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염(食鹽)[본초강목]

2022. 10. 13. 22:36[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식염(食鹽)[본초강목]

 

 

 

 

 

^^^^^^^^^^^^^^^^^^^^^^^^^^^^^^^^^^^^^^^^^^^^^^^^^^^^^^^^^^^^^^^^^^^^^^^^^^

 

 

食鹽

 

》)

 

校正

 

 

志曰元在米部今移入此

 

원래는 米部(미부)에 있었으나 지금은 여기에 移入(이입)한다.

 

時珍曰並入本經大鹽

 

本經(본경)大鹽(대염)倂入(병입)한다.

 

 

 

釋名

 

 

時珍曰鹽字象器中煎鹵之形。《禮記》︰曰鹹鹺

爾雅天生曰鹵人生曰鹽

許慎說文鹹也東方謂之斥西方謂之鹵河東謂之鹹黃帝之臣宿沙 氏初煮海水為鹽。《本經大鹽即今解池顆鹽也。《別錄重出食鹽今並為一方士呼 鹽為海砂

 

 

 

集解

 

 

別錄大鹽出邯鄲及河東池澤恭曰大鹽即河東印鹽也人之常食者形粗於食鹽

 

 

弘景曰有東海鹽北海鹽南海鹽河東鹽池梁益鹽井西羌山鹽胡中樹鹽色類不同以河東者為勝東海鹽官鹽白草粒細北海鹽黃草粒粗以作魚 及鹹菹乃言北勝而藏繭必用鹽官者蜀中鹽小淡廣州鹽鹹苦不知其為療體複有優劣否

 

 

藏器曰四海之內何外無之惟西南諸夷稍少人皆燒竹及木鹽當之

 

 

頌曰並州末鹽乃刮鹼煎煉者不甚佳所謂鹵鹼是也大鹽生河東池澤粗於末鹽即今解鹽也解州安邑兩池取鹽於池旁耕地沃以池水每得南風急則宿夕成鹽滿畦彼人謂之種鹽最為精好東海北海南海鹽者今滄化諸州煮海水作之謂之澤鹽醫方謂之海鹽海邊掘坑上布竹木覆以蓬茅積沙於上每潮汐沖沙則鹵鹼淋於坑中水退則以火炬照之鹵氣沖火皆滅因取海鹵貯盤中煎之頃刻而就其煮鹽之器漢謂之牢盆今或鼓鐵為之南海人編竹為之上下周以蜃灰橫丈深尺平底置於灶背謂之鹽盤梁益鹽井者今歸州及四川諸郡皆有鹽井汲其水以煎作鹽如煮海法又濱州有土鹽煎煉草土而成其色最粗黑不堪入藥海州並有停戶刮鹼煎鹽輸官如並州末鹽之類而味更優以供給江湖極為饒衍

 

 

時珍曰鹽品甚多海鹽取海鹵煎煉而成今遼冀山東兩淮閩浙廣南所出是也

 

()에는 品等(품등)이 매우 많다. 海鹽(해염)海鹵(해로)()해서 煎鍊(전련)하여 만든 것으로, 지금의 (), (), 山東(산동), 兩淮(양회), (),(), 廣南(광남) 各地(각지)에서 産出(산출)되는 것이 그것이다.

 

井鹽取井鹵煎煉而成今四川雲南所出是也

 

井鹽(정염)井鹵(정로)를 취해서 煎鍊(전련)하여 만드는 것으로 지금의 四川(사천), 雲南(운남)에서 産出(산출)되는 것이다.

 

池鹽出河東安邑西夏靈州今惟解州種之疏鹵地為畦隴而塹圍之引清水注入久則色赤待夏秋南風大起則一夜結成謂之鹽南風如南風不起則鹽失利亦忌濁水淤澱鹽脈也海豐深州者亦引海水入池曬成

 

池鹽(지염)河東(하동)安邑(안읍), 西夏(서하), 靈州(영주)에서 産出(산출)되는 것이다. 現今(현금)에는 解州(해주)에서만이것을 採取(채취)하여 施行(시행)하고 있는데 그것은 ()導入(도입)하는 地面(지면)畦隴(휴롱)을 만들어서 塹濠(참호)를 둘러싸고, 거기에 淸水(청수)導注(도주)해서 오랫동안 累積(누적)하면 두둑 全面(전면)이 붉게 된다. 이렇듯 여름에서 가을까지 그대로 두면 드디어 南風(남풍)이 대거 물려 불어오니 하룻밤 사이에 結晶(결정)하여 ()生成(생성)되는 것이다. 地方(지방)에서는 이 바람을 鹽南風(염남풍)이라 부르며 만약 이 南風(남풍)이 신통치 못할때는 그 해에 鹽作(염작)은 당장 失敗(실패)하고 만다. 製鹽畦(제염휴)濁水(탁수)沈澱(침전)되어 () 속에 淤著(어저)하는 것은 禁物(금물)이다.

