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 19. 22:49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자형(紫荊)[본초강목]
박태기나무/자형목(紫荊木)
박태기나무
이명:[소방목] [밥태기꽃나무] [구슬꽃나무]
학명; Cercis chinensis Bunge
분류군: Leguminosae(콩과)
잎
잎은 호생하며 단엽이고 혁질이며 심장형이고 지름 6-11cm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으며 털이 없고 기부에서 5출맥이 발달하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엽맥 기부에 잔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3cm정도로서 표면은 자적색, 뒷면은 황록색이다. 콩과 식물중에서는 드물게 보는 단엽(單葉)이다.
열매
협과(莢果)는 꼬투리의 길이 7-12cm이고 장타원형이며 한쪽에 3개의 좁은 날개가 있고 8-9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황록색으로 길이 7~8mm이며 편평하고 타원형이다.
꽃
꽃은 4월하순에 잎보다 먼저 피며 길이 1.2-1.8cm로서 자홍색이고 화경이 없으며 7-8개, 많은 것은 20-30개씩 모여 달려 산형화서를 이룬다. 소화경은 길이 6-15mm로서 꽃받침과 더불어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2/3정도되는 곳에 마디가 있어 부러지며 기판은 길이 8-10mm이고 용골판(龍骨瓣)은 나비 5mm이다. 수술은 연한 홍색이며 길이 10-12mm이고 암술은 길이 10mm로서 황록색이지만 끝은 적색이다. 꽃은 접형화관으로 자홍색으로 피는데 나무 전체가 꽃방망이처럼 장관을 이룬다.
줄기
밑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한다. 수피는 회갈색이고 어린가지는 지름3-4mm이고 지그재그로 자라며 피목이 많고 동아는 흑색이다. 골속은 사각형 비슷하며 백색이지만 점차 연갈색으로 변하고 수관(髓冠)은 녹색, 목재는 연한 녹색이다.
원산지
중국
분포
중부 이남의 표고 400~800m 지역에서 식재하고 있다.
형태
낙엽활엽관목, 낙엽저목이지만 소교목이 되는 성질이 있다.
크기
크기가 3-5m 정도 자란다.
생육환경
반그늘이든 양지쪽이든 아무곳에서나 자라나 양지에서 잘 자라고 추위에 강하며 수분요구도와 비옥도가 낮아 황폐지나 척박지에 심어도 잘 자란다. 토질은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비옥한 사질 양토가 좋다. 한번 뿌리가 붙으면 적응성이 많은 나무이므로 별로 염려할 것은 없다.
광선
양생,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꽃/번식방법
▶파종: 가을에 익은 씨를 따서 직파하든가 또는 노천매장 후 다음해 봄에 얕게 뿌린다. 파종한 묘는 첫해는 더디게 자라지만 다음 해부터는 50cm 이상씩 자라므로 2년째 봄에 한 번 이식하여 비배하면 3년째부터는 개화한다.
▶포기나누기: 포기 나누기는 뿌리쪽에서 곁가지가 나오므로 흙을 북돋아 주었다가 뿌리가 나면 잘라 독립시킨다.
▶삽목: 장마때 그해 자란 다소 굳어진 가지를 잘라 꺾꽂이를 할 수 있다. 3-4월에 지난 해 자란 가지를 잘라 꺾꽂이하기도 한다.
재배특성
이식을 할 수 있으나 뿌리가 엉성하므로 포기 나누기 할 때는 주의를 요한다. 전정도 가능하다.
결실기
8월,9월
삽목기
3월,4월
이용방안
▶이른 봄의 꽃을 관상하기 위하여 정원이나 공원에 식재수로 많이 심는다. 심을 때에는 주상형으로 자라는 수형때문에 다른 나무와 혼식하면 잘 조화되지 않으므로 집 주위나 잔디밭에 독립시켜 심는 편이 훨씬 돋보인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매염제에 대한 반응, 특히 동에 대한 반응이 뛰어나다.
▶수피는 紫荊皮(자형피), 근피(根皮)는 紫荊根皮(자형근피), 목부(木部)는 紫荊木(자형목), 화(花)는 紫荊花(자형화), 과실은 紫荊果(자형과)라 하며 약용한다.
