雲臥之少頃汗出粉之翌日遂愈後二年雲果卒取汗先期尚能促壽況罔顧表裡時日便欲速愈者乎夫桃葉發汗妙法也猶有此戒可不慎歟

 

그러자 徐文伯(서문백)그것은 매우 간단한 것이지만, 事務(사무)를 보는 것은 어쩌면 二年(이년) ()에는 坐起(좌기)不可能(불가능)해질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아침에 ()를 깨달을 수 있다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二年(이년)이라면 아직 괜찮다.” 라고 하였다. 徐文伯(서문백)은 그래서 불로 땅을 ()하여 그 위에 (), 栢葉(백엽)을 깔고 그에 ()을 눕게 하여 出汗(출한)하였을 때 ()을 한바 다음 날에는 그로써 ()하였으나 二年(이년) () ()은 확연 死亡(사망)하였다. 取汗(취한)한다는 것은 이렇듯 先期(선기)임에도 不拘(불구)하고 壽命(수명)短縮(단축)하는 것이다. 하물며, 表裏(표리), 時日(시일)을 생각지 않고 迅速(신속)()하려고만 하는 경우는 두말할 나위가 없는 것이다. 元來(원래) 桃葉(도엽)發汗(발한)妙法(묘법)이긴 하지만, 역시 이와 같은 危險(위험)이 있는 만큼 깊은 注意(주의)必要(필요)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附方

 

舊九新二

 

風襲項強不得顧視穿地作坑以水洒之令冷鋪生桃葉於內臥席上以項著坑上蒸至汗出良久即瘥。(《千金方》)。

小兒傷寒時氣用桃葉三兩水五升煮十沸取汁日五六遍淋之後燒雄鼠糞二枚服之。(《傷寒類要》)。

二便不通桃葉杵汁半升服冬用桃皮。(孫真人方)。

霍亂腹痛吐利桃葉三升切水五升煮一升三合分二服。(《外台》)。

除三尸蟲桃葉杵汁服一升。(《外台秘要》)。

腸痔出血桃葉一斛杵蒸之納小口器中坐有蟲自出。(《肘後方》)。

女人陰瘡如蟲咬癢痛者生搗桃葉綿裹納之日三四易。(《食療本草》)。

足上 瘡桃葉搗和苦酒敷之。(《肘後方》)。

鼻內生瘡桃葉嫩心杵爛塞之無葉用枝。(《簡便方》)。

身面癬瘡日午搗桃葉取汁搽之。(《千金》)。

諸蟲入耳桃葉 熟塞之或搗汁滴之或作枕枕一夕自出。(《梅師方》)

 

 

 

 

莖及白皮

 

 

修治

 

時珍曰樹皮根皮皆可用根皮尤良並取東行者刮去粗皮取白皮入藥

 

樹皮(수피), 根皮(근피), 모두 사용하나, 根皮(근피)가 더욱 좋다. 모두 東行(동행)의 것을 ()하여 粗皮(조피)刮去(괄거)하고, 白皮(백피)()하여 ()에 넣는다.

 

 

氣味

 

無毒

 

 

 

主治

 

除邪鬼中惡腹痛去胃中熱(《別錄》)。

 

邪鬼(사귀), 中惡(중악), 腹痛(복통)除去(제거)하고, 胃中(위중)()을 없앤다.

 

 

 

治疰忤心腹痛解蠱毒辟疫癘療黃疸身目如金殺諸瘡蟲時珍)。

 

疰忤(주오), 心腹痛(심복통)()하고 蠱毒(고독)解消(해소)하며, 疫癘(역려)()한다. 黃疸(황달)(), ()()처럼 되는 것을 ()하고, 諸瘡蟲(제창충)()한다.

 

 

 

附方

 

舊十五新五

 

天行疫癘常以東行桃枝煎熬湯浴之。(《類要》)。

黃疸如金晴明時清晨勿令雞婦人見取東引桃根細如箸若釵股者一握切細以水一大升煎一小升空腹頓服後三五日其黃離離如薄雲散開百日方平複也

黃散後可時時飲清酒一杯則眼中易散否則散遲忌食熱面魚等物此是徐之才家秘方也。《類要》。

肺熱喘急集驗》︰治肺熱悶喘急客熱往來欲死不堪服藥者用桃皮芫花各一升以水四升煮取一升五合以故布納汁中取薄胸口溫四肢不盈數刻即止。(《圖經》)。

喉痺塞痛桃皮煮汁三升服。(《千金方》)。

心虛健忘聖惠》,令耳目聰明用戊子日取東引桃枝二七寸枕之又方五月五日日未出時取東引桃枝刻作三寸木人著衣領帶中佩之。(《千金方》)。

卒得心痛東引桃枝一把切以酒一升煎半升頓服大效。(《肘後方》)。

鬼疰心痛東引桃枝一握去粗皮切水二升煎半升頻服。(崔氏)。

解中蠱毒用東引桃白皮烘乾)、大戟斑蝥去足翅熬),三物等分為末以冷水服半方寸匕即出不出更服或因酒得以酒服因食得以食服必效方云此乃李饒州法也亦可以米泔丸服。(蘇頌圖經》)。

