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출(白朮)[본초강목]

2021. 2. 2. 02:23[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백출(白朮)[본초강목]

 

 

 

 

 

^^^^^^^^^^^^^^^^^^^^^^^^^^^^^^^^^^^^^^^^^^^^^^^^^^^^^^^^^^^^^^^^^^^^^^^^^^

 

 

(《本經上品

 

 

釋名

 

山薊(《本經》)、楊桴音孚)、桴薊(《爾雅》)、馬薊(《綱目》)、山薑(《別錄》)、山連(《別錄》)、吃力伽(《日華》)。

 

 

時珍曰六書本義》,朮字篆文象其根幹枝葉之形

 

六書本義(육서본의:明趙捴謙撰)에는 朮字(출자)篆書(전서)(), (), (), ()()으로 象徵(상징)한 것이라고 되어 있다.

 

 

吳普本草一名山芥一名天薊因其葉似薊而味似薑芥也

 

吳普本草(오보본초:420589吳普 화타의 제자 )一名(일명)山芥(산개), 一名(일명)天薊(천계)” 라 한 것은 그 ()()에 흡사한 것과 맛이 (), ()와 비슷한 데서 비롯된다.

 

 

 

西域謂之吃力伽外台秘要有吃力伽散揚州之域多種白朮其狀如桴故有楊桴及桴薊之名今人謂之吳朮是也桴乃鼓槌之名古方二朮通用後人始有蒼白之分詳見下

 

 

西域(서역)에서는 이것을 吃力伽(흘력가)라 부르고 外臺秘要(외대비요)에는 吃力散(흘력산)이라는 藥名(약명)이 있다. 古方(고방)에는 二朮(이출)通用(통용)했으며 後世(후세)에 와서는 ()()으로 區別(구별)하였다.

 

 

 

集解

 

 

別錄生鄭山山谷漢中南鄭二月三月八月九月採根曝乾

 

弘景曰鄭山即南鄭也今處處有以蔣山白山茅山者為勝十一月十二月採者好多脂膏而甘其苗可作飲甚香美朮有兩種白朮葉大有毛而作椏根甜而少膏可作丸散用赤朮葉細無椏根小苦而多膏可作煎用東境朮大而無氣烈不任用今市人賣者皆以米粉涂令白非自然矣用時宜刮去之

 

頌曰今處處有之以茅山嵩山者為佳春生苗青色無椏莖作蒿幹狀青赤色長三二尺以來夏開花紫碧色亦似刺薊花或有黃白色者入伏後結子至秋而苗枯根似薑而旁有細根皮黑心黃白色中有膏液紫色其根乾濕並通用陶隱居言朮有二種爾雅所謂桴薊即白朮也今白朮生杭宣州高山崗上葉葉相對上有毛方莖莖端生花淡紫碧紅數色根作椏生二月三月八月九月採曝乾用以大塊紫花為勝古方所用朮者皆白朮也

 

 

宗奭曰蒼朮長如大拇指肥實皮色褐其氣味辛烈須米泔浸洗去皮用白朮粗促色微褐其氣亦微辛苦而不烈古方及本經止言朮不分蒼白二種亦宜兩審

 

 

時珍曰蒼朮山薊也處處山中有之苗高二三尺其葉抱莖而生梢間葉似棠梨葉其腳下葉有三五叉皆有鋸齒小刺根如老薑之狀蒼黑色肉白有油膏白朮桴薊也吳越有之人多取根栽蒔一年即稠嫩苗可茹葉稍大而有毛根如指大狀如鼓槌亦有大如拳者彼人剖開曝乾謂之削朮亦曰片朮

 

 

陳自良言白而肥者是浙朮瘦而黃者是幕阜山所出其力劣昔人用朮不分赤自宋以來始言蒼朮苦辛氣烈白朮苦甘氣和各自施用亦頗有理並以秋採者春採者虛軟易壞嵇含南方草木狀藥有吃力伽即朮也

 

陳自良(진자양)이 말하길 ....... 옛사람들은 ()()할때는 (), ()區別(구별)이 없었는데, 宋代(송대)이후 비로소 蒼朮(창출)은 쓰고 매우며 ()가 격렬하다. 白朮(백출)은 쓰고 달며 ()는 연하다.”라고 말하기 始作(시작)하였고 이것이 각기의 용도로 생각해보면 相當(상당)理由(이유)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두 秋採(추채)한 것이 가장 좋고 春採(춘채)한 것은 虛軟(허연)하여 부서지기 쉽다.“ 嵇含(혜함)南方草木狀(남방초목상:晉代嵇含編撰 304)에는 ()乞力伽(걸력가)라는 것이 있다. ()이다.

 

 

瀕海所產一根有至數斤者採餌尤良嘉謨曰浙朮俗名云頭朮種平壤頗肥大由糞力也易潤油歙朮俗名狗頭朮雖瘦小得土氣充也甚燥白勝於浙朮寧國昌化池州者並同歙朮境相鄰也

 

 

 

 

白朮也

 

氣味

 

無毒

別錄

權曰

 

 

杲曰味苦而甘性溫味厚氣薄陽中陰也可升可降

 

李杲(이고): ()()하고 ()하다. ()()하다. 味厚(미후)하고, 氣薄(기박)하며 陽中(양중)()이다. ()도 되고 ()도 된다.

 

好古曰入手太陽少陰足太陰陽明少陰厥陰六經

 

王好古(왕호고): 手太陽(수태양), 少陰(소음), 足太陰(족태음), 陽明(양명), 少陰(소음), 厥陰(궐음) 六經(육경)에 들어간다.

 

之才曰防風地榆為之使

 

徐之才(서지재): 防風(방풍), 地楡(지유)使()로 된다.

 

 

權曰忌桃菘菜雀肉青魚

 

甄權(견권): (), (), 菘菜(숭채), 雀肉(작육), 靑魚(청어)를 삼간다.

 

 

嘉謨曰咀後人乳汁潤之制其性也脾病以陳壁土炒過竊土氣以助脾也

 

陳嘉謨(진가모): 씹은 뒤에 人乳(인유)즙으로 ()하면 그 ()()한다. 脾病(비병)에는 陳壁土(진벽토)使用(사용)하여 볶아서 ()하면 土氣(토기)()하여 ()를 도와준다.