⑴紫荊皮(자형피) -
①7-8월에 수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紫荊(자형)에는 tannin이 함유되어 있고 종자에는 미량의 遊離(유리) lysin과 asparagin산(酸)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活血(활혈), 消腫(소종), 通經(통경), 해독의 효능이 있다. 風寒濕痺(풍한습비), 월경폐지, 월경통, 喉痺(후비-喉中閉塞不通(후중폐새불통)), 淋疾(임질-소변이 快通(쾌통)하지 않고 통증이 있다), 癰腫(옹종), 癬疥(선개), 타박상, 蛇蟲咬傷(사충교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술에 담그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⑵紫荊根皮(자형근피) -
①약효 : 破瘀(파어), 活血(활혈), 消癰(소옹), 해독의 효능이 있다. 狂犬咬傷(광견교상)에는 신선한 자형목피를 傷口(상구)의 주위에 붙이고 婦人(부인)의 遺尿症(유뇨증)에는 자형근 15-24g을 술, 물 각 반잔씩을 넣고 달여 복용한다.
②용법/용량 : 6-12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⑶紫荊木(자형목) -
①약효 : 活血(활혈), 通淋(통림)의 효능이 있다. 부인의 痛經(통경), 瘀血腹痛(어혈복통), 淋病(임병)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⑷紫荊花(자형화) -
①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小腸(소장)을 通(통)하게 하고 祛風(거풍),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筋骨痛(근골통), 鼻中疳瘡(비중감창)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3-6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⑸紫荊果(자형과) -
咳嗽(해수)와 姙婦(임부)의 心痛(심통)을 치료한다. 6-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병충해정보
잎이 다갈색이 되는 병이 생긴다. 이것은 공기 유통이 나쁘다든가 배수가 안될 때 생기는 것이다.
방제방법
장마가 개이면 타이젠을 10일 간격으로 뿌리면 된다.
학명 Cercis chinensis Bunge
Mem. Acad. Sci. St. Petersb. 2: 95
1. Cercis chinensis for. rosea Hsu
2. Cercis pauciflora Li.
국명 박태기나무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5)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1. 구슬꽃나무
2. 밥태기꽃나무
3. 소방목
Cercis chinensis Bunge
Enum. Pl. Chin. Bor. 21. 1833 [Mar 1833]
21 1833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자형(紫荊)
Cercis chinensis Bunge
异名(이명)
Cercis chinensis f. rosea P. S. Hsu
Cercis pauciflora H. L. Li
乔木,高达15米,经栽培后,通常为灌木。叶互生,近圆形,长6-14厘米,宽5-14厘米,先端急尖或骤尖,基部深心形,两面无毛。花先于叶开放,4-10朵簇生于老枝上;小苞片2个,阔卵形,长约2.5毫米;花玫瑰红色,长约1.5-1.8厘米;花梗细,长约6-15毫米。荚果条形,扁平,长5-14厘米,宽约1.3-1.5厘米,沿腹缝线有狭翅;种子2-8粒,扁,近圆形,长约4毫米。
分布于华北、华东、西南、中南、甘肃、陕西、辽宁。
生于山坡、溪旁、灌丛中,或栽培于庭园。树皮、木材、根入药,有活血行气、消肿止痛、祛瘀解毒之效;树皮、花梗为外科疮疡要药。
^^^^^^^^^^^^^^^^^^^^^^^^^^^^^^^^^^^^^^^^^^^^^^^^^^^^^^^^^^^^^^^^^^^^^^^^^^^^
紫荊
(宋《開寶》)
【校正】
並入(《拾遺》) 紫珠。
【釋名】
紫珠(《拾遺》)皮名肉紅(《綱目》)內消。
時珍曰︰其木似黃荊而色紫,故名。其皮色紅而消腫,故瘍科呼為肉紅,又曰內消,與何首烏同名。
그 나무는 黃荊(황형)과 같고 紫色(자색)이다. 그래서 붙여진 이름인 것이다. 그 皮(피)는 紅色(홍색), 消腫(소종)한다. 그래서 瘍科(양과)에서는 이것을 肉紅(육홍)이라 하고 또한 內消(내소)라고도 하는데 何首烏(하수오)와 同名(동명)인 것이다.