 

並州河北所出皆鹼鹽也刮取鹼土煎煉而成鳳州所出皆崖鹽也生於土崖之間狀如白礬亦名生鹽此五種皆食鹽也上供國課下濟民用

 

海豐(해풍), 深州(심주)의 것도 海水(해수)를 못으로 導引(도인)해서 曬作(쇄작)하는 것이다. 荊州(형주), 河北(하북)에서 ()하는 것은 모두 鹼鹽(감염)인데 鹼土(감토)刮取(괄취)해서 煎鍊(전련)하여 만든다. 階州(계주), 成州(성주), 鳳州(봉주), 四川産(사천산)은 모두 崖鹽(애염)으로서 土崖(토애) 사이에 생기는 白礬鹽(백반)과 같은 狀態(상태)를 하고 있다. 또한 生鹽(생염)이라고도 한다. 以上(이상) 五種(오종)()은 모두 食鹽(식염)으로서 위로는 위로는 國家(국가)宮廷(궁정)所用(소용)()하고, 아래로는 백성들 개개인의 營養材料(영양재료)가 된다.

 

 

海鹽井鹽鹼鹽三者出於人池鹽崖鹽二者出於天。《周禮鹽人掌鹽之政令祭祀供其苦鹽散鹽賓客供其形鹽王之膳羞供其飴鹽

 

海鹽(해염), 井鹽(정염), 鹵鹽(노염)의 세가지는 人工(인공)에 의해서 製出(제출)하는 것이고, 池鹽(지염), 崖鹽(애염)의 두 가지는 天然(천연)으로 生産(생산)되는 것이다. 周禮(주례)“鹽人(염인)()政令(정령)掌握(장악)한다. 祭祀(제사)에는 그 苦鹽(고염), 産鹽(산염)()하고, 賓客(빈객)에게는 그 形鹽(형염)()하며 ()膳饈(선수)에는 그 飴鹽(이염)()한다.” 라고 하였다.

 

 

苦鹽即顆鹽也出於池其鹽為顆未煉治其味鹹苦散鹽即末鹽出於海及井並煮鹼而成者其鹽皆散末也形鹽即印鹽或以鹽刻作虎形也或雲積鹵所結其形如虎也

 

苦鹽(고염)이라 한 것은 顆鹽(과염)을 말한 것이다. 散鹽(산염)이라고 하는 것은 末鹽(말염)을 말한다. () ()에서 나오는 ()煮作(자작)하는 것인데 모두 散末(산말)이다. 形鹽(형염)이라 한 것은 印鹽(인염)을 말한다. ()虎形(호형)으로 새긴 것이지만 혹은 積鹵(적로)()의 모양으로 結晶(결정)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飴鹽以飴拌成者或雲生於戎地味甜而美也此外又有崖鹽生於山崖戎鹽生於土中傘子鹽生於井石鹽生於石木鹽生於樹蓬鹽生於草

 

飴鹽(이염)이라 한 것은 엿을 섞어서 만든 것이다. 혹은 그것이 戎地(융지)에서 天然(천연)으로 産出(산출)한다고도 하여 맛이 달고 美味(미미)하다. 이 밖에 種類上(종류상)으로 말한다면 또 山崖(산애)에서 나는 崖鹽(애염)이 있고, 土中(토중)에서 나는 戎鹽(융염)이 있으며, ()에서 나는 傘子鹽(산자염)이 있고, ()에서 나는 石鹽(석염)이 있으며, 樹木(수목)에서 나는 木鹽(목염)이 있고, ()에서 나는 蓬鹽(봉염)이 있다.

 

造化生物之妙誠難殫知也

 

造化(조화)生物(생물)하는 玄妙(현묘)함은 참으로 測量(측량)하기 그지없이 어려운 것이다.

 

 

 

修治

 

時珍曰凡鹽人多以礬石之類雜之入藥須以水化澄去腳滓煎煉白色乃良

 

대개 ()製造(제조), 販賣業者(판매업자)는 거의 (), (), (), ()()混入(혼입)하고 있다. ()에 넣는 데는 반드시 물에 녹여 澄淸(징청)해서 腳滓(각재)除去(제거)하고, 煎鍊(전련)白色(백색)의 것을 쓰는 것이 좋다.

 

 

大鹽

 

氣味

 

無毒

 

別錄食鹽無毒多食傷肺喜咳

 

食鹽(식염)()하고 ()하며 ()은 없다. 多食(다식)하면 ()()하고 ()가 나온다.

 

權曰有小毒

時珍曰微辛無毒

 

保升曰多食令人失色膚黑損筋力

 

多食(다식)하면 顔色(안색)()을 상실하고 皮膚(피부)가 검어지며 筋力(근력)()한다.

 

之才曰漏蘆為之使

 

漏蘆(누로)使()가 된다.

 

 

斅曰敝簞烏賊骨亦淡鹵

 

敝簞(폐단)烏賊骨(오적골)()()하게 한다.