 

 

 

主治

 

風寒濕痺死肌痙疸止汗除熱消食作煎餌久服輕身延年不飢(《本經》)。

 

風寒濕痺(풍한습비), 死肌(사기), 痙疸(경달) 止汗(지한)하고 除熱(제열)하며, 食物(식물)消化(소화)할때는 ()에 달여서 復用(복용)한다. 久服(구복)하면 身體(신체)輕快(경쾌)히 하고 壽命(수명)이 길어지고 배고픔을 모른다.[本經(본경)]

 

主大風在身面風眩頭痛目淚出消痰水逐皮間風水結腫除心下急滿霍亂吐下不止利腰臍間血益津液暖胃消穀嗜食(《別錄》)。

 

大風(대풍)이 몸과 얼굴에 表出(표출)한 것, 風眩(풍현), 頭痛(두통), 눈물이 계속 흐르는 데 奏效(주효)가 있고, 痰水(담수)消去(소거)하며, 皮間(피간)風水結腫(풍수결종)을 쫓아내고 心下(심하)急滿(급만)除去(제거)하며 霍亂吐下(곽란토하)를 계속하는 (), (), 臍間(제간)()利通(이통)하고, 津液(진액)()하고, ()()하며, 穀物(곡물)을 소화하고, 식욕을 增進(증진)한다. [別錄(별록)]

 

 

治心腹脹滿腹中冷痛胃虛下利多年氣痢除寒熱止嘔逆甄權)。

 

心腹脹滿(심복창만), 腹中冷痛(복중냉통), 胃虛下利(위허하리), 多年(다년)氣痢(기리)()하고, 寒熱(한열)()하고 嘔逆(구역)을 그치게 한다.[甄權(견권)]

 

 

止反胃利小便主五勞七傷補腰膝長肌肉治冷氣癖氣塊婦人冷癥瘕大明)。

 

反胃(반위), 小便(소변)()하고, 五劳七伤(오로칠상)主效(주효)가 있으며, 腰膝(요슬)()하고, 肌肉(기육)()하고, 冷氣(냉기), 痃癖(현벽), 氣塊(기괴), 婦人(부인)冷癥瘕(냉징가)를 고친다. [大明(대명)]

 

 

除濕益氣和中補陽消痰逐水生津止渴止瀉痢消足脛濕腫除胃中熱肌熱得枳實消痞滿氣分佐黃芩安胎清熱元素)。

 

()()하고 ()補益(보익)하고, ()()하고, ()()하고, ()消化(소화)하고, 水分(수분)을 내쫓고 生津(생진)하고, 止渴(지갈)하며, 瀉痢(사리)를 멈추고, 足經(족경)濕腫(습종)을 소멸하고, 胃中(위중)(), 肌熱(기열)()한다.

枳實(지실)配合(배합)되면 痞滿(비만)氣分(기분)()한다. 黃芩(황금)()로 쓰면 ()安定(안정)시키고 ()을 내린다. [張元素(장원소)]

 

 

理胃益脾補肝風虛主舌本強食則嘔胃脘痛身體重心下急痛心下水痞沖脈為病逆氣裡急臍腹痛好古)。

 

 

()()하고, ()補益(보익)하고, 肝風虛(간풍허)()한다. 舌根(설근)이 굳어서 먹지 못하고 嘔吐(구토)하는 것, 胃脘(위완)痛症(통증), 身體(신체)가 무거운 것, 心下(심하)急痛(급통), 心下(심하)水痞(수비), 衝脈病(충맥병)이 된 것, 逆氣(역기), 裏急(이급)하여 臍腹(제복)이 아픈 데에 奏效(주효)가 있다. [王好古(왕호고)]

 

 

發明

 

好古曰本草無蒼白朮之名近世多用白朮治皮間風止汗消痞補胃和發有汗則止與黃耆同功

 

王好古(왕호고)

本經(본경)에는 (), 白朮(백출)區分(구분)은 없으나 近世(근세)에 와서 白朮(백출)()하여 皮間(피간)()()하고, 땀을 ()하고, ()을 없애주고, ()()하고, ()()하며, (), 臍間(제간)의 피를 ()하고 水道(수도)通利(통리)한다. ()에서는 (), (), ()에서는 (), (), ()에서는 (), 臍氣(제기)에 들어가서는 ()作用(작용)시키고, ()에 가서는 ()로 작용하고 汗無(한무)할 때는 發汗(발한)하고, 汗有(한유)할 때는 땀을 멈추게 하니 黃耆(황기)功力(공력)이 거의 同一(동일)하다.

 

 

元素曰白朮除濕益燥和中補氣其用有九溫中一也去脾胃中濕二也除胃中熱三也強脾胃進飲食四也和胃生津液五也止肌熱六也四肢困倦嗜臥目不能開不思飲食七也止渴八也安胎九也

 

張元素(장원소)

白朮(백출)除濕(제습)하고, 益燥(익조)하고, 和中(화중)하고, 補氣(보기)한다. 應用(응용)九種(구종)이 있는데, ()()하게 하는 것이 (), 胃中(위중)()()함이 (), 胃中(위중)()()함이 (), 脾胃(비위)를 튼튼하게 하여 飮食(음식)을 증진시키는 것이 (), ()()하여 津液(진액)()하는 것이 (), 肌熱(기열)()하는 것이 (), 四肢困倦(사지곤권)하여 橫臥(횡와)를 즐기고 눈을 뜨는 것마저 귀찮아 밥맛이 없는 것을 ()하는 것이 (), ()을 멈추게 하는 것이 (), ()()하는 것이 () 것이다.

 

 

凡中焦不受濕不能下利必須白朮以逐水益脾非白朮不能去濕非枳實不能消痞故枳朮丸以之為君

 

무릇 中焦(중초)()을 받아서 下利不能(하리불능)일 때는 반드시 白朮(백출)()하여 水分(수분)을 내쫓고 ()()하여야 된다. 白朮(백출)以外(이외)로는 ()()한다는 것은 不可能(불가능)하다. 枳實(지실)以外(이외)로는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枳朮丸(지출환)에는 이것을 ()으로 하고 있다.

 

機曰脾惡濕濕勝則氣不得施化津何由生故曰膀胱者津液之府氣化則能出焉用白朮以除其濕則氣得周流而津液生矣

 

 

陳藏器(진장기)

()()을 싫어한다. ()이 이기면 ()順調(순조)롭게 그 힘을 發揮(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 생길 ()가 없다. 膀胱(방광)津液(진액)()이며, ()完全(완전)하게 활동하면 ()排泄(배설)順調(순조)롭게 되는 것이다. 라서 白朮(백출)()하여 그 ()()하면 ()가 원만하고 順調(순조)롭게 進行(진행)하며 津液(진액)生産(생산)되는 것이다.

 

 

附方舊七新二十四

 

枳朮丸消痞強胃久服令人食自不停也白朮一兩黃壁土炒過去土),枳實麩炒去麩一兩為末荷葉包飯燒熟搗和丸梧子大每服五十丸白湯下氣滯加橘皮一兩有火加黃連一兩有痰加半夏一兩有寒加乾薑五錢木香三錢有食加神曲麥 各五錢。(《潔古家珍》)

 

枳朮湯心下堅大如盤邊如旋杯水飲所作寒氣不足則手足厥逆腹滿脅鳴相逐陽氣不通即身冷陰氣不通即骨疼陽前通則惡寒陰前通則痺不仁陰陽相得其氣乃行大氣一轉其氣乃散實則失氣虛則遺尿名曰氣分宜此主之白朮一兩枳實七個水五升煮三升分三服腹中軟即散。(仲景金匱玉函》)

 

白朮膏服食滋補止久泄痢上好白朮十斤切片入瓦鍋內水淹過二寸文武火煎至一半傾汁入器內以渣再煎如此三次乃取前後汁同熬成膏入器中一夜傾去上面清水收之每服二三匙蜜湯調下。(《千金良方》)

 

