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화생(落花生)[본초강목습유]

2019. 4. 4. 02:11[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낙화생(落花生)[본초강목습유]

 

 

땅콩/낙화생(落花生)

 

 

 

땅콩

 

이명:낙화생, 호콩

학명:Arachis hypogaea L.

분류군:Leguminosae(콩과)

일본명:Nankin-mame

영명:Peanut. Earth nut.

漢名:落花生(떨어질 낙, 꽃 화, 날 생)

 

잎은 어긋나고 1회 우수우상복엽이며 엽병이 길며 소엽은 4개이고 도란형 또는 난형으로 끝이 둥글며 짧은 돌기가 있고 밑부분이 예저이고 탁엽은 크며 끝이 길게 뾰족해 진다.

열매

열매는 협과로 장타원형이며 10월에 익는다. 두껍고 딱딱하며 황백색으로 겉에 그물같은 맥이 있고 1~3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종피는 적갈색이다.

꽃은 황색으로 7~9월에 핀다. 엽액에 1개씩 달리고 화경이 없으며 접형화의 대처럼 보이는 것은 꽃받침통이고 끝에 꽃받침잎과 꽃잎 및 수술이 달린다. 꽃받침통 안에 1개의 자방이 있으며, 실 같은 암술대가 밖으로 나오고, 수정되면 자방 밑부분이 길게 자라서 자방이 땅속으로 들어간다.

줄기

주지는 밑부분에서 갈라져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기 때문에 사방으로 퍼지며 털이 있다.

원산지

,남아메리카

형태

한해살이풀로 1년생초본이다.

크기

높이는 50~60cm이다.

 

 

 

재배특성

모래땅에 재배

 

 

 

 

 

 

학명 Arachis hypogaea L.

Sp. pl. 741 (L., 1753)

국명 땅콩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1. 낙화생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호콩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Arachis hypogaea L.

Sp. Pl. 2: 741. 1753 [1 May 1753]

2: 741 1753

Original Data:

Notes: Reg. trop. (cult.)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낙화생(落花生)

Arachis hypogaea Linn.

异名(이명)

 

Arachis nambyquarae Hoehne

Arachis hypogaea subsp. oleifera A.Chev.

Lathyrus esquirolii H. Lév.

 

 

一年生草本根部多根瘤o20-70厘米有棕色长柔毛羽状复叶小叶4倒卵形2.5-5厘米1.5-2.5厘米先端圆形基部狭两面无毛托叶披针形1.5-3厘米疏生长柔毛花单生或簇生叶腋花萼与花托合生成托管呈花梗状萼齿2唇形花冠黄色旗瓣近圆形龙骨瓣先端有喙雄蕊9枚合生1枚退化子房藏于萼管中荚果大膨胀有网纹成熟于土中 原产巴西我国各地广泛栽培为重要食用油料作物种子含油50左右

 

 

 

 

^^^^^^^^^^^^^^^^^^^^^^^^^^^^^^^^^^^^^^^^^^^^^^^^^^^^^^^^^^^^^^^^^^^^^^^^^^^

落花生


 

 


 


一名長生果福清縣志出外國昔年無之蔓生園中花謝時其中心有絲垂入地結實故名

 


일명(一名) 장생과(長生果)라고 한다. 복청현지(福清縣志)에 외국(外國)에서 산출(産出)한 것으로서 옛날에는 없었다. 원중(園中)에서 만생(蔓生)하며 꽃이 질 때에는 그 중심(中心)의 사()가 수()하여 지중(地中)으로 들어가 결실(結實)한다. 그래서 이렇게 명명(命名)한 것이다.

 


一房可二三粒炒食味甚香美康熙初年僧應元往扶桑覓種寄回亦可壓油今閩省產者出興化為第一名黃土味甜而粒滿出台灣名白土味澀而粒細其油煎之不熟食之令人瀉一名土豆。 

 

匯書近時有一種名落生花者莖葉俱類豆其花亦似豆花而色黃枝上不結實其花落地即結實於泥土中亦奇物也實亦似豆莢而稍堅硬炒熟食之作松子之味此種皆自閩中來。 

 

 

 

物理小識番豆名落花生土露子三月種之一畦不過數子行枝如蕹菜虎耳藤橫枝取土壓之藤上開花絲落土成實冬後掘土取之殼有紋豆黃白色炒熟甘香似松子味又云番豆花透空入土結豆當通潤臟腑。 

 

酉陽雜俎又有一種形如香芋蔓生藝者架小棚使蔓之花開亦落土結子如香芋亦名花生

 

 

花鏡落花生一名香芋引藤蔓而生葉椏開小白花花落於地根即生實連絲牽引土中累累不斷冬盡掘取煮食香甜可口南浙多產之。 

 

