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1. 25. 07:57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빈랑(檳榔)[본초강목]
^^^^^^^^^^^^^^^^^^^^^^^^^^^^^^^^^^^^^^^^^^^^^^^^^^^^^^^^^^^^^^^^^^
檳榔
(《別錄》中品)
【校正】
自木部移入此。
【釋名】
賓門(李當之《藥對》)、仁頻 洗瘴丹。
時珍曰︰賓與郎皆貴客之稱。稽含《南方草木狀》言︰交廣人凡貴勝族客,必先呈此果。若邂逅不設,用相嫌恨。則檳榔名義,蓋取於此。
賓(빈)과 郎(낭)은 모두 貴客(귀객)의 稱呼(칭호)인데 嵇含(혜함)의 南方草木状(남방초목상)에 “交(교), 廣(광)에서는, 一般的(일반적)으로 尊貴(존귀)한 旅客(여객)에게는 반드시 먼저 이 果(과)를 대접하게 마련이고, 어떤 사정에 의해 이 果(과)를 대접하지 않으면 크게 無禮(무례)하다고 하여 感情(감정)을 損傷(손상)하게 한다.”라고 한 것을 보면 檳榔(빈랑)이라는 名稱(명칭)의 뜻은 이에서 取(취)한 것인지 모른다.
雷斅炮炙論》謂尖者為檳,圓者為榔,亦似強說。又顏師古注《上林賦》云︰仁頻即檳榔也。
雷斅(뇌효)의 炮炙论(포자론)에 “尖(첨)한 것을 檳(빈)이라 하고, 둥근 것을 榔(낭)이라고 한 한다.” 라고 하였는데 역시 억지로 붙인 말인 것 같다. 또한 顏師古(안사고)는 上林賦(상림부)에 註(주)하여 “仁頻(인빈) 즉 檳榔(빈랑)이다.”라고 하였다.
詵曰︰閩中呼為橄欖子。
閩中(민중)에서는 橄欖子(감람자)라고 부른다.
【集解】
《別錄》曰︰檳榔生南海。
弘景曰︰此有三、四種︰出交州者,形小味甘。廣州以南者,形大味澀;又有大者名豬檳榔。皆可作藥。小者名 子,俗呼為檳榔孫,亦可食。
恭曰︰生交州、愛州及昆侖。
頌曰︰今嶺外州郡皆有之。木大如桄榔,而高五、七丈,正直無枝,皮似青桐,節似桂枝。葉生木顛,大如盾頭,又似芭蕉葉。其實作房,從葉中出,旁有刺若棘針,重疊其下。
一房數百實,如雞子狀,皆有皮殼。其實春生,至夏乃熟,肉滿殼中,色正白。蘇恭言其肉極易爛,不經數日。今入北者,皆先以灰煮熟,焙熏令乾,始可留久也。小而味甘者,名山檳榔。大而味澀核亦大者,名豬檳榔;最小者名 子。雷氏言尖長而有紫紋者名檳,圓大而矮者名榔,榔力大而檳力小。今醫家亦不細分,但以作雞心狀、正穩心不虛、破之作錦紋者為佳爾。嶺南人啖之以當果食,言南方地濕,不食此無以祛瘴癘也。生食其味苦澀,得扶留藤與瓦屋子灰同咀嚼之,則柔滑甘美也。劉恂《嶺表錄異》云︰真檳榔來自舶上,今交廣生者皆大腹子也,彼中悉呼為檳榔。或云︰檳榔難得真者,今賈人所貨者,皆是大腹檳榔也,與檳榔相似,但莖、葉、幹小異爾,連皮收之。
時珍曰︰檳榔樹初生若筍竿積硬,引莖直上。莖幹頗似桄榔、椰子而有節,旁無枝柯,條從心生。端頂有葉如甘蕉,條派開破,風至則如羽扇掃天之狀。三月葉中腫起一房,因自拆裂,出穗凡數百顆,大如桃李。又生刺重累於下,以護衛其實。五月成熟,剝去其皮,煮其肉而乾之。皮皆筋絲,與大腹皮同也。按︰漢喻益期與韓康伯箋云︰檳榔,子既非常,木亦特異。大者三圍,高者九丈。葉聚樹端,房構葉下。華秀房中,子結房外。其擢穗似禾,其綴實似谷。其皮似桐而濃,其節似竹而概。其內空,其外勁。其屈如伏虹,其申如縋繩;本不大,末不小;上不傾,下不斜。調直亭亭,千百如一。步其林則寥朗,庇其陰則蕭條。