參朮膏治一切脾胃虛損益元氣白朮一斤人參四兩切片以流水十五碗浸一夜桑柴文武火煎取濃汁熬膏入煉蜜收之每以白湯點服。(《集簡方》)

 

胸膈煩悶白朮末水服方寸匕。(《千金方》)

 

心下有水白朮三兩澤瀉五兩水三升煎一升半分三服。(《梅師方》)

 

五飲酒癖留飲水停心下癖飲水在兩脅下痰飲水在胃中溢飲

 

在五臟間流飲水在腸間皆因飲食冒寒或飲茶過多致此

 

倍朮丸用白朮一斤乾薑)、桂心各半斤為末蜜丸梧子大每溫水服二三十丸。(《惠民和劑局方》)

 

四肢腫滿白朮三兩每服半兩水一盞半大棗三枚煎九分溫服日三四服不拘時候。《本事方》。

 

中風口噤不知人事: 白朮四兩酒三升煮取一升頓服。《千金方》。

 

產後中寒遍身冷直口噤不識人白朮四兩澤瀉一兩生薑五錢水一升煎服。(《產寶》)

 

頭忽眩運經久不瘥四體漸羸飲食無味好食黃土用朮三斤曲三斤搗篩酒和濕氣作痛白朮切片煎汁熬膏白湯點服。(《集簡方》)

 

中濕骨痛朮一兩酒三盞煎一盞頓服不飲酒以水煎之。(《三因良方》)

婦人肌熱血虛者吃力伽散用白朮白茯苓白芍藥各一兩甘草半兩為散棗煎服。(王燾外台秘要》)

 

風瘙癮疹白朮為末酒服方寸匕日二服。(《千金方》)

 

面多 雀卵色苦酒漬朮日日拭之極效。(《肘後方》)

 

自汗不止白朮末飲服方寸匕日二服。(《千金方》)

 

脾虛盜汗白朮四兩切片以一兩同黃耆炒一兩同牡蠣炒一兩同石斛炒一兩同麥麩炒揀朮為末每服三錢食遠粟米湯下日三服。(丹溪方老小虛汗 白朮五錢小麥一撮水煮乾去麥為末用黃耆湯下一錢。(《全幼心鑒》)

 

產後嘔逆別無他疾者白朮一兩二錢生薑一兩五錢水各二升煎一升分三服。(《婦人良方》)

 

脾虛脹滿脾氣不和冷氣客於中壅遏不通是為脹滿寬中丸用白朮二兩橘皮四兩為末酒糊丸梧子大每食前木香湯送下三十丸。(《指迷方》)

 

脾虛泄瀉白朮五錢白芍藥一兩冬月用肉豆蔻)。為末米飯丸梧子大每米飲下濕瀉暑瀉白朮車前子等分炒為末白湯下二三錢。(《簡便方》)

 

久瀉滑腸白朮)、茯苓各一兩糯米二兩為末棗肉拌食或丸服之。(《簡便方》)

 

老小滑瀉白朮半斤黃土炒過),山藥四兩)。為末飯丸量人大小米湯服或加人參三錢。(《瀕湖集簡方》)

 

老人常瀉白朮二兩黃土拌蒸焙乾去土),蒼朮五錢泔浸炒),茯苓一兩為末米糊丸梧子大每米湯下七八十丸。(《簡便方》)

 

小兒久瀉脾虛米穀不化不進飲食溫白丸用白朮二錢半半夏曲二錢半丁瀉血萎黃腸風痔漏脫肛瀉血面色萎黃積年不瘥者白朮一斤黃土炒過研末),乾地黃半斤飯上蒸熟搗和乾則入少酒丸梧子大每服十五丸米飲下日三服。(《普濟方》)

孕婦束胎白朮枳殼麩炒等分為末燒飯丸梧子大入月一日每食前溫水下三十丸胎瘦則易產也。(《保命集》)

 

牙齒日長漸至難食名髓溢病白朮煎湯漱服取效即愈也。(張銳雞峰備急方》)

 

 

 

 

 

蒼朮

 

釋名

 

赤朮(《別錄》)、山精(《抱朴》)、仙朮(《綱目》)、山薊

 

 

時珍曰︰《異朮朮者山之精也服之令人長生辟穀致神仙故有山精仙朮之號

 

이시진(李時珍)

異術(이술)()()()이다. ()하면 長生(장생)하고, 穀食(곡식)을 멀리하며 神仙(신선)이 될 수 있다.”라고 쓰여 있다. 그래서 산정(山情), 선출(仙朮)이라 칭()한다.

 

朮有赤白二種主治雖近而性味止發不同本草不分蒼亦未可據今將本經別錄》、甄權大明四家所說功用參考分別各自附方庶使用者有所依憑

 

참고(參考)하여 식별(識別)하도록 그 나름의 방()을 부기(附記)한다. 사용(使用)하는 사람들이 근거(根據)할 수 있는 참고자료(參考資料)가 될수 있다면 그걸로 족하다.

 

 

修治

 

大明曰用朮以米泔浸一宿入藥

 

대명(大明): ()을 용()하는 데는 미감(米泔)에 하룻밤 재웠다가 약()에 넣는다.

 

 

宗奭曰蒼朮辛烈須米泔浸洗再換泔浸二日去上粗皮用

 

구종석(寇宗奭):창출(蒼朮)辛烈(신열)하기 때문에 반드시 미감(米泔)에 재웠다가 씻고, 다시 감()을 갈아서 이일(二日)을 더 재우고, 겉의 조피(粗皮)를 취거(取去)하여 사용(使用)하지 않으면 안 된다.

 

時珍曰蒼朮性燥故以糯米泔浸去其油切片焙乾用亦有用脂麻同炒以製其燥者

 

이시진(李時珍):창출(蒼朮)은 성()이 조()하므로 나미감(糯米泔)에 재워서 그 기름을 제거(除去)하고 절편(切片)하여 배건(焙乾)하여 사용(使用)한다. 또한 지마(指麻)와 함께 볶아도 그 성()인 조()를 제()할 수 있다.

 

 

氣味

 

無毒

別錄

權曰

 

時珍曰白朮甘而微苦性溫而和赤朮甘而辛烈性溫而燥陰中陽也可升可降入足太陰陽明手太陰陽明太陽之經忌同白朮

 

이시진(李時珍): 백출(白術)은 감()하며 미고(微苦)하고 성()은 온()하며 화()하다. 적출(赤朮)은 감()하며 辛烈(신열)하다. ()은 온()하며 조()하다. 음중(陰中)의 승()함도 강()함도 잘된다. 족태음(足太陰), 양명(陽明), 수태음(手太陰), 양명(陽明), 태양경(太陽經)에 들어간다. 금기(禁忌)된 음식은 백출(白術)과 같다.

