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위(女萎)[본초강목]

2019. 1. 1. 01:41[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여위(女萎)[본초강목]

 

 

 

 

 

사위징빵

 

이명:질빵풀

학명:Clematis apiifolia DC.

분류군: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

일본명:ボダンズル(Botan-zuru)

영명:Aoiifolia Virgin`s bower

 

잎은 대생하고 3출복엽 간혹 23출한다.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길이 4-7cm로서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결각상의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표면에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 맥위에 잔털이 있다.

열매

수과는 5-10개가 모여 달리고 좁은 난형이며 담갈색털이 있는 화주가 달려있다. 암술대가 달려 있다. 암술대에는 길이 1cm 정도의 백색 또는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열매는 9월에 성숙한다.

꽃은 7-9월에 피고 액생하는 짧은 취산화서 또는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5-12cm이고 꽃은 지름 13-25mm이다. 꽃받침잎은 4개로서 피침상 도란형이며 길이 7-10mm로서 백색이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수술은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다. 꽃잎은 4장으로 십자형이고, 암술과 수술은 각각 여러개이다.

줄기

길이가 3m에 달하며 줄기에 세로 능선이 있고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전국 산야의 표고 50-1,000m사이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활엽 만경목.

크기

길이가 3m 에 달한다.

 

 

 

생육환경

산야에서 흔히 자라며 이 나무가 잘 자라는 토질은 화강암계, 현무암계, 화강편마암계, 편상화강암계, 경상계, 반암계 등이며 대개는 아무데서나 잘 자라는 편이다. 내한성이 강한 양지식물로서 내음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은 약하다.

광선

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번식방법

종자재배법, 종내잡종법, 생태육종법, 분주법 등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대개 분주법에 의해서 번식된다.

종자를 노천매장하였다가 뿌리기도 하며 3-4, 5-6, 9-10월경에 가지삽목을 실시하기도 한다. 해가림을 해 주어야 한다. 개량된 원예품종을 증식시키고자 할 때에는 할접 또는 휘묻이를 하기도 한다.

결실기

9,10

이용방안

이 나무는 유독성식물이며 식용, 관상용, 약용으로 쓰인다.

울타리에 심으면 여름철에 많은 꽃을 볼 수 있고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잘 견디므로 조경 및 보안시설 은폐용으로 적합하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줄기째 잘라 염액을 내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각각의 색이 선명하고 뚜렷하였다.

사위질빵, 좀사위질빵의 () 女萎(여위)라 하며 약용한다.

가을에 줄기를 채취하여 周皮(주피)를 벗기고 알맞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전초에는 quercetin, 有機酸(유기산), sterol, 소량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약효 : 瀉痢脫肛(사리탈항-下痢脫肛(하리탈항)), 驚癎寒熱(경간한열), 寒熱百病(한열백병-말라리아()), 姙婦浮腫(임부부종), 筋骨疼痛(근골동통), 곽란설리(콜레라성 下痢(하리))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丸劑(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태워서 연기를 쐰다.

유사종

할미밀빵(C.trichotoma Nak.): 꽃이 6월에 피고 액생(腋生)하는 취산화서에 3개씩 달리며 수과는 15-16개가 한군데 모여 달린다.

좀사위질빵(C. brevicaudata Dc.): 잎이 23출이며 열매에 털이 없다

특징

강원도 원성군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사위질빵외에 전나무, 소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광대싸리등이 자라고 있다.

돌이나 나무를 기어오르는 습성이 있고 맹아력이 강하다.

 

 

 

 

 

학명 Clematis apiifolia DC.

Regni vegetabilis systema naturale 1:149 (1818)

국명 사위질빵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질빵풀

영문명 : Aoiifolia Virgin`s bower

일본명 : ボダンズル

북한명 :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DC.

Syst. Nat. [Candolle] 1: 149. 1817 [1818 publ. 1-15 Nov 1817]

1: 149 1817

Original Data:

Notes: Japon

 

Candolle, Augustin Pyramus de (1778-1841)

Standard Form:

DC.