信可長吟遠想。但性不耐霜,不得北植。必當遐樹海南,遼然萬裡。弗遇長者之目,令人恨深也。又《竺法真羅山疏》云︰山檳榔一名蒳子,生日南,樹似 櫚而小,與檳榔同狀。一叢十餘幹,一幹十餘房,一房數百子。子長寸余,五月採之,味近苦甘。觀此,則山檳榔即子,豬檳榔即大腹子也。蘇頌以味甘者為山檳榔,澀者為豬檳榔,似欠分明。
檳榔子
【修治】
雷斅曰︰頭圓矮毗者為榔,形尖紫紋者為檳。檳力小,榔力大。凡使用白檳及存坐穩正、心堅有錦紋者為妙。半白半黑並心虛者,不入藥用。以刀刮去底,細切之。勿令經火,恐無力。若熟使,不如不用。
頭(두)가 둥글고 矮毗(왜비)한 것을 樃(랑)이라고 하며, 形(형)이 尖(첨)하면서 紫文(자문)이 있는 것을 檳(빈)이라고 한다. 檳(빈)은 力小(역소)하고, 樃(랑)은 力大(역대)한 것이다. 대개 이것을 使用(사용)하는 경우에는 白檳(백빈) 및 形(형)이 바르고 잘 앉는 것이 좋은 것인데 心(심)이 堅(견)하고 錦文(금문)이 있는 것을 使用(사용)하는 것이 좋다. 半白(반백), 半黑(반흑) 및 心(심)이 虛(허)한 것은 藥(약)에 넣지 않는다. 刀(도)로 底(저)를 刮去(괄거)하고 細切(세절)한다. 불에 대면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無力(무력)해지기 때문이다. 만일 익은 것을 사용한다면 차라리 쓰지 않는 편이 낫다.
時珍曰︰近時方藥亦有以火煨焙用者。然初生白檳榔,須本境可得。若他處者,必經煮熏,安得生者耶?又檳榔生食,必以扶留藤、古賁灰為使,相合嚼之,吐去紅水一口,乃滑美不澀,下氣消食。
近者(근자)에 方藥(방약)에 煨焙(외배)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初生(초생)인 白檳榔(백빈랑)은 반드시 그 産地(산지)에서 入手(입수)하는 것으로 産地(산지) 以外(이외)에서 入手(입수)한 것은 반드시 煮熏(자훈)을 거친 것이다. 어떻게 生(생)인 것을 入手(입수)할 수 있겠는가. 또한 檳榔(빈랑)은 生(생)으로 먹으려면 반드시 扶留藤(부류등), 古賁灰(고분회)를 使(사)로 하고, 相合(상합)하여 嚼(작)한 다음 紅水(홍수) 한입을 吐出(토출)하면 滑美(활미)하면서 澁(삽)하지 않고, 下氣(하기)하고 食物(식물)을 消化(소화)한다.
此三物相去甚遠,為物各異,而相成相合如此,亦為異矣。俗謂“檳榔為命賴扶留”以此。古賁灰即蠣蚌灰也。賁乃蚌字之訛。瓦屋子灰亦可用。
이 三物(삼물)은 相去(상거)하기가 매우 멀고, 物(물)로서 各各(각각) 다른 것인데도 相成相合(상성상합)하는 것이 이와 같은 것 또한 奇異(기이)한 現像(현상)인 것이다. 俗稱(속칭) 檳榔(빈랑)을 命賴扶留(명뢰부류)라고 하는 것은 이 때문인 것이다. 古賁灰(고분회)란 蠣蚌灰(여방회)를 말하는데 賁(분)이라고 쓴 것은 蚌字(방자)의 轉訛(전와)인 것이다. 瓦屋子灰(와옥자회)도 역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氣味】
苦、辛,溫,澀,無毒。
甄權曰︰味甘,大寒。
大明曰︰味澀。
弘景曰︰交州者味甘,廣州者味澀。
李珣曰︰白者味甘,赤者味苦。
元素曰︰味辛而苦,純陽也。無毒。
詵曰︰多食亦發熱。
【主治】
消穀逐水,除痰澼,殺三蟲,伏尸,寸白(《別錄》)。
消穀逐水(소곡축수)하고, 痰澼(담벽)을 除去(제거)하며 三蟲(삼충), 伏尸(복시), 寸白(촌백)을 殺(살)한다.