 

 

主治

 

風寒濕痺死肌痙疸作煎餌久服輕身延年不飢(《本經》)。

 

풍한습비(風寒濕痺), 사기(死肌), 경달(痙疸)에 전탕(煎湯)으로 복용(服用)한다. 장복(長服)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長壽)하며 시장기를 잊는다. [본경(本經)]

 

主頭痛消痰水逐皮間風水結腫除心下急滿及霍亂吐下不止暖胃消穀嗜食(《別錄》)。

 

두통(頭痛)을 치()하고, 담수(痰水)를 소()하고, 피간(皮間)風水結腫(풍수결종)을 내쫓고, 心下(심하)急滿(급만)을 비롯하여 癨亂吐下(곽란토하)를 그치게 하고, ()緩和(완화)하고, 穀類(곡류)消化(소화)시키고, 食慾(식욕)增進(증진)한다. [別錄(별록)]

 

 

除惡氣弭災弘景)。

 

惡氣(악기)()하고 ()()를 다스린다. [陶弘景(도홍경)]

 

 

主大風痺心腹脹痛水腫脹滿除寒熱止嘔逆下泄冷痢甄權)。

 

大風痹(대풍비), 心腹脹滿(심복창만), 水腫脹滿(수종창만)主效(주효)가 있고, 寒熱(한열)()하여 嘔逆(구역), 下泄(하설), 冷痢(냉리)를 그치게 한다.[甄權(견권)]

 

 

治筋骨軟弱癖氣塊婦人冷氣症瘕山嵐瘴氣溫疾大明)。

 

筋骨軟弱(근골연약), 痃癖氣塊(현벽기괴), 婦人(부인)冷氣癥瘕(냉기징가), 山嵐瘴氣(산람장기), 溫疾(온질)治癒(치유)한다.[大明(대명)

 

 

明目暖水臟劉完素)。

 

눈을 밝게 하고 水臟(수장)()한다.[劉完素(류완소)]

 

 

除濕發汗健胃安脾治痿要藥李杲)。

 

()()하고, ()()하며, ()()하게 하고, ()安定(안정)하게 하며, ()()하는 要藥(요약)이다.[李東垣(이동원)]

 

 

散風益氣總解諸郁震亨)。

 

()()하고 ()()하고, 모든 ()解消(해소)한다.[朱震亨(주진형)]

 

 

治濕痰留飲或挾瘀血成窠囊及脾濕下流濁瀝帶下滑瀉腸風時珍)。

 

濕痰(습담), 留飮(유음) 혹은 瘀血(어혈)이 응어리 된 것을 비롯하여 脾濕下流(비습하류), 濁瀝帶下(탁력대하), 滑瀉腸風(활사장풍)治癒(치유)한다. [李時珍(이시진)]

 

發明

 

宗奭曰蒼朮氣味辛烈白朮微辛苦而不烈古方及本經止言朮未分蒼只緣陶隱居言朮有兩種自此人多貴白者往往將蒼朮置而不用如古方平胃散之類蒼朮為最要藥功效尤速殊不詳本草原無白朮之名

 

寇宗奭(구종석)

蒼朮(창출), 氣味(기미)辛烈(신열)하지만 白朮(백출)은 약간 辛苦(신고)하여 ()하지 않다. 古方(고방)을 비롯한 本經(본경)에서는 단지 ()이라고만 나와 있어서 (), ()區別(구별)하지 않았으나 오직 陶隱居(도은거:456536)<()兩種(양종)이다>라 하여 ()에 많은 一般人(일반인)들이 흰 것만을 ()하게 알게 되어 蒼朮(창출)을 두고도 使用(사용)하지 않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古方(고방)平胃散類(평위산류)와 같은 것은 蒼朮(창출)이 가장 重要(중요)()으로 되어 있고 功力(공력), 効果(효과)마저 대단히 ()한 것으로 나와 있다. 世間(세간)全然(전연)詳悉(상실)主義(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으나 本草(본초)에는 특별하게 白朮(백출)이라고만 眀指(명지)했던 것은 아니다.

 

 

嵇康曰聞道人遺言餌朮黃精令人久壽亦無白字用宜兩審

 

嵇康(혜강:223 ~ 262三國魏 문학가사상가음악가)의 말에서도 <道人(도인)遺言(유언)을 들었는데 (), 黃精(황정)을 먹으면 사람이 久壽(구수)하게 된다.> 라고 하며 역시 ()이란 文字(문자)使用(사용)하고 있지 않다. ()하는 데는 두 () 모두 審詳(심상)()한다.

 

 

杲曰本草但言朮不分蒼而蒼朮別有雄壯上行之氣能除濕下安太陰使邪氣不傳入脾也以其經泔浸火炒故能出汗與白朮止汗特異用者不可以此代彼蓋有止發之殊其餘主治則同

 

 

李東垣(이동원)

本草(본초)에는 단지 ()이라고 한 것뿐으로 (), ()區分(구분)한 것은 아니지만, 蒼朮(창출)雄壯(웅장)하고 上行(상행)하는 ()를 지닌 特異點(특이점)이 있고 ()을 잘 ()하고, 아래로 내려가서는 太陰(태음)安定(안정)하게 하고, 邪氣(사기)를 결단코 ()轉入(전입)시키지 아니한다. 이것은 ()에 담갔다가 볶아서 ()하기 때문에 땀을 잘 나게 하는 것으로 白朮(백출)의 땀을 멈추게 하는 것과 特別(특별)差異(차이)점이 있다. 使用(사용)할 때 서로 代用(대용)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相違點(상위점)은 있으나 그 외의 ()된 치 公用(공용)은 동일하다.

 

元素曰蒼朮與白朮主治同但比白朮氣重而體沉若除上濕發汗功最大若補中焦除脾胃濕力少不如白朮腹中窄狹者須用之

 

張元素(장원소)

蒼朮(창출)白朮(백출)主治(주치)는 같으나 白朮(백출)에 비하면 ()가 무겁고 ()()한다. 上部(상부)()()하고, 發汗(발한)시킴도 最大(최대)功果(공과)를 내지만 中焦(중초)()하고 脾胃(비위)()()하는 데는 그 힘이 白朮(백출)을 따라 잡지 못한다. 腹中(복중)搾狹(착협)하는 사람에게 이것을 ()하는 것이 좋다.

 

震亨曰蒼朮治濕下皆有可用又能總解諸郁血六郁皆因傳化失常不得升降病在中焦故藥必兼升降將欲升之必先降之將欲降之必先升之故蒼朮為足陽明經藥氣味辛烈強胃強脾發穀之氣能徑入諸經疏泄陽明之濕通行斂澀香附乃陰中快氣之藥下氣最速一升一降故郁散而平

 

朱震亨(주진형)

蒼朮(창출)로써 治濕(치습)할 때는 (), (), () 함께 ()하여야 될 것이다. 諸鬱(제울)의 모든 것을 ()하고 있다. (), (), (), (), (), ()六鬱(육울)은 모두 轉化(전화)常態(상태)를 상실하여 ()할 수 없기 때문에 ()中焦(중초)에 있는 것이니, ()에는 반드시 ()()()하지 않으면 안 되며, 먼저 이것을 ()하게 하려 할 때는 반드시 먼저 ()해두어야 하고, ()하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이것을 ()하여 두어야 된다. 따라서 足陽眀經(족양명경)()으로 辛烈(신열)氣味(기미)를 지녔고, ()強化(강화)하고, ()強增(강증)시키고 穀類(곡류)()를 일으켜 直接(직접) 諸經(제경)에 들어가 陽明(양명)()引渡(인도)하여 ()하게 하고, 斂澀(염삽)하는 힘을 지닌 蒼朮(창출)를 통하여 陰中(음중)快氣(쾌기)를 주는 ()으로 가장 빠르게 ()下降(하강)시키는 香附子(향부자)使用(사용)하면 一升(일승)一沈(일침)作用(작용)으로 나타나서 鬱散(울산)되어 平安(평안)하게 되는 것이다.

