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0. 20. 23:1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오수유(吳茱萸)[본초강목]
^^^^^^^^^^^^^^^^^^^^^^^^^^^^^^^^^^^^^^^^^^^^^^^^^^^^^^^^^^^^^^^^^^^^^^^^
吳茱萸
(《本經》中品)
【校正】
自木部移入此。
【釋名】
藏器曰︰茱萸南北總有,入藥以吳地者為好,所以有吳之名也。
茱萸(수유)는 南北(남북) 어느 곳에나 있다. 藥(약)에 넣는 것은 吳地方(오지방)의 것을 良品(양품)으로 친다. 그것이 吳(오)라는 名稱(명칭)이 붙은 緣由(연유)인 셈이다.
時珍曰︰茱萸二字義未詳。萸有俞、由二音。
茱萸(수유)라는 二字(이자)의 뜻은 未詳(미상)이나, 萸字(유자)에는 兪(유), 由(유) 등의 二種(이종)의 發音(발음)이 있다.
【集解】
《別錄》曰︰吳茱萸生上谷川谷及冤句。九月九日采,陰幹。陳久者良。
頌曰︰今處處有之,江浙、蜀漢尤多。木高丈餘,皮青綠色。葉似椿而闊濃,紫色。三月開紅紫細花。七月、八月結實似椒子,嫩時微黃,至熟則深紫。或云︰顆粒緊小,經久色青綠者,是吳茱萸;顆粒大,經久色黃黑者,是食茱萸。恐亦不然。按︰《周處風土記》云︰俗尚九月九日謂之上九,茱萸到此日氣烈熟色赤,可折其房以插頭,云辟惡氣御冬。又《續齊諧記》云︰汝南桓景隨費長房學道。長房謂曰︰九月九日汝家有災厄,宜令急去,各作絳囊盛茱萸以系臂上,登高飲菊花酒,此禍可消。景如其言,舉家登高山,夕還見雞、犬、牛、羊一時暴死。長房聞之曰︰此代之矣。故人至此日登高飲酒,戴茱萸囊,由此爾。
時珍曰︰茱萸枝柔而肥,葉長而皺,其實結於梢頭,累累成簇而無核,與椒不同。一種粒大,一種粒小,小者入藥為勝。
《淮南萬畢術》云︰井上宜種茱萸,葉落井中,人飲其水,無瘟疫。
【修治】
雷斅曰︰凡使去葉梗,每十兩以鹽二兩投東流水四斗中,分作一百度洗之,自然無涎,晒乾入丸散用之。若用醋煮者,每十兩用醋一鎰,煮三十沸後,入茱萸熬乾用。
대개 이것을 사용할 때에는 잎과 梗(경)을 除去(제거)하고, 每十兩(매십량)을 鹽(염) 二兩(이량)에 投(투)하여 東流水(동류수) 四斗(사두)속에 넣고 一百回(일백회) 나누어 씻는다. 涎(연)이 모두 없어졌을 때 日光(일광)에 乾(건)한 다음 그것을 丸(환), 散(산)에 넣어 使用(사용)한다. 만약 醋煮(초자)한 것을 사용하려면 每十兩(매십량)에 醋(초) 一鎰(일일)을 사용하여 醋(초)를 煮(자)하고, 三十沸(삼십비)한 後(후)에 茱萸(수유)를 넣고 熬乾(오건)하여 사용한다.
宗奭曰︰凡用吳茱萸,須深湯中浸去苦烈汁七次,始可焙用。
대개 吳茱萸(오수유)를 사용할 때는 深湯中(심탕중)에 浸(침)하여 苦烈(고열)한 汁(즙)을 七回(칠회) 除去(제거)한 다음 焙用(배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氣味】
辛,溫,有小毒。
權曰︰辛、苦,大熱,有毒。
好古曰︰辛、苦,熱。氣味俱厚,陽中陰也。半浮半沉,入足太陰經血分,少陰、厥陰經氣分。
辛苦(신고), 熱(열)하다. 氣味(기미)는 모두 厚(후)하고 陽中(양중)의 陰(음)으로 半(반)은 浮(부)하고, 半(반)은 沈(침)하며 足太陰經血分(족태음경혈분), 少陰(소음), 厥陰經(궐음경)의 氣分(기분)에 들어간다.
思邈曰︰陳久者良,閉口者有毒。多食傷神,令人起伏氣,咽喉不通。
陳久(진구)한 것이 良品(양품)이다. 閉口(폐구)한 것은 有毒(유독)한 것이다. 多食(다식)하면 傷神(상신)하고, 伏氣(복기)를 일으키며, 咽喉(인후)를 不通(불통)하게 한다.
