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1. 31. 15:54ㆍ[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黃精
靂댓불휘性平味甘無毒主補中益氣安五藏補五勞七傷助筋骨益脾胃潤心肺○一名仙人飯三月生苗高一二尺葉如竹葉而短兩兩相對莖梗柔脆頗似桃枝本黃末赤四月開細靑白花子白如黍亦有無子者根如嫩生薑黃色二月八月採根暴乾根葉花實皆可餌服○其葉相對爲黃精不對爲偏精功用劣○其根雖燥拄柔軟有脂潤《本草》○黃精得太陽之精也入藥生用若久久服餌則採得先用毙水綽過去苦味乃九蒸九暴《入門》○我國惟平安道有之平時上貢焉《俗方》
황정(黃精, 낚시둥굴레)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우며 5장을 편안하게 하고 5로 7상(五勞七傷)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비위를 보하며 심폐를 눅여 준다[潤].
○ 일명 선인반(仙人飯)이라고도 한다. 음력 3월에 돋아나며 키는 1-2자이다. 잎은 참대잎 같으나 짧고 줄기에 맞붙어 나온다. 줄기는 부드럽고 연한데 복숭아나무가지와 거의 비슷하다. 밑은 누르고[黃] 끝은 붉다. 음력 4월에 푸르고 흰빛의 잔 꽃이 피며 씨는 흰 기장(白黍)과 같다. 씨가 없는 것도 있다. 뿌리는 풋생강 비슷한데 빛은 누르다.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뿌리와 잎, 꽃, 씨 등을 다 먹을 수 있다.
○ 잎은 한 마디에 맞붙어 난 것을 낚시둥굴레라 하고 맞붙어 나지 않은 것을 편정(偏精)이라 하는데 약효가 못하다.
○ 낚시둥굴레의 뿌리는 말려도 누긋누긋하며[柔軟] 기름기와 윤기가 있다[본초].
○ 낚시둥굴레는 태양의 정기를 받은 것이다. 약으로는 생것대로 쓴다. 만일 오랫동안 두고 먹으려면 캐어 먼저 물에 우려서 쓴 맛을 빼버리고 아홉번 찌고 아홉번 말려 쓴다[입문].
○ 우리나라에서는 다만 평안도에만 있다. 평상시에 나라에 바쳤다[속방].
⼗菖蒲
셕챵포性溫(一云平)味辛無毒主開心孔補五藏通九竅明耳目出音聲治風濕㴇痺殺腹藏盤抗蚤蝨療多忘長智止心腹痛○生山中石澗沙蹟上其葉中心有脊狀如劒刃一寸九節者亦有一寸十二節者五月十二月採根陰乾今以五月五日採露根不可用○初採虛軟暴乾方堅實折之中心色微赤嚼之辛香少滓○生下濕地大根者名曰菖陽止主風濕又有泥菖夏菖相似拄抗蚤蝨不堪入藥又有水菖生水澤中葉亦相似但中心無脊《本草》○蓀無劒脊如堛葉者是也菖蒲有脊一如劒刃《丹心》
창포(菖蒲, 석창포)
성질은 따뜻하고[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심규[心孔]를 열어 주고 5장을 보하며 9규를 잘 통하게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목청을 좋게 하고 풍습으로 전혀 감각이 둔해진 것을 치료하며 뱃속의 벌레를 죽인다. 이와 벼룩 등을 없애며 건망증을 치료하고 지혜를 나게 하며 명치 밑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 산골짜기의 개울가, 바위틈이나 자갈 밑에서 나고 자란다. 그 잎의 한가운데는 등심이 있고 칼날 모양으로 되어 있다. 한치 되는 뿌리에 9개의 마디 혹은 12개의 마디로 된 것도 있다. 음력 5월, 12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지금 5월초에 바깥쪽으로 드러난 뿌리는 쓰지 않는다.
○ 처음 캤을 때에는 뿌리가 무르다가 볕에 말리면 딴딴해진다. 썰면 한가운데가 약간 붉으며 씹어 보면 맵고 향기로우며 찌꺼기가 적다.
○ 걸고 습한 땅에서 자라는데 뿌리가 큰 것을 창양(昌陽)이라 한다. 풍습병을 주로 치료한다. 또한 이창(泥菖)과 하창(夏菖)이라는 종류가 있는데 서로 비슷하다. 이것은 다 이와 벼룩을 없애기는 하나 약으로는 쓰지 않는다. 또한 수창(水菖)이 있는데 못에서 자라며 잎이 서로 비슷하나 다만 잎 한가운데에 등줄이 없다[본초].
○ 손(蓀)은 잎에 등심줄이 없고 부추잎( 葉) 같은 것이다. 석창포에는 등심줄이 있는데 꼭 칼날처럼 되어 있다[단심].
⼗甘菊花
강셩황性平味甘無毒安腸胃利五怴調四肢主風眩頭痛養目血止淚出淸利頭目療風濕痺○處處種之菊類甚多惟單葉花小而黃葉綠色深小而薄應候而開者是眞也○甘者入藥苦者不用○野菊爲薏菊甘而薏苦甘菊延齡野菊瀉人花小氣烈葉靑者爲野菊○正月採根三月採葉五月採莖九月採花十一月採實皆陰乾用之《本草》
감국화(甘菊花, 단국화)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장위를 편안하게 하고 5맥을 좋게 하며 팔다리를 잘 놀리게 하고 풍으로 어지러운 것과 두통에 쓴다. 또 눈의 정혈을 돕고 눈물이 나는 것을 멈추며 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하고 풍습비(風濕痺)를 치료한다.
○ 어느 곳에나 심는다. 국화의 종류가 매우 많은데 오직 홀잎꽃(單葉)이면서 작고 누르며 잎은 진한 풀빛이고 작으며 엷다. 늦은 가을에 꽃이 피는 것이 진짜이다.
○ 단것은 약에 쓰고 쓴 것은 쓰지 못한다.
○ 들국화는 의국(薏菊)이라고도 하는데 단국화는 달고 의국은 쓰다. 단국화는 오래 살게 하고 들국화는 기운을 사(瀉)하게 한다. 꽃은 작으면서 몹시 향기롭다. 줄기가 푸른 것이 들국화이다.
○ 음력 1월에 뿌리를 캐며 3월에 잎을 따고 5월에 줄기를 베며 9월에 꽃을 따고 11월에 씨를 받아 그늘에서 말려 쓴다[본초].
⼒白菊花
흰국화莖葉都相似惟花白亦主風眩令頭不白○葉大似艾葉莖靑根細花白蘂黃性平味辛無毒主風眩八九月收花暴乾《本草》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잎과 줄기가 다 단국화와 비슷한데 오직 꽃만 희다. 역시 풍으로 어지러운데 주로 쓴다. 그리고 머리가 희지 않게 한다.
○ 잎의 크기는 쑥잎과 비슷하다. 줄기는 푸르고 뿌리는 가늘며 꽃은 희고 꽃술은 누렇다. 흰국화의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풍으로 어지러운 데 주로 쓴다. 음력 8-9월에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본초].
⼒苦薏
味苦破血婦人腹內宿血此野菊也《本草》
고의(苦意, 들국화)
맛은 쓴데[苦] 어혈을 헤친다. 부인의 뱃속에 있는 어혈을 치료한다[본초].
⼗人參
심性微溫(一云溫)味甘(一云味苦)無毒主五藏氣不足安精神定魂魄明目開心益智療虛損止囍亂嘔籖治肺浔吐膿消痰○讚曰三梩五葉背陽向陰欲來求我匩樹相尋一名神草如人形者有神○此物多生於深山中背陰近匩漆樹下濕潤處中心生一莖與桔梗相似三四月開花秋後結子二月四月八月上旬採根竹刀刮暴乾○此物易狰惟納器中密封口可經年不壞和細辛密封亦久不壞○用時去其蘆頭不去則吐人《本草》○人參動肺火凡吐血久嗽面黑氣實血虛陰虛之人勿用代以沙參可也《丹心》○人參苦微溫補五藏之陽沙參苦微寒補五藏之陰也《丹心》○夏月少使發心竎之患也《本草》○夏月多服發心竎《丹心》○入手太陰經《湯液》
인삼(人蔘)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달며[甘](약간 쓰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주로 5장의 기가 부족한데 쓰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눈을 밝게 하며 심규를 열어 주고 기억력을 좋게 한다. 허손된 것을 보하며 곽란으로 토하고 딸꾹질하는 것을 멎게 하며 폐위(肺 )로 고름을 뱉는 것을 치료하며 담을 삭힌다.
○ 찬(讚)에는 “세가지 다섯 잎에 그늘에서 자란다네, 나 있는 곳 알려거든 박달나무 밑 보라네”고 씌어 있다. 일명 신초(神草)라고도 하는데 사람의 모양처럼 생긴 것이 효과가 좋다.
○ 산삼은 깊은 산 속에서 흔히 자라는데 응달쪽 박달나무나 옻나무 아래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인삼 가운데는 하나의 줄기가 위로 올라갔는데 마치 도라지(길경)와 비슷하다. 꽃은 음력 3-4월에 피고 씨는 늦은 가을에 여문다. 음력 2월, 4월, 8월 상순에 뿌리를 캐어 대칼로 겉껍질을 벗긴 다음 햇볕에 말린다.
○ 인삼은 좀이 나기 쉬운데 다만 그릇에 넣고 꼭 봉해 두면 몇 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또는 족두리풀(세신)과 같이 넣어서 꼭 봉해 두어도 역시 오래도록 변하지 않는다.
○ 쓸 때에는 노두(蘆頭)를 버려야 하는데 버리지 않고 쓰면 토할 수 있다[본초].
○ 인삼은 폐화(肺火)를 동하게 하므로 피를 토하거나 오랫동안 기침을 하거나 얼굴빛이 검고 기가 실하며 혈이 허하고 음이 허해진 사람에게는 쓰지 말고 더덕(사삼)을 대용으로 쓰는 것이 좋다[단심].
○ 인삼은 쓰고[苦] 성질이 약간 따뜻한데[微溫] 5장의 양을 보하고 더덕은 쓰고 성질이 약간 찬데 5장의 음을 보한다[단심].
○ 여름철에는 적게 써야 한다. 그것은 심현(心 )㈜이 생기기 때문이다[본초].
○ 여름철에 많이 먹으면 심현이 난다[단심].
○ 인삼은 수태음경(手太陰經)에 들어간다[탕액].
[註] 심현(心 ) : 명치 밑이 그득하고 아픈 것.
