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13. 21:05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인동(忍冬)[본초]
^^^^^^^^^^^^^^^^^^^^^^^^^^^^^^^^^^^^^^^^^^^^^^^^^^^^^^^^^^^^^^^^^^^^^^^^^^^
忍冬
(《別錄》上品)
【釋名】
金銀藤(《綱目》)鴛鴦藤(《綱目》)鷺鷥藤(《綱目》)老翁須(《綱目》)左纏藤(《綱目》)金釵股(《綱目》)通靈草(《土宿》)蜜桶藤。
弘景曰︰處處有之。藤生,淩冬不凋,故名忍冬。
여러 곳에 있다. 藤生(등생)으로 겨울을 이겨 시들지 않는 데서 忍冬(인동)이라 名稱(명칭)한 것이다.
時珍曰︰其花長瓣垂須,黃白相半,而藤左纏,故有金銀、鴛鴦以下諸名。金釵股,貴其功也。
이 草(초)는 花(화)에 瓣(판)이 長鬚(장수)를 늘어뜨리고 黃白相半(황백상반)하여 藤(등)이 左纏(좌전)된 것에서 金銀(금은), 鴛鴦(원앙) 以下(이하) 諸種(제종)의 名稱(명칭)이 있다. 金釵股(금채고)란 그 功力(공력)이 貴重(귀중)함을 表(표)한 것이다.
土宿真君雲︰蜜桶藤,陰草也。取汁能伏硫製汞,故有通靈之稱。
土宿真君(토숙진군)은 “蜜桶藤(밀통등)은 陰草(음초)이다. 그것에서 取得(취득)한 汁(즙)은 能(능)히 硫(유)를 伏(복)하고, 汞(홍)을 制(제)한다. 따라서 通靈(통영)하는 名稱(명칭)이 있다.” 라고 하였다.
【集解】
《別錄》曰︰忍冬,十二月採,陰乾。
恭曰︰藤生,繞覆草木上。莖苗紫赤色,宿蔓有薄皮膜之,其嫩蔓有毛。葉似胡豆,亦上下有毛。花白蕊紫。今人或以絡石當之,非矣。
時珍曰︰忍冬在處有之。附樹延蔓,莖微紫色,對節生葉。葉似薜荔而青,有澀毛。三、四月開花,長寸許,一蒂兩花二瓣,一大一小,如半邊狀。長蕊。花初開者,蕊瓣俱色白;經二、三日,則色變黃。新舊相參,黃白相映,故呼金銀花,氣甚芬芳。四月採花,陰乾,藤葉不拘時采,陰乾。
【氣味】
甘,溫,無毒。
權曰︰辛。
藏器曰︰小寒。雲溫者,非也。
【主治】
寒熱身腫。久服輕身長年益壽(《別錄》)。
寒熱身腫(한열신종), 久服(구복)하면 輕身(경신)하고, 長年(장년)하며, 益壽(익수)한다.
治腹脹滿,能止氣下澼(甄權)。
腹(복)의 脹滿(창만)을 治(치)하고, 곧잘 氣(기)를 멈추며, 澼(벽)을 下(하)한다.
熱毒血痢水痢,濃煎服(藏器)。
熱毒(열독)의 血痢(혈리), 水痢(수리)에는 濃煎(농전)해서 服(복)한다.
治飛屍遁屍,風屍沉屍,屍疰鬼擊,一切風濕氣,及諸腫毒。癰疽疥癬,楊梅諸惡瘡,散熱解毒(時珍)。
飛屍(비시), 遁屍(둔시), 風屍(풍시), 沈屍(침시), 屍疰(시주), 鬼擊(귀격), 一切(일체)의 風濕氣(풍습기) 및 諸腫毒(제종독), 癰疽(옹저), 疥癬(개선), 楊梅(양매)의 諸惡瘡(제악창)을 治(치)하고, 熱(열)을 내리며 毒(독)을 解(해)한다.