時珍曰︰辛熱,走氣動火,昏目發瘡。
辛熱(신열)한 것이다. 走氣動火(주기동화)하고, 昏目發瘡(혼목발창)하게 한다.
之才曰︰蓼實為之使。惡丹參、消石、白堊,畏紫石英。
蓼實(요실)을 使(사)로 한다. 丹參(단삼), 消石(소석), 白堊(백악)을 惡(오)하고, 紫石英(자석영)을 畏(외)한다.
【主治】
溫中下氣,止痛,除濕血痺,逐風邪,開腠理,咳逆寒熱(《本經》)。
溫中下氣(온중하기)하고, 止痛(지통)하며, 濕(습), 血痺(혈비)를 除去(제거)하고 風邪(풍사)를 逐出(축출)하며, 腠理(주리)를 開(개)한다. 咳逆寒熱(해역한열).
利五臟,去痰冷逆氣,飲食不消,心腹諸冷絞痛,中惡,心腹痛(《別錄》)。
五臟(오장)을 通利(통리)하고, 痰冷逆氣(담냉역기), 飮食不消(음식불소), 心腹(심복)의 諸冷絞痛(제냉교통), 中惡(중오), 心腹痛(심복통)을 除去(제거)한다.
霍亂轉筋,胃冷吐瀉腹痛,產後心痛,治遍身 痺刺痛,腰腳軟弱,利大腸壅氣,腸風痔疾,殺三蟲(甄權)。
癨亂轉筋(곽란전근), 胃冷(위랭)의 吐瀉(토사), 腹痛(복통), 産後(산후)의 心痛(심통), 遍身(편신)의 痲痺(마비),刺痛(자통),腰脚軟弱(요각연약)을 治(치)하고 大腸(대장)의 壅氣(옹기), 腸風(장풍), 痔疾(치질)을 利(이)하고, 三蟲(삼충)을 殺(살)한다.
殺惡蟲毒,牙齒蟲䘌,鬼魅疰氣(藏器)。
惡蟲(악충)의 毒(독), 牙齒(아치)의 蟲䘌(충닉), 鬼魅(귀매), 疰氣(주기)를 殺(살)한다.
下產後餘血,治腎氣、腳氣水腫,通關節,起陽健脾(大明)。
産後(산후)의 餘血(여혈)을 下(하)하고, 腎氣(신기), 脚气水肿(각기수종)을 治(치)하며, 關節(관절)을 通利(통리)하고 起陽健脾(기양건비)하게 한다.
主痢,止瀉,厚腸胃,肥健人(孟詵)。
痢(이)에 主效(주효)가 있고 止瀉(지사)하고, 腸胃(장위)를 厚(후)하게 하고 肥建(비건)하게 한다.
治痞滿塞胸,咽膈不通,潤肝燥脾(好古)。
痞滿塞胸(비만새흉), 咽膈不通(인격불통)을 治(치)하고 潤肝燥脾(윤간조비)한다.
開鬱化滯,治吞酸,厥陰痰涎頭痛,陰毒腹痛,疝氣血痢,喉舌口瘡(時珍)。
開鬱化滯(개울화체)하고, 呑酸(탄산), 腹痛(복통), 疝氣(산기), 厥陰(궐음)의 痰涎(담연), 頭痛(두통), 陰毒(음독), 血痢(혈리), 喉舌口瘡(후설구창)을 治(치)한다.
【發明】
頌曰︰段成式言椒氣好下,茱萸氣好上。言其沖膈,不可為服食之藥,故多食沖眼又脫發也。
段成式(단성식)은 “椒(초)의 氣(기)는 곧잘 下(하)하고, 茱萸(수유)의 氣(기)는 곧잘 上(상)한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沖膈(충격)하게 때문에 服食(복식)의 藥(약)으로 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多食(다식)하면 沖眼脫發(충안탈발)하는 것이다.
宗奭曰︰此物下氣最速,腸虛人服之愈甚。
이것은 下氣(하기)하는 것이 가장 迅速(신속)하다. 腸虛者(장허자)가 服用(복용)하면 더욱 甚(심)하다.
