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2. 02:23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백출(白朮)[본초강목]
^^^^^^^^^^^^^^^^^^^^^^^^^^^^^^^^^^^^^^^^^^^^^^^^^^^^^^^^^^^^^^^^^^^^^^^^^^
朮
(《本經》上品)
【釋名】
山薊(《本經》)、楊桴(音孚)、桴薊(《爾雅》)、馬薊(《綱目》)、山薑(《別錄》)、山連(《別錄》)、吃力伽(《日華》)。
時珍曰︰按《六書本義》,朮字篆文,象其根幹枝葉之形。
六書本義(육서본의:明趙捴謙撰)에는 朮字(출자)의 篆書(전서)는 根(근), 幹(간), 枝(지), 葉(엽)의 形(형)으로 象徵(상징)한 것이라고 되어 있다.
《吳普本草》一名山芥,一名天薊。因其葉似薊,而味似薑、芥也。
吳普本草(오보본초:420年—589吳普 화타의 제자 )에 “一名(일명)山芥(산개), 一名(일명)天薊(천계)” 라 한 것은 그 葉(엽)이 薊(계)에 흡사한 것과 맛이 薑(강), 芥(개)와 비슷한 데서 비롯된다.
西域謂之吃力伽,故《外台秘要》有吃力伽散。揚州之域多種白朮,其狀如桴,故有楊桴及桴薊之名,今人謂之吳朮是也。桴乃鼓槌之名。古方二朮通用。後人始有蒼、白之分,詳見下。
또 西域(서역)에서는 이것을 吃力伽(흘력가)라 부르고 外臺秘要(외대비요)에는 吃力散(흘력산)이라는 藥名(약명)이 있다. 古方(고방)에는 二朮(이출)을 通用(통용)했으며 後世(후세)에 와서는 蒼(창)과 白(백)으로 區別(구별)하였다.
【集解】
《別錄》曰︰朮,生鄭山山谷、漢中、南鄭。二月、三月、八月、九月採根,曝乾。
弘景曰︰鄭山,即南鄭也。今處處有,以蔣山、白山、茅山者為勝。十一月、十二月採者好,多脂膏而甘。其苗可作飲,甚香美。朮有兩種︰白朮,葉大有毛而作椏,根甜而少膏,可作丸、散用;赤朮,葉細無椏,根小苦而多膏,可作煎用。東境朮大而無氣烈,不任用。今市人賣者,皆以米粉涂令白,非自然矣,用時宜刮去之。
頌曰︰朮,今處處有之,以茅山、嵩山者為佳。春生苗,青色無椏。莖作蒿幹狀,青赤色,長三、二尺以來。夏開花,紫碧色,亦似刺薊花,或有黃白色者。入伏後結子,至秋而苗枯。根似薑而旁有細根,皮黑,心黃白色,中有膏液紫色。其根乾濕並通用。陶隱居言朮有二種,則《爾雅》所謂桴薊,即白朮也。今白朮生杭、越、舒、宣州高山崗上,葉葉相對,上有毛,方莖,莖端生花,淡紫碧紅數色,根作椏生。二月、三月、八月、九月採,曝乾用,以大塊紫花為勝。古方所用朮者,皆白朮也。
宗奭曰︰蒼朮,長如大拇指,肥實,皮色褐,其氣味辛烈,須米泔浸洗,去皮用。白朮粗促,色微褐,其氣亦微辛苦而不烈。古方及《本經》止言朮,不分蒼、白二種,亦宜兩審
時珍曰︰蒼朮,山薊也,處處山中有之。苗高二、三尺,其葉抱莖而生,梢間葉似棠梨葉,其腳下葉有三、五叉,皆有鋸齒小刺。根如老薑之狀,蒼黑色,肉白有油膏。白朮,桴薊也,吳越有之。人多取根栽蒔,一年即稠。嫩苗可茹,葉稍大而有毛。根如指大,狀如鼓槌,亦有大如拳者。彼人剖開曝乾,謂之削朮,亦曰片朮。
陳自良言︰白而肥者,是浙朮;瘦而黃者,是幕阜山所出,其力劣。昔人用朮不分赤、白。自宋以來,始言蒼朮苦辛氣烈,白朮苦甘氣和,各自施用,亦頗有理。並以秋採者,佳;春採者,虛軟易壞。嵇含《南方草木狀》云︰藥有吃力伽,即朮也。
陳自良(진자양)이 말하길 ....... 옛사람들은 朮(출)을 用(용)할때는 赤(적), 白(백)의 區別(구별)이 없었는데, 宋代(송대)이후 비로소 “蒼朮(창출)은 쓰고 매우며 氣(기)가 격렬하다. 白朮(백출)은 쓰고 달며 氣(기)는 연하다.”라고 말하기 始作(시작)하였고 이것이 각기의 용도로 생각해보면 相當(상당)한 理由(이유)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두 秋採(추채)한 것이 가장 좋고 春採(춘채)한 것은 虛軟(허연)하여 부서지기 쉽다.“ 嵇含(혜함)의 南方草木狀(남방초목상:晉代嵇含編撰 304年 )에는 “藥(약)에 乞力伽(걸력가)라는 것이 있다. 즉 朮(출)이다.
瀕海所產,一根有至數斤者,採餌尤良。嘉謨曰︰浙朮,俗名云頭朮,種平壤,頗肥大,由糞力也,易潤油。歙朮,俗名狗頭朮,雖瘦小,得土氣充也,甚燥白,勝於浙朮。寧國、昌化、池州者,並同歙朮,境相鄰也。
朮(白朮也)
【氣味】
甘,溫,無毒。
《別錄》曰︰甘。
權曰︰甘,辛。
杲曰︰味苦而甘,性溫,味厚氣薄,陽中陰也,可升可降。
李杲(이고): 味(미)는 苦(고)하고 甘(감)하다. 性(성)은 溫(온)하다. 味厚(미후)하고, 氣薄(기박)하며 陽中(양중)의 陰(음)이다. 升(승)도 되고 降(강)도 된다.
好古曰︰入手太陽、少陰,足太陰、陽明,少陰、厥陰六經。
王好古(왕호고): 手太陽(수태양), 少陰(소음), 足太陰(족태음), 陽明(양명), 少陰(소음), 厥陰(궐음) 六經(육경)에 들어간다.
之才曰︰防風、地榆為之使。
徐之才(서지재): 防風(방풍), 地楡(지유)가 使(사)로 된다.
權曰︰忌桃、李、菘菜、雀肉、青魚。
甄權(견권): 挑(도), 李(이), 菘菜(숭채), 雀肉(작육), 靑魚(청어)를 삼간다.
嘉謨曰︰咀後人乳汁潤之,制其性也。脾病,以陳壁土炒過,竊土氣以助脾也。
陳嘉謨(진가모): 씹은 뒤에 人乳(인유)즙으로 潤(윤)하면 그 性(성)을 制(제)한다. 脾病(비병)에는 陳壁土(진벽토)를 使用(사용)하여 볶아서 用(용)하면 土氣(토기)를 竊(절)하여 脾(비)를 도와준다.
