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목(椋子木)[본초강목]

2019. 4. 27. 04:17[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양자목(椋子木)[본초강목]

 

곰의말채나무/래목근(梾木根)/양자목(椋子木)

 

 

 

곰의말채나무

 

 

이명:[곰말채나무] [곰의말채]

학명: Cornus macrophylla Wall.

분류군:Cornaceae(층층나무과)

일어:クマノミズキ

영문:Largeleaf Dogwood

 

 

잎은 대생하며 길이 8-18의 타원형,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절저 혹은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표면에 잔복모가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으로 털이 많고, 측맥은 6-10쌍이며 엽병은 길이 1-3로서 털이 없다.

열매

열매는 지름 6의 둥근 핵과로 10월에 벽흑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둥글고 오목한 점이 많다.

꽃은 양성화이고 7-8월에 새로 난 가지 끝의 원추상 산형화서에 황백색으로 피며, 화서의 지름은 8~14cm이고 화경은 길이 3-4로서 털이 없다. 꽃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5mm로서 황백색이고 수술대는 꽃잎과 길이가 같다.

줄기

높이가 15m에 달하고 수피는 회갈색으로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져 감나무 수피와 비슷하며, 가지는 털이 없고 황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광택이 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 일본, 히말라야에도 분포한다.

중부 이남의 표고 100-1,600m 사이의 산록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크기

수고 15m 정도

 

생육환경

숲속에서 자란다.

내한성이 강하여 중부 내륙지방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며 음지와 양지에서도 잘 자란다.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곳을 좋아하는데 해변 및 도심지에서도 생장이 양호하다.

광선

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삽목으로 한다.

실생 :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삽목에 의한 증식도 가능하나 녹지삽의 경우 발근율이 매우 높다.

 

 

결실기

10

 

 

이용방안

 

정원수나 공원수,가로수로 훌륭하다.

목재는 공예재나 기구재, 가구재, 땔감용으로 쓰인다.

心材(심재)는 양자목, 수피는 정랑피라 하며 약용한다.

 

 

 

양자목

 

8-9월에 베어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수피에는 tannin 8-20%를 함유하고 잎에는 5-13%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半乾性油(반건성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出油率(출유율) 7-15%이다.

약효 : 破瘀(파어), 養血(양혈), 安胎(안태),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折傷(절상)을 치료하며 生肉(생육)한다.

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한다.

 

정랑피

 

여름에 비교적 古木(고목)인 가지의 수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약효 : 冷熱(냉열)을 가지리 않고 水樣性下痢(수양성하리)를 치료할 때에는 수피가 검게 될 때까지 달여서 복용한다. 祛風(거풍), 止通(지통), 通經活絡(통경활락)의 효능이 있으므로 筋骨痛(근골통), 腰腿痛(요퇴통), 지체마비 등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한다.

유사종

아라사말채(var. sibirica Lodd.): 특히 가지가 선명한 붉은색인데 현재 조경용수로 널리 식재되고 있으며 흰말채나무로 오인되고 있다.

말채나무(C. walteri Wanger.): 수피는 그물처럼 갈라지며, 잎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양 면에 강모가 있으며, 뒷면은 흰빛이다.

 

특징

꽃이 아름답고 겨울의 새빨간 가지는 흰눈과 조화를 이룬다. 곰의말채는 측맥이 6-10쌍인데 비해 말채나무는 4-5쌍이다.

 

 

 

 

학명 Cornus macrophylla Wall.

Fl. ind. ed. 1:433 (Roxb., 1820)

1. Cornus alosiphila W.W.Sm.

Not. Gard. Edinb. 10:19 (191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Cornus brachypoda C.A.Mey.

Mem. Sci. Nat. Acad. Sci. St.-Pet. ser. 6, 5:223 (1845)

1) Flora of Korea (Y.N.Lee, 1996)

3. Cornus corynostylis Koehne

Gartenfl. 45:286 (1896)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Cornus crispula Hance

J. Bot. 10:216 (188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Cornus taiwanensis Kaneh.

Formos. Tr. ed. 1:282 (1917)

1) Flora of Taiwan  (Li., 1977)

6. Cornus thelycanis Lebas

Rev. Hort. 394 (187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7. Thelycrania brachypoda (C.A.Mey.) Pojark.

Not. Syst. Bot. Inst. Acad. Sci. URSS. 12:172 (1950)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곰의말채나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곰말채나무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곰의말채

영문명 : Largeleaf Dogwood

일본명 : クマノミズキ

북한명 : 곰말채나무

 

Cornus macrophylla Wall.

Roxb. Fl. Ind., ed. Carey & Wall. i. 433 (1820).

i. 433 (1820) 0

Original Data:

Notes: Ind. or. (United Prov.)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래목(梾木)

 

Cornus macrophylla Wall.

 

 

이명(异名)

 

Swida alpina (Fang et W. K. Hu) Fang et W. K. Hu

Swida macrophylla (Wall.) Soják

Bothrocaryum longipetiolatum (Hayata) Pojark.

Cornus longipedunculata W. P. Fang et W. K. Hu

Cornus alpina W. P. Fang et W. K. Hu

Cornus longipetiolata Hayata

Swida macrophylla var. longipedunculata (W. P. Fang et W. K. Hu) W. P. Fang et W. K. Hu

Cornus taiwanensis Kaneh.

Cornus corynostylis Koehne

Cornus crispula Hance

Thelycrania macrophylla (Wall.) Pojark.

 

 

 

^^^^^^^^^^^^^^^^^^^^^^^^^^^^^^^^^^^^^^^^^^^^^^^^^^^^^^^^^^^^^^^^^^^^^^^^^

 

 

 

松楊

 

(《拾遺》)

 


 

 

校正

 

並入唐本草椋子木


 

 

 

釋名


 

椋子木

 

 

 

時珍曰其材如松其身如楊故名松楊。《爾雅椋即來也其陰可蔭涼故曰椋木

 

 

 () ()과 같고,  () ()과 같기 때문에 松楊(송양)이라고 한다. 爾雅(이아)에서는 ()은 즉 ()이다.” 라고 하였다.  () 蔭涼(음량)하기 때문에 椋木(양목)이라 한다.

 

 

 

藏器曰江西人呼為涼木松楊縣以此得名


 

江西地方(강서지방)에서는 涼木(양목)이라고 한다. 松楊縣(송양현)이라는 地名(지명)은 이 나무에서 나온 것이다. 

 

 



集解

 

藏器曰松楊生江南林落間大樹葉如梨

志曰椋子木葉似柿兩葉相當子細圓如牛李生青熟黑其木堅重煮汁色赤

郭璞云椋材中車輞八月九月採木晒乾用

 

 

 



 

氣味

 

無毒

 

 


 

主治


 

折傷破惡血養好血安胎止痛生肉(《唐本》)。


 

 

折傷(절상), 惡血(악혈) ()하고, 好血(호혈) ()하며, 安胎止痛(안태지통)하고, 生肉(생육)한다.

 

 


 

木皮

 


 

氣味

 

無毒


 

 

 

主治


 

水痢不問冷熱濃煎令黑服一升藏器)。


 

水痢(수리)에는 冷熱(냉열) 不問(불문)하고 검게 濃煎(농전)하여 一升(일승) 服用(복용)한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薇)[본초강목]  (0) 2019.05.09
황양목(黃楊木)[본초강목]  (0) 2019.04.28
잠두(蠶豆)[본초강목]  (0) 2019.04.20
두부(豆腐)[본초강목]  (0) 2019.04.17
녹두(綠豆)[본초강목]  (0) 2019.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