⼗天門冬
性寒味苦甘無毒治肺氣喘嗽消痰止吐血療肺浔通腎氣鎭心利小便冷而能補殺三盤悅顔色止消渴潤五藏○二月三月七月八月採根暴乾用時湯浸劈破去心以大根味甘者爲好《本草》○入手太陰足少陰經《湯液》○我國惟忠淸全羅慶尙道有之《俗方》
천문동(天門冬)
성질은 차며[寒] 맛이 쓰고[苦] 달며[甘] 독이 없다. 폐에 기가 차서 숨이 차하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는 담을 삭이고 피를 토하는 것을 멎게 하며 폐위를 낫게 한다. 뿐만 아니라 신기(腎氣)를 통하게 하고 마음을 진정시키며 오줌이 잘 나가게 한다. 성질이 차나 보하고 3충을 죽이며 얼굴빛을 좋게 하고 소갈증을 멎게 하며 5장을 눅여 준다[潤].
○ 음력 2월, 3월, 7월,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쓸 때에 뜨거운 물에 담갔다가 쪼개어 심을 버린다. 뿌리가 크고 맛이 단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 천문동은 수태음경과 족소음경에 들어간다[탕액].
○ 우리나라에는 다만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서만 난다[속방].
⼗甘草
性平味甘無毒解百藥毒爲九土之精安和七十二種石一千二百種草調和諸藥使有功故號爲國老○主五藏六府寒熱邪氣通九竅利百怴堅筋骨長肌肉○二月八月除日採根暴乾以堅實斷理者爲佳折之則粉出故號爲粉草《本草》○入足三陰經灸則和中生則瀉火《湯液》○嘔吐中滿嗜酒之人不可久服多服《正傳》○自中原移植於諸道各邑而不爲繁殖惟咸鏡北道所産最好《俗方》
감초(甘草)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온갖 약의 독을 풀어 준다. 9가지 흙의 기운을 받아 72가지의 광물성 약재와 1,200가지의 초약(草藥) 등 모든 약을 조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국로(國老)라고 한다.
○ 5장 6부에 한열의 사기[寒熱邪氣]가 있는데 쓰며 9규(竅)를 통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잘 돌게 한다. 또한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살찌게 한다.
○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려서 딴딴하고 잘 꺾어지는 것이 좋다. 꺾을 때 가루가 나오기 때문에 분초(粉草)라고 한다[본초].
○ 감초는 족삼음경(足三陰經)에 들어가며 구우면 비위를 조화시키고 생으로 쓰면 화(火)를 사(瀉)한다[탕액].
○ 토하거나 속이 그득하거나 술을 즐기는 사람은 오랫동안 먹거나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정전].
○ 중국으로부터 들여다가 우리나라의 여러 지방에 심었으나 잘 번식되지 않았다. 다만 함경북도에서 나는 것이 가장 좋았다[속방].
⼒梢
卽甘草梢尾細小味淡者也能去尿管澁痛又治陰莖中痛《入門》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즉 감초의 잔뿌리이다. 가늘고 단맛은 없으며 슴슴하다. 오줌이 잘 나가지 않으면서 요도[尿管]가 아픈 것과 음경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입문].
⼒節
消癰腫○生用則消腫導毒《入門》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옹종(癰腫)을 삭게 한다.
○ 생것으로 쓰면 부은 것을 내리게 하고 독을 푼다[입문].
⼗生地黃
性寒味甘(一云苦)無毒解諸熱破血消瘀血通利月水主婦人崩中血不止及胎動下血幷婼血吐血○處處種之二月八月採根陰乾沈水肥大者佳一名地髓一名禳生黃土地者佳○本經不言生乾及蒸乾蒸乾則溫生乾則平宣○初採浸水中浮者名天黃半浮半沈者名人黃沈者名地黃沈者力佳入藥半沈者次之浮者名天黃不堪用採時不可犯銅鐵器《本草》○能生血凉血入手太陽少陰經之劑酒浸則上行外行《湯液》
생지황(生地黃)
성질은 차고[寒] 맛이 달며[甘](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모든 열을 내리며 뭉친 피를 헤치고 어혈을 삭게 한다. 또한 월경을 잘 통하게 한다. 부인이 붕루증으로 피가 멎지 않는 것과 태동(胎動)으로 하혈하는 것과 코피, 피를 토하는 것 등에 쓴다.
○ 어느 곳에나 심을 수 있는데 음력 2월이나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 말린다. 물에 넣으면 가라앉고 살이 찌고 큰 것이 좋은 것이다. 일명 지수(地髓) 또는 하( )하고도 하는데 누런 땅에 심은 것이 좋다.
○ 『신농본초경[本經]』에는 생으로 말린다[生乾]는 말과 쪄서 말린다[蒸乾]는 말은 하지 않았는데 쪄서 말리면 그 성질이 따뜻하고[溫] 생으로 말리면 그 성질이 평순해진다[平宣].
○ 금방 캔 것을 물에 담그어 뜨는 것을 인황(人黃)이라 하며 가라앉는 것을 지황(地黃)이라고 한다. 가라앉는 것은 효력이 좋아서 약으로 쓰며 절반쯤 가라앉는 것은 그 다음이며 뜨는 것은 약으로 쓰지 않는다. 지황을 캘 때 구리나 쇠붙이로 만든 도구를 쓰지 않는 것이 좋다[본초].
○ 생지황은 혈을 생기게 하고 혈의 열을 식히며 수태양과 수소음경에 들어가며 술에 담그면 약성이 위로 올라가고 겉으로 나간다[탕액].
⼒熟地黃
性溫味甘味苦無毒大補血衰善黑鬚髮塡骨髓長肌肉助筋骨補虛損通血怴益氣力利耳目○蒸造法詳見雜方《本草》○生地黃損胃胃氣弱者不可久服熟地黃泥膈痰火盛者亦不可久服《正傳》○熟地黃入手足少陰厥陰經性溫而補腎《入門》○熟地黃以薑汁製之無膈悶之患《醫鑑》
숙지황(熟地黃, 찐지황)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약간 쓰고[微苦] 독이 없다. 부족한 혈을 크게 보하고 수염과 머리털을 검게 하며 골수를 보충해 주고 살찌게 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허손증(虛損證)을 보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며 기운을 더 나게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한다.
○ 쪄서 만드는 법[蒸造法]은 잡방(雜方)에 자세히 씌어 있다[본초].
○ 생지황은 위(胃)를 상하므로 위기(胃氣)가 약한 사람은 오랫동안 먹지 못한다. 찐지황은 가슴이 막히게 하므로 담화가 성(盛)한 사람은 역시 오랫동안 먹을 수 없다[정전].
○ 찐지황은 수, 족소음경과 궐음경(厥陰經)에 들어가며 성질은 따뜻하여 신(腎)을 보한다[입문].
○ 찐지황을 생강즙(薑汁)으로 법제하면 가슴이 답답해지는 일이 없다[의감].
⼗白朮
삽靕불휘性溫味苦甘無毒健脾强胃止瀉除濕消食止汗除心下急滿及囍亂吐瀉不止利腰臍間血療胃虛冷痢○生山中處處有之其形㵋促色微褐氣味微辛苦而不烈一名乞力伽此白朮也《本草》○本草無蒼白之名近世多用白朮治皮膚間風止汗消搽補胃和中利腰臍間血通水道上而皮毛中而心胃下而腰臍在氣主氣在血主血《湯液》○入手太陽少陰足陽明太陰四經緩脾生津去濕止渴米厹浸半日去蘆取色白不油者用之《入門》○瀉胃火生用補胃虛黃土同炒《入門》
백출(白朮, 흰삽주)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달고[甘] 독이 없다.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고 습을 없앤다. 또한 소화를 시키고 땀을 걷우며 명치 밑이 몹시 그득한 것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위(胃)가 허랭(虛冷)하여 생긴 이질을 낫게 한다.
○ 산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그 뿌리의 겉모양이 거칠며 둥근 마디로 되어 있다. 빛은 연한 갈색이다. 맛은 맵고 쓰나[辛苦] 심하지 않다. 일명 걸력가(乞力伽)라고 하는 것이 즉 흰삽주이다[본초].
○ 『신농본초경』에는 삽주와 흰삽주의 이름이 없었는데 근래 와서 흰삽주를 많이 쓴다. 흰삽주는 피부 속에 있는 풍을 없애며 땀을 걷우고 트직한 것을 없애며 위(胃)를 보하고 중초를 고르게 한다.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위[上]로는 피모(皮毛), 중간으로는 심과 위, 아래로는 허리와 배꼽의 병을 치료한다. 기병(氣病)이 있으면 기를 치료하고 혈병(血病)이 있으면 혈을 치료한다[탕액].
○ 수태양과 수소음, 족양명과 족태음의 4경에 들어간다. 비(脾)를 완화시키며[緩] 진액을 생기게 하고 습을 말리며 갈증을 멎게 한다. 쌀 씻은 물에 한나절 담갔다가 노두를 버리고 빛이 희고 기름기가 없는 것을 쓴다[입문].
○ 위화(胃火)를 사하는 데는 생것으로 쓰고 위허를 보할 때에는 누른 흙과 같이 닦아 쓴다[입문].
⼒蒼朮
性溫味苦辛無毒治上中下濕疾寬中發汗破嚭囊痰飮竎癖氣塊山嵐瀆氣治風寒濕痺療囍亂吐瀉不止除水腫脹滿○蒼朮其長如大小指肥實如連珠皮色褐氣味辛烈須米厹浸一宿再換厹浸一日去上㵋皮炒黃色用《本草》○一名山精採法同白朮《本草》○入足陽明太陰經能健胃安脾《入門》○蒼朮雄壯上行之藥能除濕安脾《易老》
창출(蒼朮, 삽주)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윗도리, 중간, 아랫도리의 습을 치료하며 속을 시원하게 하고 땀이 나게 하며 고여 있는 담음(痰飮), 현벽( 癖), 기괴(氣塊), 산람장기(山嵐 氣) 등을 헤치며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痺證)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낫게 하며 수종과 창만(脹滿)을 없앤다.
○ 삽주의 길이는 엄지손가락이나 새끼손가락만하며 살찌고 실한 것은 구슬을 꿴 것 같으며 껍질의 빛은 갈색이고 냄새와 맛이 몹시 맵다. 반드시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다시 그 물을 갈아붙여 하루동안 담가 두었다가 겉껍질을 벗기고 노랗게 볶아 써야 한다[본초].
○ 일명 산정(山精)이라고 하는데 캐는 방법은 흰삽주와 같다[본초].
○ 족양명과 족태음경에 들어가며 위(胃)를 든든하게[健] 하고 비(脾)를 편안하게 한다[입문].
○ 삽주는 웅장하여 올라가는 힘이 세고 습을 잘 없애며 비를 안정시킨다[역로].