【主治】
風寒濕痺,死肌痙疸,止汗除熱消食。作煎餌,久服,輕身延年不飢(《本經》)。
風寒濕痺(풍한습비), 死肌(사기), 痙疸(경달) 止汗(지한)하고 除熱(제열)하며, 食物(식물)을 消化(소화)할때는 湯(탕)에 달여서 復用(복용)한다. 久服(구복)하면 身體(신체)를 輕快(경쾌)히 하고 壽命(수명)이 길어지고 배고픔을 모른다.[本經(본경)]
主大風在身面,風眩頭痛,目淚出,消痰水,逐皮間風水結腫,除心下急滿,霍亂吐下不止,利腰臍間血,益津液,暖胃消穀嗜食(《別錄》)。
大風(대풍)이 몸과 얼굴에 表出(표출)한 것, 風眩(풍현), 頭痛(두통), 눈물이 계속 흐르는 데 奏效(주효)가 있고, 痰水(담수)를 消去(소거)하며, 皮間(피간)의 風水結腫(풍수결종)을 쫓아내고 心下(심하)의 急滿(급만)을 除去(제거)하며 霍亂吐下(곽란토하)를 계속하는 者(자), 腰(요), 臍間(제간)의 血(혈)을 利通(이통)하고, 津液(진액)을 益(익)하고, 胃(위)를 暖(난)하며, 穀物(곡물)을 소화하고, 식욕을 增進(증진)한다. [別錄(별록)]
治心腹脹滿,腹中冷痛,胃虛下利,多年氣痢,除寒熱,止嘔逆(甄權)。
心腹脹滿(심복창만), 腹中冷痛(복중냉통), 胃虛下利(위허하리), 多年(다년)의 氣痢(기리)를 治(치)하고, 寒熱(한열)을 除(제)하고 嘔逆(구역)을 그치게 한다.[甄權(견권)]
止反胃,利小便,主五勞七傷,補腰膝,長肌肉,治冷氣, 癖氣塊,婦人冷癥瘕(大明)。
反胃(반위), 小便(소변)을 利(이)하고, 五劳七伤(오로칠상)에 主效(주효)가 있으며, 腰膝(요슬)을 補(보)하고, 肌肉(기육)을 長(장)하고, 冷氣(냉기), 痃癖(현벽), 氣塊(기괴), 婦人(부인)의 冷癥瘕(냉징가)를 고친다. [大明(대명)]
除濕益氣,和中補陽,消痰逐水,生津止渴,止瀉痢,消足脛濕腫,除胃中熱、肌熱。得枳實,消痞滿氣分;佐黃芩,安胎清熱(元素)。
濕(습)을 除(제)하고 氣(기)를 補益(보익)하고, 中(중)을 和(화)하고, 陽(양)을 補(보)하고, 痰(담)을 消化(소화)하고, 水分(수분)을 내쫓고 生津(생진)하고, 止渴(지갈)하며, 瀉痢(사리)를 멈추고, 足經(족경)의 濕腫(습종)을 소멸하고, 胃中(위중)의 熱(열), 肌熱(기열)을 除(제)한다.
枳實(지실)과 配合(배합)되면 痞滿(비만)의 氣分(기분)을 消(소)한다. 黃芩(황금)을 左(좌)로 쓰면 胎(태)를 安定(안정)시키고 熱(열)을 내린다. [張元素(장원소)]
理胃益脾,補肝風虛,主舌本強,食則嘔,胃脘痛,身體重,心下急痛,心下水痞。沖脈為病,逆氣裡急,臍腹痛(好古)。
胃(위)를 整(정)하고, 脾(비)를 補益(보익)하고, 肝風虛(간풍허)를 補(보)한다. 舌根(설근)이 굳어서 먹지 못하고 嘔吐(구토)하는 것, 胃脘(위완)의 痛症(통증), 身體(신체)가 무거운 것, 心下(심하)의 急痛(급통), 心下(심하)의 水痞(수비), 衝脈病(충맥병)이 된 것, 逆氣(역기), 裏急(이급)하여 臍腹(제복)이 아픈 데에 奏效(주효)가 있다. [王好古(왕호고)]
【發明】
好古曰︰本草無蒼、白朮之名。近世多用白朮,治皮間風,止汗消痞,補胃和發,有汗則止,與黃耆同功。
王好古(왕호고)
本經(본경)에는 蒼(창), 白朮(백출)의 區分(구분)은 없으나 近世(근세)에 와서 白朮(백출)을 用(용)하여 皮間(피간)의 風(풍)을 治(치)하고, 땀을 出(출)하고, 痰(담)을 없애주고, 胃(위)를 補(보)하고, 中(중)을 和(화)하며, 腰(요), 臍間(제간)의 피를 利(이)하고 水道(수도)를 通利(통리)한다. 上(상)에서는 皮(피), 毛(모), 中(중)에서는 心(심), 胃(위), 下(하)에서는 腰(요), 臍氣(제기)에 들어가서는 氣(기)를 作用(작용)시키고, 血(혈)에 가서는 血(혈)로 작용하고 汗無(한무)할 때는 發汗(발한)하고, 汗有(한유)할 때는 땀을 멈추게 하니 黃耆(황기)와 功力(공력)이 거의 同一(동일)하다.
元素曰︰白朮除濕益燥,和中補氣。其用有九︰溫中,一也;去脾胃中濕,二也;除胃中熱,三也;強脾胃,進飲食,四也;和胃生津液,五也;止肌熱,六也;四肢困倦,嗜臥,目不能開,不思飲食,七也;止渴,八也;安胎,九也。
張元素(장원소)
白朮(백출)은 除濕(제습)하고, 益燥(익조)하고, 和中(화중)하고, 補氣(보기)한다. 그 應用(응용)에 九種(구종)이 있는데, 中(중)을 溫(온)하게 하는 것이 一(일), 胃中(위중)의 濕(습)을 去(거)함이 二(이), 胃中(위중)의 熱(열)을 除(제)함이 三(삼), 脾胃(비위)를 튼튼하게 하여 飮食(음식)을 증진시키는 것이 四(사), 胃(위)를 和(화)하여 津液(진액)을 生(생)하는 것이 五(오), 肌熱(기열)을 止(지)하는 것이 六(육), 四肢困倦(사지곤권)하여 橫臥(횡와)를 즐기고 눈을 뜨는 것마저 귀찮아 밥맛이 없는 것을 治(치)하는 것이 七(칠), 渴(갈)을 멈추게 하는 것이 八(팔), 胎(태)를 安(안)하는 것이 九(구)인 것이다.
凡中焦不受濕不能下利,必須白朮以逐水益脾。非白朮不能去濕,非枳實不能消痞,故枳朮丸以之為君。
무릇 中焦(중초)에 濕(습)을 받아서 下利不能(하리불능)일 때는 반드시 白朮(백출)을 用(용)하여 水分(수분)을 내쫓고 脾(비)를 益(익)하여야 된다. 白朮(백출)以外(이외)로는 濕(습)을 去(거)한다는 것은 不可能(불가능)하다. 枳實(지실)以外(이외)로는 痞(비)를 消(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枳朮丸(지출환)에는 이것을 君(군)으로 하고 있다.
機曰︰脾惡濕,濕勝則氣不得施化,津何由生?故曰︰膀胱者津液之府,氣化則能出焉。用白朮以除其濕,則氣得周流而津液生矣。
陳藏器(진장기)
脾(비)는 濕(습)을 싫어한다. 濕(습)이 이기면 氣(기)가 順調(순조)롭게 그 힘을 發揮(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津(진)이 생길 理(이)가 없다. 膀胱(방광)은 津液(진액)의 府(부)이며, 氣(기)가 完全(완전)하게 활동하면 尿(요)의 排泄(배설)이 順調(순조)롭게 되는 것이다. 라서 白朮(백출)을 用(용)하여 그 濕(습)을 除(제)하면 氣(기)가 원만하고 順調(순조)롭게 進行(진행)하며 津液(진액)이 生産(생산)되는 것이다.