 

 

 

 

主治

 

 

腸胃結熱喘逆胸中病令人吐(《本經》)。

 

腸胃(장위)結熱(결열), 喘逆(천역), 胸中(흉중)(),사람으로 하여금 ()하게 한다.

 

 

傷寒寒熱吐胸中痰癖止心腹猝痛殺鬼蠱邪疰毒瓦斯下部䘌瘡堅肌骨(《別錄》)。

 

傷寒寒熱(상한한열), 胸中(흉중)痰癖(담벽)()하고 心腹(심복)卒痛(졸통)을 멈추며, 鬼蠱(귀고), 邪疰(사주)毒氣(독기), 下部(하부)䘌瘡(익창)()하고, 肌骨(기골)()하게 한다.

 

 

除風邪吐下惡物殺蟲去皮膚 風毒調和臟腑消宿物令人壯健藏器)。

 

風邪(풍사)()하며 惡物(오물)吐下(토하)하고, 殺蟲(살충)하며, 皮膚(피부)風毒(풍독)()하고, 臟腑(장부)調和(조화)하며 停滯(정체)한 것을 消化(소화)하고, 人體(인체)壯健(장건)하게 한다.

 

 

助水臟及霍亂心痛金瘡明目止風淚邪氣一切蟲傷瘡腫火灼瘡長肉補皮膚通大小便療疝氣滋五味大明)。

 

水臟(수장)을 돕는다. 癨亂(곽란), 心痛(심통), 金瘡(금창)使用(사용)하며, 明目(명목), 風淚(풍루)를 멈춘다. 邪氣(사기), 一切(일체)蟲傷(충상), 瘡腫(창종), 火灼瘡(화작창)()伸張(신장)하며, 皮膚(피부)()한다. 大小便(대소변)()하고, 疝氣(산기)()하며, 五味(오미)()하게 한다.

 

 

空心揩齒吐水洗目夜見小字甄權)。

 

空心(공심)()에 문지르면 물을 ()하고, 눈을 씻으면 밤에도 작은 글을 볼 수 있다.

 

 

 

解毒涼血潤燥定痛止癢吐一切時氣風熱痰飲關格諸病時珍)。

 

解毒(해독)하고, 凉血(양혈)하며, 潤燥(윤조)하고, 定痛(정통), 止癢(지양)하고, 一切(일체)時氣(시기), 風熱(풍열), 痰飮(담음), 關格(관격)諸病(제병)()하게 한다.

 

 

 

 

 

發明

 

 

弘景曰五味之中惟此不可缺西北方人食不耐鹹而多壽少病好顏色東南方人食絕欲鹹而少壽多病便是損人傷肺之效然以浸魚肉則能經久不敗以沾布帛則易致朽爛所施各有所宜也

 

五味(오미) 가운데서 이것만을 빼놓을 수 없는 것인데도 西北方(서북방) 사람들은 ()食物(식물)을 잘 먹지 않는데도 대개는 長壽(장수)保持(보지)하고 ()이 적으며 顔色(안색)이 좋다. 이에 ()해서 東南方(동남방) 사람들은 ()食物(식물)()하게 찾으니 壽命(수명)은 짧고 ()이 많다. 이것을 보면 이것이 人體(인체)損傷(손상)하고 ()()하게 하는 結果(결과)인 듯 여겨진다. 하지만 이것으로 魚肉(어육)()하면 오랫동안 保存(보존)해도 腐敗(부패)하지 않으며, 布帛(포백)()하면 朽爛(후란)하기 쉽다. 用途(용도) 如何(여하)에 따라서 제각기 (), 不適(부적)으로 나누어진다.

 

 

宗奭曰︰《素問鹹走血故東方食魚鹽之人多黑色走血之驗可知病喘嗽人及水腫者宜全禁之北狄用以淹屍取其不壞也其燒剝金銀熔汁作藥仍須解州大鹽為佳

 

素問(소문)()()()한다.”라고 하였다. 그래서 東方(동방)魚鹽(어염)을 먹는 사람들은 黑色(흑색)인 사람이 많이 있는데 이것은 ()()한다는 實證(실증)이다. 喘嗽(천수)를 앓는 사람과 水腫(수종)인 사람은 무조건 이것을 ()하는 것이 좋다. 北狄(북적)習俗(습속)으로 이것을 使用(사용)해서 屍體(시체)를 절인 것은 屍體(시체)敗壞(패괴)防止(방지)하기 위한 目的(목적)인 것이다. 金銀(금은)燒剝(소박)해서 녹인 ()()으로 쓰려면 解州(해주)大鹽(대염)()하는 것이 좋다.