治腹脹,生搗末服,利水穀道;敷瘡,生肌肉止痛;燒灰,敷口吻白瘡(蘇恭)
腹脹(복창)을 治(치)하고, 生(생)으로 搗末(도말)하여 服用(복용)하면 水穀道(수곡도)를 通利(통리)한다. 瘡(창)에 傅(부)하면 肌肉(기육)을 낫게 하고, 止痛(지통)한다. 燒灰(소회)를 口吻白瘡(구문백창)에 傅(부)한다.
宣利五臟六腑壅滯,破胸中氣,下水腫,治心痛積聚(甄權)。
五臟六腑(오장육부)의 壅滯(옹체)를 宣利(선리)하고, 胸中(흉중)의 氣(기)를 破(파)하며, 水腫(수종)을 下(하)하고, 心痛(심통), 積聚(적취)를 治(치)한다.
除一切風,下一切氣,通關節,利九竅,補五勞七傷,健脾調中,除煩,破症結(大明)。
一切(일체)의 風(풍)을 除去(제거)하고, 一切(일체)의 氣(기)를 下(하)하며, 關節(관절)을 通(통)하고, 九竅(구규)를 利(이)한다. 五勞(오로), 七傷(칠상)을 補(보)하고, 健脾(건비), 調中(조중) 하고, 除煩(제번)하며, 癥結(징결)을 破(파)한다.
主賁豚膀胱諸氣,五膈氣,風冷氣,腳氣,宿食不消 (李珣)。
奔豚(분돈), 膀胱(방광)의 諸氣(제기), 五膈氣(오격기), 풍냉기(風冷氣), 각기(脚氣), 숙식불소(宿食不消)dlp 주효(主效)가 있다.
治沖脈爲病,氣逆裏急。 (好古)
衝脈(충맥)이 病(병)이 되고, 气逆(기역), 裏急(이급)하는 것을 治(치)한다.
治瀉痢後重,心腹諸痛,大小便氣秘,痰氣喘急,療諸瘧,禦瘴癘。 (時珍)
泻痢后重(사리후중), 心腹諸痛(심복제통), 大小便(대소변)의 氣秘(기비), 痰氣喘急(담기천급)을 治(치)한다. 諸瘧(제학)을 療(요)하며, 獐癘(장려)를 制禦(제어)한다.
【發明】
元素曰︰檳榔味厚氣輕,沉而降,陰中陽也。苦以破滯,辛以散邪,泄胸中至高之氣,使之下行,性如鐵石之沉重,能墜諸藥至於下極,故治諸氣、後重如神也。
檳榔(빈랑)은 味(미)가 厚(후)하고, 氣(기)가 輕氣(경기)하며, 沈降(침강)한다. 陰中(음중)의 陽(양)인 것이다. 苦(고)로써 破滯(파체)하고, 辛(신)으로써 散邪(산사)하며, 胸中至高(흉중지고)의 氣(기)를 泄(설)하여 그것을 下行(하행)시킨다. 性(성)은 鐵石(철석)의 沈重(침중)함과 같고, 곧잘 諸藥(제약)을 墜(추)하여 下極(하극)에 이르는 것이다. 그래서 諸氣(제기), 後重(후중)을 治(치)하는데 神(신)과 같은 것이다.
時珍曰︰按︰羅大經《鶴林玉露》云︰嶺南人以檳榔代茶御瘴,其功有四︰一曰醒能使之醉,蓋食之久,則熏然頰赤,若飲酒然,蘇東坡所謂“紅潮登頰醉檳榔”也;
羅大經(나대경)의 鶴林玉露(학림옥로)에 <嶺南地方(영남지방)에서는 檳榔(빈랑)을 茶(차) 대신으로 하여 瘴(장)을 制禦(제어)한다. 그 功(공)에는 네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醒(성)한자에게는 곧잘 醉(취)하게 한다. 이것을 久食(구식)하면 熏然(훈연)하니 술을 마신 것처럼 빰이 빨개지기 때문에 蘇東坡(소동파)가 말한 “ 紅潮登(홍조등)에 올라 檳榔(빈랑)처럼 醉(취)한다.”라는 것이다.
