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 19. 23:46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북오미자(北五味子)[본초강목]
^^^^^^^^^^^^^^^^^^^^^^^^^^^^^^^^^^^^^^^^^^^^^^^^^^^^^^^^^^^^^^^^^^^
五味子
(《本經》上品)
【釋名】
荎藸 (《爾雅》),玄及(《別錄》),會及。
恭曰︰五味,皮、肉甘、酸,核中辛、苦,都有咸味,此則五味具也。《本經》但云味酸,當以木為五行之先也。
五味(오미)는 皮肉(피육)은 甘酸(감산)하고, 核中(핵중)은 辛苦(신고)하며, 全體的(전체적)으로 鹹味(함미)가 있다. 그래서 五味(오미)가 具備(구비)된 것이다. 本經(본경)에는 단지 味酸(미산)하다고 되어 있지만 味(미)의 木(목)에 屬(속)하는 것으로 五行(오행)의 首(수)라한 것인 듯하다.
【集解】
《別錄》曰︰五味子,生齊山山谷及代郡。八月採實,陰乾
弘景曰︰今第一出高麗,多肉而酸甜;次出青州、冀州,味過酸,其核並似豬腎。又有建平者,少肉,核形不相似,味苦,亦良。此藥多膏潤,烈日曝之,乃可搗篩。
恭曰︰蔓生木上。其葉似杏而大。子作房如落葵,大如 子。出蒲州及藍田山中,今河 中府歲貢之。
保升曰︰蔓生。莖赤色,花黃、白,子生青熟紫,亦具五色。味甘者佳。
頌曰︰今河東、陝西州郡尤多,杭越間亦有之。春初生苗,引赤蔓於高木,其長六、七尺。葉尖圓似杏葉。三、四月開黃白花,類蓮花狀。七月成實,叢生莖端,如豌豆許大,生青熟紅紫,入藥生曝不去子。今有數種,大抵相近。雷 言︰小顆皮皺泡者,有白撲鹽霜一重,其味酸鹹苦辛甘皆全者,為真也。
時珍曰︰五味,今有南北之分,南產者,色紅;北產者,色黑,入滋補藥必用北產者乃良。亦可取根種之,當年就旺;若二月種子,次年乃旺,須以架引之。
五味子(오미자)는 現在(현재)의 것에는 南北(남북)의 區別(구별)이 있다. 南方産(남방산)은 紅色(홍색)이고, 北方産(북방산)은 黑色(흑색)이다. 滋補藥(자보약)에 넣으려면 반드시 北方産(북방산)을 使用(사용)하는 것이 좋다. 採根(채근)하여 심는 것도 可能(가능)한데 그 해에 旺盛(왕성)해 진다. 또한 二月(이월)에 子(자)를 심으면 翌年(익년)에 旺盛(왕성)해진다. 또한 棚(붕)을 만들어 뻗게 하는 것이 좋다.
【修治】
雷斅曰︰凡用以銅刀劈作兩片,用蜜浸蒸,從巳至申,卻以漿浸一宿,焙乾用。
무릇 이것을 使用(사용)하려면 銅刀(동도)로 兩片(양편)으로 劈(벽)하고 蜜(밀)에 浸(침)하여 午前(오전) 十時(십시)부터 午後(오후) 四時(사시)까지 蒸(증)한 다음 다시 獎(장)에 一夜(일야) 浸(침)하고 焙乾(배건)하여 使用(사용)한다.
時珍曰︰入補藥熟用,入嗽藥生用。
補藥(보약)에 넣는 경우에는 熟用(숙용)하고, 嗽藥(수약)에 넣을 때는 生用(생용)한다.
【氣味】
酸,溫,無毒。
好古曰︰味酸、微苦、咸。味厚氣輕,陰中微陽,入手太陰血分、足少陰氣分。
味(미)는 酸(산)하고 약간 苦(고), 鹹(함), 味(미)가 厚(후)하고 氣(기)가 輕(경)하며, 陰中(음중)의 微陽(미양)으로 手太陰(수태음)의 血分(혈분), 足少陰(족소음)의 氣分(기분)에 들어가는 것이다.
時珍曰︰酸咸入肝而補腎,辛苦入心而補肺,甘入中宮而益脾胃也。
酸(산), 鹹(함)은 肝(간)에 들어가 腎(신)을 補(보)하고, 辛(신), 苦(고)는 心(심)에 들어가 肺(폐)를 補(보)하며, 甘(감)은 中宮(중궁)에 들어가 脾胃(비위)를 益(익)하는 것이다.
之才曰︰蓯蓉為之使。惡葳蕤,勝烏頭。
蓯蓉(종용)이 使(사)가 된다. 萎蕤(위유)를 惡(오)하고, 烏頭(오두)에 勝(승)하는 것이다.