⼗兎絲子
새삼平味辛甘無毒主莖中精自出尿有餘瀝口苦燥渴添精益髓去腰痛膝冷○處處有之多生豆田中無根假氣而生細蔓黃色六七月結實極細如蠶子九月採實暴乾得酒良仙經俗方拄以爲補藥○稟中和凝正陽氣受結偏補人衛氣助人筋怴《本草》○水淘洗去沙土望乾酒浸春五夏三秋七冬十日取出蒸熟搗爛作片望乾再搗爲末入藥若急用則酒煮爛望乾搗末用亦可《入門》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성질은 평(平)하며 맛이 맵고[辛] 달며[甘] 독이 없다. 주로 음경 속이 찬 것,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 오줌을 누고 난 다음에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입맛이 쓰고 입이 마르며 갈증이 나는데 쓴다. 정액을 돕고 골수를 불쿠어 주며 허리가 아프고 무릎이 찬 것을 낫게 한다.
○ 어디에나 있는데 흔히 콩밭 가운데서 자란다. 뿌리가 없이 다른 식물에 기생하며 가늘게 뻗어 올라간다. 빛은 누르며 음력 6-7월에 씨가 여무는데 몹시 잘아서 누에씨와 같다. 9월에 씨를 받아서 볕에 말린다. 술과 같이 쓰면 좋다. 『선경(仙經), 속방(俗方)』에는 다 보약으로 되어 있다.
○ 고르고 온전한 양기를 받아 씨가 달리는데 위기(衛氣)를 보하고 근맥을 좋게 한다[본초].
○ 물에 씻어서 모래와 흙을 버린 다음 햇볕에 말려 봄에는 5일 여름에는 3일, 가을에는 7일, 겨울에는 10일간 술에 담가 두었다가 꺼내어 쪄서 익힌 다음 짓찧어 덩어리를 만든다. 이것을 햇볕에 말린다. 그리고 다시 짓찧어 가루내서 약에 넣는다. 만일 급하게 쓰려면 술에 넣고 푹 무르게 달여 볕에 말린다. 이것을 짓찧어 가루내어 써도 좋다[입문].
⼗牛膝
긡무룹디기性平味苦酸無毒主寒濕浔痺膝痛不可屈伸男子陰消老人失尿塡骨髓利陰氣止髮白起陰浔療腰脊痛墮胎通月經○處處有之有節如鶴膝又如牛膝狀以此名之一名百倍以長大而柔潤者佳二月八月十月採根陰乾《本草》○助十二經怴活血生血之劑也引諸藥下行于腰腿酒洗用之《入門》
우슬(牛膝, 쇠무릎)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시고[酸] 독이 없다. 주로 한습으로 위증( 證)과 비증(痺證)이 생겨 무릎이 아파서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과 남자의 음소(陰消)㈜증과 늙은이가 오줌이 나오는 것을 참지 못하는 것 등을 치료한다. 골수를 보충하고 음기(陰氣)를 잘 통하게 하며 머리털이 희지 않게 하고 음위증(陰 證)과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유산시키고 월경을 통하게 한다.
[註] 음소(陰消) : 음증인 소갈을 말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학의 무릎[鶴膝] 같은 마디가 있으며 또는 소의 무릎과도 비슷하기 때문에 우슬(牛膝)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일명 백배(百倍)라고도 하는데 길고 크며 연하고 윤기있는 것이 좋다. 음력 2월, 8월, 10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12경맥을 도와주며 피를 잘 돌게 하고 피를 생기게 하는 약[生血之劑]이다. 모든 약 기운을 이끌어 허리와 넓적다리로 내려가게 한다. 술로 씻어서 쓴다[입문].
⼗盢蔚子
암눈비얏微溫(一云微寒)味辛甘無毒主明目益精除水氣○處處有之一名益母草一名野天麻其葉類大麻方莖花紫色端午日採莖葉陰乾不見日及火忌鐵器一云葉似荏方莖花生節間實如喵冠子黑色九月採《本草》
충위자( 蔚子, 익모초씨)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약간 차다고도[微寒] 한다) 맛이 맵고[辛] 달며[甘] 독이 없다. 주로 눈을 밝게 하고 정(精)을 보하며 부종을 내린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일명 익모초(益母草) 또는 야천마(野天麻)라고 한다. 그 잎이 삼과 비슷하며 줄기는 네모가 나고 꽃은 자줏빛이다. 단오날에 줄기와 잎을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햇빛과 불빛을 보이지 말며 쇠붙이에 대지 말아야 한다. 어떤 책에는 잎이 깻잎 같으며 줄기는 네모나고 꽃은 마디 사이에 나며 열매는 맨드라미씨( 冠子)와 같으며 검고 음력 9월에 씨를 받는다고 하였다[본초].
⼒莖葉
善救婦人胎前産後諸疾故名益母求嗣調經無所不效故曰婦人仙藥《入門》
충위경엽( 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임신과 산후의 여러 가지 병을 잘 낫게 하므로 이름을 익모(益母)라 하며 임신이 되게 하고 월경을 고르게 한다. 모두 효력이 있으므로 부인들에게 좋은 약이다[입문].
⼗柴胡
ꉈ미나리性微寒(一云平)味微苦(一云甘)無毒主傷寒寒熱往來天行時疾內外熱不解治熱勞骨節煩疼除虛勞寒熱解肌熱早晨潮熱能瀉肝火除寒熱往來秇疾及胸脇痛滿○處處有之二月生苗甚香莖靑紫葉如竹葉亦似麥門冬葉而短七月開黃花二月八月採根暴乾《本草》○足少陽厥陰行經藥也能引淸氣而行陽道又能引胃氣上行升騰而行春令是也《湯液》○如鼠尾獨嚭而長者好莖長軟皮黃赤者佳忌犯銅鐵外感生用內傷升氣酒炒有咳汗者蜜水炒瀉肝膽火者以猪膽汁拌炒去蘆用《入門》
시호(柴胡)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약간 쓰며[微苦](달다[甘]고도 하다) 독이 없다. 주로 상한에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 유행성 열병 때 안팎의 열이 풀리지 않을 때에 쓰며 열과 관련된 허로(虛勞)로 뼈마디가 달며[熱] 아픈 것과 허로로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살에 열이 있는 것과 이른 새벽에 나는 조열(潮熱)을 없앤다. 간화(肝火)를 잘 내리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학질과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2월에 싹이 돋는데 아주 향기롭고 줄기는 푸르고 자줏빛이 나며 잎은 대잎(竹葉) 같으며 또 맥문동잎과 비슷하나 짧다. 7월에 누른 꽃이 핀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본초].
○ 족소양과 족궐음경으로 들어가는 약[行經藥]이다. 청기(淸氣)를 이끌고 양도(陽道)로 가며 또 위기(胃氣)를 이끌어 위로 올라가 봄과 같은 작용을 한다[탕액].
○ 쥐꼬리처럼 외톨이로 긴 것이 좋으며 줄기는 길고 연하며 겉껍질이 누르붉으스름한 빛인 것이 좋다. 구리와 쇠붙이에 대는 것을 꺼려야 하며 외감(外感)에는 생(生)으로 쓰고 내상(內傷)에 기를 끌어올려야[升氣] 할 때에는 술로 축여 볶아[炒] 쓴다. 또 기침이 나고 땀이 날 때에는 꿀물로 축여 볶아 쓰며 간담의 화를 내리려고 할 때에는 노두를 버리고 저담(猪膽汁)에 버무려 볶아 쓴다[입문].
⼗麥門冬
겨으사리불휘性微寒(一云平)味甘無毒主虛勞客熱口乾燥渴治肺浔吐膿療熱毒身黑目黃補心淸肺保神定怴氣○葉靑似莎草四季不凋根作連珠形似圔麥顆故名麥門冬二三月九十月採根陰乾以肥大者爲好用之湯潤抽去心不爾令人煩《本草》○入手太陰經行經酒浸《入門》○我國慶尙全羅忠淸道有之生肥土及海島中《俗方》
맥문동(麥門冬)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로에 열이 나고 입이 마르며 갈증이 나는 것과 폐위로 피고름을 뱉는 것, 열독으로 몸이 검고 눈이 누른 것을 치료하며 심을 보하고 폐를 시원하게 하며 정신을 진정시키고 맥기(脈氣)를 안정케 한다.
○ 잎은 푸르러 향부자와 비슷하며 사철 마르지 않고 뿌리는 구슬을 꿰놓은 것 같다. 그 모양이 보리알 같으므로 이름을 맥문동이라 한다. 음력 2월과 3월, 9월과 10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살찌고 큰 것이 좋으며 쓸 때에는 끓는 물에 불쿠어 심을 빼버린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답답증[煩]이 생긴다[본초].
○ 수태음경으로 들어가는데 경락으로 가게 하려면 술에 담갔다가 쓴다[입문].
○ 우리나라에는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에서 난다. 건 땅에서 나며 섬에도 난다[속방].
⼗獨活
둘흡性平(一云微溫)味甘苦(一云辛)無毒療諸賊風百節通風無久新者治中風失音圦斜矒矑遍身㴇痺及筋骨攣痛○生山野中二月三月九月十月採根暴乾此草得風不搖無風自動故一名獨搖草《本草》○一莖直上得風不搖故名獨活乃足少陰行經藥也獨活氣細羌活氣雄《入門》○療風宜用獨活兼水宜用羌活今人以紫色節密者爲羌活黃色而作塊者爲獨活《本草》○獨活氣細而色白治足少陰伏風故兩足寒濕痺不能動非此不除《湯液》
독활(獨活, 따두릅)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따뜻하다고도[微溫] 한다) 맛이 달고[甘] 쓰며[苦](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온갖 적풍(賊風)과 모든 뼈마디가 아픈 풍증(風證)이 금방 생겼거나 오래되었거나 할 것 없이 다 치료한다. 중풍으로 목이 쉬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팔다리를 쓰지 못하며 온몸에 전혀 감각이 없고 힘줄과 뼈가 저리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따두릅은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데 음력 2월과 3월, 9월과 10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이 풀은 바람불 때 흔들리지 않으며 바람이 없을 때는 저절로 움직이므로 독요초(獨搖草)라고도 한다[본초].
○ 줄기는 하나로 곧게 서서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으므로 독활이라 하며 족소음경으로 들어가는 약[行經藥]이다. 따두릅은 기운이 약하고 강호리(강활)는 기운이 웅장하다[입문].
○ 풍을 치료하는 데는 따두릅을 써야 하는데 부종을 겸하였을 때에는 강호리(강활)를 써야 한다. 지금 사람들은 자줏빛이고 마디가 빽빽한 것을 강호리(강활)라고 하며 빛이 누르고 덩어리로 된 것을 따두릅이라고 한다[본초].
○ 따두릅은 기운이 약하고 빛이 희면서 족소음경에 잠복된 풍을 치료하므로 두 다리가 한습으로 생긴 비증(痺證)에 의하여 움직이지 못하는 것은 이것이 아니면 치료할 수 없다[탕액].
⼗羌活
강호리性微溫味苦辛無毒主治與獨活大同小異《本草》○羌活乃手足太陽足厥陰少陰表裏引經之藥也撥亂反正之主大無不通小無不入故一身百節痛非此不能治《入門》○羌活氣雄故入足太陽獨活氣細故入足少陰俱是治風而有表裏止殊《湯液》○我國惟江原道獨活羌活俱産焉《俗方》
강활(羌活, 강호리)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쓰며[苦] 맵고[辛] 독이 없다. 주로 치료하는 것이 따두릅과 거의 같다[본초].
