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4. 9. 21:12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적소두(赤小豆)[본초강목]
^^^^^^^^^^^^^^^^^^^^^^^^^^^^^^^^^^^^^^^^^^^^^^^^^^^^^^^^^^^^^^^^^^^^^^^^^^^
赤小豆
(《本經》) 中品)
【校正】
自大豆分出。
【釋名】
赤豆(恭)、紅豆(俗)、荅 (《廣雅》) ,葉名藿。
時珍曰︰案︰《詩》云︰黍稷稻粱,禾麻菽麥。此即八穀也。董仲舒注云︰菽是大豆,有兩種。小豆名,有三、四種。王禎云︰今之赤豆、白豆、綠豆、萱豆,皆小豆也。此則入藥用赤小者也。
살펴보면 詩(시)에서 “黍稷稻粱(서직도량), 禾麻菽麥(화마숙맥)” 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은 즉 八穀(팔곡)이다. 董仲舒(동중서)의 註(주)에 ” 菽(숙)은 大豆(대두)를 말하며 兩種(양종)이 있고, 小豆(소두)는 答(답)이라 名稱(명칭)되는 三(삼)~四種(사종)이 있다.“라고 되어 있다. 王禎(왕정)은 ”지금의 赤豆(적두), 白豆(백두), 綠豆(녹두), 䝁豆(노두)는 모두 小豆(소두)이다. “라고 말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것은 藥(약)에 넣어서 쓰는 붉고 작은 것을 일컫는다.
【集解】
頌曰︰赤小豆,今江淮間多種之。
宗奭曰︰關西、河北、汴洛多食之。
時珍曰︰此豆以緊小而赤黯色者入藥,其稍大而鮮紅、淡紅色者,並不治病。俱於夏至 後下種,苗科高尺許,枝葉似豇豆,葉微圓峭而小。至秋開花,似豇豆花而小淡,銀褐色,有腐氣。結莢長二、三寸,比綠豆莢稍大,皮色微白帶紅。三青二黃時即收之,可煮可炒,可作粥、飯、餛飩餡並良也。
【氣味】
甘、酸,平,無毒。
思邈曰︰甘、鹹,冷。合魚鮓 食成消渴,作醬同飯食成口瘡。
甘(감), 鹹(함), 冷(냉)하다. 魚鮓(어자)와 合食(합식)하면 消渴(소갈)이 되고, 醬(장)으로 만든 것과 飯(반)으로 食合(식합)하면 口瘡(구창)이 된다.
藏器曰︰驢食足輕,人食身重。
驢(여)가 먹으면 다리가 무거워지고, 사람이 먹으면 몸이 무거워진다.
【主治】
下水腫,排癰腫膿血(《本經》)。
水腫(수종)을 내리고, 癰腫(옹종)의 膿血(농혈)을 排(배)한다.
療寒熱熱中消渴,止泄痢,利小便,下腹脹滿,吐逆卒澼(《別錄》)。
寒熱(한열), 消渴(소갈)을 療(요)하고, 洩痢(설리)를 멈추며, 小便(소변)을 利(이)하고, 腹脹滿(복창만)을 下(하)한다. 吐逆(토역), 卒澼(졸벽)
消熱毒,散惡血,除煩滿,通氣,健脾胃,令人美食。搗末同雞子白,塗一切熱毒癰腫。煮汁,洗小兒黃爛瘡,不過三度(權)。
熱毒(열독)을 消(소)하고, 학血(혈)을 散(산)하며, 煩滿(번만)을 除(제)하고, 氣(기)를 痛(통)하고, 脾胃(비위)를 建(건)하며, 食物(식물)의 맛이 좋아진다. 搗末(도말)해서 鷄子白(계자백)과 함께 모든 热毒痈肿(열독옹종)에 바른다. 煮汁(자즙)으로 小兒(소아)의 黄烂疮(황란창)을 씻는다. 三回(삼회)를 넘겨서는 안 된다
縮氣行風,堅筋骨,抽肌肉。久食瘦人(士良)。
氣(기)를 오므리고, 風(풍)을 行(행)하며, 筋骨(근골)이 굳어지고, 肌肉(기육)을 抽(추)한다. 久食(구식)하면 여윈다.