【主治】
益氣,咳逆上氣,勞傷羸瘦,補不足,強陰,益男子精(《本經》)。
益氣(익기)하고 咳逆上氣(해역상기), 勞傷羸瘦(노상이수)의 不足(부족)을 補(보)하고 强陰(강음)하며, 男子(남자)의 精(정)을 益(익)한다.
養五臟,除熱,生陰中肌(《別錄》)。
五臟(오장)을 養(양)하고, 除熱(제열)하며, 陰中(음중)의 肌(기)를 發生(발생)하게 한다.
治中下氣,止嘔逆,補虛勞,令人體悅澤(甄權)。
治中下氣(치중하기)하며 呕逆(구역)을 멎게 하고, 虛勞(허로)를 補(보)하면 人體(인체)를 悦泽(열택)하게 한다.
明目,暖水臟,壯筋骨,治風消食,反胃霍亂轉筋痃 癖奔豚冷氣,消水腫心腹氣脹,止渴,除煩熱,解酒毒(大明)。
明目(명목)하고, 水臟(수장)을 暖(난)하게 하며, 筋骨(근골)을 壯(장)하게 하고, 治風(치풍)하며, 消食(소식)한다. 反胃(반위), 霍亂轉筋(곽란전근), 痃癖(현벽), 奔豚(분돈), 冷氣(냉기), 水腫(수종), 心腹(심복)의 氣脹(기창)을 消(소)하고, 止渴(지갈)하며, 煩熱(번열)을 除(제)하고, 酒毒(주독)을 解(해)한다.
生津止渴, 治瀉痢 補元氣不足, 收耗散之氣, 瞳子散大,(大明)。
生津止渴(생진지갈)하고, 瀉痢(사리)를 治(치)하며, 元氣不足(원기부족)을 補(보)하고, 耗散(모산)의 氣(기), 瞳子(동자)의 散大(산대)를 收(수)한다.
治喘咳燥嗽,壯水鎮陽(好古)。
喘咳(천해), 燥嗽(조수)를 治(치)하고 壯水鎮陽(장수진양)한다.
【發明】
成無己曰︰肺欲收,急食酸以收之,以酸補之。芍藥、五味之酸,以收逆氣而安肺。
폐(肺)는 수렴(收斂)을 욕(欲)한다. 급(急)히 산(酸)을 먹음으로 이것을 수(收)하고 산(酸)으로 보(補)한다. 작약(芍藥), 오미(五味)의 산(酸)은 역기(逆氣)를 수(收)하고 폐(肺)를 평안(平安)하게 한다.
杲曰︰收肺氣,補氣不足,升也。酸以收逆氣,肺寒氣逆,則宜此與乾薑同治之。
폐기(肺氣)를 수(收)하고 기부족(氣不足)을 보(補)하는 것은 승(升)의 작용(作用)인 것이며, 산(酸)은 역기(逆氣)를 수(收)한다. 폐한기역(肺寒气逆)인 경우에는 이것과 건강(乾薑)을 함께 사용하여 치효(治效)를 거두는 것이 좋다.
又五味子收肺氣,乃火熱必用之藥,故治嗽以之為君。但有外邪者不可驟用,恐閉其邪氣,必先 發散而後用之乃良。
또한 오미자(五味子)는 폐기(肺氣)를 수(收)하는 것으로 화열(火熱)에 대한 필용약(必用藥)이다. 따라서 치수(治嗽)할 경우에는 이것을 군(君)으로 한다. 다만 외사(外邪)가 있는 것에는 서둘러 사용해서는 안 된다. 그 사기(邪氣)를 색(塞)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반드시 먼저 발산(發散)시킨 다음 이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有痰者,以半夏為佐;喘者,阿膠為佐,但分兩少不同耳。
담(痰)이 있는 경우에는 반하(半夏)를 좌(左)로 하고 천(喘)하는 자(者)에게는 아교(阿膠)를 좌(左)로 한다. 다만 분량(分兩)에 약간의 부동(不同)이 있을 뿐이다.
宗奭曰︰今華州以西至秦州多產之。方紅熟時,彼人采得,蒸爛,研濾汁,熬成稀膏,量酸甘入蜜煉勻,待冷收器中。
요즘은 華州(화주), 以西(이서), 秦州(진주)에서 多産(다산)하고 있다. 紅色(홍색)으로 完熟(완숙)했을 때 地方人(지방인)이 採收(채수)하여 蒸爛(증란)하고, 硏(연)하여 汁(즙)을 濾(여)하고, 熬(오)한 후 稀膏(희고)로 만든다. 酸(산), 甘(감)의 程度(정도)에 따라 蜜(밀)을 넣고 煉(연)하여 식기를 기다려 器(기)에 取收(취수)한다.