元素曰︰氣味俱厚,浮而降,陽中陰也。其用有三︰去胸中逆氣滿塞,止心腹感寒,疒/ㄎ痛,消宿酒,為白豆蔻之使也。
氣味(기미)는 모두 厚(후)하고, 浮(부)하면서 降(강)한다, 陽中(양중)의 陰(음)으로 그 效用(효용)에 세가지가 있다. 胸中(흉중)의 逆氣滿塞(역기만새)을 除去(제거)하고, 心腹感寒(심복감한)의 교통(疒/ㄎ痛)을 멎게 하며, 宿酒(숙주)를 解消(해소)한다. 白荳蔲(백두구)의 使(사)가 된다.
杲曰︰濁陰不降,厥氣上逆,咽膈不通,食則令人口開目瞪,陰寒隔塞,氣不得上下。此病不已,令人寒中,腹滿膨脹下利。宜以吳茱萸之苦熱,泄其逆氣,用之如神,諸藥不可代也。不宜多用,恐損元氣。
濁陰(탁음)이 降(강)하지 않고, 厥氣上逆(궐기상역)하며, 咽膈(인격)이 不通(불통)하고, 食(식)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口開目瞪(구개목징)하고, 陰寒隔塞(음한격색)하여 氣(기)가 上下(상하)할 수 없게 한다. 이 病(병)은 寒中(한중), 服滿(복만), 膨脹(팽창), 下痢(하리)하게 한다. 이것은 吳茱萸(오수유)의 苦(고), 熱(열)로 그 逆氣(역기)를 泄(설)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을 사용하면 神效(신효)가 있으며, 諸藥(제약)은 이것을 代身(대신)할 수가 없다. 元氣(원기)를 損傷(손상)할 憂慮(우려)가 있기 때문에 多用(다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好古曰︰衝脈為病,逆氣裡急,宜此主之。震、坤合見,其色綠。故仲景吳茱萸湯、當歸四逆湯方,治厥陰病及溫脾胃,皆用此也。
衝脈病(충맥병)으로 逆氣裡急(역기이급)한 경우에는 이것을 主로 하는 것이 좋다. 震과 坤이 合한다는 것은 그 綠色(녹색)인 것에 나타나 있다. 그래서 張仲景(장중경)의 吳茱萸湯(오수유탕), 當歸四逆湯(당귀사역탕)의 方(방)은 厥陰病(궐음병)을 治(치)하고 또한 脾胃(비위)를 덥게 하는 것인데, 모두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
時珍曰︰茱萸辛熱,能散能溫;苦熱,能燥能堅。故其所治之症,皆取其散寒溫中、燥濕解鬱之功而已。案︰《朱氏集驗方》云︰中丞常子正苦痰飲,每食飽或陰晴節變率同,十日一發,頭疼背寒,嘔吐酸汁,即數日伏枕不食,服藥罔效。宣和初為順昌司祿,於太守蔡達道席上,得吳仙丹方服之,遂不再作。每遇飲食過多腹滿,服五、七十丸便已。少頃小便作茱萸氣,酒飲皆隨小水而去。前後痰藥甚眾,無及此者。
吳茱萸(오수유)의 辛熱(신열)은 곧잘 散(산)하고, 곧잘 溫(온)하게 하며, 苦熱(고열)은 곧잘 燥(조)하고, 곧잘 堅(견)하게 한다. 따라서 그 治(치)하는 症(증)은 모두 散寒溫中(산한온중)하고 燥濕解鬱(조습해울)하는 功(공)을 取(취)할 뿐인 것이다. 朱氏集驗方(주씨집험방)에 “中丞常子正(중승상자정)은 痰飮(담음)으로 苦生(고생)하였는데 언제나 충분히 食物(식물)을 攝取(섭취)했을 대 혹은 氣候(기후)의 變化(변화)시에는 거의 일정하게 十日(십일)에 一回(일회) 發(발)하여 頭疼(두동), 背寒(배한)하며, 酸汁(산즙)을 嘔吐(구토)하였기 때문에 數日間(수일간)은 伏枕(복침)하고, 攝食(섭식)은 不能(불능), 服藥(복약)하여도 效(효)가 없었는데 宣和(선화)의 初年(초년), 順昌(순창)의 司祿(사록)을 奉職(봉직)하고 있던 중 太守(태수) 蔡達道(채달도)를 만난 席上(석상)에서 吳仙丹(오선단)의 方(방)을 얻어 그것을 服用(복용)한바 마침내 再發(재발)하지 않게 되었다. 飲食過多(음식과다)로 服滿(복만)할 때는 五十(오십)~七十丸(칠십환)을 服用(복용)하면 그것으로 끝나고 잠시 후에 小便(소변)에서 吳茱萸(오수유)의 臭氣(취기)가 나면서 술과 飮(음)은 모두 小便(소변)에 따라 除去(제거)되었다. 前後(전후)에 服用(복용)한 痰藥(담약)은 매우 많았으나 이에 미치는 것은 없었다.