散氣,去關節煩熱,令人心孔開。暴痢後,氣滿不能食者,煮食一頓即愈。和鯉魚煮食,甚治腳氣。詵。解小麥熱毒。煮汁,解酒病。解衣粘綴。《日華》。
散氣(산기)하고, 關節(관절)의 煩熱(번열)을 去(거)하며, 사람의 心孔(심공)을 열어준다. 暴痢(폭리) 후의 氣滿(기만)으로 食事(식사)가 不能(불능)일 때는 삶아서 一頓(일돈)을 먹으면 癒(유)한다. 鯉魚(리어)에 和(화)해서 煮食(자식)하면 甚(심)했던 脚氣(각기)를 治(치)한다.
辟瘟疫,治產難,下胞衣,通乳汁。和鯉魚、蠡魚、鯽魚、黃雌雞煮食,並能利水消腫。時珍。
溫疫(온역)을 물리치고, 産難(산난)을 治(치)하며, 布衣(포의)를 下(하)하고, 乳汁(유즙)을 痛(통)한다. 鯉魚(리어), 蠡鱼(여어), 黃雌鷄(황자계)와 和(화)해서 煮汁(자즙)하면 모두 能(능)히 水(수)를 利(이)하고, 消腫(소종)한다.
【發明】
弘景曰︰小豆逐津液,利小便。久服令人肌膚枯燥。
小豆(소두)는 津液(진액)을 逐(축)하고 小便(소변)을 利(이)한다. 久服(구복)하면 肌膚(기부)를 枯燥(고조)한다.
頌曰︰水氣、腳氣最為急用。有人患腳氣,以袋盛此豆,朝夕展轉踐踏之,久久遂愈。
手技(수기), 脚氣(각기)에는 가장 必要(필요)한 것으로, 어떤 사람이 脚氣(각기)을 앓았을 때 袋(대)에 이 豆(두)를 담아서 朝夕(조석)으로 밟으며 굴렸더니 오래 지나서 마침내 癒(유)하였다.
好古曰︰治水者惟知治水,而不知補胃,則失之壅滯。赤小豆,消水通氣而健脾胃,乃其藥也。
水(수)을 治(치)하는 경우 단순히 水(수)를 治(치)하는 것만으로는 胃(위)를 補(보)한다는 것에 注意(주의)를 소홀히 하게 되면 그로 말미암아 壅滯(옹체)하게 하는 過失(과실)를 범하고 만다. 赤小豆(적소두)는 水(수)를 消(소)하고 氣通(기통)하여 脾胃(비위)를 建(건)하게 하는 것이므로 이런 경우에만 適當(적당)한 藥(약)이다.
藏器曰︰赤小豆,和桑根白皮煮食,去濕氣痺腫;和通草煮食,則下氣無限,名脫氣丸
赤小豆(적소두)는 桑根白皮(상근백피)와 和(화)하여 煮食(자식)하면 濕氣痺腫(습기비종)을 去(거)한다. 通草(통초)와 和(화)해서 煮食(자식)하면 無限(무한)히 下氣(하기)한다. 이것을 脫氣丸(탈기환)이라고 名稱(명칭)한다.
時珍曰︰赤小豆,小而色赤,心之谷也。其性下行,通乎小腸,能入陰分,治有形之病。故行津液,利小便,消脹除腫止吐,而治下痢腸 ,解酒病,除寒熱癰腫,排膿散血,而通乳汁,下胞衣產難,皆病之有形者。
賊巢(적소)도는 작으면서 색이 붉다. 心穀(심곡)이다. 그 性(성)은 下行(하행)해서 小腸(소장)에 通(통)하여 能(능)히 陰分(음분)에 들어가 有形(유형)의 病(병)을 治(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津液(진액)을 行(행)하고, 小便(소변)을 利(이)하여 脹(창)을 消(소)하고, 腫(종)을 除(제)하며, 吐(토)를 멈추고, 下痢(하리)와 腸澼(장벽)을 治(치)하며, 酒病(주병)을 解(해)하고, 寒熱癰腫(한열옹종)을 除(제)하여 排膿(배농)하며, 散血(산혈)해서 乳汁(유즙)을 通(통)하게 하고, 胞衣(포의)와 産難(산난)을 내리는 것으로서 이것은 모두 病(병)으 有形(유형)이다.