○ 강호리는 수족태양과 족궐음과 족소음의 표리(表裏)가 되는 경맥에 인경하는 약[引經之藥]이다. 혼란해진 것을 바로잡아 원기를 회복케 하는데 주로 쓰는 약으로서 통하지 않는 것이 없고 들어가지 못하는 곳도 없다. 그러므로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데는 이것이 아니면 치료하지 못한다[입문].
○ 강호리는 기운이 웅장하므로 족태양경에 들어가고 따두릅은 기운이 약하므로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이 약들은 다 같이 풍을 치료하는데 표리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탕액].
○ 따두릅과 강호리는 다같이 우리나라 강원도에서만 난다[속방].
⼗升麻
뎔가릿불휘性平(一云微寒)味甘苦無毒主解百毒殺百精老物抗瘟疫瀆氣療蠱毒治風腫諸毒喉痛口瘡《本草》○生山野中其葉如麻故名爲升麻二月八月採根暴乾刮去黑皮幷腐爛者用細削如喵骨色靑綠者佳本治手足陽明風邪兼治手足太陰肌肉間熱《入門》○陽明本經藥也亦主手陽明太陰經若元氣不足者用此於陰中升陽氣上行不可缺也《丹心》○陽氣下陷者宜用若發散生用補中酒炒止汗蜜炒《入門》
승마(升麻)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고도[微寒] 한다) 맛이 달며[甘] 쓰고[苦] 독이 없다. 모든 독을 풀어 주고 온갖 헛것에 들린 것을 없애며 온역(瘟疫)과 장기( 氣)를 물리친다. 그리고 고독(蠱毒)과 풍으로 붓는 것[風腫], 여러 가지 독으로 목 안이 아픈 것, 입이 허는 것 등을 치료한다[본초].
○ 산이나 들판에서 자라는데 그 잎이 삼과 같으므로 이름을 승마라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서 볕에 말려 검은 껍질과 썩은 부분을 긁어 버리고 쓴다. 가늘고 여윈 것이 닭의 뼈 같고 푸른 빛 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주로 수, 족양명경의 풍사를 치료하고 겸하여 수, 족태음경의 살 속의 열을 없앤다[입문].
○ 족양명경의 약인데 또한 수양명경과 수태음경으로 간다. 만일 원기가 부족한 사람이 이것을 쓰면 음속에 양기를 이끌어 위로 가게 하므로 위로 올라가게 하려면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단심].
○ 양기(陽氣)가 아래로 처진 사람은 반드시 써야 한다. 만일 발산시키려면 생으로 쓰고 중초를 보하려면 술로 축여 볶아 쓰며 땀을 멎게 하려면 꿀을 발라 볶아 쓴다[입문].
⼗車前子
길경이名뵈𬝴寒(一云平)味甘稜無毒主氣弐通五淋利水道通小便淋澁明目能去肝中風熱毒風衝眼赤痛障次○卽掊呮也大葉長穗好生道傍喜在牛跡中生故曰車前也五月採苗九十月採實陰乾《本草》○略炒搗碎用用葉勿用子《入門》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성질은 차며[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고[甘] 짜며[ ] 독이 없다. 주로 기륭(氣 )㈜에 쓰며 5림(淋)을 통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간의 풍열(風熱)과 풍독(風毒)이 위로 치밀어서 눈에 피지고 아프며 장예(障 )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註] 기륭(氣 ) : 기의 장애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
○ 즉 부이( )인데 잎이 크고 이삭이 길며 길가에서 잘 자란다. 소 발길이 닿는 곳에 나서 자라므로 차전(車前)이라 한다. 음력 5월에 싹을 캔다. 9월, 10월에 씨를 받아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약간 닦아서[略炒] 짓찧어 쓴다. 잎을 쓸 때는 씨를 쓰지 않는다[입문].
⼒葉及根
主吐婼尿血血淋取汁服之《本草》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길짱구의 잎과 뿌리)
주로 코피, 피오줌[尿血], 혈림(血淋)에 쓰는데 즙을 내어 먹는다[본초].
⼗木香
性溫味辛無毒治心腹一切氣及九種心痛積年冷氣腹痛竎癖琋塊止泄瀉囍亂痢疾消毒殺鬼抗瘟疫行藥之精○卽靑木香也形如枯骨者良《本草》○行氣不見火生磨刺服之止瀉實大腸濕紙包氖用《入門》
목향(木香)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가슴과 배가 온갖 기로 아픈 것, 9가지 심통(心痛), 여러 해 된 냉기로 불러 오르면서 아픈 것, 현벽( 癖), 징괴( 塊) 등을 치료한다. 또한 설사, 곽란, 이질 등을 멈추며 독을 풀어 주고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하며 온역을 방지하고 약의 정기[藥之精]가 목적한 곳으로 잘 가게 한다.
○ 즉 청목향(靑木香)인데 생김새가 마른 뼈[枯骨]와 같은 것이 좋다[본초].
○ 기를 잘 돌게 하려면 불빛을 보이지 말고 생으로 갈아 먹는다. 설사를 멎게 하고 대장을 실하게 하려면 목향을 젖은 종이로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 쓴다[입문].
⼗薯橅
마性溫(一云平)味甘無毒補虛勞羸瘦充五藏益氣力長肌肉强筋骨開達心孔安神長志○處處有之一名山芋一名玉延宋時避諱又號爲山藥二月八月採根刮之白色者爲上靑黑者不堪○此物貴生乾方八藥生濕則滑只消腫核不可入藥熟則只堪啖亦滯氣○乾法取肥大者刮去黃皮以水浸末白礬少許晜水中經宿取洗去涎焙乾《本草》○山藥手太陰肺經藥也《入門》
서여(薯 , 마)
성질은 따뜻하고[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로로 여윈 것을 보하며 5장을 충실하게 하고 기력을 도와주며 살찌게 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심규[心孔]를 잘 통하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의지를 강하게 한다.
○ 어느 곳이나 다 있는데 일명 산우(山芋)라고도 하고 또는 옥연(玉延)이라고도 한다. 송(宋)나라 때 임금의 이름과 음이 같으므로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산약(山藥)이라고 하였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겉껍질을 벗기는데 흰 것이 제일 좋고 푸르고 검은 것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 마는 생으로 말려서 약에 넣는 것이 좋고 습기가 있는 것은 생것은 미끄러워서 다만 붓고 멍울이 선 것을 삭힐 뿐이다. 그러므로 약으로는 쓰지 못한다. 익히면 다만 식용으로 쓰는데 또한 기를 막히게 한다.
○ 말리는 법[乾法]은 굵고 잘된 것으로 골라 누른 껍질을 버리고 물에 담그되 백반가루를 조금 넣어 두었다가 하룻밤 지난 다음 꺼낸다. 침과 같은 것은 훔쳐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본초].
○ 마는 수태음폐경 약(手太陰肺經藥)이다[입문].
⼗澤瀉
긡긔鏁ꏉ불휘性寒味甘稜無毒逐膀胱停水治五淋利膀胱熱宣通水道通小腸止遺瀝○生水澤中處處有之八九月採根暴乾《本草》○入足太陽經少陰慶除濕之聖藥也然能瀉腎不可多服久服本經云多服病人眼《湯液》○入藥酒浸一宿帪出暴乾用仲景八味丸酒蒸用之《入門》
택사(澤瀉)
성질은 차며[寒] 맛이 달고[甘] 짜며[鹹] 독이 없다. 방광에 몰린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5림을 치료하고 방광의 열을 없애며 오줌길과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멎게 한다.
○ 택사는 못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8월,9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본초].
○ 족태양경과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습을 없애는 데 아주 좋은 약[聖藥]이다. 그러나 신기(腎氣)를 사하므로 많이 먹거나 오랫동안 먹을 수 없다. 『신농본초경』에는 많이 먹으면 눈병이 생기게 된다고 하였다[탕액].
○ 약에 넣을 때에는 술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볕에 말려 쓴다. 중경이 쓴 팔미환(八味丸)에는 술로 축여 싸서 쓴다고 하였다[입문].
⼗遠志
아기플불휘性溫味苦無毒益智慧令耳目聰明不忘强志定心氣止驚悸療健忘安魂魄令人不迷惑○生山中葉如麻黃而靑根黃色四月九月採根葉暴乾《本草》○先用甘草水煮過去骨以薑汁拌炒用《得效》
원지(遠志)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지혜를 돕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건망증을 없애고 의지를 강하게 한다. 또는 심기(心氣)를 진정시키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驚悸]을 멎게 하며 건망증[健忘]을 치료하고 정신을 안정시킬 뿐 아니라 정신을 흐리지 않게 한다.
○ 산에서 자란다. 잎은 마황과 비슷하고 푸르며 뿌리는 누렇다. 음력 4월, 9월에 뿌리를 캐고 잎을 따서 볕에 말린다[본초].
○ 먼저 감초물(甘草水)에 잠깐 달여 심을 빼버리고 생강즙을 축여 볶아 쓴다[득효].
⼒葉
名小草主益精止虛損夢泄《本草》
원지엽(遠志葉)
소초(小草)라고도 하는데 정(精)을 돕고 허손으로 몽설(夢泄)이 있는 것을 멎게 한다[본초].
⼗龍膽
과남플性大寒味苦無毒除胃中伏熱時氣溫熱熱泄下痢益肝膽氣止驚瓶除骨熱去腸中小盤明目○根黃白色下抽根十餘本類牛膝味苦如膽苦俗呼爲草龍膽二月八月十一月十二月採根陰乾採得後以銅刀切去澙土了甘草湯中浸一宿暴乾用勿空腹餌之令人尿不禁《本草》○治下焦濕熱明目凉肝《醫鑑》○治眼疾必用之藥也酒浸則上行虛人酒炒黑用之《湯液》
용담(龍膽)
성질은 몹시 차고[大寒]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위(胃) 속에 있는 열과 돌림온병[時氣溫]과 열병, 열설(熱泄), 이질 등을 치료한다. 간과 담의 기를 돕고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멎게 하며 골증열[骨熱]을 없애고 창자의 작은 벌레를 죽이며 눈을 밝게 한다.
○ 뿌리는 누르므레한 빛인데 10여 가닥으로 쭉 갈라진 것은 쇠무릎(우슬)과 비슷하며 쓰기가 담즙[膽] 같으므로 민간에서 초룡담(草龍膽)이라 한다. 음력 2월과 8월, 11월과 12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뿌리를 캐어 구리칼로 가는 뿌리와 흙을 긁어 버리고 감초 달인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볕에 말려 쓴다. 이 약은 빈속에 먹지 말아야 한다. 먹으면 오줌을 참지 못한다[본초].
