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4. 20. 02:58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잠두(蠶豆)[본초강목]
^^^^^^^^^^^^^^^^^^^^^^^^^^^^^^^^^^^^^^^^^^^^^^^^^^^^^^^^^^^^^^^^^^^^^^^^
蠶豆
(《食物》)
【釋名】胡豆。
時珍曰︰豆莢狀如老蠶,故名。
豆莢(두협)의 形狀(형상)이 老蠶(노잠)과 같은 데서 붙여진 名稱(명칭)이다.
王禎《農書》謂其蠶時始熟故名,亦通。吳瑞《本草》 以此為豌豆,誤矣。此豆種亦自西胡來,雖與豌豆同名、同時種,而形性迥別。
王禎(왕정)의 農書(농서)에는 “養蠶期(양잠기)에 처음으로 熟(숙)하는 데서 이름을 붙였다.” 라고 하지만 그래도 通(통)한다. 吳瑞(오서)의 本草(본초)에 이것을 豌豆(완두)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이 豆(두)의 種(종)도 역시 西胡(서호)에서 온 것이므로 豌豆(완두)라는 同名(동명)으로 呼名(호명)되었고, 同一(동일)한 時期(시기)에 심는 것이긴 하여도 그 形狀(형상)이나 性質(성질)은 많이 相異(상이)한다.
《太平御覽》云︰張騫使外國,得胡豆種歸。指此也。今蜀人呼此為胡豆,而豌豆不複名胡豆矣。
太平御覽(태평어람)에 “張騫(장건)이 外國(외국)에 使節(사절)로 갔을 때 胡豆種(호두종)을 가지고 돌아왔다.”라고 되어 있는 것이 바로 이 豆(두)를 말한 것이다. 蜀地方(촉지방)에서는 이것을 胡豆(호두)라고 呼名(호명)하지만 豌豆(완두)를 胡豆(호두)라고 하지 않는다.
【集解】
時珍曰︰蠶豆南土種之,蜀中尤多。八月下種,冬生嫩苗可茹。方莖中空。
葉狀如匙頭,本圓末尖,面綠背白,柔濃,一枝三葉。二月開花如蛾狀,紫白色,又如豇豆花。結角連綴如大豆,頗似蠶形。蜀人收其子以備荒歉。
【氣味】
甘、微辛,平,無毒。
【主治】
快胃,和臟腑(汪穎)。
胃(위)를 상쾌하게 해주고, 臟腑(장부)를 和(화)한다.
【發明】
時珍曰︰蠶豆本草失載。萬表《積善堂方》言︰一女子誤吞針入腹,諸醫不能治。一人教令煮蠶豆同韭菜食之,針自大便同出。此亦可驗其性之利臟腑也。
蠶豆(잠두)는 本草(본초)에 記載(기재)된 것은 없으나, 萬表(만표)의 積善堂方(적선당방)에 “어느 婦人(부인)이 잘못해서 針(침)을 삼켰을 때 그것이 腹(복)에 들어갔는데 많은 醫師(의사)들도 治療(치료)를 할 수 없었으나, 어떤 사람이 알려줘서 蠶豆(잠두)와 韭菜(구채)를 共煮(공자)해서 먹었더니 針(침)이 대변과 함께 나왔다.”라고 되어 있다. 이것은 역시 그 性(성)이 臟腑(장부)를 利(이)하는 例證(예증)이다.
苗
【氣味】
苦、微甘,溫。
【主治】
酒醉不省,油鹽炒熟,煮湯灌之,效(汪穎)。
酒醉(주취)가 不醒(불성)하는 데는 油(유), 鹽(염)을 炒熟(초숙)해서 湯煮(탕자)로 灌入(관입)하며 效(효)가 있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양목(黃楊木)[본초강목] (0) | 2019.04.28 |
---|---|
양자목(椋子木)[본초강목] (0) | 2019.04.27 |
두부(豆腐)[본초강목] (0) | 2019.04.17 |
녹두(綠豆)[본초강목] (0) | 2019.04.17 |
강두(豇豆)[본초강목] (0) | 2019.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