用吳茱萸(湯泡七次)、茯苓等分,為末,煉蜜丸梧桐子大。每熟水下五十丸。
吳茱萸(오수유)를 七回(칠회) 泡湯(포탕)하고, 茯苓(복령)과 等分(등분)을 作末(작말)하여 煉蜜(연밀)로 梧子(오자) 크기의 丸(환)을 만들어 五十丸(오십환)씩을 熟水(숙수)로 服用(복용)한다.
梅楊卿方︰只用茱萸酒浸三宿,以茯苓末拌之,晒乾。每吞百粒,溫酒下。
梅楊卿(매양경)의 方(방)에서는 단지 茱萸(수유)를 三宿(삼숙) 酒浸(주침)하고, 茯苓末(복령말)을 拌(반)하여 日光(일광)에다 乾(건)한 다음 百粒(백립)씩을 溫州(온주)로 呑下(탄하)한다.
又咽喉口舌生瘡者,以茱萸末醋調貼兩足心,移夜便愈。其性雖熱,而能引熱下行,蓋亦從治之義;而謂茱萸之性上行不下者,似不然也。有人治小兒痘瘡口噤者,嚙茱萸一、二粒,抹之即開,亦取其辛散耳。
또한 咽喉口舌(인후구설)에 瘡(창)이 發生(발생)했을 때는 茱萸末(수유말)을 醋(초)로 調(조)하여 兩足心(양족심)에 붙인다. 하룻밤 지나명 癒(유)한다. 라고 하였다. 그 性(성)이 熱(열)한 것이기는 하나 곧잘 熱(열)을 下行(하행)하기 때문에 이것도 미상불 從治(종치)의 關係(관계)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茱萸(수유)의 性(성)은 上行(상행)할 뿐 下行(하행)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나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어떤 이가 小兒(소아)의 두湯(탕)에 의해 口噤(구금)하는 것을 治(치)하는 데 茱萸(수유) 一(일)~二粒(이립)을 씹어 抹(말)하자 開(개)하였다고 한다. 역시 辛散(신산)을 利用(이용)한 것이다.
【附方】
舊二十四,新二十二。
風 癢痺︰茱萸一升,酒五升,煮取一升半,溫洗之,立止。(孟詵《食療》)
賊風口偏,不能語者︰茱萸一升,薑豉三升,清酒五升,和煎五沸,待冷服半升,一日三服,得少汗即瘥。(同上)冬月感寒︰吳茱萸五錢。煎湯服之,取汗。
頭風作痛︰茱萸煎濃湯,以綿染,頻拭發根良。(《千金翼方》)
嘔涎頭痛︰吳茱萸湯︰用茱萸一升,棗二十枚,生薑一大兩,人參一兩,以水五升,煎取三升,每服七合,日三服。(仲景方)
嘔而胸滿︰方同上。
腳氣沖心︰吳茱萸、生薑擂汁飲,甚良。(孟詵方)
腎氣上噦︰腎氣自腹中起,上築於咽喉,逆氣連屬而不能出,或至數十聲,上下不得喘息。此由寒傷胃脘,腎虛氣逆,上乘於胃,與氣相並。《難經》謂之噦。《素問》云︰病深者,其聲噦。宜服此方。如不止,灸期門、關元、腎俞穴。用吳茱萸(醋炒熱)、橘皮、附子(去皮)各一兩,為末,麵糊丸梧桐子大。每薑湯下七十丸。(孫氏《仁存方》)
陰毒傷寒,四肢逆冷︰用茱萸一升,酒拌濕,絹袋二個,包蒸極熱,更互熨足心。候氣透,中惡心痛︰吳茱萸五合。酒三升,煮沸,分三服。(心腹冷痛︰方同上。(《千金》)
冷氣腹痛︰吳茱萸二錢擂爛,以酒一鐘調之。用香油一杯,入鍋煎熱,傾茱萸酒入鍋,煎一滾,取服立止。(唐瑤《經驗方》)
脾元氣痛,發歇不可忍︰用茱萸一兩,桃仁一兩。和炒茱萸焦,去茱萸,取桃仁去皮尖,研細,蔥白三莖,煨熟,酒浸溫服。(《經驗寒疝往來︰吳茱萸一兩,生薑半兩,清酒一升,煎溫分服。(《肘後方小腸疝氣︰奪命丹︰治遠年近日,小腸疝氣,偏墜掣疼,臍下撮痛,以致悶亂,及外腎腫硬,日漸滋長,及陰間濕癢成瘡。用吳茱萸(去梗)一斤,分作四分︰四兩酒浸,四兩醋浸,四兩湯浸,四兩童子小便浸一宿,同焙乾,澤瀉二兩,為末,酒糊丸梧桐子大。每服五十丸,空心鹽湯或酒吞下。《如宜方》名星斗丸。(《和劑局方》)