 

 

時珍曰︰《洪範》︰水曰潤下作鹹。《素問水生鹹此鹽之根源也夫水周流於天地之間潤下之性無所不在其味作鹹凝結為鹽亦無所不在在人則血脈應之鹽之氣味鹹 腥人之血亦鹹腥鹹走血血病無多食鹹多食則脈凝泣而變色從其類也

 

 

洪範(홍범)에는 물을 潤下(윤하)해서 ()이 되게 한다. 라 하고 素問(소문)에는 물이 ()하는 (), 自體(자체)()根源(근원)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元來(원래) 물이라는 것은 天地(천지) 사이에 周流(주류)하며, 潤下(윤하)하는 ()의 것으로 如何(여하)한 곳에도 반드시 있다. ()鹹味(함미)하고 凝結(응결)하면 ()이 된다. 이것 또한 如何(여하)한 곳에도 반드시 있다. 人體(인체)에 있어서도 血脈(혈맥)이 이것에 相應(상응)하는 것으로 ()氣味(기미)(), ()하고 사람의 ()도 또한 (), ()하다. ()()()()하는 것이므로 血病(혈병)에는 ()多食(다식)해서는 안된다. 多食(다식)하면 ()凝泣(응읍)하게 되어 ()()한다. 이것은 곧 그 ()從屬(종속)하는 現象(현상)이다.

 

 

 

煎鹽者用皂 角收之故鹽之味微辛辛走肺鹹走腎喘嗽水腫消渴者鹽為大忌或引痰吐或泣血脈或助水邪故也

 

()煎製(전제)하는 데는 皂角(조각)을 써서 取收(취수)하는 것이므로 ()()微辛(미신)하고 ()()()하며 ()()()하는 것이니 喘嗽(천수), 水腫(수종), 消渴(소갈)하는 사람은 대개 ()()하게 되어 있다.

 

 

然鹽為百病之主百病無不用之故服補腎藥用鹽湯者鹹歸腎引藥氣入本臟也

 

그러나 ()은 모든 ()主效(주효)가 있으며 諸病(제병)에 이것을 ()하지 않는 것이 없다. 이렇듯 補腎藥(보신약)服用(복용)함에 鹽湯(염탕)을 쓰는 것은 ()()에 들어가서 ()引導(인도)하여 그 腎臟(신장)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補心藥用炒鹽者心苦虛以鹹補之也

 

補心藥(보심약)炒鹽(초염)을 쓰는 것은 心虛(심허)()하는 데에 대해서 ()으로 ()하는 것이다.

 

補脾藥用炒鹽者虛則補其母脾乃心之子也

 

補脾藥(보비약)炒鹽(초염)을 쓰는 것은 ()하면 그 ()()하는 法則(법칙)이며 ()()()이기 때문이다.

 

 

治積聚結核用之者鹹能軟堅也

 

積聚(적취), 結核(결핵)()하는 데에 이것을 쓰는 것은 ()은 능히 ()함을 부드럽게 하기 때문이다.

 

 

諸癰疽眼目及血病用之者鹹走血也

 

諸癰疽(제옹저), 眼目(안목) 血病(혈병)에 이것을 쓰는 것은 ()()()하는 힘을 利用(이용)하기 때문이다.

 

諸風熱病用之者寒勝熱也

 

除風(제풍), 熱病(열병)에 이것을 쓰는 것은 ()()()하므로 ()으로 ()을 이기게 하기 위함이다.

 

大小便病用之者鹹能潤下也

 

大小便(대소변)()에 이것을 쓰는 데는 ()()潤下(윤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骨病齒病用之者腎主骨鹹入骨也

 

骨病(골병), 齒痛(치통)에 이것을 쓰는 것은 ()()을 다스리므로 ()에 들어가는 ()()에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吐藥用之者鹹引水聚也能收豆腐與此同義

 

吐藥(토약)에 이것을 쓰는 것은 ()은 물을 당겨서 凝聚(응취)시키기 때문으로 豆腐(두부)凝水(응수)하는 것과 同一(동일)意味(의미)이다.

 

 

諸蠱及蟲傷用之者取其解毒也

 

諸蠱(제고) 蟲傷(충상)에 이것을 쓰는 것은 그 ()()하는 힘을 利用(이용)하는 것이다.

 

 

 

頌曰唐柳柳州纂救三死方元和十一年十月得霍亂上不可吐下不可利出冷汗三大鬥許氣即絕河南房偉傳此方入口即吐絕氣複通其法用鹽一大匙熬令黃童子小便一升合和溫服少頃吐下即愈也

 

()나라 柳柳州(유유주)纂救三死方(찬구삼사방)>元和(원화) 十一年(십일년) 十月(십월), 霍亂(곽란)()하여 ()하지 못하고, ()로는 ()할 수 없으며 三大鬥(삼대두) 정도의 식은땀을 흘리고 氣息(기식)이 다했을 때 河南(하남)房偉(방위)에게서 이 ()()해 받고 服用(복용)한 즉, ()을 입에 넣는 즉시 즉시 바로 ()하고 끓겼던 氣息(기식)腹活(복활)하였다. ()() 一大匙(일대시)를 누렇게 볶아서 童尿(동뇨) 一升(일승)合和(합화)하여 溫服(온복)하면 잠시 후에 吐下(토하)하니 따로 ()한다.“ 라고 하였다.