 

 

 

楊士瀛曰脾精不禁小便漏濁淋不止腰背酸疼宜用蒼朮以斂脾精精生於穀故也

 

 

楊士瀛(양사영)

脾精(비정)이 있고 小便(소변)濁淋(탁림)()하여 멎지 않고, 허리와 등이 시리고 아플 때 蒼朮(창출)()하여 脾精(비정)을 도와야 한다. ()穀食(곡식)으로부터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弘景曰白朮少膏可作丸散赤朮多膏可作煎用昔劉涓子 取其精而丸之名守中金丸可以長生

 

陶弘景(도홍경)

白朮(백출)()가 적어서 ()이나 ()으로 適合(적합)하며, 赤朮(적출)()가 많으니 煎用(전용)하는 것이 좋다. 옛날 劉涓子(류연자)는 그 ()을 손으로 비벼서 ()을 만들어 守中金丸(수중금환)이라 부르고, 그것을 長生藥(장생약)이라 하였다.

 

 

頌曰服食多單餌朮或合白茯苓或合石菖蒲並搗末旦日水服晚再進久久彌佳取生朮去土水浸再三煎如飴糖酒調飲之更善今茅山所造朮煎是此法也陶隱居言取其精丸之今乃是膏煎恐非真也

 

蘇頌(소송:10201101)

服食(복식)할 때 大部分(대부분)은 간단하게 ()만을 먹기도하고, 혹은 白茯苓(백복령)()하고 혹은 石菖蒲(석창포)混合(혼합)하여 찧어서 ()로 만들어 아침에 물로 服用(복용)하고 밤에 再腹(재복)하는데 계속해서 먹으면 점차 좋은 結果(결과)를 보게 된다. 生朮(생출)을 잘라내어 흙을 털고 물에 담갔다가 再三(재삼) 달여서 엿과 만들어 酒調(주조)해서 ()하면 더욱 좋다. 現在(현재) 茅山(모산)에서 만드는 朮煎(출전)은 이 方法(방법)으로 만드는데 陶隱居(도은거)<()을 취하여 ()으로 한다> 라고 말하고 있으니 지금의 膏煎(고전)正道(정도)를 벗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慎微曰梁庾肩吾答陶隱居 朮煎啟云綠葉抽條紫花標色百邪外御六腑內充山精見書華神在錄木榮火謝盡採擷之難啟旦移申窮淋漉之劑又謝朮蒸啟云味重金漿芳逾玉液足使坐致延生伏深銘感

 

唐慎微(당신미)

梁庾肩吾(양유견오)陶隱居(도은거)朮煎(출전)을 이룬 것에 대해 ()하기를 <綠葉條(녹엽조)가 녹은 가지에 紫花色(자화색)이 아룽지다. 百邪(백사)의 근심이 사라지고 六府(육부)內充(내충)하다, 山精(산정)이 책 속에 나타나서 華神(화신)再錄(재록)되고 木榮(목영)하고 花謝(화사)하여 采擷(채힐)의 괴로움은 끝난다. 啓旦(계단)에서 ()으로 옮겨져서 淋漉劑(임녹제)()하도다.> 라고 하고 또 蒼朮(창출)感謝(감사)하는 啓上(계상)에서 <맛은 金裝(금장)보다 무겁고 芳香(방향)玉液(옥액)을 능가하고, 앉아서 壽命(수명)을 누리게 되었도다. 엎드려 깊이 銘感(명감)하는 바이다.> 라고 되어 있다.

 

 

 

又葛洪抱朴子內篇南陽文氏漢末逃難壺山中飢困欲死有人教之食朮遂不飢數十年乃還鄉裡顏色更少氣力轉勝故朮一名山精,《神農藥經所謂必欲長生常服山精是也

 

葛洪(갈홍) 抱樸子內篇(포박자내편)에는 <南陽(남양)文氏(문씨)漢代(한대) 末期(말기)壺山中(호산중)으로 ()을 피해서 逃亡(도망)쳤는데 飢皮(기피)하여 죽음 直前(직전)에 이르렀는데 어떤 사람에게 ()을 먹도록 구너유받아 飢死(기사)를 면했다. 數十年(수십년)이 지난 후 鄕裏(향리)歸還(귀환)했는데 顔色(안색)은 더욱 젊었고 氣力(기력)도 오히려 더 좋았다. 따라서 ()一名(일명)하여 山精(산정)이라 하는 것인데 神農(신농)藥經(약경)에서 所爲(소위) 長生(장생)하기를 원한다면 반드시 山精(산정)()하라> 라고 쓰여 있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時珍曰︰《吐納經紫微夫人朮序云吾察草木之勝速益於己者並不及朮之多驗也可以長生久視遠而更靈山林隱逸得服朮者五岳比肩

 

李時珍(이시진)

살펴보면 吐納經(토납경)紫微夫人(자미부인)()序文(서문)에는 <<草木(초목)중에서 뛰어난 것을 考察(고찰)해보면 내 몸을 가장 빠르게 補益(보익)시켜준 것 중에서 ()보다 效驗(효험)이 많은 것이 없었다. 이것은 壽命(수명)을 연장시켜서 오랫동안 現世(현세)에서 더 살게 해주며 해가 거듭될수록 더욱 靈妙(영묘)効果(효과)를 거두게 해준다. 山林(산림)隱遁(은둔)하여 自適(자적)生活(생활)중에서 ()()하면 五嶽(오악)比肩(비견)되는 長壽(장수)를 누린다.>>라고 쓰여 있다.

 

 

神仙傳陳子皇得餌朮要方其妻姜氏得疲病服之自愈顏色氣力如二十時也

 

神仙傳(신선전)에는 <<陳子黃(진자황)()을 먹는 要方(요방)()한 사람으로 그의 ()薑氏(강씨)疲病(피병:노쇠병)에 걸렸을 때 이것을 마시게 하였더니 ()治癒(치유)하여 顔色(안색), 氣力(기력)二十(이십)세쯤으로 젊어졌다.>>라고 되어 있다.

 

 

時珍謹按以上諸說皆似蒼朮不獨白朮今服食家亦呼蒼朮為仙朮故皆列於蒼朮之後又張仲景辟一切惡氣用赤朮同豬蹄甲燒煙陶隱居亦言朮能除惡氣弭災 故今病疫及歲旦人家往往燒蒼朮以辟邪氣

 

李時珍(이시진)以上(이상)諸說(제설)은 한결같이 蒼朮(창출)을 말한 것으로서 단지 白朮(백출)만을 말한 것이 아닌 것 같으며 요즘의 服食家(복식가)들도 역시 蒼朮(창출)仙朮(선출)이라 부르고 있다. 張仲景(장중경)一切(일체)惡氣(악기)를 물리치는데 赤朮(적출)豬蹄甲(저제갑)을 함께 태워 煙氣(연기)를 사용했는데, 陶隱居(도은거)<蒼朮(창출)은 능히 惡氣(악기)()하고 災難(재난)을 쫓는다.> 라고 하였다. 實際(실제)惡疫(악역)에 걸렸을 때와 正月(정월)民家(민가)에서 자주 蒼朮(창출)을 태워서 邪氣(사기)를 물리치는 것은 이러한 ()根據(근거)한다.