【附方】舊七,新二十四。
枳朮丸︰消痞強胃,久服令人食自不停也。白朮一兩(黃壁土炒過,去土),枳實(麩炒,去麩)一兩。為末,荷葉包飯燒熟,搗和丸梧子大。每服五十丸,白湯下。氣滯,加橘皮一兩;有火,加黃連一兩;有痰,加半夏一兩;有寒,加乾薑五錢,木香三錢;有食,加神曲、麥 各五錢。(《潔古家珍》)
枳朮湯︰心下堅大如盤,邊如旋杯,水飲所作。寒氣不足,則手足厥逆,腹滿脅鳴相逐。陽氣不通即身冷,陰氣不通即骨疼。陽前通則惡寒,陰前通則痺不仁。陰陽相得,其氣乃行;大氣一轉,其氣乃散。實則失氣,虛則遺尿。名曰氣分,宜此主之。白朮一兩,枳實七個。水五升,煮三升,分三服。腹中軟,即散。(仲景《金匱玉函》)
白朮膏︰服食滋補,止久泄痢。上好白朮十斤,切片,入瓦鍋內,水淹過二寸,文武火煎至一半,傾汁入器內,以渣再煎,如此三次,乃取前後汁同熬成膏,入器中一夜,傾去上面清水,收之。每服二、三匙,蜜湯調下。(《千金良方》)
參朮膏︰治一切脾胃虛損,益元氣。白朮一斤,人參四兩。切片,以流水十五碗浸一夜,桑柴文武火煎取濃汁,熬膏,入煉蜜收之。每以白湯點服。(《集簡方》)
胸膈煩悶︰白朮末,水服方寸匕。(《千金方》)
心下有水︰白朮三兩,澤瀉五兩。水三升,煎一升半,分三服。(《梅師方》)
五飲酒癖︰一、留飲,水停心下;二、癖飲,水在兩脅下;三、痰飲,水在胃中;四、溢飲,水
在五臟間;五、流飲,水在腸間。皆因飲食冒寒,或飲茶過多致此。
倍朮丸︰用白朮一斤,乾薑(炮)、桂心各半斤。為末,蜜丸梧子大。每溫水服二、三十丸。(《惠民和劑局方》)
四肢腫滿︰白朮三兩。 咀。每服半兩,水一盞半,大棗三枚,煎九分,溫服,日三、四服,不拘時候。《本事方》。
中風口噤不知人事: 白朮四兩,酒三升,煮取一升,頓服。《千金方》。
產後中寒,遍身冷直,口噤,不識人︰白朮四兩,澤瀉一兩,生薑五錢。水一升,煎服。(《產寶》)
頭忽眩運,經久不瘥,四體漸羸,飲食無味,好食黃土︰用朮三斤,曲三斤。搗篩,酒和濕氣作痛︰白朮切片,煎汁熬膏,白湯點服。(《集簡方》)
中濕骨痛︰朮一兩,酒三盞,煎一盞,頓服。不飲酒,以水煎之。(《三因良方》)
婦人肌熱,血虛者。吃力伽散︰用白朮、白茯苓、白芍藥各一兩,甘草半兩。為散。薑、棗煎服。(王燾《外台秘要》)
風瘙癮疹︰白朮為末,酒服方寸匕,日二服。(《千金方》)
面多 雀卵色︰苦酒漬朮,日日拭之。極效。(《肘後方》)
自汗不止︰白朮末,飲服方寸匕,日二服。(《千金方》)
脾虛盜汗︰白朮四兩,切片,以一兩同黃耆炒,一兩同牡蠣炒,一兩同石斛炒,一兩同麥麩炒,揀朮為末。每服三錢,食遠粟米湯下,日三服。(丹溪方)老小虛汗 白朮五錢,小麥一撮。水煮乾,去麥為末,用黃耆湯下一錢。(《全幼心鑒》)
產後嘔逆,別無他疾者︰白朮一兩二錢,生薑一兩五錢。酒、水各二升,煎一升,分三服。(《婦人良方》)
脾虛脹滿,脾氣不和,冷氣客於中,壅遏不通,是為脹滿。寬中丸︰用白朮二兩,橘皮四兩。為末,酒糊丸梧子大。每食前木香湯送下三十丸,效。(《指迷方》)
脾虛泄瀉︰白朮五錢,白芍藥一兩,冬月用肉豆蔻(煨)。為末,米飯丸梧子大。每米飲下濕瀉暑瀉︰白朮、車前子等分。炒為末,白湯下二、三錢。(《簡便方》)
久瀉滑腸︰白朮(炒)、茯苓各一兩,糯米(炒)二兩。為末,棗肉拌食,或丸服之。(《簡便方》)
老小滑瀉︰白朮半斤(黃土炒過),山藥四兩(炒)。為末,飯丸。量人大小,米湯服。或加人參三錢。(《瀕湖集簡方》)
老人常瀉︰白朮二兩(黃土拌蒸,焙乾去土),蒼朮五錢(泔浸炒),茯苓一兩。為末,米糊丸梧子大,每米湯下七、八十丸。(《簡便方》)
小兒久瀉︰脾虛,米穀不化,不進飲食。溫白丸︰用白朮(炒)二錢半,半夏曲二錢半,丁瀉血萎黃︰腸風痔漏,脫肛瀉血,面色萎黃,積年不瘥者。白朮一斤(黃土炒過,研末),乾地黃半斤。飯上蒸熟,搗和,乾則入少酒,丸梧子大。每服十五丸,米飲下,日三服。(《普濟方》)
孕婦束胎︰白朮、枳殼(麩炒)等分。為末,燒飯丸梧子大。入月一日,每食前溫水下三十丸。胎瘦,則易產也。(《保命集》)
牙齒日長,漸至難食,名髓溢病。白朮煎湯,漱服取效,即愈也。(張銳《雞峰備急方》)
蒼朮
【釋名】
赤朮(《別錄》)、山精(《抱朴》)、仙朮(《綱目》)、山薊。
時珍曰︰《異朮》言︰朮者山之精也,服之令人長生辟穀,致神仙,故有山精、仙朮之號。
이시진(李時珍)
異術(이술)에 “朮(출)을 山(산)의 情(정)이다. 服(복)하면 長生(장생)하고, 穀食(곡식)을 멀리하며 神仙(신선)이 될 수 있다.”라고 쓰여 있다. 그래서 산정(山情), 선출(仙朮)이라 칭(稱)한다.
朮有赤、白二種,主治雖近,而性味止發不同。本草不分蒼、白,亦未可據。今將《本經》並《別錄》、甄權、大明四家所說功用,參考分別,各自附方,庶使用者有所依憑。
참고(參考)하여 식별(識別)하도록 그 나름의 방(方)을 부기(附記)한다. 사용(使用)하는 사람들이 근거(根據)할 수 있는 참고자료(參考資料)가 될수 있다면 그걸로 족하다.
【修治】
大明曰︰用朮以米泔浸一宿,入藥。
대명(大明): 출(朮)을 용(用)하는 데는 미감(米泔)에 하룻밤 재웠다가 약(藥)에 넣는다.
宗奭曰︰蒼朮辛烈,須米泔浸洗,再換泔浸二日,去上粗皮用。
구종석(寇宗奭):창출(蒼朮)은 辛烈(신열)하기 때문에 반드시 미감(米泔)에 재웠다가 씻고, 다시 감(泔)을 갈아서 이일(二日)을 더 재우고, 겉의 조피(粗皮)를 취거(取去)하여 사용(使用)하지 않으면 안 된다.
時珍曰︰蒼朮性燥,故以糯米泔浸去其油,切片,焙乾用。亦有用脂麻同炒,以製其燥者。
이시진(李時珍):창출(蒼朮)은 성(性)이 조(燥)하므로 나미감(糯米泔)에 재워서 그 기름을 제거(除去)하고 절편(切片)하여 배건(焙乾)하여 사용(使用)한다. 또한 지마(指麻)와 함께 볶아도 그 성(性)인 조(燥)를 제(制)할 수 있다.
【氣味】
苦,溫,無毒。
《別錄》曰︰甘。
權曰︰甘、辛。
時珍曰︰白朮,甘而微苦,性溫而和;赤朮,甘而辛烈,性溫而燥,陰中陽也,可升可降,入足太陰、陽明、手太陰、陽明、太陽之經。忌同白朮。
이시진(李時珍): 백출(白術)은 감(甘)하며 미고(微苦)하고 성(性)은 온(溫)하며 화(和)하다. 적출(赤朮)은 감(甘)하며 辛烈(신열)하다. 성(性)은 온(溫)하며 조(燥)하다. 음중(陰中)의 승(升)함도 강(降)함도 잘된다. 족태음(足太陰), 양명(陽明), 수태음(手太陰), 양명(陽明), 태양경(太陽經)에 들어간다. 금기(禁忌)된 음식은 백출(白術)과 같다.