 

 

 

 

 

附方舊四十二新二十七

 

煉鹽黑丸崔中丞煉鹽黑丸方鹽末一升納粗瓷瓶中實築泥頭初以糖火燒漸漸加炭火勿令瓶破候赤徹鹽如水汁即去火待凝破瓶取出),豉一升熬煎),桃仁一兩和麩炒熟),巴豆二兩去心膜紙中炒令油出須生熟得所熟即少力生又損人)。四物搗勻入蜜和丸梧子大每服三丸平旦時服天行時氣豉汁及茶下心痛酒下入口便止血痢飲下初變水痢後便止鬼瘧茶飲下骨蒸蜜湯下忌久冷漿水合藥久則稍加之凡服藥後吐利勿怪吐利若多服黃連汁止之或遇殺藥人藥久不動者更服一兩丸藥後忌口二三日其藥臘月合之瓷瓶密封勿令泄氣一劑可救百人或在道途或在村落無藥可求但用此藥一刀圭即敵大黃樸消數兩曾用有效小兒女子不可服被攪作也。(劉禹錫傳信方》)

猝中屍遁其狀腹脹氣急沖心或塊起或牽腰脊者是服鹽湯取吐。(孫真人方

屍疰鬼疰下部蝕瘡炒鹽布裹坐熨之。(《藥性論》)

鬼擊中惡鹽一盞水二盞和服以冷水 之即蘇。(《救急方》)

中惡心痛或連腰臍鹽如雞子大青布裹燒赤納酒中頓服當吐惡物。(甄權藥性論》)

中風腹痛鹽半斤熬水乾著口中飲熱湯二升得吐愈。(《肘後方》)

脫陽虛証四肢厥冷不省人事或小腹緊痛冷汗氣喘炒鹽熨臍下氣海取暖。(《救 急方》)

心腹脹堅痛悶欲死鹽五合水一升煎服吐下即定不吐更服。(《梅師方》)

腹脹氣滿黑鹽酒服六銖。(《後魏書》)

酒肉過多脹滿不快用鹽花搽牙溫水漱下二三次即如湯沃雪也。(《簡便方》)

乾霍亂病上不得吐下不得利方見發明霍亂腹痛炒鹽一包熨其心腹令氣透又以一包熨其背。(《救急方》)

霍亂轉筋欲死氣絕腹有暖氣者以鹽填臍中灸鹽上七壯即蘇。(《救急方》)

肝虛轉筋肝臟氣虛風冷摶於筋遍體轉筋入腹不可忍熱湯三鬥入鹽半斤稍熱漬之。(《聖惠方》)

一切腳氣鹽三升蒸熱分裹近壁以腳踏之令腳心熱又和槐白皮蒸之尤良夜夜用之。(《食療本草》)

腳氣疼痛每夜用鹽擦腿膝至足甲淹少時以熱湯泡洗有一人病此曾用驗。(《救急方》)

胸中痰飲傷寒熱病瘧疾須吐者並以鹽湯吐之。(《外台秘要》)

病後脅脹天行病後兩脅脹滿熬鹽熨之。(《外台秘要方》)

妊娠心痛不可忍鹽燒赤酒服一撮。(《產寶》)

妊婦逆生鹽摩產婦腹並塗兒足底仍急爪搔之。(《千金方》)

婦人陰痛青布裹鹽熨之。(《藥性論》)

小兒疝氣並內吊腎氣以葛袋盛鹽於戶口懸之父母用手撚抖盡即愈。(《日華子本草》)

小兒不尿安鹽於臍中以艾灸之。(《藥性論》)

小便不通濕紙包白鹽燒過吹少許入尿孔中立通。(《普濟方》)

氣淋臍痛鹽和醋服之。(《廣利方》)

二便不通鹽和苦酒敷臍中乾即易仍以鹽汁灌肛內並內用紙裹鹽投水中飲之。(《家藏方》)

漏精白濁雪白鹽一兩並築緊固濟一日出火毒),白茯苓山藥各一兩為末棗肉和蜜丸梧子大每棗湯下三十丸蓋甘以濟鹹脾腎兩得也。(《直指方》)

下痢肛痛不可忍者熬鹽包坐熨之。(《肘後方》)

血痢不止白鹽紙包燒研調粥吃四次即止也。(《救急方》)

中蠱吐血或下血如肝鹽一升苦酒一升煎化頓服得吐即愈乃支太醫方也。(《小品方》)

金瘡血出甚多若血冷則殺人宜炒鹽三撮酒調服之。(《梅師方》)

金瘡中風煎鹽令熱以匙抄瀝卻水熱瀉瘡上冷更著一日勿住取瘥大效。(《肘後方》)

小兒撮口鹽豉搗貼臍上灸之。(《子母秘錄》)

病笑不休滄鹽 赤研入河水煎沸啜之探吐熱痰數升即愈。《素問神有餘笑不休心火也火得風則焰笑之象也一婦病此半年張子和用此方遂愈。(《儒門事親》)

飲酒不醉凡飲酒先食鹽一匕則後飲必倍。(《肘後方》)

