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梨)[본초강목]

2023. 3. 12. 02:48[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본초강목]

 

 

 

 

 

^^^^^^^^^^^^^^^^^^^^^^^^^^^^^^^^^^^^^^^^^^^^^^^^^^^^^^^^^^^^^^^^^^^

 

 

(《別錄下品

 

釋名

 

快果果宗玉乳蜜父

 

 

震亨曰梨者利也其性下行流利也

 

()()인 것이다. ()下行(하행)하고 流利(유리)하는 것이다.

 

 

弘景曰梨種殊多並皆冷利多食損人故俗人謂之快果不入藥用

 

()種類(종류)는 매우 많은데 어느 것이나 모두 冷利(냉리)한 것이며, 多食(다식)하면 사람을 損傷(손상)시킨다. 그래서 俗間(속간)에서는 이것을 快果(쾌과)라고 한다. ()에는 넣지 않는다.

 

 

集解

 

頌曰處處皆有而種類殊別醫方相承用乳梨鵝梨乳梨出宣城皮濃而肉實其味極長鵝梨河之南北州郡皆有之皮薄而漿多味差短其香則過之其餘水梨消梨紫糜梨赤梨青梨茅梨甘棠梨禦兒梨之類甚多俱不入藥也

 

一種桑梨惟堪蜜煮食之止口乾生食不益人冷中又有紫花梨療心熱唐武宗有此疾百藥不效青城山邢道人以此梨絞汁進之帝疾遂愈複求之不可得常山郡忽有一株因緘封以進帝多食之解煩燥殊效歲久木枯不複有種今人不得而用之矣

 

時珍曰梨樹高二三丈尖葉光膩有細齒二月開白花如雪六出上巳無風則結實必佳故古語雲上巳有風梨有蠹中秋無月蚌無胎賈思勰言梨核每顆有十餘子種之惟一二子生梨餘皆生杜此亦一異也即棠梨也梨品甚多必須棠梨桑樹接過者則結子早而佳梨有青紫四色乳梨即雪梨鵝梨即綿梨消梨即香水梨也俱為上品可以治病禦兒梨即玉乳梨之訛或雲禦兒一作語兒地名也在蘇州嘉興縣漢書注》。

 

其他青皮早穀半斤沙糜諸梨皆粗澀不堪只可蒸煮及切烘為脯爾一種醋梨易水煮熟則甜美不損人也昔人言梨皆以常山真定山陽钜野梁國睢陽齊國臨淄巨鹿弘農京兆鄴都洛陽為稱蓋好梨多產於北土南方惟宣城者為勝故司馬遷史記淮北滎南河濟之間千株梨其人與千戶侯等也又魏文帝詔雲真定禦梨大如拳甘如蜜脆如菱可以解煩釋 辛氏三秦記含消梨大如五升器墜地則破須以囊承取之漢武帝嘗種於上苑此又梨之奇品也。《物類相感志梨與蘿蔔相間收藏或削梨

 

 

 

氣味

 

微酸無毒

 

多食令人寒中萎困金瘡乳婦血虛者尤不可

 

多食(다식)하면 寒中萎困(한중위곤)하게 한다. 金瘡(금창), 乳婦(유부), 血虛者(혈허자)는 더욱 먹어서는 안 된다.

 

 

志曰︰《別本甘寒多食成冷痢桑梨生食冷中不益人

 

()(), ()하다. 多食(다식)하면 冷痢(냉리)가 된다. 桑梨(상리)生食(생식)하면 冷中(냉중)하고, 無益(무익)한 것이다.“ 라고 하였다.

 

 

 

主治

 

熱嗽止渴切片貼燙火傷止痛不爛蘇恭)。

 

熱嗽(열수), 止渴(지갈)한다. 切片(절편)으로 하여 燙火傷(탕화상)에 붙이면 止痛不爛(지통불란)한다.

 

治客熱中風不語治傷寒熱發解丹石熱氣驚邪利大小便(《開寶》)。

 

客熱(객열), 中風不語(중풍불어)()하고, 傷寒熱發(상한열발)()하며, 丹石熱氣(단석열기), 驚邪(경사)解消(해소)하고, (), 小腸(소장)通利(통리)한다.

 

除賊風止心煩氣喘熱狂作漿吐風痰大明)。

 

賊風(적풍)除去(제거)하고 心煩(심번), 氣喘(기천), 熱狂(열광)을 멎게 한다. ()을 만들면 風痰(풍담)()하게 한다.

 

猝喑風不語者生搗汁頻服胸中痞塞熱結者宜多食之孟詵)。

 

猝喑風不語(졸암풍불어)에는 生搗汁(생도즙)頻服(빈복)한다. 胸中痞塞(흉중비색), 列缺(열결)에는 이것을 多食(다식)하는 것이 좋다.

 

 

潤肺涼心消痰降火解瘡毒酒毒時珍)。

 

潤肺涼心(윤폐양심)하고 消痰(소담)하고 降火(강화)하며, 瘡毒(창독), 酒毒(주독)解消(해소)한다.