二曰醉能使之醒,蓋酒後嚼之,則寬氣下痰,余酲頓解,朱晦庵所謂“檳榔收得為祛痰”也。
둘은 醉(취)한 者(자)는 곧잘 이것으로 깨게 한다. “酒後(주후)에 이것을 씹으면 氣(기)를 寬(관)하게 하고, 下痰(하담)하며, 余酲(여정)이 갑자기 解消(해소)되기 때문에 朱晦庵(주회암)이 ”檳榔(빈랑)을 收得(수득)하는 것은 祛痰(거담)하게 위한 것이다.“ 인 것이다.
三曰飢能使之飽。四曰飽能使之飢。蓋空腹食之,則充然氣盛如飽;飽後食之,則飲食快然易消。又且賦性疏通而不泄氣,稟味嚴正而更有餘甘,有是德故有是功也。
셋은 飢(기)한 者(자)에게는 이것으로 곧잘 飽(포)하게 한다. 넷은 飽者(포자)는 이것으로 곧잘 飢(기)하게 한다. 라고 하였는데 과연 이것을 空腹(공복)에 먹으면 充然(충연)히 飽食(포식)한 것과 같이 氣(기)가 盛(성)하고, 飽食(포식) 後(후)에 먹으면 飮食(음식)한 것이 快然(쾌연)히 消化(소화)하기 쉬운 것이다. 또한 賦性(부성)이 疏通(소통)하여도 氣(기)를 洩(설)하지 않고, 稟味(품미)가 嚴正(엄정)하여 더욱 餘味(여미)가 있는 것인데 이 德(덕)이 있기 때문에 이 功(공)이 있는 것이다.
又按︰吳興《章傑瘴說》云︰嶺表之俗,多食檳榔,日至十數。夫瘴癘之作,率因飲食過度,氣痞積結,而檳榔最能下氣消食去痰,故人狃於近利,而暗於遠患也。
또한 吳興(오흥)의 章傑瘴說(장걸장설)에 <嶺表(영표)의 風俗(풍속)에는 많이 檳榔(빈랑)을 먹는데 每日(매일) 十餘回(십여회)가 된다> 라고 하였는데 원래 瘴癘(장려)가 發病(발병)하는 것은 大體的(대체적)으로 飮食(음식)의 過渡(과도)로 氣痞(기비), 癥結(징결)하는 것이 原因(원인)인 것이다. 檳榔(빈랑)은 가장 잘 下氣(하기)하고, 消食去痰(소식거담)한다는 데서 一般的(일반적)으로 가까운 利(이)에 익숙하고 먼 疾患(질환)에는 어두운 것이다.
夫嶠南地熱,四時出汗,人多黃瘠,食之則臟器疏泄,一旦病瘴,不敢發散攻下,豈盡氣候所致,檳榔蓋亦為患,殆未思爾。
그 嶠南地方(교남지방)은 熱帶(열대)로서 四季(사계)에 모두 땀을 흘리고 대개의 사람은 黃瘠(황척)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먹으면 臟器(장기)가 疏洩(소설)하게 마련인데 일단 瘴(장)을 앓게 되면 發散(발산), 攻下(공하)하지 않는 것이다. 어찌 이 모두가 氣候(기후)의 탓이라고만 할 수 있겠는가. 檳榔(빈랑) 또한 病(병)을 일으키는 것이겠지만, 그것은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又東陽盧和云︰閩廣人常服檳榔,云能祛瘴。有瘴服之可也,無瘴而服之,寧不損正氣而有開門延寇之禍乎?南人喜食此果,故備考諸說以見其功過焉。
또한 東陽(동양)의 盧和(노화)는 <閩廣地方(민광지방)에서는 檳榔(빈랑)을 常服(상복)하므로 能(능)히 去瘴(거장)한다고 한다. 瘴(장)이 있을 때 服用(복용)하는 것은 支障(지장)이 없으나, 瘴(장)이 없으면서 이것을 服用(복용)하는 것은 도리어 正氣(정기)를 損傷(손상)하고, 마치 門(문)을 열고 寇(구)를 招(초)하는 禍(화)가 없는 것과 같다.> 라고 하였다. 南方(남방)에서는 一般的(일반적)으로 즐겨 이 果(과)를 먹기 때문에 함께 소상하게 諸說(제설)을 參考(참고)로 하여 그 功過(공과)를 提示(제시)해 둔다.