久服則降令太過,津血滲泄,所以令人肌瘦身重也。其吹鼻瓜蒂散以辟瘟疫用之,亦取其通氣除濕散熱耳。或言共工氏有不才子,以冬至死為疫鬼,而畏赤豆,故於是日作小豆粥厭之,亦傅會之妄說也。
久服(구복)하면 降(강)의 作用(작용)이 있기 過度(과도)해지니 津(진), 血(혈)이 滲洩(삼설)하는 結果(결과)는 肌瘦(기수)시키고, 身體(신체)를 무겁게 만드는 것이다. 그 鼻穴(비혈)에 吹入(취입)하는 瓜蔕散(과체산)이나 溫疫(온역)을 피하는 데데 用(용)하는 것은 역기 그 氣(기)를 通(통)하고 濕(습)을 除(제)하여 熱(열)을 散(산)하는 作用(작용)의 應用(응용)이다. 혹은 共工氏(공공씨)에게 不才(부재)의 자식이 있었는데, 冬至(동지) 날에 죽어서 疫鬼(역귀)가 되었다. 그것이 赤豆(적두)를 두려워 하였으니 그래서 이날에는 小豆粥(소두죽)을 쑤어서 禁厭(금염)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이것은 역시 附會(부회)의 妄說(망설)이다.
又案︰陳自明《婦人良方》云︰予婦食素,產後七日,乳脈不行,服藥無效。偶得赤小豆一升,煮粥食之,當夜遂行。因閱本草載此,謾記之。
또 생각하면 陳自明(진자명)의 婦人良方(부인양방)에 “나의 家婦(가부)는 主(주)로 菜食(채식)을 하였는데 産後(산후) 七日(칠일)동안 乳脈(유맥)이 끊겨 服藥(복약)하여도 效(효)가 없었는데 偶然(우연)하게 赤小豆(적소두) 一升(일승)을 먹였더니 그날 밤 안에 乳(유)가 나왔다. 그래서 本草(본초)를 살펴보았더니 역시 이러한 事實(사실)이 記載(기재)되어 있다. 생각나는 대로 記錄(기록)해 둔다.”라고 되어 있다.
又《朱氏集驗方》云︰宋仁宗在東宮時,患痄腮,命道士贊寧治之。 取小豆七十粒為末,敷之而愈。中貴人任承亮後患惡瘡近死,尚書郎傅永授以藥立愈。叩其方,赤小豆也。
또 朱氏集驗方(주씨집험방)에는 “宋(송)의 仁宗皇帝(인종황제)가 아직 東宮(동궁)에 在住(재주)했을 때 痄腮(자시)를 앓게 되어 道士(도사) 贊寧(찬녕)에게 그 治療(치료)를 命(명)한 즉, 小豆(소두) 七十粒(칠십립)을 末(말)로 해서 傅(부)했더니 그것을 癒(유)하였다. 中貴人(중귀인) 任承亮(임승량)이 후에 惡瘡(악창)을 앓게 되어 瀕死(빈사)에 이르게 되었을 때 尚書郎傅永(상서랑부영)이 알려준 藥(약)으로 바로 癒(유)하였다. 그 方(방)을 물어 보았더니 赤小豆(적소두)였다.