【發明】
弘景曰︰忍冬,煮汁釀酒飲,補虛療風。此既長年益壽,可常采服,而《仙經》少用。凡易得之草,人多不肯為之,更求難得者,貴遠賤近,庸人之情也。
忍冬(인동)의 煮汁(자즙)으로 釀酒(양주)한 것을 마시면 補虛(보허)하고, 風(풍)을 療(요)한다. 이것은 長年(장년)하고 益壽(익수)한다. 항상 採集(채집)하여 服(복)하면 좋다. 仙經(선경)에서는 사용하는 일이 드물다. 대체로 世間(세간)에서는 求得(구득)하기 쉬운 草(초)는 많이 使用(사용)할 생각을 않고 求得(구득)하기 어려운 것만 찾게 되니 도대체 먼 곳에 있는 것은 貴重(귀중)하고 가까이 있는 것은 賤(천)한 것으로 생각하려고 든다. 凡夫(범부)의 어리석음이라 할 것이다.
時珍曰︰忍冬,莖葉及花,功用皆同。昔人稱其治風除脹,解痢逐屍為要藥,而後世不複知用,後世稱其消腫散毒治瘡為要藥,而昔人並未言及。乃知古今之理,萬變不同,未可一轍論也。
忍冬(인동)은 莖(경), 葉(엽), 花(화)의 功用(공용)은 모두 같다. 아주 옛날에는 이 草(초)를 風(풍)을 治(치)하고, 脹(창)을 除(제)하며, 痢(이)를 解(해)하고, 屍(시)를 逐(축)하는 要藥(요약)이라 稱揚(칭양)하였지만, 後世(후세)에서는 전혀 對症(대증)에 使用(사용)할 것을 알지 못했다. 後世(후세)에서는 이 草(초)의 腫(종)을 消(소)하고, 毒(독)을 散(산)하며, 瘡(창)을 治(치)하는 要藥(요약)으로 稱(칭)하고는 있지만, 옛날에는 전연 그것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것은 생각건대 古代(고대)와 現代(현대)에 있어 모든 關係(관계), 條件上(조건상)에 變化(변화)가 있고 같지 않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同一轍(동일철)로 論(논)할 수은 없다.
按︰陳自明《外科精要》雲︰忍冬酒,治癰疽發背,初發便當服此,其效甚奇,勝於紅內消。洪內翰邁、沈內翰括諸方,所載甚詳。如瘍醫丹陽僧、江西僧鑒清、金陵王琪、王尉子駿、海州秀才劉純臣等,所載療癰疽發背經效奇方,皆是此物。故張相公雲︰誰知至賤之中,乃有殊常之效,正此類也。
살펴 보면 陳自明(진자명)의 外科精要(외과정요)에 “忍冬酒(인동주)는 癰疽發背(옹저발배)의 初發(초발)에 반드시 服(복)해야 하며 그 効果(효과)가 매우 좋아 紅內消(홍내소/하수오)보다 뛰어나다. 洪內翰邁(홍내한매), 沈括內翰(심괄내한)의 諸方(제방)에 매우 詳細(상세)하게 記載(기재)되어 있으며, 瘍醫丹陽(양의단양)의 僧(승), 江西(강서)의 僧鑒清(승감청), 金陵(금릉)의 王琪(왕기), 王尉(왕위)의 子駿(자준), 解州(해주)의 秀才(수재)의 劉純臣(유순신) 등이 癰疽發背(옹저발배)을 療(요)하는 實驗(실험)에서 奇效(기효)를 認定(인정)하였다는 것과 같이 이 記載(기재)의 方(방)은 모두 이것을 사용한 것이다. 따라서 張相公(장상공)은 <보잘 것 없는 物(물) 중에 異常(이상)한 效力(효력)이 나타날 것이라고는 좀처럼 생각할 수 없었던 것이다.> 라고 말했는데 바로 이것과 같은 類(유)이다.” 라고 하였다.