又朱晦庵《檳榔詩》云︰憶昔南游日,初嘗面發紅。藥囊知有用,茗碗詎能同?蠲疾收殊效,修真錄異功。三彭如不避,糜爛七非中。亦與其治疾殺蟲之功,而不滿其代茶之俗也。
또한 朱晦庵(주회암) 檳榔詩(빈랑시)에 <기억을 더듬으면 옛날 南游(남유)했을 때 처음으로 顔面(안면)에 發紅(발홍)했던 것으로 생각난다. 藥囊(약낭)이 必要(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어찌 茗碗(명완)이 能(능)히 같을 것인가?? 蠲疾(견질)에 特效(특효)를 거두고, 修真(수진)에 異功(이공)을 記錄(기록)한다. 三彭(삼팽)을 만약 避(피)할 수 없다면 糜爛(미란)하고 亡(망)하여 中(중)이 아닌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역시 그 疾(질)을 治(치)하고 殺蟲(살충)하는 功(공)에는 同意(동의)했으나 그 茶(차) 대신 마시는 習俗(습속)에는 不滿(불만)이었다.
【附方】
舊十一,新十五。
痰涎為害︰檳榔為末,白湯每服一錢。(《御藥院方》)
嘔吐痰水︰白檳榔一顆(煨熱),橘皮二錢半(炙)。為末。水一盞,煎半盞,溫服。(《千金》)
醋心吐水︰檳榔四兩,橘皮一兩,為末。每服方寸匕,空心生蜜湯調下。(《梅師方》)
傷寒痞滿湯下。(《宣明方》)
傷寒結胸已經汗、下後者︰檳榔二兩,酒二盞,煎一盞,分二服。(龐安時《傷寒論》)
蛔厥腹痛︰方同上。
心脾作痛︰雞心檳榔、高良薑各一錢半,陳米百粒,同以水煎,服之。(《直指》)
膀胱諸氣︰檳榔二枚,一生一熟,為末。酒煎服之,良。此太醫秦鳴鶴方也。(《海藥本草》)
本臟氣痛︰雞心檳榔,以小便磨半個服。或用熱酒調末一錢服之。(《斗門方》)
腰重作痛︰檳榔為末,酒服一錢。(《斗腳氣壅痛︰以沙牛尿一盞,磨檳榔一枚。空心暖服。(《梅師腳氣論》)
腳氣沖心悶亂不識人︰用白檳榔十二分,為末,分二服,空心,暖小便五合調下,日二服。或入薑汁、溫酒同服。(《廣利》)
腳氣脹滿非冷非熱,或老人、弱人病此︰用檳榔仁為末,以檳榔殼煎汁或茶飲、蘇湯或豉汁調服二乾霍亂病,心腹脹痛,不吐不利,煩悶欲死︰用檳榔末五錢,童子小便半盞,水一盞,煎服。(《聖濟總錄》)
大腸濕秘︰腸胃有濕,大便秘塞。大檳榔一枚。麥門冬煎湯磨汁溫服。或以蜜湯調末二錢大小便 ︰檳榔為末。蜜湯調服二錢。或以童子小便、蔥白,同煎服之,亦良。(《普濟方》)
小便淋痛︰面煨檳榔、赤芍藥各半兩,為末。每服三錢,入燈心,水煎,空心服,日二服。(《十便良方》)
血淋作痛︰檳榔一枚。以麥門冬煎湯,細磨濃汁一盞,頓熱空心服,日二服。
蟲痔裡急︰檳榔為末,每日空心以白湯調服二錢。
寸白蟲病︰檳榔二七枚,為末。先以水二升半,煮檳榔皮,取一升,空心,調末方寸匕服之,經日蟲盡出。
諸蟲在臟久不瘥者︰檳榔半兩炮,為末。每服一錢至二錢,空心以蔥、蜜煎湯調服。(《簡要濟眾》)
金瘡惡心︰白檳榔四兩,橘皮一兩,為末。每空心生蜜湯服二錢。(《聖惠方》)
丹從臍起︰檳榔末,醋調敷之。(《本事方》)
小兒頭瘡︰水磨檳榔,晒取粉,和生油塗之。(《聖惠方》)
口吻生瘡︰檳榔,燒研,入輕粉末,敷之良。(《聖惠方》)
耳出膿︰檳榔末吹之。(鮑氏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루자(無漏子)[본초강목] (0) | 2019.12.02 |
---|---|
광낭자(桄榔子)[본초강목] (0) | 2019.12.02 |
대복피(大腹皮)[본초강목] (0) | 2019.11.25 |
야자(椰子)[본초강목] (0) | 2019.11.18 |
혈갈(血竭)[본초강목] (0) | 201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