小兒腎縮乃初生受寒所致︰用吳茱萸、硫黃各半兩。同大蒜研,塗其腹;仍以蛇床子煙熏之。
婦人陰寒十年無子者︰用吳茱萸、川椒各一升。為末,煉蜜丸彈子大。綿裹納陰中,日再易之。但子宮開,即有子也。(《經心錄》)
子腸脫出︰茱萸三升,酒五升,煎二升,分三服。(《兵部手集》)
醋心上攻如濃醋︰用茱萸一合,水三盞,煎七分,頓服。近有人心如蜇破,服此,二十年不發也。累用有效。(同上)食已吞酸,胃氣虛冷者︰吳茱萸(湯泡七次焙)、乾薑(炮)等分。為末,湯服一錢。(《聖惠方》)
轉筋入腹︰茱萸(炒)二兩,酒二盞,煎一盞,分二服。得下即安。(《聖濟錄》)
霍亂乾嘔不止︰吳多年脾泄︰老人多此,謂之水土同化。吳茱萸三錢泡過,入水煎汁,入鹽少許,通口服。
蓋茱萸能暖膀胱,水道臟寒泄瀉,倦怠減食︰吳茱萸(湯泡過,炒),豬臟半條,去脂洗淨,裝滿扎定,文火煮熟,滑痢不止︰方同上。
下痢水泄︰吳茱萸(泡,炒)、黃連(炒)各二錢,水煎服。未止再服。(《聖赤白下痢︰《和劑局方》戊己丸︰治脾胃受濕,下痢腹痛,米穀不化。用吳茱萸、黃連、白芍藥各一兩,同炒為末,蒸餅丸梧桐子大。每服二、三十丸,米飲下。《百一選方》變通丸︰治赤白痢日夜無度,及腸風下血。用川黃連二兩,吳茱萸二兩(湯泡七次),同炒香,揀出各自為末,粟米飯丸梧桐子大,另收。每服三十丸。赤痢,甘草湯下黃連丸;白痢,乾薑湯下茱萸丸;赤白痢,各用十五丸,米湯下。此乃浙西河山純老以傳蘇韜光者,救人甚效。
鄧筆峰《雜興方》二色丸︰治痢及水泄腸風。用吳茱萸二兩,黃連二兩,同炒香,各自為末。
以百草霜末二兩,同黃連作丸;以白芍藥末二兩,同茱萸作丸。各用飯丸梧桐子大,各收。
每服五十丸︰赤痢,烏梅湯下連霜;白痢,米飲下茱芍丸;赤白痢,各半服之。
赤痢臍痛︰茱萸合黑豆湯吞之。(《千金方》)
腸痔常血,下部癢痛如蟲咬者︰掘地作坑燒赤,以酒沃之,搗茱萸二升入坑,乘熱坐有孔板熏之,冷乃下。不過三、四度愈。(《肘後方》)
腹中症塊︰茱萸三升搗,和酒煮熟,布裹熨症上。冷更炒熱,更番熨之。症移走,逐熨之產後盜汗,嗇嗇惡寒︰茱萸一雞子大。酒三升,漬半日,煮服。(《千金翼》)
口瘡口疳︰茱萸末,醋調塗足心,一夕愈。(《集簡方》)
咽喉作痛︰方同上。
牙齒疼痛︰茱萸煎酒,含漱之。(孟詵《本草》)
小兒頭瘡︰吳茱萸,炒焦,為末,入汞粉少許,豬脂、醋調塗之。(《聖惠方》)
小兒瘭瘡︰一名火灼瘡,一名火爛瘡。茱萸煎酒,拭之良。(《兵部手集》)
老小風疹︰方同上。(《千金》)
癰疽發背及發乳諸毒︰用吳茱萸一升,搗為末。用苦酒調塗帛上,貼之。(《外台秘要》)
陰下濕癢︰吳茱萸煎湯,頻洗取效。(同上)骨在肉中不出者︰咀茱萸封之,骨當腐出。(孟詵《食療》)
魚骨入腹,刺痛不得出者︰吳茱萸水煮一盞,溫服,其骨必軟出。未出再服。(同上)蛇咬毒瘡︰用吳茱萸一兩為末。冷水和,作三服,立安。(《勝金方》)
肩疽白禿︰並用吳茱萸鹽淹過,炒研,醋和塗之。(《活幼口議》)
寒熱怪病︰寒熱不止,數日四肢堅如石,擊之似鐘磬聲,日漸瘦惡。用茱萸、木香等分,煎湯飲之愈。(夏子益方)
葉
【氣味】
辛、苦,熱,無毒。
【主治】
霍亂下氣,止心腹痛冷氣。內外腎釣痛,鹽碾罨之,神驗,乾即易。轉筋者同艾搗,以醋和罨之(大明)。
霍亂(곽란), 下氣(하기)하고 心腹痛(심복통), 冷氣(냉기), 內外腎(내외신)의 釣痛(조통)을 멎게 하는 데는 鹽(염)으로 碾罨(연엄)하면 神效(신효)가 있다. 乾燥(건조)하면 바꾼다. 轉筋(전근)하는 것에는 艾(애)와 함께 搗(도)하여 醋(초)로 和罨(화엄)한다.