【集解】
頌曰︰紫荊處處有之,人多種於庭院間。木似黃荊,葉小無丫,花深紫可愛。
藏器曰︰即田氏之荊也。至秋子熟,正紫,圓如小珠,名紫珠。江東林澤間尤多。
宗奭曰︰春開紫花甚細碎,共作朵生,出無常處,或生於木身之上,或附根上枝下,直出花。花罷葉出,光緊微圓。園圃多植之。
時珍曰︰高樹柔條,其花甚繁,歲二、三次。其皮入藥,以川中濃而紫色、味苦如膽者為勝。
木並皮
【氣味】
苦,平,無毒。
藏器曰︰苦,寒。
大明曰︰皮、梗及花,氣味功用並同。
【主治】
破宿血,下五淋,濃煮汁服(《開寶》)。
宿血(숙혈)을 破(파)하고, 五淋(오림)을 下(하)한다. 濃煮汁(농자즙)을 服用(복용)한다.
通小腸(大明)。
小腸(소장)을 通利(통리)한다.
解諸毒物,癰疽喉痺,飛尸蠱毒,腫下 ,蛇、虺、蟲、蠶、狂犬毒,並煮汁服。亦以汁洗瘡腫,除血長膚(藏器)。
諸毒物(제독물), 癰疽(옹저), 喉痺(후비), 飛尸(비시), 蠱毒腫(고독종), 下瘻(하루), 蛇蚖(사원), 蟲(충) 蠶(잠), 狂犬(광견)의 毒(독)을 解消(해소)한다. 모두 煮汁(자즙)을 服用(복용)한다. 또한 汁(즙)으로 瘡腫(창종)을 씻으면 諸血長膚(제혈장부)한다.
活血行氣,消腫解毒,治婦人血氣疼痛,經水凝澀.(時珍)
活血行氣(활혈행기)하고, 消腫解毒(소종해독)하며, 婦人(부인)의 血氣疼痛(혈기동통), 經水(경수)의 壅塞(옹색)을 治(치)한다.
【發明】
時珍曰︰紫荊氣寒味苦,色紫性降,入手、足厥陰血分。
紫荊(자형)의 氣(기)는 寒(한), 味(미)는 苦(고), 色(색)은 紫(자)이며, 性(성)은 降(강)인데 手足厥陰血分(수족궐음혈분)에 들어간다.
寒勝熱,苦走骨,紫入營。故能活血消腫,利小便而解毒。
寒(한)은 熱(열)에 勝(승)하고, 苦(고)는 骨(골)로 走行(주행)하며, 紫(자)는 營(영)에 들어가는 것이다. 그래서 곧잘 活血消腫(활혈소종)하고, 小便(소변)을 通利(통리)하여 解毒(해독)하는 것이다.
楊清叟《仙傳方》有沖和膏,以紫荊為君,蓋亦得此意也。其方治一切癰疽發背流注諸腫毒,冷熱不明者。
楊清叟(양청수)의 神仙方(신선방)에 있는 沖和膏(충화고)에서 紫荊(자형)을 君(군)으로 한 것은 이 뜻을 得(득)한 것이다. 그 方(방)은 一切(일체)의 癰疽發背(옹저발배), 流注諸腫毒(유주제종독), 冷熱不明(냉열불명)한 것을 治(치)한다.
紫荊皮(炒)三兩,獨活(去節,炒)三兩,赤芍藥(炒)二兩,生白芷一兩,木蠟(炒)一兩,為末。用蔥湯調,熱敷。
紫荊皮(자형피)를 炒(초)한 것 三兩(삼량) 獨活(독활)을 去節(거절)하고 炒(초)한 것 三兩(삼량), 赤芍藥(적작약)을 炒(초)한 것 二兩(이량), 生白芷(생백지) 一兩(일량), 木蠟(목랍)을 炒(초)한 것 一兩(일량)을 作末(작말)하여 蔥湯(총탕)에 조화하고 뜨겁게 하여 붙인다.
