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부자(白附子)[본초강목]

2018. 12. 21. 01:22[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백부자(白附子)[본초강목]

 

 

 

백부자/관백부(关白附)

 

 

 

백부자

 

이명:노랑돌쩌귀, 노랑바꽃

학명:Aconitum koreanum R.Raymund

분류군: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

일본명:キバナトリカブト(Kibana-tori-kabuto)

漢名:白附子(흰 백. 붙을 부, 아들 자)

 

잎은 호생하고 길이 10cm에 이르는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져서 거의 없어지며 3-5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裂片)이 다시 잘게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열매

열매는 골돌로서 3개이며 길이 1-2cm이고 털이 없으며 끝에 암술대가 달려 있어 뾰족하다. 종자는 세모진 타원형이며 매끄럽고 길이 4mm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황색 또는 황색 바탕에 자줏빛이 돌며 줄기상부 또는 그 부근의 엽액에서 7-8개가 총상화서로 핀다. 소화경은 길이 0.5-4mm로 짧으며 짧은 털이 밀생하고 중부에 선상포엽이 2개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뒤쪽의 것은 고깔같으며 앞이마쪽이 나와 있고 옆의 것은 거의 둥글며 옆으로 서고 밑부분의 2개는 비스듬히 밑으로 퍼진다. 꽃잎은 2개로서 길게 자라 뒤쪽의 꽃받침잎 속에 들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은 3개로서 털이 없다.

줄기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서며 화서 이외에는 털이 없다.

뿌리

마늘쪽같은 뿌리가 2개 간혹 3개씩 발달한다.

원산지

한국,만주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1m에 이른다.

문헌자료

이유미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도서출판생명의나무. 서울.

 

 

생육환경

생육지는 지형적으로 산복부나 능선지역이며, 토양은 약간 건조한 곳이다.

방위는 북서에서 북동이고 경사 5-25도가 적당하고 토심은 깊은 곳이 적지이다.

해발고 600-800m가 알맞고 비음도는 20-30%인 곳이 백부자가 생육하기 좋다.

토양산도는 약간 산성인 pH5.4-6.2가 알맞은 지역이다.

광선

양생

이용방안

 

塊根(괴근) 白附子(백부자)라 하며 약용한다.

 

8-9월에 채취하여 줄기, ,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말린다.

 

성분 : 백부자에는 hypaconitine을 함유한다.

 

약효 : 風痰(풍담) ()하고 寒濕(한습) ? 驚癎(경간)을 진정케 하는 효능이 있다.

중풍에 의한 痰壅(담옹), 口眼歪斜(구안왜사-안면신경마비), 두통, 癩癎(나간), 류머티즘에

의한 痲痺疼痛(마비동통), 파상풍, 면부간증(婦人(부인)에 많은 안면의 갈흑색 반점), 瘡瘍疥

(창양개선), 皮膚濕痒(피부습양), 心部痛(심부통), 血痺(혈비), 얼굴에 나는 여러가지 병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6g을 달여 복용한다.

보호방안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특징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백부자(노랑돌쩌귀) :  200종이 북반구의 온대와 한대지역에 자라며 모두가 유독식물이다. 우리나라에는 약 40종류가 자생하는데 종속지적 지견이 정설적이 아니다.

문헌자료

-.이유미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도서출판생명의나무. 서울.

 

 

 

 

 

 

 

학명 Aconitum koreanum R.Raymund

Novenyt. Kozlem. 5: 20 (1907)

1. Aconitum coreanum (Lev.) Lev.

Repert. Spec. Nov. Regni Veg. 7 : 101 (1909)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284 (Kitag., 1979)

2. Aconitum delavayi var. coreanum H.Lev.

Bull. Acad. Int. Geogr. Bot. 11: 300 (1902)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284 (Kitag., 1979)

3. Aconitum komarovii Steinb.

Fl. URSS 7: 191 (1937)

1)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284 (Kitag., 1979)

국명 백부자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노랑돌쩌귀

1)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초본류) (정태현, 1965)

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2. 노랑바꽃

1)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영문명 :

일본명 : キバナトリカブト

북한명 : 노란돌쩌귀

Aconitum koreanum Rapaics

in Nov. Kozl. vi. 154 (1907).

vi. 154 (1907). 0

Original Data:

Notes: Corea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황화오두(黄花乌头)

Aconitum coreanum (Lévl.) Rapaics

 

 

 

이명(异名)

 

Aconitum delavayi var. coreanum H. Lév.

Aconitum komarovii Steinb.

 

 

Aconitum coreanum H.Lév.