予苦脅疽,既至五臟,醫以藥治之甚驗。承亮曰︰得非赤小豆耶?醫謝曰︰某用此活三十口,願
勿複言。有僧發背如爛瓜,鄰家乳婢用此治之如神。
내가 脅疽(협저)로 괴로워 이미 五臟(오장)을 犯(범)하려 했을 때 어느 醫師(의사)가 治療(치료)에 使用(사용)했던 藥(약)이 매우 主效(주효)하였다. 함께 있던 承亮(승량)이 “그것은 赤小豆(적소두)가 아닌가.”하고 물었더니 醫師(의사)는 恐縮(공축)하면서 “實(실)은 저는 이 方(방)으로 지금 三十名(삼십명)의 家族(가족)을 扶養(부양)하고 있는 實情(실정)입니다. 아무에게도 公表(공표)하지 마시기를 부탁드립니다.”라고 하였다. 어느 僧(승)이 發背(발배)로 瓜爛(과란)된 것처럼 되었을 때 이웃의 乳母(유모)가 이것으로 治療(치료)해 주었더니 神(신)과 같은 効果(효과)를 내었다.
此藥治一切癰疽瘡疥及赤腫,不拘善惡,但水調塗之,無不愈者。但其性粘,
이 藥(약)은 一切(일체)의 癰疽瘡疥(옹저창개) 및 赤腫(적종)의 善惡(선악)을 不問(불문)하고 단지 물로 和(화)해서 바른다. 癒(유)하지 않는 일이 없다.
乾則難揭,入苧根末即不粘,此法尤佳。
하지만 단지 그 性(성)이 粘(점)하는 것으로서 마르면 容易(용이)하게 揭(게)할 수 없게 되나, 苧根末(저근말)을 널으면 粘(점)하지 않는다. 이 法(법)은 매우 좋다.“라고 되어 있다.
【附方】舊十五,新十九。
水氣腫脹︰頌曰︰用赤小豆五合,大蒜一顆,生薑五錢,商陸根一條,並碎破,同水煮爛,去藥,空心食豆,旋旋啜汁令盡,腫立消也。韋宙《獨行方》︰治水腫從腳起,入腹則殺人。赤小豆一斗,煮極爛,取汁五升,溫漬足膝。若已入腹,但食小豆,勿雜食,亦愈。
《梅師》︰治水腫。以東行花桑枝燒灰一升,淋汁,煮赤小豆一升,以代飯,良。水蠱腹大,動搖有聲,
皮膚黑者︰用赤小豆三升,白茅根一握,水煮食豆,以消為度。
辟禳瘟疫︰《五行書》云︰正月朔旦及十五日,以赤小豆二七枚,麻子七枚,投井中,辟瘟疫甚效。又正月七日,新布囊盛赤小豆置井中,三日取出,男吞七枚,女吞二七枚,竟年無病也。(《肘後方》)
辟厭疾病︰正月元旦,面東,以齏水吞赤小豆三七枚,一年無諸疾。又七月立秋日,面 西
傷寒狐惑︰張仲景曰︰狐惑病,脈數,無熱微煩,默默但欲臥,汗出。初得三、四日,目赤如鳩眼;七、八日,目四 黃黑。若能食者,膿已成也。赤豆當歸散主之。赤小豆三升(
下部卒痛,如鳥啄之狀︰用小豆、大豆各一升,蒸熟,作二囊,更互坐之,即止。(《肘後方》)。
水穀痢疾︰小豆一合,熔蠟三兩,頓服取效。(《必效方》)
熱毒下血,或因食熱物發動︰赤小豆末,水服方寸匕。(《梅師方》)
腸痔下血︰小豆二升,苦酒五升,煮熟日乾,再浸至酒盡乃止,為末。酒服一錢,日三服。(《肘後方》)。
舌上出血,如簪孔︰小豆一升,杵碎,水三升和,絞汁服。(《肘後方》)。
熱淋血淋,不拘男女︰用赤小豆三合,慢火炒為末,煨蔥一莖,擂酒熱調二錢服。(《修真秘旨》)。
重舌鵝口︰赤小豆末,醋和塗之。(《普濟方》)。
小兒不語,四、五歲不語者︰赤小豆末,酒和,敷舌下。(《千金》)。
牙齒疼痛︰紅豆末,擦牙吐涎,及吹鼻中。一方入銅青少許。一方入花鹼少許。(《家寶方》 )。
中酒嘔逆︰赤小豆煮汁,徐徐飲之。(《食鑒本草》)。