【主治】
風寒濕痺,死肌痙疸。作煎餌久服,輕身延年不飢(《本經》)。
풍한습비(風寒濕痺), 사기(死肌), 경달(痙疸)에 전탕(煎湯)으로 복용(服用)한다. 장복(長服)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長壽)하며 시장기를 잊는다. [본경(本經)]
主頭痛,消痰水,逐皮間風水結腫,除心下急滿及霍亂吐下不止,暖胃消穀嗜食(《別錄》)。
두통(頭痛)을 치(治)하고, 담수(痰水)를 소(消)하고, 피간(皮間)의 風水結腫(풍수결종)을 내쫓고, 心下(심하)의 急滿(급만)을 비롯하여 癨亂吐下(곽란토하)를 그치게 하고, 胃(위)를 緩和(완화)하고, 穀類(곡류)를 消化(소화)시키고, 食慾(식욕)을 增進(증진)한다. [別錄(별록)]
除惡氣,弭災(弘景)。
惡氣(악기)를 除(제)하고 災(재)沴(려)를 다스린다. [陶弘景(도홍경)]
主大風痺,心腹脹痛,水腫脹滿,除寒熱,止嘔逆下泄冷痢(甄權)。
大風痹(대풍비), 心腹脹滿(심복창만), 水腫脹滿(수종창만)에 主效(주효)가 있고, 寒熱(한열)을 除(제)하여 嘔逆(구역), 下泄(하설), 冷痢(냉리)를 그치게 한다.[甄權(견권)]
治筋骨軟弱, 癖氣塊,婦人冷氣症瘕,山嵐瘴氣溫疾(大明)。
筋骨軟弱(근골연약), 痃癖氣塊(현벽기괴), 婦人(부인)의 冷氣癥瘕(냉기징가), 山嵐瘴氣(산람장기), 溫疾(온질)을 治癒(치유)한다.[大明(대명)
明目,暖水臟(劉完素)。
눈을 밝게 하고 水臟(수장)을 暖(난)한다.[劉完素(류완소)]
除濕發汗,健胃安脾,治痿要藥(李杲)。
濕(습)을 除(제)하고, 汗(한)을 發(발)하며, 胃(위)를 建(건)하게 하고, 脾(비)를 安定(안정)하게 하며, 痿(위)를 治(치)하는 要藥(요약)이다.[李東垣(이동원)]
散風益氣,總解諸郁(震亨)。
風(풍)을 散(산)하고 氣(기)를 益(익)하고, 모든 鬱(울)을 解消(해소)한다.[朱震亨(주진형)]
治濕痰留飲,或挾瘀血成窠囊,及脾濕下流,濁瀝帶下,滑瀉腸風(時珍)。
濕痰(습담), 留飮(유음) 혹은 瘀血(어혈)이 응어리 된 것을 비롯하여 脾濕下流(비습하류), 濁瀝帶下(탁력대하), 滑瀉腸風(활사장풍)을 治癒(치유)한다. [李時珍(이시진)]
【發明】
宗奭曰︰蒼朮,氣味辛烈;白朮,微辛苦而不烈。古方及《本經》止言朮,未分蒼、白。只緣陶隱居言朮有兩種,自此人多貴白者,往往將蒼朮置而不用。如古方平胃散之類,蒼朮為最要藥,功效尤速。殊不詳本草原無白朮之名。
寇宗奭(구종석)
蒼朮(창출), 氣味(기미)가 辛烈(신열)하지만 白朮(백출)은 약간 辛苦(신고)하여 烈(열)하지 않다. 古方(고방)을 비롯한 本經(본경)에서는 단지 朮(출)이라고만 나와 있어서 蒼(창), 白(백)을 區別(구별)하지 않았으나 오직 陶隱居(도은거:456年~536年)가 <朮(출)은 兩種(양종)이다>라 하여 後(후)에 많은 一般人(일반인)들이 흰 것만을 貴(귀)하게 알게 되어 蒼朮(창출)을 두고도 使用(사용)하지 않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古方(고방)의 平胃散類(평위산류)와 같은 것은 蒼朮(창출)이 가장 重要(중요)한 藥(약)으로 되어 있고 功力(공력), 効果(효과)마저 대단히 速(속)한 것으로 나와 있다. 世間(세간)은 全然(전연)詳悉(상실)한 主義(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으나 本草(본초)에는 특별하게 白朮(백출)이라고만 眀指(명지)했던 것은 아니다.
嵇康曰︰聞道人遺言,餌朮、黃精,令人久壽。亦無白字,用宜兩審。
嵇康(혜강:223 ~ 262三國魏 문학가,사상가、음악가)의 말에서도 <道人(도인)의 遺言(유언)을 들었는데 朮(출), 黃精(황정)을 먹으면 사람이 久壽(구수)하게 된다.> 라고 하며 역시 白(백)이란 文字(문자)는 使用(사용)하고 있지 않다. 用(용)하는 데는 두 種(종) 모두 審詳(심상)을 要(요)한다.
杲曰︰本草但言朮,不分蒼、白。而蒼朮別有雄壯上行之氣,能除濕,下安太陰,使邪氣不傳入脾也。以其經泔浸、火炒,故能出汗,與白朮止汗特異,用者不可以此代彼。蓋有止、發之殊,其餘主治則同。
李東垣(이동원)
本草(본초)에는 단지 朮(출)이라고 한 것뿐으로 蒼(창), 白(백)을 區分(구분)한 것은 아니지만, 蒼朮(창출)은 雄壯(웅장)하고 上行(상행)하는 氣(기)를 지닌 特異點(특이점)이 있고 濕(습)을 잘 除(제)하고, 아래로 내려가서는 太陰(태음)을 安定(안정)하게 하고, 邪氣(사기)를 결단코 脾(비)에 轉入(전입)시키지 아니한다. 이것은 泔(감)에 담갔다가 볶아서 用(용)하기 때문에 땀을 잘 나게 하는 것으로 白朮(백출)의 땀을 멈추게 하는 것과 特別(특별)한 差異(차이)점이 있다. 使用(사용)할 때 서로 代用(대용)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止(지)와 發(발)의 相違點(상위점)은 있으나 그 외의 主(주)된 치 公用(공용)은 동일하다.
元素曰︰蒼朮與白朮主治同,但比白朮氣重而體沉。若除上濕發汗,功最大;若補中焦,除脾胃濕,力少不如白朮。腹中窄狹者,須用之。
張元素(장원소)
蒼朮(창출)은 白朮(백출)과 主治(주치)는 같으나 白朮(백출)에 비하면 氣(기)가 무겁고 體(체)는 沈(침)한다. 上部(상부)의 濕(습)을 除(제)하고, 發汗(발한)시킴도 最大(최대)의 功果(공과)를 내지만 中焦(중초)를 補(보)하고 脾胃(비위)의 濕(습)을 除(제)하는 데는 그 힘이 白朮(백출)을 따라 잡지 못한다. 腹中(복중)이 搾狹(착협)하는 사람에게 이것을 用(용)하는 것이 좋다.
震亨曰︰蒼朮治濕,上、中、下皆有可用。又能總解諸郁。痰、火、濕、食、氣、血六郁,皆因傳化失常,不得升降。病在中焦,故藥必兼升降。將欲升之,必先降之;將欲降之,必先升之。故蒼朮為足陽明經藥,氣味辛烈,強胃強脾,發穀之氣,能徑入諸經,疏泄陽明之濕,通行斂澀。香附乃陰中快氣之藥,下氣最速。一升一降,故郁散而平。
朱震亨(주진형)
蒼朮(창출)로써 治濕(치습)할 때는 上(상), 中(중), 下(하) 함께 用(용)하여야 될 것이다. 또 諸鬱(제울)의 모든 것을 解(해)하고 있다. 痰(담), 火(화), 濕(습), 食(식), 氣(기), 血(혈)의 六鬱(육울)은 모두 轉化(전화)의 常態(상태)를 상실하여 降(강)할 수 없기 때문에 病(병)이 中焦(중초)에 있는 것이니, 藥(약)에는 반드시 升(승)과 降(강)을 兼(겸)하지 않으면 안 되며, 먼저 이것을 升(승)하게 하려 할 때는 반드시 먼저 降(강)해두어야 하고, 降(강)하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이것을 升(승)하여 두어야 된다. 따라서 足陽眀經(족양명경)의 藥(약)으로 辛烈(신열)한 氣味(기미)를 지녔고, 胃(위)를 強化(강화)하고, 脾(비)를 強增(강증)시키고 穀類(곡류)의 氣(기)를 일으켜 直接(직접) 諸經(제경)에 들어가 陽明(양명)의 濕(습)을 引渡(인도)하여 洩(설)하게 하고, 斂澀(염삽)하는 힘을 지닌 蒼朮(창출)를 통하여 陰中(음중)에 快氣(쾌기)를 주는 藥(약)으로 가장 빠르게 氣(기)를 下降(하강)시키는 香附子(향부자)를 使用(사용)하면 一升(일승)一沈(일침)의 作用(작용)으로 나타나서 鬱散(울산)되어 平安(평안)하게 되는 것이다.