 

 

 

類編載越民高氏妻病恍惚譫語亡夫之鬼憑之其家燒蒼朮煙鬼遽求去

 

 

類編(유편)에는 <()地方民(지방민)高氏(고씨)라는 사람의 ()()으로 恍惚(황홀)한 상태에서 헛소리를 했는데 亡夫(망부)幽鬼(유귀)가 붙어 있었다. 그래서 家人(가인)蒼朮(창출)을 태워 연기를 뿜으니 幽鬼(유귀)는 금방 돌아가게 해달라고 애원했다.> 라고 되어 있고,

 

 

夷堅志載江西一士人為女妖所染其鬼將別曰君為陰氣所浸必當暴泄但多服平胃散為良中有蒼朮能去邪也

 

夷堅志(이견지)에는 < 江西(강서)의 어느 사대부는 女妖(여요)同棲(동서)하고 있었는데 그 妖鬼(요귀)가 헤어질 때 당신에게 陰記(음기)가 스며있으니 내가 간 후에 꼭 심한 설사를 할 것인즉 平胃散(평위산)을 많이 服用(복용)하면 위험할 것이 없다.”라고 하였다. ()에는 蒼朮(창출)이 있으니 능히 邪氣(사기)除去(제거)한다. 라고 되어 있다.

 

 

 

許叔微本事方微患飲癖三十年始因少年夜坐寫文左向伏幾是以飲食多墜左邊中夜必飲酒數杯又向左臥壯時不覺五年後覺酒止從左下有聲脅痛食減嘈雜飲酒半杯即止十數日必嘔酸水數升暑月止右邊有汗左邊絕無

 

許叔微(허숙미)本事方(본사방)에는 "나는 三十(삼십)년에 걸쳐서 陰癖(음벽)에 걸려 앓았는데 처음에는 年少(연소)時節(시절), 夜間(야간)書籍(서적)筆寫(필사)할 때 꼭 책상 왼쪽에 몸을 눕히고 비스듬히 기대는 習慣(습관)이 있어 이 때문에 飮食物(음식물)大部分(대부분)이 배 왼쪽에 쏠렸다. 또한 밤중에는 꼭 몇 잔의 술을 마시고 就寢(취침)했는데 역시 왼쪽으로 누웠었다. 強壯(강장)했던 때는 별로 모르고 지냈는데 3~5년이 지난 후에 느낀 바 있어서 술을 끊었다. 그랬더니 이번에는 배 왼편에서 소리가 나고, 脇痛(협통)이 시작되고 먹지를 못하고 가슴이 타듯 답답했다. 그런데 半盃(반배)정도의 술을 마시면 그치고는 했는데 十數日(십수일)이 지나니 꼭 酸水(산수)數升(수승)씩이나 嘔吐(구토)하는 것이 例事(예사)가 되었다. 暑季(서계)에 접어드니 땀도 右側(우측)에서만 나고 左側(좌측)에서는 전혀 나질 않았다.

 

 

遍訪名醫及海上方間或中病止得月餘複作其補如天雄附子礬石輩如牽牛甘遂大戟備嘗之矣自揣必有癖囊如潦水之有科臼不盈科不行但清者可行而濁者停滯無路以決之故積至五七日必嘔而去脾土惡濕而水則流濕莫若燥脾以去濕崇土以填科臼

 

 

이런 상황에서 各地(각지)名醫(명의)에게 치료를 받고, 海外(해외)處方(처방)까지 ()해 보았으나 ()效驗(효험)이 있는 듯 一旦(일단) 그칠 때도 때로는 있었으나 一個月(일개월)쯤 지나면 다시 再發(재발)하였다. 그간 補藥(보약)으로 天雄(천웅), 附子(부자), 礜石(여석)등과 下劑(하제)로는 牽牛(견우), 甘遂(감수), 大戟(대극) 같은 것은 대개 다 써보았다. 그동안 생각해보니 이것은 반드시 癖囊(벽낭)이 생긴 것이 틀림없다. 그것도 더욱이 물을 功給(공급)하는 곳에 있었다. 이것은 遼水(요수)科臼(과구)가 있어서 물을 그 ()지 넘기지 않으면 앞으로 더 못가는 이치와 같은 것이었다. 맑은 물은 금방 體內(체내)順行(순행)하는데 ()한 물은 停滯(정체)되어 마침내 나갈 길이 없게 된다. 이런 關係(관계)()~칠일 쌓이면 반드시 嘔出(구출)하고 마는 것이다. 그렇다면 脾土(비토)()을 싫어하고 물은 ()을 향하여 흐르는 것이니 ()를 말려 ()增高(증고)하면 지금의 所謂(소위) 科臼(과구)의 바닥이 메워지는 理致(이치)라 여겼다.

 

 

乃悉屏諸藥只以蒼朮一斤去皮切片為末),生油麻半兩)(水二盞濾汁),大棗五十枚)(去皮核)。搗和丸梧子大每日空腹溫服五十丸增至一二百丸忌桃雀肉服三月而疾除自此常服不嘔不痛胸膈寬利飲啖如故暑月汗亦周身燈下能書細字皆朮之力也初服時必覺微燥以山梔子末沸湯點服解之久服亦自不燥矣

 

그래서 諸藥(제약)을 제쳐놓고 오직 蒼朮(창출)一斤(일근), 껍질을 없애고 切片(절편)하여 ()로 만들어 有麻(유마) 半兩(반량), 二錢(이전)으로 갈아서 ()을 내어 大棗(대조) 五十(오십)개를 삶아서 껍질과 씨를 ()한 것과 함께 찧어서 梧子(오자)크기의 ()으로써 每日(매일) 空腹(공복)五十丸(오십환)씩을 溫服(온복)하고 일백~二百丸(이백환)까지 점차 增加(증가)시켜 (), (), 雀肉(작육)을 멀리하고, 三個月(삼개월) 동안을 續服(속복)했더니 ()은 감쪽같이 그것으로 고쳐졌다. 邇來(이래) 그것을 常服(상복)하고 있는데 ()하지 않고 ()하지 않으며 胸膈(흉격)은 편안하고 飮食(음식)()과 같이 잘 먹고, 暑季(서계)에는 땀이 全身(전신)에서 골고루 發出(발출)하여 燈下(등하)에서 細字(세자)를 쓰는데 아무런 支障(지장)이 없다. 이것은 모두 ()의 힘이다. 처음에 服用(복용)當時(당시)는 반드시 微燥(미조)를 느끼게 되나 山梔子末(산치자말)沸湯(비탕)으로 하여 服用(복용)하면 즉시 ()하며 그 以後(이후)로는 오랫동안 服用(복용)해도 ()하지 않게 된다.“라고 되어 있다.