○ 하초(下焦)의 습열에 주로 쓰며 눈을 밝게 하고 간을 시원하게 한다[의감].
○ 반드시 눈병에 쓰는 약이다. 술에 담그면 약 기운이 위[上]로 가는데 허약한 사람은 술로 축여 거멓게 볶아 써야 한다[탕액].
⼗細辛
性溫味大辛(一云苦辛)無毒主風習痺痛溫中下氣除喉痺每鼻添膽氣去頭風明目治齒痛破痰出汗○生山野其根細而其味極辛故名之曰細辛二月八月採根陰乾用之去頭節○單用末不可過半錢匕多卽氣悶塞不通者死雖死無傷《本草》○少陰經藥也治少陰頭痛如神獨活爲之使細辛香味俱細而緩故入手少陰治頭面風痛不可缺也《湯液》
세신(細辛)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몹시 매우며[大辛](쓰고[苦] 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풍습으로 저리고 아픈 데 쓰며 속을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린다. 후비(喉痺)와 코가 막힌 것[ 鼻]을 치료하며 담기를 세게[添] 한다. 두풍(頭風)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하며 이가 아픈 것을 멎게 하고 담을 삭이며 땀이 나게 한다.
○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데 뿌리는 아주 가늘고 맛이 몹시 매우므로 이름을 세신이라고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 다음 노두를 버리고 쓴다.
○ 단종[單]으로 가루내어 쓰되 2g을 넘지 말아야 한다. 만일 이 약을 많이 쓰면 숨이 답답하고 막혀서 통하지 않게 되어 죽을 수 있다. 비록 죽기는 하나 아무런 상처도 없다[본초].
○ 소음경 약이다. 소음두통에 잘 듣는데 따두릅을 사약[使]으로 하여 쓴다. 족도리풀은 향기나 맛이 다 약하면서 완만하므로 수소음경에 들어가며 두면풍(頭面風)으로 아픈 것을 치료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탕액].
⼗石斛
셕곡플性平味甘無毒治腰脚軟弱補虛損壯筋骨煖水藏補腎塡精養腎氣止腰痛○生水傍石上細實而黃色以桑灰湯沃之色如金形如瓞恃摽者爲佳世謂之金釵石斛七月八月採莖陰乾入藥酒洗蒸用《本草》
석곡(石斛)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리와 다리가 연약한 것을 낫게 하고 허손증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신장[水藏]을 덥게 하며 신(腎)을 보하고 정(精)을 보충하며 신기(腎氣)를 보하고 허리 아픈 것을 멎게 한다.
○ 개울가의 돌 위에서 나는데 가늘면서 딴딴하고 빛이 누렇다. 뽕나무 태운 잿물로 눅여 주면 금빛과 같이 된다. 생김새가 메뚜기 넓적다리[ ]와 같은 것이 좋은데 민간에서 금차석곡(金 石斛)이라 한다. 음력 7월, 8월에 줄기를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 약에 넣을 때는 술로 씻은 다음 쪄서 쓴다[본초].
⼗巴戟天
性微溫味辛甘無毒主男子夜夢鬼交泄精治陰浔不起益精利男子○二月八月採根陰乾以連珠肉厚者爲勝今方家多以紫色爲良入藥檩水煮打去心用之《本草》
파극천(巴戟天)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이 맵고[辛] 달며[甘] 독이 없다. 몽설이 있는 데 쓴다. 또한 음위증(陰 證)을 치료하고 정(精)을 돕기 때문에 남자에게 좋다.
○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구슬을 많이 꿰놓은 것 같고 살이 두터운 것이 좋다. 지금 의사들은 흔히 자줏빛이 나는 것이 좋은 것이라고 한다. 약으로 쓸 때는 소금물에 잠깐 달여 심을 빼버리고 쓴다[본초].
⼗赤箭
텬맛삭性溫味辛無毒殺鬼精物蠱毒惡氣消癰腫治疝○生山野卽天麻苗也其苗獨莖如箭印葉生其端印葉俱赤故號爲赤箭三月四月採苗暴乾此草有風不動無風則自搖《本草》○此物治風苗爲赤箭有自表入裏之功根爲天麻有自內達外之理《丹心》
적전(赤箭)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헛것에 들린 것과 고독(蠱毒)과 나쁜 기운[惡氣]을 없애며 옹종(癰腫)을 삭이고 산증(疝證)을 치료한다.
○ 산이나 들에 나는 천마의 싹(天麻苗)은 외줄기로 화살과 같이 돋아 올라온다. 잎은 그 끝에 나며 붉기 때문에 적전이라고도 한다. 음력 3월, 4월에 싹을 뜯어 볕에 말린다. 이 풀은 바람이 불 때에는 흔들리지 않고 바람이 없을 때에는 저절로 흔들린다[본초].
○ 천마(天麻)는 풍을 치료하는데 싹은 적전이라 하며 약효는 겉에서부터 속으로 들어가고 뿌리는 천마라 하는데 약효가 속에서부터 밖으로 나온다[단심].
⼗菴嵌子
진쥬봉性微寒味苦辛無毒主五藏瘀血腹中水氣身體諸痛療心腹脹滿能消瘀血治婦人月水不通○莖葉如蕎艾之類處處有之九月十月採實陰乾《本草》
암려자(菴 子)
성질은 약간 차며[微寒] 맛이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5장의 어혈과 뱃속의 수기(水氣)와 온몸의 여러 가지 아픔에 쓴다. 명치 밑이 창만(脹滿)한 것을 낫게 하며 어혈을 풀리게 하고 월경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 줄기와 잎이 쑥과 같으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9월, 10월에 씨를 받아 그늘에서 말려 쓴다[본초].
⼗时蓂子
굴근나이微溫味辛無毒主明目目痛淚出能治肝家積熱眼目赤痛益精光○處處有之是大薺子也四月五月採實暴乾《本草》
석명자( 蓂子)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눈이 아프며 눈물이 흐르는 데 쓴다. 간에 쌓인 열로 눈에 피지고[赤] 아픈 것을 치료하며 눈정기가 나게 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이것이 큰 냉이씨다 음력 4월, 5월에 씨를 받아 볕에 말린다[본초].
⼗卷栢
부텨손性溫平(一云微寒)味辛甘無毒主女子陰中寒熱痛血閉絶子治月經不通去百邪鬼魅鎭心治邪啼泣療脫肛浔抖煖水藏生用破血灸用止血○生山中叢生石上苗似栢葉而細碎拳屈如喵足靑黃色無花子五月七月採陰乾去下近石有沙土處用之《本草》
권백(卷栢, 부처손)
성질은 따뜻하고[溫] 평(平)하다(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맵고[辛] 달며[甘] 독이 없다. 여자의 음부 속이 차거나 달면서 아픈 것, 월경이 없으면서 임신하지 못하는 것, 월경이 통하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 여러 가지 헛것에 들린 것[百邪鬼魅]을 없애며 마음을 진정시키고 헛것에 들려 우는 것과 탈항증(脫肛證)과 위벽증( 證)을 치료하고 신[水藏]을 덥게[煖] 한다. 생것으로 쓰면 어혈을 헤치고[破] 닦아 쓰면 피를 멎게 한다.
○ 높은 산의 바위 위에 무더기로 자라는데 싹이 측백잎(栢葉)과 비슷하며 가늘게 갈라져서 주먹같이 꼬부러진 것이 닭의 발과 같고 빛이 퍼러누르스름하며 꽃과 씨는 없다. 음력 5월, 7월에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바위에 있던 모래와 흙이 붙은 밑둥을 버리고 쓴다[본초].
⼗藍藤根
가꿁새性溫味辛無毒主上氣冷嗽煮服之或作末和蜜作煎服○處處有之根如細辛卽今藍漆也《俗方》
남등근(藍藤根)
성질을 따뜻하고[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無毒]. 기가 치밀어 오르고 냉으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는다. 혹 가루내어 꿀에 섞어서 볶아 먹기도[煎服] 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뿌리가 족두리풀(세신)과 같다. 즉 지금의 남칠(藍漆)이다[속방].
⼗藍實
족寒(一云冷)味苦(一云甘)無毒主解諸毒殺蠱妓狟鬼旹毒治經絡中結氣令人健少睡○卽今種蒔大藍實也五月六月採實子若蓼子而大黑色《本草》
남실(藍實, 쪽씨)
성질은 차고[寒](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여러 가지 독을 풀어 주며 고독, 시주, 귀독, 벌레에 쏘인 독을 없애며 경락 속에 몰린 기를 풀리게 하고 건강하게 하며 잠을 적게 한다.
○ 즉 지금 심는 굵은 쪽이다. 음력 5월, 6월에 씨를 받으며 여뀌씨(蓼子)와 같은데 크고 빛이 검다[본초].
⼒葉汁
殺百藥毒解狼毒射罔毒毒藥毒箭金石藥毒治天行熱狂遊風熱毒腫毒鼻洪吐血金瘡血悶除煩止渴療盤蛇傷毒刺婦人産後血暈小兒壯熱熱疳○此卽生藍莖葉可以染靑者《本草》○能散敗血分歸經絡《丹心》
남엽즙(藍葉汁, 쪽잎즙)
여러 가지 약독을 없애고 낭독(狼毒)의 독, 사망독(射罔毒), 독약의 독[毒藥毒], 화살독, 광물성 약재들의 독을 풀어 주며 돌림병으로 발광하는 것, 유풍(遊風), 열독(熱毒)과 종독(腫毒), 코피를 흘리는 것, 피를 토하는 것[吐血], 쇠붙이에 상하여 피를 흘려 정신이 아찔해지는 것 등을 치료한다. 번갈을 멎게 하고 벌레와 뱀에 물린 독, 산후의 혈훈(血暈)과 어린이에게 나는 높은 열과 열감(熱疳)을 낫게 한다.
○ 쪽(생것)의 줄기와 잎으로 푸른 물을 들일 수 있다[본초].
○ 궂은 피[敗血]를 헤쳐서[散] 해당한 경락으로 가게 한다[단심].
⼒靑黛
性寒味稜無毒主解諸藥毒天行頭痛寒熱亦治熱瘡惡種金瘡下血蛇犬等毒解小兒疳熱消瘦殺盤○靑黛乃藍爲之以藍造者乃入藥《本草》○靑黛殺惡盤物化爲水《丹心》○治熱毒盤積疳痢除五藏鬱火而瀉肝《醫鑑》○靑色古人用以晝眉故曰黛卽焏花也《入門》
청대(靑黛)
성질은 차고[寒]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無毒]. 여러 가지 약독, 돌림병으로 머리가 아프고 추웠다 열이 나는 것, 또는 열창(熱瘡), 악종(惡腫), 쇠붙이에 다쳐서 피가 쏟는 것, 뱀과 개 등에 물린 독을 치료한다. 어린이가 감열(疳熱)로 여윈 것을 낫게 하고 벌레를 죽인다.