楊士瀛曰︰脾精不禁,小便漏濁淋不止,腰背酸疼,宜用蒼朮以斂脾精,精生於穀故也。
楊士瀛(양사영)
脾精(비정)이 있고 小便(소변)에 濁淋(탁림)을 漏(누)하여 멎지 않고, 허리와 등이 시리고 아플 때 蒼朮(창출)을 用(용)하여 脾精(비정)을 도와야 한다. 精(정)은 穀食(곡식)으로부터 生(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弘景曰︰白朮少膏,可作丸散;赤朮多膏,可作煎用。昔劉涓子 取其精而丸之,名守中金丸,可以長生。
陶弘景(도홍경)
白朮(백출)은 膏(고)가 적어서 丸(환)이나 散(산)으로 適合(적합)하며, 赤朮(적출)은 膏(고)가 많으니 煎用(전용)하는 것이 좋다. 옛날 劉涓子(류연자)는 그 情(정)을 손으로 비벼서 丸(환)을 만들어 守中金丸(수중금환)이라 부르고, 그것을 長生藥(장생약)이라 하였다.
頌曰︰服食多單餌朮,或合白茯苓,或合石菖蒲,並搗末。旦日水服,晚再進,久久彌佳。 取生朮,去土水浸,再三煎如飴糖,酒調飲之,更善。今茅山所造朮煎,是此法也。陶隱居言取其精丸之,今乃是膏煎,恐非真也。
蘇頌(소송:1020年-1101年)
服食(복식)할 때 大部分(대부분)은 간단하게 朮(출)만을 먹기도하고, 혹은 白茯苓(백복령)을 合(합)하고 혹은 石菖蒲(석창포)를 混合(혼합)하여 찧어서 末(말)로 만들어 아침에 물로 服用(복용)하고 밤에 再腹(재복)하는데 계속해서 먹으면 점차 좋은 結果(결과)를 보게 된다. 生朮(생출)을 잘라내어 흙을 털고 물에 담갔다가 再三(재삼) 달여서 엿과 만들어 酒調(주조)해서 飮(음)하면 더욱 좋다. 現在(현재) 茅山(모산)에서 만드는 朮煎(출전)은 이 方法(방법)으로 만드는데 陶隱居(도은거)는 <情(정)을 취하여 丸(환)으로 한다> 라고 말하고 있으니 지금의 膏煎(고전)은 正道(정도)를 벗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慎微曰︰梁庾肩吾答陶隱居 朮煎啟云︰綠葉抽條,紫花標色。百邪外御,六腑內充。山精見書,華神在錄。木榮火謝,盡採擷之難; 啟旦移申,窮淋漉之劑。又謝朮蒸啟云︰味重金漿,芳逾玉液。足使坐致延生,伏深銘感。
唐慎微(당신미)
梁庾肩吾(양유견오)는 陶隱居(도은거)가 朮煎(출전)을 이룬 것에 대해 答(답)하기를 <綠葉條(녹엽조)가 녹은 가지에 紫花色(자화색)이 아룽지다. 百邪(백사)의 근심이 사라지고 六府(육부)가 內充(내충)하다, 山精(산정)이 책 속에 나타나서 華神(화신)은 再錄(재록)되고 木榮(목영)하고 花謝(화사)하여 采擷(채힐)의 괴로움은 끝난다. 啓旦(계단)에서 申(신)으로 옮겨져서 淋漉劑(임녹제)를 窮(궁)하도다.> 라고 하고 또 蒼朮(창출)를 感謝(감사)하는 啓上(계상)에서 <맛은 金裝(금장)보다 무겁고 芳香(방향)은 玉液(옥액)을 능가하고, 앉아서 壽命(수명)을 누리게 되었도다. 엎드려 깊이 銘感(명감)하는 바이다.> 라고 되어 있다.
又葛洪《抱朴子‧內篇》云︰南陽文氏,漢末逃難壺山中,飢困欲死。有人教之食朮,遂不飢。數十年乃還鄉裡,顏色更少,氣力轉勝。故朮一名山精,《神農藥經》所謂必欲長生,常服山精,是也。
또 葛洪(갈홍) 抱樸子內篇(포박자내편)에는 <南陽(남양)의 文氏(문씨)는 漢代(한대) 末期(말기)에 壺山中(호산중)으로 難(난)을 피해서 逃亡(도망)쳤는데 飢皮(기피)하여 죽음 直前(직전)에 이르렀는데 어떤 사람에게 朮(출)을 먹도록 구너유받아 飢死(기사)를 면했다. 數十年(수십년)이 지난 후 鄕裏(향리)로 歸還(귀환)했는데 顔色(안색)은 더욱 젊었고 氣力(기력)도 오히려 더 좋았다. 따라서 朮(출)을 一名(일명)하여 山精(산정)이라 하는 것인데 神農(신농)의 藥經(약경)에서 所爲(소위) “長生(장생)하기를 원한다면 반드시 山精(산정)을 腹(복)하라”> 라고 쓰여 있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時珍曰︰按︰《吐納經》云︰紫微夫人朮序云︰吾察草木之勝速益於己者,並不及朮之多驗也。可以長生久視,遠而更靈。山林隱逸,得服朮者,五岳比肩。
李時珍(이시진)
살펴보면 吐納經(토납경)의 紫微夫人(자미부인)의 朮(출)의 序文(서문)에는 <<草木(초목)중에서 뛰어난 것을 考察(고찰)해보면 내 몸을 가장 빠르게 補益(보익)시켜준 것 중에서 朮(출)보다 效驗(효험)이 많은 것이 없었다. 이것은 壽命(수명)을 연장시켜서 오랫동안 現世(현세)에서 더 살게 해주며 해가 거듭될수록 더욱 靈妙(영묘)한 効果(효과)를 거두게 해준다. 山林(산림)에 隱遁(은둔)하여 自適(자적)의 生活(생활)중에서 朮(출)을 腹(복)하면 五嶽(오악)과 比肩(비견)되는 長壽(장수)를 누린다.>>라고 쓰여 있다.
又《神仙傳》云︰陳子皇得餌朮要方,其妻姜氏得疲病,服之自愈,顏色氣力如二十時也。
또 神仙傳(신선전)에는 <<陳子黃(진자황)은 朮(출)을 먹는 要方(요방)을 得(득)한 사람으로 그의 妻(처)인 薑氏(강씨)가 疲病(피병:노쇠병)에 걸렸을 때 이것을 마시게 하였더니 病(병)을 治癒(치유)하여 顔色(안색), 氣力(기력)이 二十(이십)세쯤으로 젊어졌다.>>라고 되어 있다.
時珍謹按︰以上諸說,皆似蒼朮,不獨白朮。今服食家亦呼蒼朮為仙朮,故皆列於蒼朮之後。又張仲景辟一切惡氣,用赤朮同豬蹄甲燒煙。陶隱居亦言朮能除惡氣,弭災 。故今病疫及歲旦,人家往往燒蒼朮以辟邪氣。
李時珍(이시진)은 以上(이상)의 諸說(제설)은 한결같이 蒼朮(창출)을 말한 것으로서 단지 白朮(백출)만을 말한 것이 아닌 것 같으며 요즘의 服食家(복식가)들도 역시 蒼朮(창출)을 仙朮(선출)이라 부르고 있다. 또 張仲景(장중경)은 一切(일체)의 惡氣(악기)를 물리치는데 赤朮(적출)과 豬蹄甲(저제갑)을 함께 태워 煙氣(연기)를 사용했는데, 陶隱居(도은거)도 <蒼朮(창출)은 능히 惡氣(악기)를 除(제)하고 災難(재난)을 쫓는다.> 라고 하였다. 實際(실제)로 惡疫(악역)에 걸렸을 때와 正月(정월)에 民家(민가)에서 자주 蒼朮(창출)을 태워서 邪氣(사기)를 물리치는 것은 이러한 設(설)에 根據(근거)한다.