卒得惡瘡人不識者取桃皮作屑納之。(孫真人方)。

卒患瘰癧不痛者取桃樹白皮貼瘡上灸二七壯良。(孫真人方)。

熱病口瘡成 桃枝煎濃汁含之下部有瘡納入之。(《類要》)。

下部 瘡桃白皮煮取濃汁如稀餳入熊膽少許以綿蘸藥納入下部瘡上。(《梅師》)。

五痔作痛桃根水煎汁浸洗之當有蟲出

小兒濕癬桃樹青皮為末和醋頻敷之。(《子母秘錄》)。

狂狗咬傷桃白皮一握水三升煎一升服。(《梅師方》)。

水腫尿短桃皮三斤去內外皮),秫米一斗女曲一升以水二斗煮桃皮取汁一斗以一半漬曲一半漬秫飯如常釀成酒每服一合日三次以體中有熱為候小便多是病去忌生冷一切毒物。(《聖濟總錄》)。

婦人經閉數年不通面色萎黃唇口青白腹內成塊肚上筋起腿脛或腫桃根煎主之用桃樹根牛蒡根馬鞭草根牛膝蓬 各一斤銼以水三斗煎一斗去滓更以慢火煎如餳狀收之每以熱酒調服一匙。(《聖惠方》)。

牙疼頰腫桃白皮柳白皮槐白皮等分煎酒熱漱冷則吐之。(《聖惠方》)。

小兒白禿桃皮五兩煎汁入白面沐之並服。(同上)。

 

 

 

桃膠

 

修治

 

時珍曰桃茂盛時以刀割樹皮久則膠溢出采收以桑灰湯浸過曝乾用如服食當依本方修煉

 

()茂盛(무성)할 때 ()樹皮(수피)를 갈라 놓으면 얼마 후에 ()溢出(일출)한다. 그것을 採取(채취)하여 桑灰湯(상회탕)()한 다음 暴乾(폭건)하여 使用(사용)한다. 服食(복식)使用(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本文(본문)方法(방법)에 따라 修鍊(수련)해야 한다.

 

氣味

 

無毒

 

 

主治

 

煉服保中不飢忍風寒(《別錄》)。

 

鍊服(연복)하면 保中不飢(보중불기)하고 風寒(풍한)克服(극복)한다.

 

 

下石淋破血治中惡疰忤蘇恭)。

 

石淋(석림)()하고 破血(파혈)하며, 中惡(중오), 疰忤(주오)()한다.

 

 

 

主惡鬼邪氣孟詵)。

 

惡鬼邪氣(악귀사기)主效(주효)가 있다.

 

 

和血益氣治下痢止痛時珍)。

 

和血(화혈)益氣(익기)하고 下痢(하리)()하며, ()()한다.

 

 

發明

 

頌曰︰《本草言桃膠煉服保中不飢仙方服膠法取膠二十斤絹袋盛於櫟木灰汁一石中煮三五沸取掛高處候乾再煮如此三度曝乾研篩蜜和丸梧子大每空腹酒服二十丸久服身輕不老

 

本草(본초)에는 桃膠(도교)鍊服(연복)하면 保中不飢(보중불기)한다.”라고 하였는데, 仙方服膠法(선방복교법)에는 () 二十斤(이십근)()하여 絹袋(견대)에 넣고, 櫟木灰汁(역목회즙) 一石(일석) 속에 ()하여 ()~五沸(오비)한 다음 ()하여 高處(고처)에 걸어 두고 乾燥(건조)하는 것을 기다려 再煮(재자)한다. 이렇게 三回(삼회)반복한 다음 暴乾硏末(폭건연말)하여 채로 쳐서 ()()하고, 梧子(오자) 크기의 ()을 만들어 二十丸(이십환)씩을 空腹(공복)酒服(주복)한다. 久服(구복)하면 經身不老(경신불노)한다.

 

 

 

時珍曰︰《抱朴子桃膠以桑灰汁漬過服之除百病數月斷谷久則晦夜有光如月列仙傳高丘公服桃膠得仙古方以桃膠為仙藥而後人不複用之豈其功亦未必如是之殊耶

 

抱朴子(포박자)에는 <桃膠(도교)桑灰汁(상회즙)()하여 服用(복용)하면 百病(백병)除去(제거)하고, 數月(수월)斷穀(단곡)하며, 久服(구복)하면 暗野(암야)에도 달과 같은 빛으로 物體(물체)를 볼수 있다>라고 하였다. 또한 列仙傳(열선전)에는 <高丘公(고구공)桃膠(도교)服用(복용)하고 仙人(선인)이 될 수 있었다.>라고 하였다. 古方(고방)에는 桃膠(도교)仙藥(선약)으로 하였던 것이나 後世(후세) 一般(일반)은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公課(공과)에 반드시 위와 같은 特異(특이)한 것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된다.