肺虛寒人,作湯時時飲之。作果可以寄遠。《本經》言其性溫,今食之多致虛熱,小兒益甚。《藥性論》謂其除熱氣,《日華子》謂其暖水臟、除煩熱,後學至此多惑。今既用治肺虛寒,則更不取其除熱之說。
肺(폐)가 虛寒(허한)한 患者(환자)는 湯(탕)으로 하여 隋時(수시)로 마신다. 菓子(과자)로 만들어 遠方(원방)으로도 贈呈(증정)한다. 本經(본경)에는 그 性(성)이 溫(온)하다 하였으나 오늘날 이것을 먹으면 虛熱(허열)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고, 小兒(소아)의 경우에는 더욱 甚(심)하다. 药性论(약성론)에는 熱氣(열기)를 除去(제거)하는 것이라 하였고, 日华子(일화자)는 水臟(수장)을 暖(난)하게 하며, 煩熱(번열)을 除去(제거)한다고 하였다. 이런 관계로 後世(후세) 學者(학자)의 疑惑(의혹)을 사고 있지만 현재 實驗上(실험상) 肺(폐)의 虛汗(허한)을 治(치)하는 것이 된 以上(이상) 除熱(제열)한다는 說(설)에는 전혀 同意(동의)할 수 없다.
震亨曰︰五味大能收肺氣,宜其有補腎之功。收肺氣,非除熱乎?補腎,非暖水臟乎? 乃火熱嗽必用之藥。
오미(五味)는 폐기(肺氣)를 수렴(收斂)하는데 크게 효능(效能)이 있기 때문에 당연히 보신(補腎)의 공과(功果)가 있는 것이다. 또한 폐기(肺氣)를 수렴(收斂)하는 것은 제열(除熱)한다는 사실(事實)을 말하는 것이다. 신(腎)을 보(補)하는 것은 수장(水臟)을 난(暖)하게 한다는 사실(事實)이 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러한 이유(理由)에 의해 화열(火熱)의 수(嗽)에는 필용(必用)한 약(藥)인 것이다.
寇氏所謂食之多致虛熱者,蓋收補之驟也,何惑之有?又黃昏嗽乃火氣浮 入肺中,不宜用涼藥,宜五味子、五倍子斂而降之。
구씨(寇氏)가 소위 이것을 먹으면 대부분 허열(虛熱)을 일으킨다고 한 것은 수(收), 보(補)하는 작용(作用)이 급격(急激)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現象)인 것이다. 의혹(疑惑)을 불러일으킬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석각(夕刻)에 수(嗽)하는 것은 화기(火氣)가 폐중(肺中)으로 부입(浮入)하는 것으로 양약(凉藥)을 제용(劑用)해서는 안된다. 이것은 오미자(五味子), 오배자(五倍子)를 사용하여 수렴(收斂)하고 강하(降下)시켜야 하는 것이다.
思邈曰︰五、六月宜常服五味子湯,以益肺金之氣,在上則滋源,在下則補腎。
五(오)~六月(육월)에는 五味子湯(오미자탕)을 常服(상복)하여 肺金(폐금)의 氣(기)를 補益(보익)하는 것이 좋다. 上部(상부)에 있어서는 源滋(원자)하고 下部(하부)에 있어서는 補腎(보신)하는 것이다.
其法︰以五味子一大合,木臼搗細,瓷瓶中,以百沸湯投之,入少蜜,封置火邊良久,湯成任飲。
그 服湯法(복탕법)은 五味子(오미자) 一大合(일대합)을 木臼(목구)에서 細搗(세도)하여 瓷瓶中(자병중)에서 白沸湯(백비탕)을 끓여 그 속에 그것을 投入(투입), 少量(소량)의 蜜(밀)을 넣고 封(봉)하여 火邊(화변)에 두면 얼마 후에 湯(탕)이 된다. 그것을 任意(임의)로 마시는 것이다.
元素曰︰孫真人《千金月令》言︰五月常服五味,以補五臟之氣。遇夏月季夏之間,困乏無力,無氣以動。與黃芪、人參、麥門冬,少加黃柏,煎湯服之。
손진인(孙真人)의 천금월령(千金月令)에 “오월(五月)에는 오미(五味)을 상복(常服)하여 오장(五臟)의 기(氣)를 보(補)하고 성하(盛夏)와 하말(夏末)에 체력(體力)이 쇠(衰)하여 기력(氣力)이 발동(發動)하지 않는 경우에는 황기(黃芪), 人參(인삼), 麥門冬(맥문동)을 투여(投與)하고 소량(小量)의 황벽(黃蘗)을 가(加)하여 전탕(煎湯)하고 복용(服用)하게 한다.
