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간(毛茛)[본초강목]

2019. 1. 20. 02:38[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모간(毛茛)[본초강목]

 

 

 

미나리아재비 /모간(毛茛)

 

 

 

 

 

미나리아재비

 

이명:놋동이, 자래초, 바구지.참바구지

학명:Ranunculus japonicus Thunb.

분류군: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

일본명:キンポウゲ(金鳳花 ; Kinpoge)

영명:Japanese Buttercup

 

근생엽은 총생하고 엽병이 길며 오각상 원심장형으로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흔히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도 다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2.5-7cm,  3-10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으로서 톱니가 없다.

열매

열매가 모여서 원형의 취과를 형성한다. 수과는 도란상 원형이고 약간 편평하며 털이 없고 길이 2-2.5mm로서 끝에 짧은 돌기가 있다.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12-20mm이고 취산상으로 갈라진 소화경에 1개씩 달리며 5개의 꽃받침잎은 타원형으로서 겉에 털이 있고 수평으로 퍼지며 안으로 오목해진다. 꽃잎도 5편으로서 꽃받침보다 2-2.5배 길고 도란상 원형이며 밑부분에 소인편이 있고 윤채가 있으며 황색이고 기부에 1개의 꿀샘이 있다. 수술과 암술이 많고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화탁은 짧고 털이 없다.

줄기

줄기는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흰털이 밀생하며 속은 비어있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

짧은 근경에서 가늘고 긴 뿌리와 근출엽이 뭉쳐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만주, 중국, 대만에 분포하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 50cm내외이다.

 

 

 

생육환경

습기가 있는 양지에서 자란다. 산지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논·밭둑에서 자란다.

광선

양생

수분

습윤

/번식방법

종자, 분주에 의한다.

결실기

9

이용방안

독성이 있으나 잎을 생약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어릴 때는 식용으로도 한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줄기째 잘라서 염액을 얻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다양하고 독특한 색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재료이다.

全草(전초)  ()을 모간이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생것 그대로 사용한다.

 

성분 : 전초에는 protoanemonin과 그의 二重體(이중체) anemonin이 함유되어 있고 신선한 식물에는 protoanemonin 0.05% 함유되어 있다.

 

약효 : 말라리아, 황달, 편두통, 위통, 류머티성 관절염, 關節結核(관절결핵), 骨結核(골결핵), 기관지천식, 鶴膝風(학슬풍-膝關節結核(슬관절결핵)), 癰腫(옹종), 惡瘡(악창), 疥癬(개선), 齒痛(치통), 결막염 등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전액으로 씻는다. 水疱(수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징

독초로서, 유럽과 미국에서는 소나 말 등이 먹고 죽은 예가 있다.

 

 

 

 

 

학명 Ranunculus japonicus Thunb.

Trans. Linn. Soc. 2 : 337 (1794)

1. Ranunculus acris Regel

Tent. fl.-ussur. no. 18 (1861)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Ranunculus acris subsp. japonicus (Thunb.) Hulten

Kongl. Svenska Vetensk. Acad. Handl. ser. 3, 5 : 120 (Hulten, 1928)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Ranunculus acris subsp. steveni (Andrz.) Korsh.

Trudy Imp. S.-Peterburgsk. Bot. Sada 12 : 297 (1893)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4. Ranunculus acris var. japonicus (Thunb.) Maxim.

Enum. Pl. Jap. (Franch. & Sav., 2 vols: Vol. 1, pt. 1 (pgs. 1-192), 1873 Vol. 1, pt. 2 (pgs. 193-485), 1875 Vol. 2, pt. 1 (pgs. 1-256), 1877 Vol. 2, pt. 2 (pgs. 257-624), 1878 Vol. 2, pt. 3 (pgs. 625-789), 1879)

1) Fl. U.S.S.R. - use Fl. URSS (1963-x)

5. Ranunculus japonicus f. latissimus (Kitag.) Kitag.

Neolin. Fl. Manshur. 307 (Kitag., 19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Ranunculus japonicus var. latissimus Kitag.

J. Jap. Bot. 19 : 68 (1943)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7. Ranunculus labordei Lev. & Vaniot

Bull. Acad. Int. Geogr. Bot. 11 : 50 (1902)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8. Ranunculus propinquus Maxim.

Prim. fl. amur. 20 (1859)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국명 미나리아재비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1. 놋동이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2. 바구지

1)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3. 자래초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영문명 : Japanese Buttercup

일본명 : キンボウゲ

북한명 :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Thunb.

Trans. Linn. Soc. London 2: 337. 1794 [1 May 1794]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모간(毛茛)

Ranunculus japonicus Thunb.

이명(异名)

 

Ranunculus japonicus var. latissimus Kitag.