○ 청대는 쪽으로 만든다. 쪽으로 만든 것이라야 약에 넣어 쓸 수 있다[본초].
○ 청대는 나쁜 벌레들을 죽여서 물이 되게 한다[단심].
○ 열독, 충적(蟲積), 감리(疳痢) 등을 치료하고 5장에 몰린 화를 없애며 간기를 사한다[의감].
○ 빛이 푸르러 옛사람이 눈썹을 그리는 데 썼기 때문에 대(黛)라고 한다. 즉 전화( 花)이다[입문].
⼒藍澱
亦堪付熱惡腫蛇紅旹毒兼解諸毒及小兒丹熱此染瓮上池沫紫碧色者功同靑黛《本草》
남전(藍澱)
열이 나는 악창에 붙이며 독사에게 물려 독이 오르는 데 붙인다. 겸하여 여러 가지 독과 어린이의 단독열[丹熱]을 풀어 준다. 이것은 쪽물을 담은 그릇 밑에 앉은 앙금인데 자줏빛을 띤 푸른 빛 나는 것이다. 그 효력이 청대와 같다[본초].
⼒靑布
性寒味稜無毒主解諸物毒天行熱毒小兒丹毒拄水漬取汁飮○燒作黑灰付惡瘡及灸瘡久不差入水不爛燒熏虎狼咬瘡出水毒此藍染靑布也《本草》
청포(靑布, 쪽물들인 천)
성질은 차고[寒] 맛이 짜며[鹹] 독이 없다. 여러 가지 독, 돌림병의 열독, 어린이의 단독(丹毒) 등을 푸는데 다 물에 담가 우린 물을 마신다.
○ 태운 재를 악창이나 구창(灸瘡)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데 붙이면 물이 들어가도 헌데가 터지지 않고 아문다. 범이나 이리에게 물린 데는 청포를 태우면서 연기를 쏘이면 진물이 나오면서 독이 빠져 나온다. 이것은 쪽물을 들인 푸른 천이다[본초].
⼗芎塥
궁궁이性溫味辛無毒治一切風一切氣一切勞損一切血破宿血養新血止吐婼血及尿血便血除風寒入腦頭痛目淚出療心腹脇冷痛○處處種蒔三月九月採根暴乾惟貴形塊重實作雀腦狀者謂之雀腦芎此最有力《本草》○入手足厥陰經少陽經本經藥也治血虛頭痛之聖藥散肝經之風邪○貫芎治少陽經苦頭痛上行頭目下行血海治頭面風不可缺也頂痛腦痛須用川芎《湯液》○蕪芎卽苗頭小塊也氣怴上行故能散鬱與雀腦芎同功《丹心》○芎塥若單服久服則走散眞氣或致暴死須以他藥佐之骨蒸多汗者尤不可久服《本草》○大塊色白不油者佳《本草》
궁궁(芎 , 궁궁이)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모든 풍병, 기병, 노손(勞損), 혈병 등을 치료한다. 오래된 어혈을 헤치며 피를 생겨나게 하고 피를 토하는 것, 코피, 피오줌, 피똥 등을 멎게 한다. 풍한사가 뇌에 들어가 머리가 아프고 눈물이 나는 것을 낫게 하며 명치 밑과 옆구리가 냉으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심는다. 음력 3월, 9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오직 죽은 것은 덩이져 무거우면서 속이 딴딴하고 참새골(雀腦)처럼 생겼다. 이것을 작뇌궁(雀腦芎)이라 하는데 제일 약효가 좋다[본초].
○ 수, 족궐음경, 소양경에 들어가는 본경 약(本經藥)이다. 혈허로 일체 두통을 치료하는 데 아주 좋은 약이다. 간경(肝經)의 풍사(風邪)를 헤친다.
○ 관궁(貫芎)은 소양경 두통이 심한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약 기운이 위로는 머리와 눈에 가고 아래로는 자궁에까지 간다. 두면풍을 치료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정수리와 속골이 아픈 데는 반드시 궁궁이를 써야 한다[탕액].
○ 무궁(蕪芎)은 싹이 돋아나는 대가리가 적은 것인데 약 힘이 위[上]로 가므로 몰린 것을 잘 흩어지게 한다. 작뇌궁과 효력이 같다[단심].
○ 궁궁이 한 가지만 먹거나 오랫동안 먹으면 진기(眞氣)가 흩어지는데 혹 갑자기 죽게도 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다른 약을 좌사약으로 써야 한다. 골증열이 나거나 땀이 많은 사람은 더욱 오랫동안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크게 덩어리가 지고 빛이 희며 기름기가 없는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慛蕪
一名江籬卽芎塥苗也主風邪頭風目眩抗邪惡除蠱毒去三盤四五月採葉暴乾《本草》
미무( 蕪, 궁궁이싹)
일명 강리(江籬)라고도 하는데 즉 궁궁이싹이다. 풍사, 두풍, 눈이 아찔한 것[目眩] 등을 치료하며 사기(邪氣), 악기(惡氣)를 물리치고 고독을 없애며 3충을 죽인다. 음력 4월, 5월에 잎을 따서 볕에 말린다[본초].
⼗黃連
性寒味苦無毒主明目止淚出鎭肝去熱毒點赤眼昏痛療腸抌下痢膿血止消渴治驚悸煩躁益膽療口瘡殺小兒疳盤○二月八月採節如連珠堅重相擊有聲者爲勝一云如鷹爪者佳用之去毛《本草》○酒浸炒則上行頭目口舌薑汁炒則辛散衝熱有功生用治實火以吳茱萸水炒則調胃厚腸黃土炒治食積安籵盤檩水炒治下焦伏火《入門》○生用瀉心淸熱酒炒厚腸胃薑製止嘔吐《回春》○入手少陰經苦燥故入心火就燥也能瀉心其實瀉脾胃中濕熱也《湯液》
황련(黃連)
성질은 차고[寒]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눈물이 흐르는 것을 멎게 하며 간기를 진정시키고 열독을 없애며 눈에 피져서 잘 보이지 않고 아픈 데 넣으며 이질로 피고름이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소갈을 멎게 하고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 번조증이 나는 것 등을 낫게 하며 담을 이롭게 한다. 입 안이 헌것을 낫게 하며 어린이의 감충(疳蟲)을 죽인다.
○ 음력 2월과 8월에 캐는데 마디가 구슬을 꿰놓은 듯하면서 딴딴하고 무거우며 마주쳐서 다글다글 소리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어떤 책에는 매발톱같이 생긴 것이 좋은 것이라고 하였다. 쓸 때에는 잔털을 뜯어버리고 쓴다[본초].
○ 술에 담갔다가 볶으면[浸炒] 약 기운이 머리, 눈, 입과 혀로 올라가고 생강즙으로 축여 볶으면 매워서 치미는 열[衝熱]을 발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생것으로 쓰면 실화(實火)를 치료하고 오수유 달인 물에 축여 볶으면 위(胃)를 조화시키고 창자를 든든하게 한다. 누런 흙과 같이 닦으면 식적(食積)을 치료하고 회충을 안정시키며 소금물로 축여 볶으면 하초에 잠복된 화를 치료한다[입문].
○ 생것으로 쓰면 심을 사하고 열을 내리며 술로 축여 볶으면 장위를 든든하게 하고 생강즙으로 법제하면 구토를 멎게 한다[회춘].
○ 수소음경에 들어가는데 맛이 쓰고 조하므로 화(火)의 장기인 심(心)에 들어간다. 그것은 화는 조(燥)한 데를 따라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심을 사한다고 하지만 사실은 비위 속의 습열을 사하는 것이다[탕액].
⼗絡石
담쟝이性微寒(一云溫)味苦無毒主癰腫不消喉舌腫金瘡去蛇毒心悶療癰傷口乾舌焦○一名石抔嵊生木石間凌冬不凋葉似細橘蔓延木石之陰莖節着處卽生根鬚包絡石傍花白子黑六七月採莖葉日乾《本草》○根鬚包絡石上而生葉細圓者良絡木者不用《入門》
낙석(絡石, 담쟁이덩굴)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옹종이 잘 삭아지지 않는 데와 목 안과 혀가 부은 것, 쇠붙이에 상한 것 등에 쓰며 뱀독으로 가슴이 답답한 것을 없애고 옹저, 외상과 입 안이 마르고 혀가 타는 것[舌焦] 등을 치료한다.
○ 일명 석벽려(石 )라고도 하는데 바위나 나무에 달라 붙어서 자라며 겨울에도 잘 시들지 않는다. 잎은 자질구레한 귤잎 비슷하며 나무와 바위에 붙어 덩굴이 뻗어 나가는데 줄기의 마디가 생기는 곳에 잔뿌리가 내려서 돌에 달라 붙으며 꽃은 희고 씨는 검다. 음력 6월, 7월에 줄기와 잎을 뜯어서 볕에 말린다[본초].
○ 잔뿌리가 내려 바위에 달라 붙으며 잎이 잘고 둥근 것이 좋은 것이다. 나무에 뻗은 것은 쓰지 않는다[입문].
⼒抔嵊
與絡石極相類治背癰《本草》○在石上者爲絡石在墻上者爲抔嵊同是一物也《俗方》
벽려( )
낙석과 아주 비슷한데 등에 난 옹종을 치료한다[본초].
○ 바위에 있는 것이 낙석이고 담장에 있는 것이 벽여인데 다 같은 것이다[속방].
⼗白珰藜
납가꿡性溫味苦辛無毒主諸風身體風痒頭痛及肺浔吐膿又治水藏冷小便多及奔豚腎氣陰硒○生原野布地蔓生細葉子有三角刺人狀如菱而小七月八月九月採實暴乾○珰藜有兩種杜珰藜卽子有芒刺者風家多用之白珰藜出同州沙苑子如羊內腎入補腎藥○今多用有刺者炒去刺搗碎用之《本草》
백질려(白 藜, 남가새열매)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여러 가지 풍증, 몸이 풍으로 가려운 것, 두통, 폐위로 고름을 뱉는 것, 신[水藏]이 차서 오줌을 많이 누는 분돈(奔豚), 신기(腎氣)와 퇴산[陰 ] 등을 치료한다.
○ 벌판과 들에서 자라는데 땅에 덩굴이 뻗으며 잎은 가늘고 씨에는 삼각으로 된 가시가 있어 찌르며 모양이 마름[菱] 비슷한데 작다. 음력 7월, 8월, 9월에 씨를 받아 볕에 말린다.
○ 질려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두질려(杜 藜)는 씨에 가시가 있으며 풍증에 많이 쓰고 백질려는 동주 사원(同州沙苑)에서 나는데 씨가 양의 콩팥 비슷하며 신(腎)을 보하는 약에 쓴다.
○ 지금 많이 쓰는 것은 가시가 있는 것인데 닦아서[炒] 가시를 없애고 짓찧어 쓴다[본초].