《類編》載越民高氏妻,病恍惚譫語,亡夫之鬼憑之。其家燒蒼朮煙,鬼遽求去。
類編(유편)에는 <越(월)의 地方民(지방민)에 高氏(고씨)라는 사람의 妻(처)가 病(병)으로 恍惚(황홀)한 상태에서 헛소리를 했는데 亡夫(망부)의 幽鬼(유귀)가 붙어 있었다. 그래서 家人(가인)이 蒼朮(창출)을 태워 연기를 뿜으니 幽鬼(유귀)는 금방 돌아가게 해달라고 애원했다.> 라고 되어 있고,
《夷堅志》載江西一士人,為女妖所染。其鬼將別曰︰君為陰氣所浸,必當暴泄,但多服平胃散為良。中有蒼朮能去邪也。
夷堅志(이견지)에는 < 江西(강서)의 어느 사대부는 女妖(여요)와 同棲(동서)하고 있었는데 그 妖鬼(요귀)가 헤어질 때 “당신에게 陰記(음기)가 스며있으니 내가 간 후에 꼭 심한 설사를 할 것인즉 平胃散(평위산)을 많이 服用(복용)하면 위험할 것이 없다.”라고 하였다. 그 藥(약)에는 蒼朮(창출)이 있으니 능히 邪氣(사기)를 除去(제거)한다. 라고 되어 있다.
許叔微《本事方》云︰微患飲癖三十年。始因少年夜坐寫文,左向伏幾,是以飲食多墜左邊。中夜必飲酒數杯,又向左臥。壯時不覺,三、五年後,覺酒止從左下有聲,脅痛食減嘈雜,飲酒半杯即止。十數日,必嘔酸水數升。暑月止右邊有汗,左邊絕無。
許叔微(허숙미)의 本事方(본사방)에는 "나는 三十(삼십)년에 걸쳐서 陰癖(음벽)에 걸려 앓았는데 처음에는 年少(연소)한 時節(시절), 夜間(야간)에 書籍(서적)을 筆寫(필사)할 때 꼭 책상 왼쪽에 몸을 눕히고 비스듬히 기대는 習慣(습관)이 있어 이 때문에 飮食物(음식물)의 大部分(대부분)이 배 왼쪽에 쏠렸다. 또한 밤중에는 꼭 몇 잔의 술을 마시고 就寢(취침)했는데 역시 왼쪽으로 누웠었다. 強壯(강장)했던 때는 별로 모르고 지냈는데 3~5년이 지난 후에 느낀 바 있어서 술을 끊었다. 그랬더니 이번에는 배 왼편에서 소리가 나고, 脇痛(협통)이 시작되고 먹지를 못하고 가슴이 타듯 답답했다. 그런데 半盃(반배)정도의 술을 마시면 그치고는 했는데 十數日(십수일)이 지나니 꼭 酸水(산수)를 數升(수승)씩이나 嘔吐(구토)하는 것이 例事(예사)가 되었다. 暑季(서계)에 접어드니 땀도 右側(우측)에서만 나고 左側(좌측)에서는 전혀 나질 않았다.
遍訪名醫及海上方,間或中病,止得月餘複作。其補,如天雄、附子、礬石輩;利,如牽牛、甘遂、大戟,備嘗之矣。自揣必有癖囊,如潦水之有科臼,不盈科不行。但清者可行,而濁者停滯,無路以決之,故積至五、七日必嘔而去。脾土惡濕,而水則流濕,莫若燥脾以去濕,崇土以填科臼。
이런 상황에서 各地(각지)의 名醫(명의)에게 치료를 받고, 海外(해외)의 處方(처방)까지 用(용)해 보았으나 病(병)에 效驗(효험)이 있는 듯 一旦(일단) 그칠 때도 때로는 있었으나 一個月(일개월)쯤 지나면 다시 再發(재발)하였다. 그간 補藥(보약)으로 天雄(천웅), 附子(부자), 礜石(여석)등과 下劑(하제)로는 牽牛(견우), 甘遂(감수), 大戟(대극) 같은 것은 대개 다 써보았다. 그동안 생각해보니 이것은 반드시 癖囊(벽낭)이 생긴 것이 틀림없다. 그것도 더욱이 물을 功給(공급)하는 곳에 있었다. 이것은 遼水(요수)에 科臼(과구)가 있어서 물을 그 科(과)지 넘기지 않으면 앞으로 더 못가는 이치와 같은 것이었다. 맑은 물은 금방 體內(체내)로 順行(순행)하는데 濁(탁)한 물은 停滯(정체)되어 마침내 나갈 길이 없게 된다. 이런 關係(관계)로 五(오)~칠일 쌓이면 반드시 嘔出(구출)하고 마는 것이다. 그렇다면 脾土(비토)는 濕(습)을 싫어하고 물은 濕(습)을 향하여 흐르는 것이니 脾(비)를 말려 土(토)를 增高(증고)하면 지금의 所謂(소위) 科臼(과구)의 바닥이 메워지는 理致(이치)라 여겼다.
乃悉屏諸藥,只以蒼朮一斤(去皮,切片,為末),生油麻(半兩)(水二盞,研,濾汁),大棗(五十枚)(煮,去皮核)。搗和丸梧子大。每日空腹溫服五十丸,增至一、二百丸。忌桃、李、雀肉。服三月而疾除。自此常服,不嘔不痛,胸膈寬利,飲啖如故,暑月汗亦周身,燈下能書細字,皆朮之力也。初服時必覺微燥,以山梔子末,沸湯點服解之,久服亦自不燥矣。
그래서 諸藥(제약)을 제쳐놓고 오직 蒼朮(창출)一斤(일근)을, 껍질을 없애고 切片(절편)하여 末(말)로 만들어 有麻(유마) 半兩(반량), 물 二錢(이전)으로 갈아서 汁(즙)을 내어 大棗(대조) 五十(오십)개를 삶아서 껍질과 씨를 去(거)한 것과 함께 찧어서 梧子(오자)크기의 丸(환)으로써 每日(매일) 空腹(공복)에 五十丸(오십환)씩을 溫服(온복)하고 일백~二百丸(이백환)까지 점차 增加(증가)시켜 桃(도), 李(이), 雀肉(작육)을 멀리하고, 三個月(삼개월) 동안을 續服(속복)했더니 病(병)은 감쪽같이 그것으로 고쳐졌다. 邇來(이래) 그것을 常服(상복)하고 있는데 嘔(구)하지 않고 痛(통)하지 않으며 胸膈(흉격)은 편안하고 飮食(음식)도 煎(전)과 같이 잘 먹고, 暑季(서계)에는 땀이 全身(전신)에서 골고루 發出(발출)하여 燈下(등하)에서 細字(세자)를 쓰는데 아무런 支障(지장)이 없다. 이것은 모두 朮(출)의 힘이다. 처음에 服用(복용)할 當時(당시)는 반드시 微燥(미조)를 느끼게 되나 山梔子末(산치자말)을 沸湯(비탕)으로 하여 服用(복용)하면 즉시 解(해)하며 그 以後(이후)로는 오랫동안 服用(복용)해도 燥(조)하지 않게 된다.“라고 되어 있다.