血得熱則行,蔥能散氣也。瘡不甚熱者,酒調之。痛甚者,加乳香。筋不伸者,亦加乳香。大抵癰疽流注,皆是氣血凝滯所成,遇溫則散,遇涼則凝。
血(혈)은 熱(열)을 얻으면 行(행)하는데 蔥(총)은 能(능)히 散氣(산기)하게 한다. 瘡(창)의 熱(열)이 심하지 않는 것은 술로 調和(조화)한다. 疼痛(동통)이 甚(심)한 것, 筋(근)이 屈身不能(굴신불능)한 것에는 乳香(유향)을 加(가)한다. 大體的(대체적)으로 癰疽流注(옹저유주)는 모두 氣血(기혈)의 凝滯(응체)에서 일어나는 것인데 溫(온)을 만나면 散(산)하고, 凉(양)을 만나면 凝(응)하는 것이다.
此方溫平,紫荊皮乃木之精,破血消腫。獨活乃土之精,止風動血,引拔骨中毒,去痺濕氣。芍藥乃火之精,生血止痛。木蠟乃水之精,消腫散血,同獨活能破石腫堅硬。
이 方(방)은 溫(온), 平(평)한 것이며, 紫荊皮(자형피)는 즉 木(목)의 精(정)인데 破血(파혈)消腫(소종)하고, 獨活(독활)은 즉 土(토)의 精(정)으로서 止風動血(지풍동혈)하고, 骨中(골중)의 毒(독)을 引拔(인발)하며, 痺濕(비습)의 氣(기)를 除去(제거)한다. 芍藥(작약)은 즉 火(화)의 精(정)인데 生血止痛(생혈지통)하고, 木蠟(목랍)은 水(수)의 精(정)으로서 消腫散血(소종산혈)하여 獨活(독활)과 함께 곧잘 石腫(석종)의 堅硬(견경)을 破(파)한다.
白芷乃金之精,去風生肌止痛。蓋血生則不死,血動則流通,肌生則不爛,痛止則不 ,風去則血自散,氣破則硬可消,毒自除。五者交治,病安有不愈者乎?
白芷(백지)는 즉 金(금)의 精(정)으로서 去風生肌(거풍생기)하고 止痛(지통)한다. 生血(생혈)하면 不死(불사)하고, 動血(동혈)하면 流通(유통)하며, 生肌(생기)하면 不爛(불란)한다. 止痛(지통)하면 不掀(불흔)하고, 祛風(거풍)하면 血(혈)은 自散(자산)하고, 氣(기)가 破(파)하게 되면 消硬(소경)하며, 毒(독)은 스스로 解除(해제)되는 것인데 五者(오자)는 차례로 治病(치병)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不癒(불유)할 까닭이 없는 것이다.
【附方】
新九。
婦人血氣︰紫荊皮為末,醋糊丸櫻桃大。每酒化服一丸。(熊氏《補遺》)。
鶴膝風攣︰紫荊皮三錢,老酒煎服,日二次。(《直指方》)。
傷眼青腫︰紫荊皮,小便浸七日,晒研,用生地黃汁、薑汁調敷。不腫用蔥汁。(《永類方》)。
犬咬傷︰紫荊皮末,沙糖調塗,留口退腫。口中仍嚼咽杏仁去毒。(《仙傳外科》)。
鼻中疳瘡︰紫荊花陰乾為末,貼之。(《衛生易簡方》)。
發背初生,一切癰疽皆治︰單用紫荊皮為末,酒調箍住,自然撮小不開。內服柞木飲子。
乃救貧良劑也。(《仙癰疽未成︰用白芷、紫荊皮等分。為末。酒調服。外用紫荊皮、木蠟、赤芍藥等分。為末。酒調作箍藥。(同上)。
痔瘡腫痛︰紫荊皮五錢。新水食前煎服。(《直指方》)。
產後諸淋︰紫荊皮五錢。半酒半水煎,溫服。(熊氏《補遺》)。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용예(石龍芮)[본초강목] (0) | 2019.01.25 |
---|---|
모간(毛茛)[본초강목] (0) | 2019.01.20 |
운실(雲實)[본초강목] (0) | 2019.01.19 |
웅(熊)[본초강목] (0) | 2019.01.14 |
비맹(蜚虻)[본초강목] (0) | 2019.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