Ranunculus labordei H. Lév. et Vaniot

Ranunculus japonicus f. latissimus (Kitag.) Kitag.

Ranunculus acris subsp. japonicus (Thunb.) Hultén

 

多年生草本茎高30-60厘米与叶柄均有伸展的柔毛基生叶和茎下部叶有长柄叶片五角形长达6厘米宽达7厘米基部心形3深裂中央裂片宽菱形或倒卵形3浅裂疏生锯齿侧生裂片不等地2叶柄长达15厘米茎中部叶具短柄上部叶无柄3深裂花序具数朵花花直径达2厘米萼片5淡绿色船状椭圆形4.5-6毫米外被柔毛花瓣5黄色倒卵形6.5-11毫米4.5-8毫米基部具蜜槽雄蕊和心皮均多数聚合果近球形直径4-5毫米 自华南至东北地区广布朝鲜苏联远东地区日本也有生于沟边或水田边全草为外用发泡药治疟疾黄疸病等也可作土农药为有毒植物

 

 


^^^^^^^^^^^^^^^^^^^^^^^^^^^^^^^^^^^^^^^^^^^^^^^^^^^^^^^^^^^^^^^^^^^^^^^^^^^^^^^^^^^^^

 

毛茛

 

拾遺》)

 


 

校正

 

並入毛建草

 

釋名


 

毛建草(《拾遺》)、水茛(《綱目》)毛菫, 天灸(《衍義》) 自灸(《綱目》)、猴蒜

 

時珍曰乃草烏頭之苗此草形狀及毒皆似之故名

 


() 草烏頭(초오두) ()를 가리키고,  () 形狀(형상)이나 有毒性(유독성)이나 모두 그것과 흡사한 데서 따온 名稱(명칭)이다.

 

 


肘後方謂之水茛 又名毛建亦茛字音訛也俗名毛堇似水堇而有毛也

 


肘后方(주후방)에서는 이것을 水茛(수간)이라고 하고 있다. 또한 毛建(모건)이라는 것은 역시 茛字(간자) 發蔭(발음)이 잘못된 것이다. 흔히들 毛菫(모근)이라 하는 것은 水菫(수근)과 비슷한 ()가 있기 때문이다.

 


山人截瘧采葉 貼寸口一夜作泡如火燎故呼為天灸自灸

 


山間(산간) 住民(주민)들은 ()을 잡는 데이 이 ()을 주물러서 寸口(촌구)에 바르고 붙인다. 그러면 하룻밤에 ()가 되어서 마치 火燎(화료)한 것처럼 된다. 그래서 天灸(천구), 自灸(자구)등의 呼名(호명)이 따른다.

 

 

 


集解


 

藏器曰陶注鉤吻云或是毛茛蘇恭云毛茛是有毛石龍芮也有毒與鉤吻無干葛洪百一方菜中有水茛葉圓而光生水旁有毒蟹多食之人誤食之狂亂如中風狀或吐血以甘草汁解之又曰毛建草生江東地田野澤畔葉如芥而大上有毛花黃色子如蒺藜

 

 


時珍曰毛建毛茛即今毛堇也下濕處即多春生苗高者尺餘一枝三葉葉有三尖及細缺與石龍芮莖葉一樣但有細毛為別五月開小黃花五出甚光艷結實狀如欲綻青桑椹如有尖峭與石龍芮子不同人以為鵝不食草者大誤也方士取汁煮砂伏硫沈存中筆談所謂石龍芮有兩種水生者葉光而末圓陸生者葉毛而末銳此即葉毛者宜辨之

 

 


 

葉及子

 


氣味

 

有毒

 

 


 

主治

 


惡瘡癰腫疼痛未潰搗葉敷之不得入瘡令肉爛又患瘧人以一握微碎縛於臂上男左女右勿令近肉即便成瘡


 

惡瘡(악창) 癰腫(옹종) 疼痛(동통)하고 아직 ()하지 않는 데는 ()을 찧어서 바른다. 瘡中(창중)에 넣어서는 안 된다. 넣게 됨녀 () 傷爛(상란)하게 한다.  () 患者(환자)에게는 一握(일악) 微碎(미쇄)해서 男子(남자) (), 女子(여자) () 臂上(비상) 縛付(박부)한다. ()이 될 수 있기 때문에 () 近接(근접)시켜서는 안 된다.

 

 


和薑搗塗腹破冷氣藏器)。

 


() ()해서 찧고 ()하면 冷氣(냉기) ()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창소초(金瘡小草)[본초강목]  (0) 2019.01.25
석용예(石龍芮)[본초강목]  (0) 2019.01.25
자형(紫荊)[본초강목]  (0) 2019.01.19
운실(雲實)[본초강목]  (0) 2019.01.19
웅(熊)[본초강목]  (0) 2019.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