【附方】舊二,新三十二。
服朮法︰烏髭發,駐顏色,壯筋骨,明耳目,除風氣,潤肌膚,久服令人輕健。蒼朮不計多少,米泔水浸三日,逐日換水,取出刮去黑皮,切片曝乾,慢火炒黃,細搗為末。每一斤,用蒸過白茯苓末半斤,煉蜜和丸梧子大,空心臥時熱水下十五丸。別用朮末六兩,甘草末一兩,拌和作湯點之,吞丸尤妙。忌桃、李、雀、蛤,及三白、諸血。(《經驗方》)
朮(출)을 服用(복용)하는 方法(방법)
髭髮(자발)을 검게하고, 顔色(안색)의 老衰(노쇠)를 防止(방지)하고 筋骨(근골)을 壯健(장건)하게 하며, 耳目(이목)이 밝게 되고 , 風氣(풍기)를 除(제)하고 肌膚(기부)가 潤澤(윤택)해지며 久服(구복)하면 身體(신체)를 經建(경건)하게 해준다.
蒼朮(창출)의 量(양)의 多少(다소)를 불문하고 米泔水(미감수)에 三日間(삼일간) 재웠다가 날마다 물을 갈고 꺼내어 黑皮(흑피)를 깎아내고, 切片(절편)하여 暴乾(폭건)하고 慢火(만화)호 누르게 볶아서 잘게 찧고 作末(작말)하여 每(매) 一斤(일근)에 대하여 蒸(증)한 白茯苓(백복령)末(말)을 半斤(반근) 넣고 煉蜜(연밀)로 和(화)하여 梧子(오자)크기의 환으로 만들어 空心(공심)으로 就寢時(취침시) 十五丸(십오환)을 熱水(열수)로 복용한다. 별도로 朮末(출말) 六兩(육량), 甘草(감초)末(말) 一兩(일량)을 混合(혼합)하고 湯(탕)으로 만들어 앞의 환을 넘기는 것이 가장 妙效(묘효)를 보게 된다.
桃(도), 李(이), 雀(작), 蛤(합) 및 三白(삼백: 蔥(총),蒜(산), 蘿葍(蘿蔔(나복)), 諸血(제혈)을 今期(금기)한다.
蒼朮膏︰鄧才筆峰《雜興方》︰除風濕,健脾胃,變白駐顏,補虛損,大有功效。蒼朮新者,刮去皮,薄切,米泔水浸二日,一日一換,取出,以井華水浸過二寸,春、秋五日,夏三日,冬七日,漉出,以生絹袋盛之,放在一半原水中,揉洗津液出,紐乾。將渣又搗爛,袋盛於一半原水中,揉至汁盡為度。將汁入大砂鍋中,慢火熬成膏。每一斤,入白蜜四兩,熬二炷香。每膏一斤,入水澄白茯苓末半斤,攪勻瓶收。每服三匙,清早、臨臥各一服,以溫酒送下。忌醋及酸物、桃、李、雀、蛤、菘菜、首魚等物。
鄧才筆峰雜興方(등재필봉잡흥방)에는 風濕(풍습)을 除(제)하고 脾胃(비위)를 建(건)하게 하며, 白髮(백발)을 검게 變色(변색)시키고, 顔色(안색)의 老化(노화)를 防止(방지)하고, 虛損(허손)을 補(보)함에 大效(대효)가 있다. 새로 나온 蒼朮(창출)의 껍질을 벗겨 薄切(박절)하여 米泔水(미감수)에 二日(이일)간 재웠다가 하루 한번 물을 갈아주고 井華水(정화수)로 봄과 가을에는 五日(오일)간, 여름에는 三日間(삼일간), 겨울에는 七日(칠일)간을 藥(약)의 二寸(이촌)깊이로 가라 앉히고 漉出(녹출)하여 生絹(생견)포대에 가득 담아 原來(원래)의 물 半分(반분)을 나누어서 그 안에 넣고 주물러 씻고 津液(진액)을 짜내어서 紐乾(유건)하고, 찌꺼기를 다시 搗爛(도란)하여서 포대에 넣어 나머지 半分(반분)을 原來(원래)의 물속에 注入(주입)시켜 汁盡(즙진)할 때까지 주무른다. 前後(전후)의 汁(즙)을 大砂鍋(대사과)에 옮겨 慢火(만화)로 熬膏(오고)하여 그 一斤(일근)에 對(대)해서 百蜜(백밀)四兩(사량)을 넣어 二炷香(이주향) 속에서 볶고, 그 膏(고) 한근에 대해서 수징백복령말(水澄白茯苓末)을 半斤(반근) 넣어서 고르게 휘저어 섞어서 甁(병)에 넣어 三匙(삼시)씩을 早朝(조조)와 就寢時(취침시)에 각 한번씩 溫水(온수)로 服(복)한다.
醋(초), 酸(산), 桃(도), 李(이), 雀(작), 蛤(합), 菘菜(숭채), 雞(계), 魚(어)등을 멀리해야 한다.
吳球《活人心統》蒼朮膏︰治脾經濕氣,少食,足腫無力,傷食,酒色過度,勞逸有傷,骨熱。用鮮白蒼朮二十斤,浸,刮去粗皮,晒切,以米泔浸一宿,取出,同溪水一石,大砂鍋慢火煎半乾,去渣。再入石楠葉三斤(刷去紅衣),楮實子一斤,川當歸半斤,甘草四兩,切,同煎黃色,濾去滓,再煎
蒼朮丸︰薩謙齋《瑞竹堂方》云︰清上實下,兼治內外障,服。茅山蒼朮(洗刮淨)一斤,分作四分,用酒、醋、糯泔、童尿各浸三日,一日一換;取出,洗搗晒焙,以黑脂麻同炒香,共為末,酒煮面糊丸梧子大。每空心白湯下五十丸。李仲南《永類方》八製蒼朮丸︰疏風順氣養腎,治腰腳濕氣痺痛。蒼朮一斤(洗刮淨),分作四分,用酒、醋、米泔、鹽水各浸三日,晒乾。又分作四分,用川椒紅、茴香、補骨脂、黑牽牛各一兩,同炒香,揀去不用,只取朮研末,醋糊丸梧子大。每服五十丸,空心鹽酒送下。五十歲後,加沉香末一兩。
蒼朮丸(창출환): 薩謙齋(살겸재)의 瑞竹堂方(서죽당방)에는 上(상)을 맑게 하고, 下(하)를 實(실)하게 하며, 兼(겸)하여 눈의 內外障(내외장)을 治療(치료)한다......생략..
蒼朮散︰治風濕,常服壯筋骨,明目。蒼朮一斤,粟米泔浸過,竹刀刮去皮。半斤以無灰酒浸,半斤以童子小便浸,春五、夏三、秋七、冬十日,取出。淨地上掘一坑,炭火 赤,去炭,將浸藥酒,小便傾入坑內,卻放朮在中,以瓦器蓋定,泥封一宿,取出為末。每服一錢,空心溫酒或鹽湯下。萬表《積善堂方》︰六製蒼朮散︰治下元虛損,偏墜莖痛。茅山蒼朮(淨刮)六斤,分作六分︰一斤,倉米泔浸二日,炒;一斤,酒浸二日,炒;一斤,青鹽半斤炒黃,去鹽;一斤,小茴香四兩炒黃,去茴;一斤,大茴香四兩炒黃,去茴;一斤,用桑椹子汁浸二日,炒。取朮為末。每服三錢,空心溫酒下。
蒼朮散(창출산): 風濕(풍습)을 治癒(치유)하며 常服(상복)하면 筋骨(근골)을 壯健(장건)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해준다. .........................생략...