明目堅齒去翳大利老眼海鹽以百沸湯泡散清汁於銀石器內熬取雪白鹽花新瓦器盛每早揩牙漱水以大指甲點水洗目閉坐良久乃洗面名洞視千裡法極神妙。 (《永類鈐方》)

風熱牙痛槐枝煎濃湯二碗入鹽一斤煮乾炒研日用揩牙以水洗目。(唐瑤經 驗方》)

齒 齒動鹽半兩皂莢兩挺同燒赤夜夜揩齒一月後並瘥其齒牢固。(《食療本草》)

齒齦宣露每旦噙鹽熱水含百遍五日後齒即牢。(《千金方》)

齒疼出血每夜鹽末濃封齦上有汁瀝盡乃臥其汁出時叩齒勿住不過十夜疼血皆止忌豬油菜等極驗。(《肘後方》)

喉中生肉綿裹箸頭拄鹽揩之日五六度。(孫真人方

帝鐘喉風垂長半寸食鹽頻點之即消。(《聖惠方》)

風病耳鳴鹽五升蒸熱以耳枕之冷複易之。(《肘後方》)

耳猝疼痛方同上

目中淚出鹽點目中冷水洗數次。(《範汪方》)

目中浮翳遮睛白鹽生研少許頻點屢效小兒亦宜。(《直指方》)

小兒目翳或來或去漸大侵睛雪白鹽少許燈心蘸點日三五次不痛不礙屢用有效。(《活幼口議》)

塵物瞇目以少鹽並豉置水中視之立出。(孫真人方

酒 赤鼻白鹽常擦之。(《直指方》)

口鼻急疳蝕爛腐臭鬥子鹽白面等分為末每以吹之。(《普濟方》)

面上惡瘡五色者鹽湯浸綿拓瘡上六度即瘥。(《藥性論》)

體如蟲行風熱也鹽一鬥水一石煎湯浴之四次亦療一切風氣。(《外台秘要》)

瘡癬痛癢初生者嚼鹽頻擦之。(《千金翼》)

手足心毒風氣毒腫鹽末椒末等分酢和敷之立瘥。(《肘後方》)

手足疣目鹽敷上以舌舐之不過三度。(《肘後方》)

熱病生 下部有瘡熬鹽綿裹熨之不過三次瘥。(《梅師方》)

一切漏瘡故布裹鹽燒赤為末每服一錢。(《外台秘要》)

瘡經年鹽中黑泥曬研搽之。(《永類方》)

尿瘡鹽湯浸綿拓瘡上。(《食療本草》)

蜈蚣咬人嚼鹽塗之或鹽湯浸之。(《梅師方》)

蚯蚓咬毒形如大風眉鬢皆落惟濃煎鹽湯浸身數遍即愈浙西軍將張韶病此每夕蚯蚓鳴於體一僧用此方而安畏鹽也。(《經驗方》)

蜂蠆叮螫嚼鹽塗之。(《千金方》)

解黃蠅毒烏蒙山峽多小黃蠅生毒蛇鱗中嚙人初無所覺漸癢為瘡勿搔但以冷水沃之擦鹽少許即不為瘡。(《方輿勝覽》)

毒蛇傷螫嚼鹽塗之灸三壯仍嚼鹽塗之。(徐伯玉方

虱出怪病臨臥渾身虱出約至五升隨至血肉俱壞每宿漸多痛癢不可言狀惟吃水臥床晝夜號哭舌尖出血不止身齒俱黑脣動鼻開但飲鹽醋湯十數日即安。(夏子益奇疾方》)

解野狼毒毒鹽汁飲之。(《千金方》)

藥箭毒瓦斯鹽貼瘡上灸三十壯。(《集驗方》)

救溺水死以大凳臥之後足放高用鹽擦臍中待水自流出切勿倒提出水。(《救急方》)

潰癰作癢以鹽摩其四圍即止。(《外科精義》)

 

 

 

[本草綱目]

 

 

味鹹無毒主殺鬼蠱邪疰毒瓦斯下部 瘡傷寒寒熱吐胸中痰癖止心腹卒痛堅肌骨多食傷肺喜咳

 

陶隱居雲五味之中唯此不可缺有東海北海鹽及河東鹽池益鹽井廣有南海鹽西羌有山鹽胡中有樹鹽而色類不同以河東者爲勝東海鹽官鹽白草粒細

 

州鹽苦不知其爲療體複有優劣否西方北方人食不耐鹹而多壽少病好顏色東方南方人食絕欲鹹而少壽多病便是損人則傷肺之效矣然以浸魚肉則能經久不敗以沾布帛則易致朽爛所施處各有所宜也今注∶《唐本原在米部今移臣禹錫等謹按蜀本雲多食令人失色膚黑損筋力也

 

 

藥性論雲有小毒能殺一切毒瓦斯鬼疰氣主心痛中惡或連腰臍者鹽如雞子大青布裹燒赤納酒中頓服當吐惡物主小兒卒不尿安鹽於臍中灸之面上五色瘡鹽湯綿浸拓瘡上日五六度易又和槐白皮切蒸治腳氣又空心揩齒少時吐水中洗眼夜見小字治婦人隱處疼痛者鹽青布裹熨之