⼗黃妉
韅너삼불휘性微溫味甘無毒主虛損羸瘦益氣長肉止寒熱療腎衰耳聾治癰疽久敗瘡排膿止痛又治小兒百病婦人崩漏帶下諸疾○生原野處處有之二月十月採根陰乾《本草》○治氣虛盜汗自汗卽皮表之藥又治卋血柔脾胃是爲中州之藥又治傷寒尺怴不至補腎藏元氣爲裏藥是上中下內外三焦之藥也○入手少陽經足太陰經足少陰命門之劑《湯液》○肥白人多汗者服之有功蒼黑人氣實者不可服《正傳》○綿軟箭幹者佳瘡瘍生用肺虛蜜水炒下虛檩水炒用《入門》
황기(黃 , 단너삼)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허손증으로 몹시 여윈 데 쓴다. 기를 돕고 살찌게 하며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을 멎게 하고 신이 약해서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하며 옹저를 없애고 오래된 헌데에서 고름을 빨아내며 아픈 것을 멎게 한다. 또한 어린이의 온갖 병과 붕루와 대하 등 여러 가지 부인병을 치료한다.
○ 벌판과 들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2월, 10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기가 허하여 나는 식은땀[盜汗]과 저절로 나는 땀[自汗]을 멎게 하는데 이것은 피부표면에 작용하는 약이다. 또 각혈( 血)을 멈추고 비위를 편안하게[柔] 한다는 것은 비위의 약[中州之藥]이라는 것이다. 또 상한에 척맥(尺脈)이 짚이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신기(腎氣)를 보한다는 것은 속을 치료하는 약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단너삼은 상, 중, 하, 속과 겉, 삼초의 약으로 되는 것이다.
○ 수소양경과 태음경, 족소음경의 명문에 들어가는 약[命門之劑]이다[탕액].
○ 희멀쑥하게 살찐 사람이 땀을 많이 흘리는 데 쓰면 효과가 있고 빛이 검푸르면서 기가 실한 사람에게는 쓰지 못한다[정전].
○ 솜처럼 만문하면서[軟] 화살같이 생긴 것이 좋다. 창양(瘡瘍)에는 생것으로 쓰고 폐가 허한 데는 꿀물을 축여 볶아 쓰며 하초가 허한 데는 소금물을 축여 볶아 쓴다[입문].
⼒莖葉
療渴及筋攣消癰腫疽瘡《本草》
황기경엽(黃 莖葉, 단너삼의 줄기와 잎)
갈증, 힘줄이 가드라드는 것[筋攣], 옹종과 저창(疽瘡)과 쓴다[본초].
⼗肉犙蓉
性微溫味甘酸稜無毒主五勞七傷除莖中寒熱痛强陰益精氣令多子治男絶陽不興女絶陰不産潤五藏長肌肉煖腰膝男子泄精尿血遺瀝女子帶下陰痛○皮如松子有鱗甲長尺餘三月採根陰乾用之酒浸去鱗甲《本草》○能峻補精血聚用反致尿澁《丹心》
육종용(肉 蓉)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이 달고[甘] 시며[酸] 짜고[鹹] 독이 없다. 5로 7상(五勞七傷)을 치료하며 음경 속이 찼다 더웠다 하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하며 양기를 세게 하고 정기를 불쿠어 아이를 많이 낳게 한다. 남자의 양기가 끊어져서 음위증이 된 것과 여자의 음기가 끊어져서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5장을 눅여 주고 살찌게 하며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고 남자의 몽설과 유정, 피오줌이 나오는 것,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 여자의 대하와 음부가 아픈 데 쓴다.
○ 겉은 잣송이처럼 비늘이 있고 길이는 1자가 넘는다. 음력 3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려 쓴다. 술에 담갔다가 비늘 같은 것을 벗겨버린다[본초].
○ 정혈(精血)을 세게 보하는데 갑자기 많이 쓰면 도리어 오줌이 잘 나오지 않게 된다[단심].
⼒期陽
性溫味甘寒無毒閉精補陰氣虛而大便燥結者煮粥食之肉瘴蓉根也○肉瘴蓉根名鎖陽酒浸一宿刷去浮甲及心中白膜乃酒蒸或塗曧灸用《入門》○潤大便燥結能補陰《醫鑑》
쇄양( 陽)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달고[甘] 차며[寒] 독이 없다. 유정, 몽설을 멎게 하며 음을 보한다. 기가 허하여 대변이 굳은 사람은 쇄양죽을 쑤어 먹인다. 이것은 육종용의 뿌리이다.
○ 육종용 뿌리의 이름이 쇄양인데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비늘과 속의 흰 막을 버리고 술에 쪄서 쓰거나 졸인 젖( )을 발라 구워 쓴다[입문].
○ 대변이 몹시 굳은 것을 눅여 주고 음을 잘 보한다[의감]]
⼗防風
병풍鏁ꏉ불휘性溫味甘辛無毒治三十六般風痛利五藏關怴風頭眩痛風赤眼出淚周身骨節疼痺止盜汗安神定志○生山野中隨處有之二月十月採根暴乾惟實而脂潤頭節堅如埽蚓頭者爲好去蘆及叉頭叉尾者叉頭令人發狂叉尾發痼疾《本草》○足陽明足太陰之行經藥也足太陽本經藥也治風通用頭去身半以上風邪梢去身半以下風邪《湯液》○除上焦風邪之仙藥也《入門》
방풍(防風)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달고[甘] 매우며[辛] 독이 없다. 36가지 풍증을 치료하며 5장을 좋게 하고 맥풍(脈風)을 몰아내며 어지럼증, 통풍(痛風), 눈에 피지고 눈물이 나는 것, 온몸의 뼈마디가 아프고 저린 것 등을 치료한다. 식은땀을 멈추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2월, 10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뿌리가 실하면서 눅진눅진하고[脂潤] 대가리 마디가 딴딴하면서 지렁이 대가리처럼 된 것이 좋다. 노두와 대가리가 두 가닥진 것, 꼬리가 두 가닥진 것들은 버린다. 대가리가 가닥진 것을 쓰면 사람이 미치고 꼬리가 두가닥진 것을 쓰면 고질병이 생기게 된다[본초].
○ 족양명, 족태음경에 들어가는 약이며 족태양의 본경약이다. 풍을 치료하는 데 두루 쓴다. 몸 윗도리에 있는 풍사에는 노두를 버리고 쓰며 몸 아랫도리에 있는 풍사(風邪)에는 잔뿌리를 버리고 쓴다[탕액].
○ 상초의 풍사를 없애는 데 아주 좋은 약이다[입문].
⼒葉
主中風熱汗出《本草》
방풍엽(防風葉, 방풍잎)
중풍과 열로 땀나는 데 쓴다[본초].
⼒花
主心腹痛四肢拘急經怴虛羸《本草》
방풍화(防風花, 방풍꽃)
명치 밑이 아프고 팔다리가 가드라지며 경맥이 허하여 몸이 여윈 데 쓴다[본초].
⼒子
似胡涿而大調食用之香而療風更優也《本草》
방풍자(防風子, 방풍씨)
고수씨(胡 )와 비슷하면서 크다. 양념으로 쓰면 향기롭고 풍을 치료하는 데 더욱 좋다[본초].
⼗蒲黃
부들证鿁性平味甘無毒止九竅出血消瘀血主血痢及婦人崩漏帶下及兒枕急痛下血墮胎○生水澤中處處有之卽蒲槌中黃粉也伺其有便拂取之○要破血消腫卽生使要補血止血卽炒用其下篩後有赤滓名爲棋炒用澁腸止瀉血及血痢《本草》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9규(竅)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멎게 하고 어혈을 삭힌다. 혈리(血痢), 붕루, 대하, 후배앓이[兒枕], 하혈, 유산 등을 치료한다.
○ 못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즉 부들꽃 방망이(蒲槌)에 있는 노란 가루이다. 가루가 날리기 전에 털어 쓴다.
○ 어혈을 헤치고 부은 것을 내리려면 생것을 쓴다. 혈을 보한다. 피를 멎게 하려면 닦아 쓴다. 채로 친 뒤에 빨간 무거리(赤滓)가 있는 것은 꽃받침인데 닦아 쓰면 장(腸)을 몹시 조여들게 하므로 뒤로 피를 쏟는 것[瀉血]과 혈리(血痢)를 멎게 한다[본초].
⼒香蒲
卽蒲黃苗也主五藏邪氣口中爛臭堅齒明目聰耳○此卽甘蒲作薦者春初生嫩茸紅白色生啖之甘脆以苦酒浸如食枼大美可爲澛或爲灨《本草》
향포(香蒲)
즉 부들의 싹(蒲黃苗)이다. 5장의 사기로 입 안이 헤여지면서[爛] 냄새나는 것을 치료하며 이를 든든하게[堅] 하고 눈과 귀를 밝게 한다.
○ 이것은 즉 감포(甘蒲)인데 돗자리를 만드는 것이다. 초봄에 나는 싹은 붉고 흰 것이며 생것을 씹으면 달고 만문하다[脆]. 식초에 담그면 죽순맛과 같이 좋다. 절여서 먹고 김치도 해 먹는다[본초].
⼒敗蒲席
主墜墮損瘀刺痛煮服之以久臥得人氣者爲佳《本草》
패포석(敗蒲席)
떨어져서 상한 어혈로 쑤시면서 아픈 데 달여 먹는다. 오래 깔고 누워 있던 것으로서 사람의 냄새가 밴 것이 좋다㈜[본초].
[註] 이 내용은 현실성과 과학성이 없는 방법이다.
⼗續斷
性微溫味苦辛無毒能通經怴續筋骨調氣調血怴婦人産後一切病○生山野三月後生苗印四稜似苧麻葉亦類兩兩相對而生四月開花紅白色根如大喯赤黃色七月八月採根陰乾以節節斷皮黃皺者爲眞《本草》○能止痛生肌續筋骨故名爲續斷婦人崩漏帶下尿血爲最節節斷有烟塵起者佳酒浸焙乾用如桑寄生同功《入門》
속단(續斷)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이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경맥을 잘 통하게 하고 힘줄과 뼈를 이어주며 기를 도와주고 혈맥을 고르게 하며 해산 후의 일체 병(一切病)에 쓴다.
○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음력 3월 후에 싹이 돋아서 화살대 같은데 네모져 있다. 잎은 모시잎 같은데 2개씩 맞붙어서 난다. 음력 4월에 붉은 빛과 흰빛의 꽃이 피고 뿌리는 엉겅퀴 뿌리(大 )와 같은데 붉고 누른빛이다. 음력 7월,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마디마디가 끊어지고 껍질이 누르고 주름진 것이 좋은 품종이다[본초].