 

Alternative Names:

de Candolle, Augustin Pyramus

 

Area of Interest:

Pteridophytes , Mycology , Bryophytes , Spermatophytes

 

Information Source:

CMI, Missouri Bryological list, Pichi Sermolli's list, 3 March 1991. Details of DC.'s associates in Lejeunia, 184: 75-101 (2008).

 

Countries:

France , Switzerland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女萎(여위)

 

Clematis apiifolia DC.

 

异名(이명)

Clematis apiifolia subsp. franchetii Kuntze

Clematis apiifolia subsp. niponensis Kuntze

 

 

藤本小枝和花序密生紧贴的微柔毛叶对生为三出复叶5-13厘米小叶卵形长达6厘米宽达4.6厘米不明显3浅裂或不分裂边缘有粗锯齿上面近无毛下面疏生短柔毛叶柄长1.5-6厘米圆锥花序具多数花花直径约1厘米萼片斗白色狭倒卵形长约7毫米外面密生短柔毛无花瓣雄蕊多数4-6毫米无毛瘦果长约2毫米有短毛羽状花柱长约1.2厘米 分布在安徽南部江苏浙江福建和台湾日本也有生于山地林边

 

钝齿铁线莲C.obtusidentata (Rehd. et Wils.)Hj. Eichler极近本种但小叶密生短柔毛边缘有疏牙齿分布在云南东部四川贵州湖北湖南江西和广西北部

 

 

 

 

^^^^^^^^^^^^^^^^^^^^^^^^^^^^^^^^^^^^^^^^^^^^^^^^^^^^^^^^^^^^^^^

女萎

 

(《李當之本草》)



 

集解


 

恭曰女萎葉似白蘞蔓生花白子細荊襄之間名為女萎亦名蔓楚用苗不用根與葳蕤全別今太常謬以為白頭翁者是也


 

女萎(여위) () 白蘞(백렴)과 흡하고 蔓生(만생)하며, 꽃은 白色(백색), () ()하다. 荊襄地方(형양지방)에서는 女萎(여위)라 하고, 또한 蔓楚(만초)라고도 한다. ()를 사용하며 ()은 사용하지 않는다. 萎蕤(위유)와는 전연 다르다. 오늘날 太常(태상)에서는 白頭翁(백두옹)이라 잘 못 ()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時珍曰諸家誤以女萎解葳蕤正誤見葳蕤下


 

諸家(제가) 女萎(여위)와는 전연 다르다. 오늘날 萎蕤(위유) ()하고 있다.  正誤(정오) 葳蕤(위유) () 揭載(게재)하였다.

 

 


修治


 

雷斅曰凡采得陰乾去頭並白蕊於槐砧上銼拌豆淋酒蒸之從巳至未出晒乾

 


대개 이것을 採取(채취)하면 陰乾(음건)하여 () 白蕊(백예) 除去(제거)하고, 槐砧(괴침) 위에서 剉切(좌절)한 다음 豆淋酒(두림주) ()하여 오전 十時(십시)부터 午後(오후) 二時(이시)까지 ()하고 取出(취출)하여 晒乾(쇄건)한다.

 

 

 


氣味


 

無毒

 



主治

 


止下痢消食當之)。


 

下痢(하리) ()하고, 食物(식물) 消化(소화)한다.

 

 


風寒洒霍亂泄痢腸鳴游氣上下無常驚癇寒熱百病出汗(《唐本》)。

 


 

風寒(풍한)으로 오싹오싹하는 것, 霍亂(곽란), 洩痢(설리), 腸鳴(장명), 游氣(유기) 上下(상하) 一定(일정)하지 않는 것, 驚癎寒熱(경간한열), 온갖 () 出汗(출한).

 

 


 

附方新三


 

下不止女萎雲實各一兩川烏頭二兩桂心五錢為末蜜丸梧子大每服五丸水下一日三服。(《肘後方》)

身體 瘍斑駁女葳膏用魯國女葳白芷各一分附子一枚雞舌香木香各二分為末臘豬脂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