 

主鬼疰屍疰下部蝕瘡炒鹽布裹坐熨之兼主火灼瘡

 

陳藏器雲按鹽本功外除風邪吐下惡物殺蟲明目去皮膚風毒調和腑髒消宿物令人壯健人卒小便不通炒鹽納臍中即下陶公以爲損人斯言不當且五味之中以鹽爲主四海之內何處無之唯西南諸夷稍少人皆燒竹及木鹽當之

 

日華子雲暖水髒及霍亂心痛金瘡明目止風淚邪氣一切蟲傷瘡腫消食滋五味長肉補皮膚通大小便小兒疝氣並內腎氣以葛袋盛於戶口懸之父母用手拈抖盡即疾當愈

 

 

圖經曰食鹽舊不著所出州郡

 

陶隱居雲有東海北海鹽及河東鹽池益有鹽井廣有南海鹽西羌有山鹽胡中有木鹽而色類不同以河東者爲勝河東鹽今解州安邑兩池所種鹽最爲精好是也又有並州兩監末鹽乃刮堿煎煉不甚佳其鹹蓋下品所著鹵堿生河東鹽池者謂此也下品又有大鹽生邯鄲及河東池澤

 

蘇恭雲大鹽即河東印鹽人之常食者形粗於末鹽乃似今解鹽也解人取鹽於池旁耕地沃以池水每臨南風急則宿昔成鹽滿畦彼人謂之種鹽東海北海南海鹽者今滄化諸州官場煮海水作之以給民食者又謂之澤鹽醫方所謂海鹽是也其煮鹽之器漢謂之牢盆今或鼓鐵爲之或編竹爲之上下周以蜃灰廣丈深尺平底置於灶皆謂之鹽盤。《南越志所謂織篾爲鼎和以牡蠣也然後於海濱掘地爲坑上布竹木覆以蓬茅又積沙於其上每潮汐沖沙鹵堿淋於坑中水退則以火炬照之鹵氣沖火皆滅因取海鹵注盤中煎之頃刻而就管子曰齊有渠展之鹽伐菹薪煮海水征積之十月始生至於正月成三萬是也菹薪謂以茅菹燃火也益鹽井者今歸州及西川諸郡皆有鹽井汲其水以煎作鹽如煮海之法但以食彼方之民耳西羌山鹽胡中水鹽者即下條雲光明鹽生鹽州下品有戎鹽生胡鹽山及西羌北地酒泉福祿城東南角北海青南海赤者是也然羌胡之鹽種類自多

 

 

陶注又雲虜中鹽有九種白鹽食鹽常食者黑鹽柔鹽赤鹽駁鹽臭鹽馬齒鹽之類今人不能遍識醫家治眼及補下藥多用青鹽疑此即戎鹽

 

 

本經北海青南海赤今青鹽從西羌來者形塊方棱明瑩而青黑色最奇北胡來者作大塊而不光瑩又多孔竅若蜂窠狀色亦淺於西鹽彼人謂之鹽枕入藥差劣北胡又有一種鹽作片屑如碎白石彼人亦謂之青鹽緘封於匣中與鹽枕並作禮贄不知是何色類又階州出一種石鹽生山石中不由煎煉自然成鹽色甚明瑩彼人甚貴之雲即光明鹽也醫方所不用故不能盡分別也又通海州並有停戶刮堿煎鹽輸官如並州末鹽之類以供給江湖極爲饒衍其味乃優於並州末鹽也濱州亦有人戶煎煉草土鹽其色最粗黑不堪入藥但可啖馬耳又下有綠鹽條雲以光明鹽赤銅屑釀之爲塊綠色真者出焉耆國水中石下取之狀若扁青空青今不聞識此者醫方亦不用

 

 

·柳柳州纂救三死治霍亂鹽湯方元和十一年十月得幹霍亂上不可吐下不可利出冷汗三大鬥許氣即絕河南房偉傳此湯入口即吐絕氣複通其法用鹽一大匙熬令黃童子小便一升二物溫和服之少頃吐下即愈劉禹錫傳信方著崔中丞煉鹽黑丸方鹽一升搗末納粗瓷瓶中實築泥頭訖初以火燒漸漸加炭火勿令瓶破候赤徹鹽如水汁即去火其鹽冷即凝破瓶取之豉一升熬焦桃仁一大兩和麩熬令熟巴豆二大兩去心膜紙中熬令油出須生熟得所即少力生又損人四物各用研搗成熟藥秤量蜜和丸如梧子每服三丸皆平旦時服天行時氣豉汁及茶下並得服後多吃茶汁行藥力心痛酒下入口便止血痢飲下初變水痢後便止鬼瘧茶飲下骨熱白蜜湯下忌冷漿水合藥久則丸稍加令大凡服藥後吐痢勿怪服藥一日忌口兩日吐痢若多即煎黃連汁服止之平旦服藥至小食時以來不吐痢者或遇殺藥人即更服一兩丸投之其藥冬中合臘月尤佳瓷合子中盛貯以臘紙封之勿令泄氣