頻致墮胎︰赤小豆末,酒服方寸匕,日二服。(《千金》)。
妊娠行經︰方同上。
婦人難產︰《產寶》︰用赤小豆生吞七枚,佳。《集驗》︰治難產日久氣乏。用赤小豆一升,以水九升,煮取汁,入炙過黃明膠一兩,同煎少時。一服五合,不過三、四服,即產
胞衣不下︰用赤小豆,男七枚,女二七枚,東流水吞服之。(《救急方》)。
產後目閉心悶︰赤小豆生研,東流水服方寸匕。不瘥更服。(《肘後方》)。
產後悶滿,不能食︰用小豆三、七枚,燒研,冷水頓服,佳。(《千金方》)。
乳汁不通︰赤小豆煮汁飲之。(《產書》)。
婦人吹奶︰赤小豆,酒研,溫服,以滓敷之。(熊氏)。
婦人乳腫︰小豆、莽草等分。為末。苦酒和敷,佳。(《梅師》)。
癰疽初作︰赤小豆末,水和塗之,毒即消散,頻用有效。(《短劇方》)。
石癰諸癰︰赤小豆五合,納苦酒中五宿,炒研,以苦酒和塗即消。加栝蔞根等分。(《范汪方》)
痘後癰毒︰赤小豆末,雞子白調塗敷之。
腮頰熱腫︰赤小豆末,和蜜塗之,一夜即消。或加芙蓉葉末尤妙。
丹毒如火赤小豆末,和雞子白,時時塗之不已,逐手即消。(《短劇方》)。
風瘙癮疹︰赤小豆、荊芥穗等分,為末,雞子清調塗之。
金瘡煩滿︰赤小豆一升,苦酒浸一日,熬燥再浸,滿三日,令黑色,為末。每服方寸匕,日三服。(《千金》)。
六畜肉毒︰小豆一升,燒研。水服三方寸匕,神良。(《千金方》)。
葉
【主治】
去煩熱,止小便數(《別錄》)。
煩熱(번열)을 去(거)하고, 小便數(소변수)를 止(지)한다.
煮食,明目(《日華》)。
煮食(자식)하면 嫩(눈)이 밝아진다.
【發明】
時珍曰︰小豆利小便,而藿止小便,與麻黃發汗而根止汗同意,物理之異如此
小豆(소두)는 小便(소변)을 通利(통리)시키는 것이지만 藿(곽)은 小便(소변)을 멈춘다. 麻黃(마황)은 發汗(발한)하지만, 根(근)은 止汗(지한)하는 것과 같은 關係(관계)에 있다. 事物(사물)의 現象(현상)에는 이렇듯 不可思議(불가사의)한 點(점)이 있다.
【附方】舊一,新一。
小便頻數︰小豆葉一斤,入豉汁中煮,調和作羹食之。(《心鏡》)。
小兒遺尿︰小豆葉搗汁服之。(《千金》)
芽
【主治】
妊娠數月,經水時來,名曰漏胎;或因房室,名曰傷胎。用此為末,溫酒服方寸匕,日三,得效乃止(時珍。出《普濟》)。
姙娠(임신)한 지 數月(수월)이 되었는데도 經水(경수)가 나오는 것을 漏胎(누태)라고 名稱(명칭)한다. 房事(방사)등의 탓으로 일어나는 것을 傷胎(상태)라고 名稱(명칭)한다. 이것을 末(말)로 하여서 一日(일일) 三回(삼회), 方寸匕(방촌비)씩을 溫酒(온주)로 服(복)하고, 效(효)가 있을 때 멈춘다. 普濟(보제)에 記載(기재)되어 있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두(綠豆)[본초강목] (0) | 2019.04.17 |
---|---|
강두(豇豆)[본초강목] (0) | 2019.04.09 |
보이다(普洱茶)[本草綱目拾遺] (0) | 2019.04.09 |
고다(苦茶)[본초강목] (0) | 2019.04.09 |
낙화생(落花生)[본초강목습유] (0) | 2019.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