 

 

 

發明

 

宗奭曰多食動脾少則不及病用梨者當斟酌之惟病酒煩渴人食之甚佳終不能卻疾

 

()多食(다식)하면 動脾(동비)하고, 少食(소식)하면 ()效力(효력)을 미치지 못한다. ()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 ()斟酌(짐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단지 ()dpl 의한 ()으로 煩渴(번갈)하는 사람은 이것을 먹는 것이 매우 좋으나 그렇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慎微曰孫光憲北夢瑣言有一朝士見奉禦梁新診之風疾已深請速歸去複見鄜州馬醫趙鄂診之言與梁同但請多吃消梨咀齕不及絞汁而飲到家旬日唯吃消梨頓爽也

 

孫光憲(손광헌)北夢瑣言(북몽쇄언)朝廷(조정)의 한 官吏(관이)奉禦(봉어)梁新(양신)診察(진찰)하고 <風疾(풍질)이 이미 깊어 졌으니 빨리 辭職(사직)하고 돌아가는 것이 좋다.>라고 하였다. 또한 鄜州(부주)馬醫趙鄂(마의조악)을 만났을 때 診察(진찰)을 받았는데 그의 말은 ()과 같았다. 다만 <消梨(소리)를 많이 ()하고 咀齕(저흘)하여 ()을 짤 것 없이 마시는 것이 좋다.> 라고 하였다. 그래서 歸家(귀가)하여 十日(십일) 정도 오직 消梨(소리)만을 ()하고 있자 별안간 爽快(상쾌)해졌다.” 라고 하였다. 저흘

 

 

時珍曰︰《別錄著梨只言其害不著其功陶隱居言梨不入藥蓋古人論病多主風寒用藥皆是桂故不知梨有治風熱潤肺涼心消痰降火解毒之功也

 

別錄(별록)()에 대한 記述(기술)은 단지 그 ()만을 指摘(지적)하고 있을 뿐 그 ()에 대해서는 發明(발명)하지 않았고, 陶隱居(도은거)()에서는 ()()에 넣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생각건데 古代(고대)에는 ()()함에 대개 風寒(풍한)()로 하고, 사용하는 ()은 모두 (), ()였기 때문에 ()風熱(풍열)()하고, 潤肺涼心(윤폐양심)하며, 消痰降火(소담강화)하고, 解毒(해독)하는 功力(공력)이 있는 것을 몰랐던 것이다.

 

 

今人痰病火病十居六梨之有益蓋不為少但不宜過食爾

 

지금은 痰病(담병), 火病(화병)十中(십중) 六七(육칠)을 차지하고 있는 形便(형편)이기 때문에 ()有益(유익)하다는 것이 결코 적지 않는 것이다. 過食(과식)해서는 안 될 뿐이다.

 

 

 

︰《類編一士人狀若有疾厭厭無聊往謁楊吉老診之楊曰君熱症已極氣血消鑠此去三年當以疽死士人不樂而去聞茅山有道士醫術通神而不欲自鳴乃衣仆衣詣山拜之願執薪水之役道士留置弟子中久之以實白道士道士診之笑曰汝便下山但日日吃好梨一顆如生梨已盡則取乾者泡湯食滓飲汁疾自當平

 

類編(유편)어느 紳士(신사)()이 있는 것 같이 厭厭(염염)하고, 無聊(무료)한 상태였기 때문에 楊吉老(양길노)를 찾아 診察(진찰)要請(요청)하자 ()당신은 熱症(열증)이 이미 ()()하고, 氣血(기혈)消鑠(소삭)하고 있다. 지금부터 三年(삼년)이 지나면 ()()해 죽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紳士(신사)는 앙앙히 사라졌는데 茅山(모산)醫術(의술)神通(신통)하고, 스스로 世間(세간)에 알려지기를 바라지 않는 어떤 道士(도사)에세 謁見(알현)한 다음 薪水(신수)用役(용역)을 맡고 弟子(제자)가 될 것을 哀願(애원)하자, 道士(도사)는 그대로 곧 그 紳士(신사)弟子中(제자중)()해 주었기 때문에 얼마가 지난 후 目的(목적)했던 事實(사실)道士(도사)에게 告白(고백)하였다. 그러자 道士(도사)診察(진찰)하고 웃으면서 말하였다. ”그대는 ()에서 내려가 다만 每日(매일) 좋은 () 一類(일류)를 먹는 것이 좋다. 生梨(생리)가 없어지면 乾燥(건조)한 것을 ()하여 湯浸(탕침)하고, ()를 먹고 ()을 마시는 것이다. 그것으로 ()平安(평안)해 질 것이 틀림없다.“라고 하였다.