 

清河崔能雲合得一劑可救百人天行時氣卒急覓諸藥不得又恐過時或在道途或在村落無諸藥可求但將此藥一刀圭即敵大黃樸硝數兩曾試有效宜行於閭裏間及所使輩若小兒女子不可服多被攪作耳唐方又有藥鹽法出於張文仲唐之士大夫多作之

 

食療蠼 尿瘡鹽三升水一鬥煮取六升以綿浸湯掩瘡上治一切氣及腳氣取鹽三升候熱分裹近壁腳踏之令腳心熱和槐白皮蒸用亦治香港腳夜夜與之良以皂莢兩梃鹽半兩同燒令通赤細研夜夜用揩齒一月後有動者齒及血齒並瘥其齒牢固聖惠方治小兒臍風濕以鹽二兩豉二合相和爛搗捏作餅子如錢大安新瓦上炙令熱以熨臍上亦用黃柏藥末敷之又方治肝風虛轉筋入腹以鹽半斤水煮少時熱漬之佳外台秘要治胸心痰飲傷寒熱病瘴瘧須吐者以鹽末一大匙以水或暖湯送下須臾則吐吐不快明旦更服甚良又方治天行後兩脅脹滿小便澀熬鹽熨臍下又方主風身體如蟲行鹽一鬥水一石煎減半澄清溫洗三五度治一切風千金方治齒齦宣露每旦撚鹽納口中以熱水含嗽齒百遍不過五日齒即牢密又方主逆生以鹽塗兒足底又可急搔爪之千金翼治諸瘡癬初生或始痛時以單方救不效嚼鹽塗之妙肘後方治中風但腹中切痛以鹽半斤熬令水盡著口中飲熱湯二升得吐愈又方齒疼齦間出血極驗以鹽末每夜濃封齒齦上有汁瀝盡乃臥其汁出時仍叩齒勿住不過十夜血止更久尤佳長慎豬肉油菜等又方卒得風覺耳中恍恍者急取鹽五升甑蒸使熱以耳枕之冷複易又方治耳卒疼痛以鹽蒸熨之又方手足忽生疣目以鹽敷疣上令牛舐之不過三度又方治金瘡中風煎鹽令熱以匙抄瀝取水熱瀉瘡上冷更著一日許勿住取瘥大效又方治赤白久下穀道疼痛不可忍宜服溫湯熬鹽熨之炙枳實熨之妙經驗方治蚯蚓咬濃作鹽湯浸身數遍浙西軍將張韶爲此蟲所咬其形如大風眉須皆落每夕蚯蚓鳴於體有僧教以此方梅師方治心腹脹堅痛悶不安雖未吐下欲死以鹽五合水一升煎令消頓服自吐下食出即定不吐更服又方治金中經脈傷皮及諸大脈血出多心血冷則殺人宜炒鹽三撮酒調服之又方治蜈蚣咬人痛不止嚼鹽沃上及以鹽湯浸瘡極妙其蜈蚣有赤足者螫人黃足者痛甚又方治熱病下部有 蟲生瘡熬鹽綿裹熨之不過三度孫真人食忌主眯眼者以少鹽並豉置水視之立出又方主卒喉中生肉以綿裹箸頭柱鹽揩日六七度又方主卒中屍遁其狀腹脹氣急沖心或塊起或牽腰脊者是服鹽湯取吐食醫心鏡主殺鬼蠱氣下部 瘡傷寒寒熱吐胸中痰癖止心腹卒痛堅肌骨

 

黃帝雲食甜瓜竟食鹽成霍亂主大小腸不通取鹽和苦酒敷臍中幹即易廣利方治氣淋臍下切痛以鹽和醋調下集驗方主毒箭以鹽貼瘡上灸鹽三十壯範汪方主轉筋以鹽一升水一升半作湯洗漬之又方主目中淚出不得開即刺痛方以鹽如大豆許納目中習習去鹽以冷水數洗目瘥產寶方治妊娠心腹痛不可忍以一斤鹽燒令赤以三指取一撮酒服瘥子母秘錄小兒撮口豉臍上灸之後魏李孝伯傳鹽九種各有所宜白鹽主上所自食黑鹽治腹脹氣滿末之以酒服六銖素問鹹傷血發渴之證丹房鏡源鹽消作汁拒火之力

 

衍義曰食鹽,《素問鹹走血故東方食魚鹽之人多黑色走血之驗故可知矣

 

病嗽及水者宜全禁之北狄用以淹屍取其不壞也至今如此若中蚯蚓毒當以鹽洗沃亦宜湯化飲汁其燒剝金銀熔汁作藥仍須解州池鹽爲佳齒縫中多出血常以鹽湯嗽即已益齒走血之驗也

 

 

 

[증류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