萬歷仙居縣志落花生原出福建近得其種植之。 

 

嶺南隨筆花與葉不相見為換錦花莢與蒂不相見為落花生

 

種法以沙壓橫枝則蔓生花不生莢其莢別在根莖間亦稱落花生。 

 

 

逢原云長生果產閩地花落土中即生從古無此近始有之味甘氣香能健脾胃飲食難消運者宜之或云與黃瓜相反予曾二者並食未蒙其害因表出之花生殼韓柳生云焙研極細末著人身體沾肉即生奇癢。 

 

 

敏按劉啟堂經驗秘方長生果一名落花生又名落地生不可與黃熟瓜同吃吃則立死黃熟瓜即香瓜非長而白色可以腌吃之黃瓜也始知俗傳之誤

 

 

雨蓑翁食物便覽香芋一名落花生久服多男多食治翻胃然其性能動火生痰常人只宜少吃

 

 

從新云辛甘而香潤肺補脾和平可貴食物宜忌云性平味甘舒脾廣志云暖胃


 

藥性考云生研用下痰炒熟用開胃醒脾滑腸幹嗽者宜餐滋燥潤火

 


약성고(药性考)에 생연(生硏)하여 복용(服用)하면 하담(下痰)한다. 초숙(炒熟)해서 사용하면 개위(開胃)하고 성비(醒脾)하며, 활장(滑腸)한다. 건수자(幹嗽者)는 찬()하는 것이 좋다. 자조(滋燥)하고 윤화(潤火)한다.

 

 


落花生乃花謝落土感土氣而成實故有入脾和胃之功又能通肺氣曾見興化令王翁一子酷嗜此物後患軟癱豈非動火生痰之明驗歟近見人以花生入糖湯煮浸醬油入素供更為生痰老人尤不宜多食

 


 

생각하면 낙화생(落花生)이라는 것은 화()가 사()하여 낙지(落地)하고, 토기(土氣)를 감()해서 실()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에 들어가 화위(和胃)하는 공()이 있는 것이다. 또한 능()히 폐기(肺氣)를 통()하게 하는 것인데 전에 흥화(興化)의 영왕옹(令王翁)의 일자(一子)가 이것을 매우 기식(嗜食)하였는데 후()에 연탄(軟癱)을 앓는 것을 보았다. 이것은 동화생담(動火生痰)한다는 명험(明驗)이 아니겠는가. 근자(近者) 세간(世間)에서 화생(花生)을 당탕(糖湯)에 넣고 자()한 다음, 장유(醬油)에 침()해서 그대로 공()하는 것으로 하는 것을 보지만 더 생담(生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노인(老人)은 특히 다식(多食)하지 않는 것이 좋다.

 

 


俞友梁有烏須簡便方止用落花生淨肉炒極焦黑研極細捻須二日後色黑如漆

 


 

四日兩頭瘧,(即三陰瘧。)安定臣云昔曾患此諸方莫療有人教服炒熟花生每日食一二兩不半月而愈

 

 


 

玉神庵尼清慧言花生人云服之生痰有一大家婦咳嗽痰多醫束手不治庵尼云上勸服花生每日食二三兩漸覺稀少不半年服花生二十余斤咳嗽與痰喘皆除想亦從治之法也

 


 

옥신암(玉神庵)의 이청혜(尼清慧)에 화생(花生)은 세간(世間)에서 복()하면 생담(生痰)한다고 하나, 어느 대가(大家)의 며느리가 해수(咳嗽)로 담()이 많고, 의사(醫師)도 포기하여 치료(治療)하지 않았는데 암니운상(庵尼云上)이 권()하여 화생(花生)을 매일(每日) ()~삼량(三兩)씩 먹자 점차 희소(稀少)해지는 것을 느꼈다. 반년(半年)이 되지 않아 화생(花生) 이십여근(二十餘斤)을 먹고 해수(咳嗽)와 담천(痰喘)이 모두 제거(除去)되었다. 하였다. 생각하건데 역시 종치법(從治法)인 것이다.

 


 

童鹿葊言花生本有滌痰之功予家凡患咳嗽止用生花生去殼膜取淨肉沖湯服咳嗽自安豈非化痰之功善於瓜蔞貝母世俗以火炒食反能生痰又凡被馬踢傷者忌服花生服之瘡愈增痛

 

 

 


 

花生油 

 


一名果油色白甘平氣腥滑腸下積膩膈生痰


 

 

일명(一名) 과유(果油) 백색(白色)으로 감()히고 평()하며, ()는 성()하다. 활장하적(滑腸下積)하고 니격생담(膩膈生痰)한다.

 

 


 

[本草綱目拾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