 

 

士人如其戒經一歲複見吉老見其顏貌腴澤脈息和平驚曰君必遇異人不然豈有痊理士人備告吉老吉老具衣冠望茅山設拜自咎其學之未至

 

紳士(신사)는 그의 말대로 하였고, 一年(일년)이 지난 후 다시 楊吉老(양길노)를 찾아 갔다. 梁吉老(양길노)는 그 顔貌(안모)腴澤(유택)하고, ()()和平(화평)한 것을 一見(일견)하자 놀라 너는 반드시 異人(이인)을 만났던 것이 틀림없다. 그렇지 않고서야 ()할 까닭이 없다.”라고 하였다. 紳士(신사)는 소상하게 위의 사실을 ()하였기 때문에 梁吉老(양길노)衣冠(의관)을 갖추고, 茅山(모산)()禮拜(예배)하고는 自身(자신)學問(학문)未洽(미흡)한 것을 懺悔(참회)하였다.“ 라고 하였다.

 

 

此與北夢瑣言之說仿佛觀夫二條則梨之功豈小補哉然惟乳梨鵝梨消梨可食餘梨則亦不能去病也

 

이것은 北夢瑣言(북몽쇄언)()彷佛(방불)한 것인데 이 두 개의 ()에 의하여 생각해보면 ()()은 약간 ()하는 정도가 아닌 것이다. 그러나 다만 乳梨(유리), 鵞梨(아리), 消梨(소리)만이 먹을 수 있는 것이며, 기타의 ()로서는 역시 ()除去(제거)功能(공능)이 없는 것이다.

 

附方

 

舊八新四

 

消渴飲水用香水梨或鵝梨或江南雪梨皆可取汁以蜜湯熬成瓶收無時以熱水或冷水調服愈乃止。(《普濟方》)

猝得咳嗽頌曰崔元亮海上方》︰用好梨去核搗汁一碗入椒四十粒煎一沸去滓納黑餳一大兩消訖細細含咽立定詵曰用梨一顆刺五十孔每孔納椒一粒面裹灰火煨熟停冷去椒食之又方去核納酥面裹燒熟冷食又方切片酥煎食之

又方搗汁一升入酥蜜各一兩地黃汁一升煎成含咽凡治嗽須喘急定時冷食之若熱食反傷肺令嗽更劇不可救也若反可作羊肉湯餅飽食之便臥少時即佳

痰喘氣急梨剜空納小黑豆令滿留蓋合住系定糠火煨熟搗作餅每日食之至效。(《摘玄》)

喑風失音生梨搗汁一盞飲之日再服。(《食療本草》)

小兒風熱昏懵躁悶不能食用消梨三枚切破以水二升煮取汁一升入粳米一合煮粥食之。(《聖惠方》)

赤目弩肉日夜痛者取好梨一顆搗絞汁以綿裹黃連片一錢浸汁仰臥點之。(

赤眼腫痛鵝梨一枚搗汁黃連末半兩膩粉一字和勻綿裹浸梨汁中日日點之。(《聖惠方》)

反胃轉食藥物不下用大雪梨一個以丁香十五粒刺入梨內濕紙包四五重煨熟食

 

 

 

 

主治

 

去面黑粉滓時珍方見李花下)。

 

面黑粉滓(면흑분재)除去(제거)한다.

 

 

 

主治

 

霍亂吐利不止煮汁服作煎治風蘇恭)。

 

霍亂吐利(곽란토리)가 멎지 않는 경우에는 煮汁(자즙)服用(복용)한다. ()한 것은 治風(치풍)한다.

 

 

治小兒寒疝蘇頌)。

 

小兒(소아)寒疝(한산)

 

 

搗汁服解中菌毒吳瑞)。

 

搗汁(도즙)服用(복용)하면 ()中毒(중독)解消(해소)한다.

 

 

附方

 

舊三新一

 

小兒寒疝腹痛大汗出用梨葉濃煎七合分作數服飲之大良此徐玉經驗方也。(《圖經本草》)

中水毒病初起頭痛惡寒拘急心煩用梨葉一把搗爛以酒一盞攪飲。(《篋中方》)

蠷 尿瘡出黃水用梨葉汁塗之乾即易。(《篋中方》)

食梨過傷梨葉煎汁解之。(黃記

 

 

木皮

 

主治

 

解傷寒時氣時珍)。

 

傷寒寒氣(상한한기)解消(해소)한다.

 

 

 

附方

 

新四

 

傷寒溫疫已發未發用梨木皮大甘草各一兩黃秫穀一合為末),鍋底煤一錢每服三錢白湯下日二服取愈此蔡醫博方也。(黎居士簡易方》)

 

霍亂吐利梨枝煮汁飲。(《聖惠》)

 

氣積鬱冒人有氣從臍左右起上沖胸滿氣促鬱冒厥者用梨木灰伏出雞卵殼中白皮紫菀麻黃去節),等分為末糊丸梧桐子大每服十丸酒下亦可為末服方寸匕或煮湯服。(《總錄》)

 

結氣咳逆三十年者服之亦瘥方同上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리(棠梨)[본초강목]  (0) 2023.04.03
도인(桃仁)[본초강목]  (2) 2023.03.12
매실(梅實)[본초강목]  (2) 2023.03.02
명사(榠樝)[본초강목]  (0) 2023.03.02
비파(枇杷)[본초강목]  (0) 202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