使人精神頓加,兩足筋力涌出也。蓋五味子之酸,輔人參,能瀉丙火而補庚金,收斂耗散之氣。
그 환자(患者)는 정신(精神)이 즉시 가(加)해지고, 양족(兩足)의 근력(筋力)을 용출(湧出)하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생각하건대 오미자(五味子)의 산(酸)은 인삼(人參)의 힘을 도와 병화(丙火)를 사(瀉)하고 동시에 경금(庚金)을 보(補)하여 모산(耗散)의 기(氣)를 수렴(收斂)하는 것이다.
好古曰︰張仲景八味丸,用此補腎,亦兼述類象形也。
장중경(張仲景)의 팔미환(八味丸)은 이것을 사용하여 보신(補腎)하는 것인데 역시 종자(種字)의 형(形)과 기미(氣味)에 대해 그 효용(效用)을 논술(論述)하고 그것을 치병(治病)에 나타난 현상이라 하였다.
機曰︰五味治喘嗽,須分南北。生津止渴,潤肺補腎,勞嗽,宜用北者;風寒在肺,宜用南者。
오미(五味)를 천수(喘嗽)치료에 사용(使用)하려면 산지(産地)의 남북(南北)에 따라 구별(區別)할 필요(必要)가 있다. 생진지갈(生津止渴)하고 윤폐보신(潤肺補腎)한다. 즉 노수(勞嗽)인 경우에는 북방산(北方産)을 사용하는 것이 가(佳)하다. 풍한(風寒)이 폐(肺)에 있는 경우에는 남방산(南方産)을 사용하는 것이좋다.
慎微曰︰《抱朴子》云︰五味者,五行之精,其子有五味。淮南公羨門子服之十六年,面色如玉女,入水不沾,入火不灼。
抱朴子(포박자)에는 “五味(오미)는 五行(오행)의 精(정)으로 그 子(자)에는 五味(오미)가 있다. 淮南公羨門子(회남공선문자)는 十六年間(십육년간) 이것을 服用(복용)하여 顔色(안색)이 玉女(옥녀)와 같았고, 물에 들어가도 霑(점)하지 않았으며, 불에 들어가도 灼(작)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附方】
新一十一。 久咳肺脹︰五味二兩,粟殼(白餳炒過)半兩,為末,白餳丸彈子大。每服一丸,水煎服。(《衛生家寶方》)
久咳不止︰丹溪方︰用五味子五錢,甘草一錢半,五倍子、風化硝各二錢,為末,乾噙。
《攝生方》︰用五味子一兩,真茶四錢。晒研為末。以甘草五錢煎膏,丸綠豆大。每服三痰嗽並喘︰五味子、白礬等分,為末。每服三錢,以生豬肺炙熟,蘸末細嚼,白湯下。 漢陽庫兵黃六病此,百藥不效。於岳陽遇一道人傳此,兩服,病遂不發。(《普濟方》)
陽事不起︰新五味子一斤,為末。酒服方寸匕,日三服。忌豬、魚、蒜、醋。盡一劑,即得腎虛遺精︰北五味子一斤洗淨,水浸, 去核。再以水洗核,取盡余味。通置砂鍋中,布濾過,入好冬蜜二斤,炭火慢熬成膏,瓶收五日,出火性。每空心服一、二茶匙,百滾湯下。(劉松石《保壽堂方腎虛白濁,及兩脅並背脊穿痛︰五味子一兩,炒赤為末,醋糊丸梧子大。每醋湯下三十丸。(《經驗良方》)
五更腎泄︰凡人每至五更即溏泄一、二次,經年不止者,名曰腎泄,蓋陰盛而然。脾惡濕,濕則濡而困,困則不能治水。水性下流,則腎水不足。用五味子以強腎水,養五臟;吳茱萸 以除脾濕,則泄自止矣︰五味(去梗)二兩,茱萸(湯泡七次)五錢。同炒香,為末。每日陳米飲服二錢。(許叔微《本事方》)
女人陰冷︰五味子四兩為末,以口中玉泉和丸兔矢大。頻納陰中,取效。(《近效方》)
爛弦風眼︰五味子、蔓荊子煎湯,頻洗之。(《談野翁種子方》)
赤游風丹,漸漸腫大︰五味子焙研,熱酒頓服一錢,自消,神效。(《保幼大全》)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타승(密陀僧)[본초강목] (0) | 2020.08.31 |
---|---|
옥죽(玉竹)[본초강목] (0) | 2020.08.04 |
천마(天麻)[본초강목] (0) | 2020.07.19 |
악실(惡實)[본초강목] (0) | 2020.07.19 |
하고초(夏枯草)[본초강목] (0) | 2020.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