固真丹︰《瑞竹堂方》固真丹︰燥濕養脾,助胃固真。茅山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一兩炒。並揀朮研末,酒煮面,糊丸梧子大。每空心米飲下五十丸。
《乾坤生意》平補固真丹︰治元臟久虛,遺精白濁,婦人赤白帶下崩漏。金州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一分,川椒一兩炒;一分,破故紙一兩炒;一分,茴香、食鹽各一兩炒;一分,川楝肉一兩炒。取淨朮為末,入白茯苓末二兩,酒洗當歸末二兩,酒煮,面糊丸梧子大。每空心鹽酒下五十丸。
固元丹︰治元臟久虛,遺精白濁五淋,及小腸膀胱疝氣,婦人赤白帶下,血崩便血等疾,以小便頻數為效。好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一分,小茴香、食鹽各一兩,同炒;一分,川椒、補骨脂各一兩,同炒;一分,川烏頭、川楝子肉各一兩,同炒;一分,用醇醋、老酒各半斤,同煮乾焙,連同炒藥通為末,用酒煮糊丸梧子大。每服五十丸,男以溫酒,女以醋湯,空心下。此高司法方也。(王 《百一選方》)
少陽丹︰蒼朮(米泔浸半日,刮皮,晒乾為末)一斤,地骨皮(溫水洗淨,去心晒研)一斤,熟桑椹二十斤(入瓷盆揉爛,絹袋壓汁)。和末如糊,傾入盤內,日晒夜露,採日精月華,待乾,研末,煉蜜和丸赤小豆大。每服二十丸,無灰酒下,日三服。一年辮發返黑,三年面如童子。(劉松石《保壽堂方》)
交感丹︰補虛損,固精氣,烏髭發。此鐵瓮城申先生方也,久服令人有子。茅山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用酒、醋、米泔、鹽湯各浸七日,晒研),川椒紅、小茴香各四兩(炒研 交加丸︰升水降火,除百病。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一分,米泔浸炒;一分,鹽水浸炒;一分,川椒炒;一分,破故紙炒),黃柏皮(刮淨)一斤(分作四分︰一分,酒炒;一分,童尿浸炒;一分,小茴香炒;一分,生用)。揀去各藥,只取朮、柏為末,煉蜜丸梧子大。每服六十丸,空心鹽湯下。(鄧才筆峰《雜興方》)
坎離丸︰滋陰降火,開胃進食,強筋骨,去濕熱。白蒼朮(刮淨)一斤(分作四分︰一分,川椒一兩炒;一分,破故紙一兩炒;一分,五味子一兩炒;一分,川芎 一兩炒,只取朮研末),川柏皮四斤(分作四分︰一斤,酥炙;一斤,人乳汁炙;一斤,童尿炙;一斤,米泔炙,各十二次,研末)。和勻,煉蜜丸梧子大。每服三十丸,早用酒,午用茶,晚用白湯下。(《積善堂方》)
不老丹︰補脾益腎,服之,七十亦無白髮。茅山蒼朮(刮淨,米泔浸軟,切片)四斤(一斤,酒浸焙;一斤,醋浸焙;一斤,鹽四兩炒;一斤,椒四兩炒),赤、白何首烏各二斤(泔浸,竹刀刮切,以黑豆、紅棗各五升,同蒸至豆爛,曝乾),地骨皮(去骨)一斤。各取淨末,以桑椹汁和成劑,鋪盆內,汁高三指,日晒夜露,取日月精華,待乾,以石臼搗末,煉蜜和丸梧子大。每空心酒服一百丸。此皇甫敬之方也。(王海藏《醫壘元戎》)
不老丹(불노단): 脾(비)를 補(보)하고 腎(신)을 補益(보익)한다. 이것을 常服(상복)하면 70歲(세)에 이르러도 白髮(백발)이 나지 않는다. .........생략.....
靈芝丸︰治脾腎氣虛,添補精髓,通利耳目。蒼朮一斤。米泔水浸,春、夏五日,秋、冬七日,逐日換水,竹刀刮皮切晒,石臼為末,棗肉蒸,和丸梧子大。每服三、五十丸,棗湯空心服。(《奇效良方》)
補脾滋腎、生精強骨,真仙方也。蒼朮(去皮)五斤(為末,米泔水漂,澄取底用),脂麻二升半(去殼研爛,絹袋濾去渣)。澄漿拌朮,曝乾。每服三錢,米湯或酒空心調服。(《孫氏集效方》)
面黃食少︰男婦面無血色,食少嗜臥。蒼朮一斤,熟地黃半斤,乾薑(炮)冬一兩(春、秋小兒癖疾︰蒼朮四兩,為末。羊肝一具,竹刀批開,撒朮末,線縛,入砂鍋煮熟,搗作丸服。(《生生編》)
好食生米︰男子、婦人因食生熟物留滯腸胃,遂至生蟲,久則好食生米,否則終日不樂,至憔悴萎黃,不思飲食,以害其生。用蒼朮米泔水浸一夜,銼焙為末,蒸餅丸梧子大。每服五十丸,食前米飲下,日三服。益昌伶人劉清嘯,一娼名曰花翠,年逾笄病此。惠民局監趙尹,以此治之,兩旬而愈。蓋生米留滯,腸胃受濕,則穀不磨而成此疾,蒼朮能去濕暖胃消穀也。(楊氏《家藏經驗方》)
腹中虛冷,不能飲食,食輒不消,羸弱生病。朮二斤,曲一斤。炒為末,蜜丸梧子大。每服三十丸,米湯下,日三服。大冷,加乾薑三兩;腹痛,加當歸三兩;羸弱,加甘草二兩。(《肘後方》)
脾濕水瀉注下,困弱無力,水穀不化,腹痛甚者。蒼朮二兩,白芍藥一兩,黃芩半兩,淡桂二錢。每服一兩,水一盞半,煎一盞,溫服。脈弦頭微痛,去芍藥,加防風二兩。(《保命集》)
暑月暴瀉︰壯脾溫胃,及療飲食所傷。
曲朮丸︰用神曲(炒)、蒼朮(米泔浸一夜,焙)等分為末,糊丸梧子大。每服三、五十丸,米飲下。(《和劑局方》)
飧瀉久痢︰椒朮丸︰用蒼朮二兩,川椒一兩。為末,醋糊丸梧子大。每服二十丸,食前溫水下。惡痢久者,加桂。(《保命集》)
脾濕下血︰蒼朮二兩,地榆一兩。分作二服,水二盞,煎一盞,食前溫服。久痢虛滑,以此下桃花丸。(《保命集》)。
腸風下血︰蒼朮不拘多少,以皂角 濃汁浸一宿,煮乾,焙研為末,面糊丸如梧子大。每服五十丸,空心米飲下,日三服。(《婦人良方》)
濕氣身痛︰蒼朮泔浸切,水煎,取濃汁熬膏,白湯點服。(《簡便方》)
補虛明目、健骨和血。蒼朮(泔浸)四兩,熟地黃(焙)二兩。為末,酒糊丸梧子大。每溫酒下三、五十丸,日三服。(《普濟方》)
青盲雀目︰《聖惠方》︰用蒼朮四兩,泔浸一夜,切焙研末。每服三錢,豬肝三兩,劈開摻藥在內,扎定,入粟米一合,水一碗,砂鍋煮熟,熏眼,臨臥食肝飲汁,不拘大人、小兒皆治。又方︰不計時月久近。用蒼朮二兩,泔浸,焙搗為末。每服一錢,以好羊子肝一斤,竹刀切破,摻藥在內,麻扎,以粟米泔煮熟,待冷食之,以愈為度。
眼目昏澀︰蒼朮半斤(泔浸七日,去皮切焙),木賊各二兩。為末。每服一錢,茶、酒任下。(《聖惠方》)
嬰兒目澀不開,或出血。蒼朮二錢,入豬膽中扎煮。將藥氣熏眼後,更嚼取汁與服。妙。(《幼幼新書》)
風牙腫痛︰蒼朮鹽水浸過,燒存性,研末揩牙。去風熱。(《普濟方》)
臍蟲怪病︰腹中如鐵石,臍中水出,旋變作蟲行,繞身匝癢難忍,撥掃不盡。用蒼朮濃煎湯浴之。仍以蒼朮末
苗
【主治】
作飲甚香,去水(弘景)。亦止自汗。
飮用(음용)하면 심히 香氣(향기)롭고 水(수)를 去(거)한다. [陶弘景(도홍경)]
또한 自汗(자한)이 멈춘다.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거(苦苣)[본초강목] (0) | 2021.02.11 |
---|---|
묵한련(墨旱蓮)[본초강목] (0) | 2021.02.02 |
관동화(款冬花)[본초강목] (0) | 2021.02.02 |
자완(紫菀)[본초강목] (0) | 2021.02.02 |
선복화(旋覆花)[본초강목] (0) | 2021.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