 

 

附方

 

舊二新三

 

虛熱作渴桃膠如彈丸大含之佳。(《外台》)。

石淋作痛桃木膠如棗大夏以冷水三合冬以湯三合和服日三服當下石石盡即止。(《古今錄驗》)。

血淋作痛桃膠)、木通石膏各一錢水一盞煎七分食後服。(《楊氏家藏方》)。

產後下痢赤白裡急後重用桃膠焙乾)、沉香蒲黃各等分為末每服二錢食前米飲下。(《婦人良方》)。

痘 發搐黑陷者用桃膠煎湯飲之或水熬成膏酒化服之大效。(《總微論》)。

 

 

 

桃符

 

主治

 

中惡精魅邪氣水煮汁服之孟詵)。

 

中惡(중악), 精魅(정매)邪氣(사기)에는 煮汁(자즙)服用(복용)한다.

 

 

 

發明

 

時珍曰︰《典術桃乃西方之木五木之精仙木也味辛氣惡故能厭伏邪氣製百鬼今人門上用桃符以此

 

典術(전술)<()西方(서방)(), 五木(오목)()仙木(선목)으로 ()(), ()()하다. 그래서 곧잘 邪氣(사기)厭伏(염복)하고, 百鬼(백귀)()한다. 오늘날 一般(일반)으로 門上(문상)桃符(도부)를 상용하는 거은 이것으로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玉燭寶典戶上著桃板辟邪山海經神荼鬱壘居東海蟠桃樹下主領眾鬼之義

 

玉燭寶典(옥촉보전)에는 戶上(호상)桃板(도판)을 붙여 辟邪(피사)하는 것은 山海經(산해경)神茶(신다), 鬱壘(울루)東海蟠桃樹下(동해반도수하)dlp 살고 있으면서 眾鬼(중괴)主領(주령)하고 있다는 뜻을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許慎云羿死於桃棓,仗也故鬼畏桃而今人用桃梗作杙橛以辟鬼也

 

許愼(허신)羿()桃棓(도부)에 의해 죽는다. ()()인 것이다. 따라서 ()()()하기 때문에 오늘날 一般的(일반적)으로 桃梗(도경)杙橛(익궐)로 만들어 辟鬼(피귀)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禮記王弔則巫祝以桃茢前引以辟不祥茢者桃枝作帚也

 

禮記(예기)()()하면 ()()하는데 桃茢(도열)前引(전인)하므로 不詳(불상)()한다.”라고 하였다. ()이란 桃枝(도지)로 만든 ()를 말한다.

 

 

博物志桃根為印可以召鬼。《甄異傳鬼但畏東南枝爾據此諸說則本草桃之枝桃梟桃橛皆辟鬼祟產忤蓋有由來矣

 

博物志(박물지)에는 桃根(도근)으로 ()을 만들면 ()를 부릴 수 있다.”라고 하였고, 甄異傳(견이전)에는 ()는 단지 東南枝(동남지)()할뿐이다.”라고 하였다. 이들 諸說(제설)에 의하면 本草(본초)()(), (), (), (), 桃梟(도효), 桃橛(도궐)에 모두 鬼祟(귀수), 產忤(산오)()한다고 한 것은 그만한 緣由(연유)가 있는 것이다.

 

錢乙小兒方疏取積熱及結胸用巴豆汞之藥以桃符煎湯下亦是厭之之義也

 

錢乙(전을)小兒方(소아방)에는 積熱(적열) 結胸(결흉)燒取(소취)하는데 巴豆(파두), (), ()()을 사용하고, 桃符煎湯(도부전탕)으로 服用(복용)한다고 하였는데 역시 이것도 禁厭(금염)의 뜻인 것이다.

 

 

桃橛(《拾遺》)

 

時珍曰即杙也人多釘於地上以鎮家宅三載者良

 

()()을 말한다. 世間(세간)에서 흔히 地下(지하)()하여 家宅(가택)()하는 것으로 하는데 三年(삼년)된 것을 良品(양품)으로 친다.

 

 

主治

 

卒心腹痛鬼疰破血辟邪惡氣脹滿煮汁服之與桃符同功藏器)。

 

卒心腹痛(졸심복통), 鬼疰(귀주), 破血(파혈)하고, 邪惡氣(사악기)()한다. 漲滿(창만)에는 煮汁(자즙)服用(복용)한다. 桃符(도부)()은 같다.

 

 

 

 

附方

 

新一

 

風蟲牙痛門下桃橛燒取汁少少納孔中以蠟固之。(《聖惠方》)。

 

 

桃寄生 見木部

 

桃蠹蟲 移入蟲部

 

 

[本草綱目(본초강목)]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금(林檎)[본초강목]  (0) 2023.04.03
당리(棠梨)[본초강목]  (0) 2023.04.03
리(梨)[본초강목]  (2) 2023.03.12
매실(梅實)[본초강목]  (2) 2023.03.02
명사(榠樝)[본초강목]  (0)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