治大寒犯腦,頭痛,以酒拌葉,袋盛蒸熟,更互枕熨之,痛止為度(時珍)
大寒(대한)이 犯腦(범뇌)하는데서 頭痛(두통)하는 것을 治(치)한다. 葉(엽)dlp 술을 拌(반)하여 袋(대)에 넣고 蒸熟(증숙)하여 번갈아 枕熨(침위)한다. 止痛(지통)하는 것을 限度(한도)로 한다.
枝
【主治】
大小便卒關格不通,取南行枝,如手第二指中節,含之立下(蘇頌。出姚僧坦 《集驗方》)。
大小便(대소변)이 卒然(졸연)히 關格(관격)하여 不通(불통)하는 것에는 南(남)쪽으로 뻗은 枝手(지수)의 第二指(제이지) 中節(중절) 정도인 것을 含(함)한다. 즉시 下(하)한다. 姚僧坦(요승탄)의 集驗方(집험방)에 있다.
根及白皮
【氣味】
同葉。
【主治】
殺三蟲(《本經》)。
三蟲(삼충)을 殺(살)한다.
蟯蟲。治喉痺咳逆,止泄注,食不消,女子經產餘血,療白癬(《別錄》)。
蛲虫(요충), 喉痺(후비), 咳逆(해역)을 治(치)하고 泄注(설주), 食不消化(식불소화), 女子經產(여자경산)의 餘血(여혈)을 멎게 하며, 白蘚(백선)을 療(요)한다.
殺牙齒蟲,止痛(藏器)。
牙齒(아치)의 蟲(충)을 殺(살)하고, 止痛(지통)한다.
治中惡惡腹中刺痛,下痢不禁,療漆瘡。(甄權)。
中惡(중악)의 服中刺痛(복중자통), 下痢(하리)를 禁(금)할 수 없는 것을 治(치)하고, 漆瘡(칠창)을 療(요)한다.
【附方】
舊二,新二。
寸白蟲︰茱萸東北陰細根(大如指者勿用,洗去土)四兩,切,以水、酒各一升漬一宿,平旦分再服,當取蟲下。(《千金方》)
肝勞生蟲,眼中赤脈︰吳茱萸根(為末)一兩半,粳米半合,雞子白三個,化蠟一兩半。
和丸小豆大。每米湯下三十丸,當取蟲下。
脾勞發熱,有蟲在脾中為病,令人好嘔者︰取東行茱萸根(大者)一尺,大麻子八升,橘皮二兩,三物 咀,以酒一斗,浸一宿,微火薄暖之,絞去滓,平旦空腹服一升,取蟲下,或死或半爛,或下黃汁。凡作藥時,切忌言語。(《刪繁方》)
腎熱肢腫拘急︰茱萸根一合半,桑白皮三合,酒二升,煮一升,日二服。《普濟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초(蔓椒)[본초강목] (0) | 2019.10.27 |
---|---|
진초(秦椒)[본초강목] (0) | 2019.10.27 |
황백(黃柏)[본초강목] (0) | 2019.10.20 |
유향(乳香)[본초강목] (0) | 2019.10.14 |
백작(白芍)[본초강목] (0) | 2019.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