 

 

 

 

 

附方舊二新三十二

 

服朮法烏髭發駐顏色壯筋骨明耳目除風氣潤肌膚久服令人輕健蒼朮不計多少米泔水浸三日逐日換水取出刮去黑皮切片曝乾慢火炒黃細搗為末每一斤用蒸過白茯苓末半斤煉蜜和丸梧子大空心臥時熱水下十五丸別用朮末六兩甘草末一兩拌和作湯點之吞丸尤妙忌桃及三白諸血。(《經驗方》)

 

()服用(복용)하는 方法(방법)

 

髭髮(자발)을 검게하고, 顔色(안색)老衰(노쇠)防止(방지)하고 筋骨(근골)壯健(장건)하게 하며, 耳目(이목)이 밝게 되고 , 風氣(풍기)()하고 肌膚(기부)潤澤(윤택)해지며 久服(구복)하면 身體(신체)經建(경건)하게 해준다.

蒼朮(창출)()多少(다소)를 불문하고 米泔水(미감수)三日間(삼일간) 재웠다가 날마다 물을 갈고 꺼내어 黑皮(흑피)를 깎아내고, 切片(절편)하여 暴乾(폭건)하고 慢火(만화)호 누르게 볶아서 잘게 찧고 作末(작말)하여 () 一斤(일근)에 대하여 ()白茯苓(백복령)()半斤(반근) 넣고 煉蜜(연밀)()하여 梧子(오자)크기의 환으로 만들어 空心(공심)으로 就寢時(취침시) 十五丸(십오환)熱水(열수)로 복용한다. 별도로 朮末(출말) 六兩(육량), 甘草(감초)() 一兩(일량)混合(혼합)하고 ()으로 만들어 앞의 환을 넘기는 것이 가장 妙效(묘효)를 보게 된다.

 

(), (), (), () 三白(삼백: (),(), 蘿葍(蘿蔔(나복)), 諸血(제혈)今期(금기)한다.

 

 

 

蒼朮膏鄧才筆峰雜興方》︰除風濕健脾胃變白駐顏補虛損大有功效蒼朮新者刮去皮薄切米泔水浸二日一日一換取出以井華水浸過二寸秋五日夏三日冬七日漉出以生絹袋盛之放在一半原水中揉洗津液出紐乾將渣又搗爛袋盛於一半原水中揉至汁盡為度將汁入大砂鍋中慢火熬成膏每一斤入白蜜四兩熬二炷香每膏一斤入水澄白茯苓末半斤攪勻瓶收每服三匙清早臨臥各一服以溫酒送下忌醋及酸物菘菜首魚等物

 

 

鄧才筆峰雜興方(등재필봉잡흥방)에는 風濕(풍습)()하고 脾胃(비위)()하게 하며, 白髮(백발)을 검게 變色(변색)시키고, 顔色(안색)老化(노화)防止(방지)하고, 虛損(허손)()함에 大效(대효)가 있다. 새로 나온 蒼朮(창출)의 껍질을 벗겨 薄切(박절)하여 米泔水(미감수)二日(이일)간 재웠다가 하루 한번 물을 갈아주고 井華水(정화수)로 봄과 가을에는 五日(오일), 여름에는 三日間(삼일간), 겨울에는 七日(칠일)간을 ()二寸(이촌)깊이로 가라 앉히고 漉出(녹출)하여 生絹(생견)포대에 가득 담아 原來(원래)의 물 半分(반분)을 나누어서 그 안에 넣고 주물러 씻고 津液(진액)을 짜내어서 紐乾(유건)하고, 찌꺼기를 다시 搗爛(도란)하여서 포대에 넣어 나머지 半分(반분)原來(원래)의 물속에 注入(주입)시켜 汁盡(즙진)할 때까지 주무른다. 前後(전후)()大砂鍋(대사과)에 옮겨 慢火(만화)熬膏(오고)하여 그 一斤(일근)()해서 百蜜(백밀)四兩(사량)을 넣어 二炷香(이주향) 속에서 볶고, () 한근에 대해서 수징백복령말(水澄白茯苓末)半斤(반근) 넣어서 고르게 휘저어 섞어서 ()에 넣어 三匙(삼시)씩을 早朝(조조)就寢時(취침시)에 각 한번씩 溫水(온수)()한다.

 

(), (), (), (), (), (), 菘菜(숭채), (), ()등을 멀리해야 한다.

 

 

吳球活人心統蒼朮膏治脾經濕氣少食足腫無力傷食酒色過度勞逸有傷骨熱用鮮白蒼朮二十斤刮去粗皮晒切以米泔浸一宿取出同溪水一石大砂鍋慢火煎半乾去渣再入石楠葉三斤刷去紅衣),楮實子一斤川當歸半斤甘草四兩同煎黃色濾去滓再煎

 

 

蒼朮丸薩謙齋瑞竹堂方清上實下兼治內外障茅山蒼朮洗刮淨一斤分作四分用酒糯泔童尿各浸三日一日一換取出洗搗晒焙以黑脂麻同炒香共為末酒煮面糊丸梧子大每空心白湯下五十丸李仲南永類方八製蒼朮丸疏風順氣養腎治腰腳濕氣痺痛蒼朮一斤洗刮淨),分作四分用酒米泔鹽水各浸三日晒乾又分作四分用川椒紅茴香補骨脂黑牽牛各一兩同炒香揀去不用只取朮研末醋糊丸梧子大每服五十丸空心鹽酒送下五十歲後加沉香末一兩

 

蒼朮丸(창출환): 薩謙齋(살겸재)瑞竹堂方(서죽당방)에는 ()을 맑게 하고, ()()하게 하며, ()하여 눈의 內外障(내외장)治療(치료)한다......생략..

 

 

 

蒼朮散治風濕常服壯筋骨明目蒼朮一斤粟米泔浸過竹刀刮去皮半斤以無灰酒浸半斤以童子小便浸春五夏三秋七冬十日取出淨地上掘一坑炭火 赤去炭將浸藥酒小便傾入坑內卻放朮在中以瓦器蓋定泥封一宿取出為末每服一錢空心溫酒或鹽湯下萬表積善堂方》︰六製蒼朮散治下元虛損偏墜莖痛茅山蒼朮淨刮六斤分作六分一斤倉米泔浸二日一斤酒浸二日一斤青鹽半斤炒黃去鹽一斤小茴香四兩炒黃去茴一斤大茴香四兩炒黃去茴一斤用桑椹子汁浸二日取朮為末每服三錢空心溫酒下

 

 

蒼朮散(창출산): 風濕(풍습)治癒(치유)하며 常服(상복)하면 筋骨(근골)壯健(장건)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해준다. .........................생략...