Repert. Spec. Nov. Regni Veg. 7: 101. 1909

7: 101 1909

Original Data:

Notes: Corea

 

 

 

^^^^^^^^^^^^^^^^^^^^^^^^^^^^^^^^^^^^^^^^^^^^^^^^^^^^^^^^^^^^^^^^^^^^^^^^^^^^

 


白附子

 

(《別錄下品


 

 

釋名

 

見後發明下

 

 

 


集解


 

別錄白附子生蜀郡三月採

弘景曰此物久絕無複真者

恭曰本出高麗今出涼州以西蜀郡不複有生砂磧下濕地獨莖似鼠尾草細葉周 匝生於穗間根形似天雄

徐表南州異物記生東海新羅國及遼東苗與附子相似

時珍曰根正如草烏頭之小者長寸許乾者皺紋有節

 



氣味


 

大溫有小毒

 

保升曰

大明曰無毒

小毒 入藥炮用

杲曰純陽引藥勢上行

 



主治


 

心痛血痺面上百病行藥勢(《別錄》)。

 


心痛(심통) 血痺(혈비), 顔面(안면)의 모든 (), 藥力(약력) ()하게 한다.

 



中風失音一切冷風氣面皯瘢疵 大明)。

 


中風失音(중풍실음), 一切(일체) 冷風機(냉풍기), 面皯(면간), 瘢疵(반자)

 


 

諸風冷氣足弱無力疥癬風瘡陰下濕癢頭面痕入面脂用李珣)。

 


諸風冷氣(제풍냉기) 足弱無力(족약무력)한 것, 疥癬(개선), 風瘡(풍창), 陰下(음하) 濕癢(습양), 頭部(두부) 面部(면부) ()에는 面脂(면지)에 넣어 使用(사용)한다.

 



補肝風虛好古)。


 

() 風虛(풍허) ()한다.

 

 


風痰震亨)。


 

風痰(풍담)

 

 

 


 

發明


 

時珍曰白附子乃陽明經藥因與附子相似故得此名實非附子類也

 


白附子(백부자) 陽明經(양명경) ()으로 附子(부자) 類似(유사)한 데서 이 名稱(명칭)이 붙은 것이나 附子類(부자류)는 아니다.

 


 

︰《楚國先賢傳孔休傷頰有瘢王莽賜玉屑白附子香與之消瘢

 


 

살펴보건대 楚國先賢傳(초국선현전) 孔休(공휴) () 負傷(부상)을 입어 ()이 있었는데 王莽(왕망) 玉屑(옥설), 白附子香(백부자향) 下賜(하사)하여 () ()하였다.” 라고 하였다.

 



 

附方新十二


 

中風口半身不遂牽正散用白附子白僵蠶全蠍並等分生研為末每服二錢熱酒調下。(《楊氏家藏方》)

 

小兒暑風暑毒入心痰塞心孔昏迷搐搦此乃危急之証非此丸生料瞑眩之劑不能伐之三生丸用白附子天南星半夏並去皮等分生研豬膽汁和丸黍米大量兒 大小以薄荷湯下令兒側臥嘔出痰水即蘇。(《全幼心鑒》)

風痰眩暈頭痛氣郁胸膈不利白附子炮去皮臍半斤石膏 半斤朱砂 二兩二錢半龍腦一錢為末粟米飯丸小豆大毎服三十丸 食後茶酒任下。(《御藥院方》)

 

偏正頭風白附子白芷豬牙皂角去皮等分為末每服二錢食後茶清調下 右痛右

 

痰厥頭痛白附子天南星半夏等分生研為末生薑自然汁浸蒸餅丸綠豆大每服四十丸食後薑湯下。(《濟生方》)

 

赤白汗斑白附子硫黃等分為末薑汁調稀茄蒂蘸擦日數次。(《簡便方》)

 

面上䵟䵳白附子為末臥時漿水洗面以白蜜和塗紙上貼之久久自落。(《衛生易簡方》)

 

耳出膿水白附子)、羌活各一兩為末豬羊腎各一個每個入末半錢濕紙包 煨熟

 

喉痺腫痛白附子末枯礬等分研末塗舌上有涎吐出。(《聖惠方》)

 

偏墜疝氣白附子一個為末津調填臍上以艾灸三壯或五壯即愈。(楊起簡便方》)

慢痺驚風白附子半兩天南星半兩黑附子一錢並炮去皮為末每服二錢生薑五片水煎服 亦治大人風虚, 止吐化痰宣和間真州李博士用, 治吳内翰女孫甚効康州陳侍郎病風虚極昏吳内翰令服三四服即愈 (《楊氏家藏方》)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위(女萎)[본초강목]  (0) 2019.01.01
합환피(合歡皮)[본초강목]  (0) 2018.12.29
계피(桂皮) 천축계(天竺桂)[사전]  (0) 2018.12.11
천축계(天竺桂)  (0) 2018.12.11
균계(菌桂)[본초강목]  (0) 2018.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