【附方】舊一,新十七。
忍冬酒︰治癰疽發背,不問發在何處,發眉發頤,或頭或項,或背或腰,或脅或乳,或手足,皆有奇效。鄉落之間,僻陋之所,貧乏之中,藥材難得,但虔心服之,俟其疽破,仍以神異膏貼之,其效甚妙︰用忍冬藤(生取)一把,以葉入砂盆研爛,入生餅子酒少許,稀稠得所,塗於四圍,中留一口泄氣。其藤只用五兩(木槌槌損,不可犯鐵),大甘草節(生用)一兩。同入沙瓶內,以水二碗,文武火慢煎至一碗,入無灰好酒一大碗,再煎十數沸,去滓分為三服,一日一夜吃盡。病勢重者,一日二劑。服至大小腸通利,則藥力到。沈內翰雲︰如無生者,只用乾者,然力終不及生者效速。(陳自明《外科精要》)
忍冬圓︰治消渴愈後,預防發癰疽,先宜服此︰用忍冬草根、莖、花、葉皆可,不拘多少。入瓶內,以無灰好酒浸,以糠火煨一宿,取出曬乾,入甘草少許,碾為細末,以浸藥酒打面糊,丸梧子大。每服五十丸至百丸,湯酒任下。此藥不特治癰疽,大能止渴。(《外科精要》)
五痔諸 ︰方同上。
一切腫毒,不問已潰未潰,或初起發熱︰用金銀花(俗名甜藤,采花連莖葉)自然汁半碗。煎八分,服之,以滓敷上。敗毒托裡,散氣和血,其功獨勝。(萬表《積善堂方》)
疔瘡便毒︰方同上。
喉痺乳蛾︰方同上。
敷腫拔毒︰金銀藤(大者,燒存性)、葉(焙乾為末)各三錢,大黃(焙為末)四錢。凡腫毒初發,以水酒調搽四圍,留心泄氣。(楊誠《經驗方》)
癰疽托裡,治癰疽發背,腸癰奶癰,無名腫毒, 痛寒熱,狀類傷寒,不問老幼虛實服之,未成者內消,已成者即潰︰忍冬葉、黃 各五兩,當歸一兩,甘草八錢。為細末。每服二錢,酒一盞半,煎一盞,隨病上下服,日再服,以渣敷之。(《和劑局方》)
惡瘡不愈︰左纏藤一把(搗爛),入雄黃五分。水二升,瓦罐煎之,以紙封七重,穿一孔,輕粉毒癰︰方同上。
瘡久成漏︰忍冬草浸酒,日日常飲之。(戴原禮《要訣》)
熱毒血痢︰忍冬藤濃煎飲。(《聖惠方》)
五種屍注︰飛屍者,遊走皮膚,洞穿臟腑,每發刺痛,變動不常也。遁屍者,附骨入肉,攻鑿血脈,每發不可見死屍,聞哀哭便作也。風屍者,淫躍四末,不知痛之所在,每發恍惚,得風雪便作也。沉屍者,纏結臟腑,沖引心脅,每發絞切,遇寒冷便作也。屍注者,舉身沉重,精神錯雜,常覺昏廢,每節氣至則大作也。並是身中屍鬼,引接外邪︰宜用忍冬(莖葉,銼)數斛,煮取濃汁煎稠。每服雞子大許,溫酒化下,一日二、三服。(《肘後方》)
鬼擊身青作痛︰用金銀花一兩。水煎飲之。(李樓《怪病奇方》)
腳氣作痛,筋骨引痛︰鷺鷥藤(即金銀花)為末。每服二錢,熱酒調下。(《衛生易簡方》)
中野菌毒︰急采鴛鴦藤啖之,即今忍冬草也。(洪邁《夷堅志》)
口舌生瘡︰赤梗蜜桶藤、高腳地銅盤、馬蹄香等分,以酒搗汁,雞毛刷上,取涎出即愈。(《普濟方》)
忍冬膏,治諸般腫痛,金刃傷瘡惡瘡︰用金銀藤四兩,吸鐵石三錢。香油一斤,熬枯去滓, 入黃丹八兩,待熬至滴水不散,如常攤用。 (《乾坤生意秘韞》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자(急性子)[본초강목] (1) | 2022.11.06 |
---|---|
식염(食鹽)[본초강목] (1) | 2022.10.13 |
백사당(白沙糖)[본초강목] (1) | 2022.10.13 |
직미(稷米)[본초강목] (1) | 2022.10.05 |
담죽엽(淡竹葉)[본초강목] (1) | 202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