 

 

固真丹︰《瑞竹堂方固真丹燥濕養脾助胃固真茅山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一兩炒並揀朮研末酒煮面糊丸梧子大每空心米飲下五十丸

 

乾坤生意平補固真丹治元臟久虛遺精白濁婦人赤白帶下崩漏金州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一分川椒一兩炒一分破故紙一兩炒一分茴香食鹽各一兩炒一分川楝肉一兩炒取淨朮為末入白茯苓末二兩酒洗當歸末二兩酒煮面糊丸梧子大每空心鹽酒下五十丸

 

固元丹治元臟久虛遺精白濁五淋及小腸膀胱疝氣婦人赤白帶下血崩便血等疾以小便頻數為效好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一分小茴香食鹽各一兩同炒一分川椒補骨脂各一兩同炒一分川烏頭川楝子肉各一兩同炒一分用醇醋老酒各半斤同煮乾焙連同炒藥通為末用酒煮糊丸梧子大每服五十丸男以溫酒女以醋湯空心下此高司法方也。(百一選方》)

 

少陽丹蒼朮米泔浸半日刮皮晒乾為末一斤地骨皮溫水洗淨去心晒研一斤熟桑椹二十斤入瓷盆揉爛絹袋壓汁)。和末如糊傾入盤內日晒夜露採日精月華待乾研末煉蜜和丸赤小豆大每服二十丸無灰酒下日三服一年辮發返黑三年面如童子。(劉松石保壽堂方》)

 

交感丹補虛損固精氣烏髭發此鐵瓮城申先生方也久服令人有子茅山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用酒米泔鹽湯各浸七日晒研),川椒紅小茴香各四兩炒研 交加丸升水降火除百病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一分米泔浸炒一分鹽水浸炒一分川椒炒一分破故紙炒),黃柏皮刮淨一斤分作四分一分酒炒一分童尿浸炒一分小茴香炒一分生用)。揀去各藥只取朮柏為末煉蜜丸梧子大每服六十丸空心鹽湯下。(鄧才筆峰雜興方》)

 

坎離丸滋陰降火開胃進食強筋骨去濕熱白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一分川椒一兩炒一分破故紙一兩炒一分五味子一兩炒一分川芎 一兩炒只取朮研末),川柏皮四斤分作四分一斤酥炙一斤人乳汁炙一斤童尿炙一斤米泔炙各十二次研末)。和勻煉蜜丸梧子大每服三十丸早用酒午用茶晚用白湯下。(《積善堂方》)

 

不老丹補脾益腎服之七十亦無白髮茅山蒼朮刮淨米泔浸軟切片四斤一斤酒浸焙一斤醋浸焙一斤鹽四兩炒一斤椒四兩炒),白何首烏各二斤泔浸竹刀刮切以黑豆紅棗各五升同蒸至豆爛曝乾),地骨皮去骨一斤各取淨末以桑椹汁和成劑鋪盆內汁高三指日晒夜露取日月精華待乾以石臼搗末煉蜜和丸梧子大每空心酒服一百丸此皇甫敬之方也。(王海藏醫壘元戎》)

 

不老丹(불노단): ()()하고 ()補益(보익)한다. 이것을 常服(상복)하면 70()에 이르러도 白髮(백발)이 나지 않는다. .........생략.....

 

 

靈芝丸治脾腎氣虛添補精髓通利耳目蒼朮一斤米泔水浸夏五日冬七日逐日換水竹刀刮皮切晒石臼為末棗肉蒸和丸梧子大每服三五十丸棗湯空心服。(《奇效良方》)

 

補脾滋腎生精強骨真仙方也蒼朮去皮五斤為末米泔水漂澄取底用),脂麻二升半去殼研爛絹袋濾去渣)。澄漿拌朮曝乾每服三錢米湯或酒空心調服。(《孫氏集效方》)

 

面黃食少男婦面無血色食少嗜臥蒼朮一斤熟地黃半斤乾薑冬一兩秋小兒癖疾蒼朮四兩為末羊肝一具竹刀批開撒朮末線縛入砂鍋煮熟搗作丸服。(《生生編》)

 

好食生米男子婦人因食生熟物留滯腸胃遂至生蟲久則好食生米否則終日不樂至憔悴萎黃不思飲食以害其生用蒼朮米泔水浸一夜銼焙為末蒸餅丸梧子大每服五十丸食前米飲下日三服益昌伶人劉清嘯一娼名曰花翠年逾笄病此惠民局監趙尹以此治之兩旬而愈蓋生米留滯腸胃受濕則穀不磨而成此疾蒼朮能去濕暖胃消穀也。(楊氏家藏經驗方》)

 

腹中虛冷不能飲食食輒不消羸弱生病朮二斤曲一斤炒為末蜜丸梧子大每服三十丸米湯下日三服大冷加乾薑三兩腹痛加當歸三兩羸弱加甘草二兩。(《肘後方》)

 

脾濕水瀉注下困弱無力水穀不化腹痛甚者蒼朮二兩白芍藥一兩黃芩半兩淡桂二錢每服一兩水一盞半煎一盞溫服脈弦頭微痛去芍藥加防風二兩。(《保命集》)

暑月暴瀉壯脾溫胃及療飲食所傷

 

曲朮丸用神曲)、蒼朮米泔浸一夜等分為末糊丸梧子大每服三五十丸米飲下。(《和劑局方》)

 

飧瀉久痢椒朮丸用蒼朮二兩川椒一兩為末醋糊丸梧子大每服二十丸食前溫水下惡痢久者加桂。(《保命集》)

 

脾濕下血蒼朮二兩地榆一兩分作二服水二盞煎一盞食前溫服久痢虛滑以此下桃花丸。(《保命集》)。

 

腸風下血蒼朮不拘多少以皂角 濃汁浸一宿煮乾焙研為末面糊丸如梧子大每服五十丸空心米飲下日三服。(《婦人良方》)

 

濕氣身痛蒼朮泔浸切水煎取濃汁熬膏白湯點服。(《簡便方》)

 

補虛明目健骨和血蒼朮泔浸四兩熟地黃二兩為末酒糊丸梧子大每溫酒下三五十丸日三服。(《普濟方》)

 

青盲雀目︰《聖惠方》︰用蒼朮四兩泔浸一夜切焙研末每服三錢豬肝三兩劈開摻藥在內扎定入粟米一合水一碗砂鍋煮熟熏眼臨臥食肝飲汁不拘大人小兒皆治又方不計時月久近用蒼朮二兩泔浸焙搗為末每服一錢以好羊子肝一斤竹刀切破摻藥在內麻扎以粟米泔煮熟待冷食之以愈為度

 

眼目昏澀蒼朮半斤泔浸七日去皮切焙),木賊各二兩為末每服一錢酒任下。(《聖惠方》)

 

嬰兒目澀不開或出血蒼朮二錢入豬膽中扎煮將藥氣熏眼後更嚼取汁與服。(《幼幼新書》)

 

風牙腫痛蒼朮鹽水浸過燒存性研末揩牙去風熱。(《普濟方》)

 

臍蟲怪病腹中如鐵石臍中水出旋變作蟲行繞身匝癢難忍撥掃不盡用蒼朮濃煎湯浴之仍以蒼朮末

 

 

 

 

 

主治

 

作飲甚香去水弘景)。亦止自汗

 

飮用(음용)하면 심히 香氣(향기)롭고 ()()한다. [陶弘景(도홍경)]

또한 自汗(자한)이 멈춘다.

 

 

[본초강목(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