○ 아픈 것을 잘 멎게 하고 살이 살아나오게 하며 힘줄과 뼈를 이어주므로 속단이라고 한다. 붕루, 대하, 피오줌을 누는 것들에 매우 좋다. 마디마디가 끊어지면서 연기 같은 먼지가 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 뽕나무겨우살이(桑寄生)와 효력이 같다[입문].
⼗漏蘆
졀국대性寒味苦稜無毒治身上熱毒風生惡瘡皮肌瘙痒温疹療發背乳癰岤嵤排膿補血付金瘡止血治瘡疥○生山野莖若箸大其子作房類油麻而小根黑色似蔓菁而細八月採根陰乾《本草》○足陽明本經藥《入門》
누로(漏蘆, 뻐꾹채)
성질은 차며[寒] 맛이 쓰고[苦] 짜며[鹹] 독이 없다. 열독풍(熱毒風)으로 몸에 악창이 생긴 것, 피부가 가려운 것, 두드러기, 발배(發背), 유옹(乳癰), 나력( ) 등을 치료한다. 고름을 잘 빨아내고 혈을 보하며 쇠붙이에 다친 데 붙이면 피가 멎는다. 헌데와 옴을 낫게 한다.
○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젓가락만하고 그 씨는 거푸집이 있어 참깨(호마)와 비슷한데 작다. 뿌리는 검어서 순무(蔓靑)와 비슷한데 가늘다. 음력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족양명 본경의 약이다[입문].
⼒莖葉
療疳蝕殺盤有驗《本草》
누로경엽(漏蘆莖葉, 뻐꾹채의 줄기와 잎)
감충이 파먹는 것[疳蝕]을 치료하며 벌레를 죽이는 데 효과가 있다[본초].
⼗營實
딜위여鿑性溫(一云微寒)味酸(一云苦)無毒主癰疽惡瘡敗瘡陰蝕不發頭瘡白禿○營實卽野薔薇子也莖間多刺蔓生子若杜棠子其花有五葉八出六出或赤或白處處有之以白花者爲良《本草》○八九月採實漿水拌蒸望乾用《入門》
영실(營實, 찔레나무열매)
성질은 따뜻하고[溫](약간 차다고도[微寒] 한다) 맛이 시며[酸](쓰다고도[苦] 한다) 독이 없다. 옹저, 악창, 패창(敗瘡), 음식창이 낫지 않는 것과 두창(頭瘡), 백독창(白禿瘡) 등에 쓴다.
○ 찔레나무열매는 즉 들장미의 열매(野薔薇子)이다. 줄기 사이에 가시가 많고 덩굴이 뻗으며 열매는 찔광이(산사)와 같고 꽃은 5잎이며 6-8개가 한데 나온다. 붉기도 하고 희기도 하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흰 꽃이 피는 것이 좋다[본초].
○ 음력 8월, 9월에 열매를 따서 신좁쌀죽웃물(漿水)에 버무려 쪄서 볕에 말려 쓴다[입문].
⼒根
性冷味苦澁無毒治熱毒風癰疽惡瘡止赤白痢腸風瀉血小兒疳盤屠痛《本草》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성질은 차고[寒] 맛이 쓰며[苦] 떫고[澁] 독이 없다. 열독풍으로 옹저, 악창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또한 적백이질과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을 멎게 하고 어린이가 감충으로 배가 아파하는 것을 낫게 한다[본초].
⼗決明子
초결명性平(一云微寒)味稜苦無毒主靑盲及眼赤痛淚出淫膚赤白膜助肝氣益精水治頭痛鼻婼療脣口靑○葉似悴枢而大七月開花黃白色其子作穗如靑菉豆而銳又云子作角實似馬蹄故俗名馬蹄決明十月十日採子陰乾百日入藥微炒用《本草》○一名還瞳子《正傳》○作枕治頭風明目《本草》
결명자(決明子)
성질은 평(平)하며(약간 차다고도[微寒] 한다) 맛이 짜고[鹹] 쓰며[苦] 독이 없다. 청맹(靑盲)과 눈에 피지면서 아프고 눈물이 흐르는 것, 살에 붉고 흰 막이 있는데 쓴다. 간기를 돕고 정수(精水)를 보태어 준다. 머리가 아프고 코피나는 것을 치료하며 입술이 푸른 것을 낫게 한다.
○ 잎은 거여목처럼 크다. 음력 7월에 누렇고 흰빛의 꽃이 핀다. 그 열매는 이삭으로 되어 있다. 푸른 녹두(靑菉)와 비슷하면서 뾰족하다. 또는 그 꼬투리는 콩처럼 되어 있고 씨는 말발굽 같으므로 민간에서 마제결명자(馬蹄決明子)라고 한다. 음력 10월 10일에 씨를 받아 백일 동안 그늘에서 말려 약간 닦아서 약으로 쓴다[본초].
○ 일명 환동자(還瞳子)라고도 한다[정전].
○ 베개를 만들어 베면 두풍증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한다[본초].
⼒葉
明目利五藏作茹食之甚良《本草》
결명엽(決明葉)
눈을 밝게 하고 5장을 좋게 한다. 나물을 해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丹參
性微寒(一云平)味苦無毒治脚軟疼痺四肢不遂排膿止痛生肌長肉破宿血補新血安生胎落死胎調婦人經怴不勻止崩漏帶下○莖葉如薄荷而有毛三月開花紅紫色根赤大如指長尺餘一苗數根九十月採根暴乾《本草》○酒浸服可逐奔馬故又名奔馬草酒洗望乾用《入門》
단삼(丹參)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다리가 약하면서 저리고 아픈 것과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는 고름을 빨아내고 아픈 것을 멈추며 살찌게 하고 오래된 어혈을 헤치며 새로운 피를 보하여 주고 안태시키며 죽은 태아를 나오게 한다. 또 월경을 고르게 하고 붕루와 대하를 멎게 한다.
○ 줄기와 잎은 박하와 비슷하나 털이 있고 음력 3월에 자홍색의 꽃이 핀다. 뿌리는 붉은데 손가락만하고 길이는 1자 남짓하다[본초].
○ 술에 담갔다가 먹으면 달리는 말을 따를 수 있게 되므로 또한 분마초(奔馬草)라고도 한다[본초].
○ 술로 씻어서 볕에 말려 쓴다[입문].
⼗电根
곡도숑性寒味甘無毒主六極傷心肺吐血瀉血用之止婼吐便尿血崩中下血治瘡癤殺蠱毒○此草可以染絳葉似棗葉而頭尖下闊莖葉俱澁四五葉對生節間蔓延草木上根紫赤色生山野二月三月採根暴乾入藥犫炒用之《本草》○銅刀犫炒勿犯鉛鐵《入門》○一名過山龍《正傳》
천근( 根, 꼭두서니뿌리)
성질은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6극(六極)으로 심폐를 상하여 피를 토하거나 뒤로 피를 쏟는 데 쓴다. 코피,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피오줌, 붕루, 하혈 등을 멎게 하고 창절(瘡癤)을 치료하며 고독(蠱毒)을 없앤다.
○ 이 풀은 붉은 물을 들일 수 있으며 잎은 대추잎(棗葉) 비슷하나 끝이 뾰족하고 아래가 넓다. 줄기와 잎에 모두 가시가 있어 깔깔한데 1개 마디에 4-5잎이 돌려 나며 풀이나 나무에 덩굴이 뻗어 오르고 뿌리는 짙은 붉은 빛이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음력 2월과 3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약에 넣을 때는 잘게 썰어서 닦아 쓴다[본초].
○ 구리칼로 베서 닦는데 연이나 쇠붙이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입문].
○ 일명 과산룡(過山龍)이라고도 한다[정전].
⼗五味子
오미믁性溫味酸(一云微苦)無毒補虛勞羸瘦明目煖水藏强陰益男子精生陰中肌止消渴除煩熱解酒毒治咳嗽上氣○生深山中莖赤色蔓生葉如杏葉花黃白子如豌豆許大叢生莖頭生靑熟紅紫味甘者佳八月採子日乾○皮肉甘酸核中辛苦都有稜味此則五味具也故名爲五味子入藥生暴不去子《本草》○孫眞人云夏月常服五味子以補五藏之氣在上則滋源在下則補腎故入手太陰足少陰也《湯液》○我國生咸鏡道平安道最佳《俗方》
오미자(五味子)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시며[酸](약간 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허로(虛勞)로 몹시 여윈 것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하고 신[水藏]을 덥히며 양기를 세게 한다. 남자의 정을 돕고 음경을 커지게 한다. 소갈증을 멈추고 번열을 없애며 술독을 풀고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 깊은 산 속에서 자란다. 줄기는 붉은 빛이고 덩굴로 자라는데 잎은 살구나무잎(杏葉)과 비슷하다. 꽃은 노랗고 흰빛이며 열매는 완두콩만한데 줄기 끝에 무더기로 열린다. 선 것[生]은 푸르고 익으면[熟] 분홍자줏빛이며 맛이 단것이 좋다. 음력 8월에 열매를 따서 볕에 말린다.
○ 껍질과 살은 달고 시며 씨는 맵고 쓰면서 모두 짠 맛이 있다. 그래서 5가지 맛이 다 나기 때문에 오미자라고 한다. 약으로는 생것을 볕에 말려 쓰고 씨를 버리지 않는다[본초].
○ 손진인(孫眞人)이 “여름철에 오미자를 늘 먹어 5장의 기운을 보해야 한다”고 한 것은 위로는[上] 폐를 보하고 아래로는 신을 보하기 때문이다. 수태음, 족소음경에 들어간다[탕액].
○ 우리나라에서는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나는 것이 제일 좋다[속방].
⼗旋花
멧性溫味甘無毒主益氣去面卩令顔色媚好○一名嘓子花言其形肖也五月採花陰乾○此卽生平澤旋蔔之花也蔓生葉似薯橅而多狹長花紅白色根無毛節蒸煮堪啖味甘美食之不飢生田野處處有之最難鋤治《本草》
선화(旋花, 메꽃)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를 보하고 얼굴의 주근깨를 없애며 얼굴빛을 좋게 한다.
○ 일명 고자화(鼓子花)라고도 하는데 그 모양이 나팔 비슷하기 때문이다. 음력 5월에 꽃을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 이것이 평지대나 못가에 나는 메꽃이다. 덩굴이 뻗으며 잎은 마잎과 비슷하지만 좁고 길다. 꽃은 분홍빛이면서 희고 뿌리에는 털과 마디가 없다. 쪄서 먹는데 맛이 달다. 먹기 좋고 배고프지 않다. 밭에서 자라며 어느 곳에나 다 있어서 김매기가 어렵다[본초].
⼒根
味甘主腹中寒熱邪氣利小便久服不飢又主續筋骨合金瘡一名美草一名豚腸草《本草》
선화근(旋花根, 메뿌리)
맛이 달다[甘]. 배가 찼다 더웠다 하는데 쓰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배고프지 않다. 또 힘줄과 뼈를 이어주며 쇠붙이에 상한 것을 아물게 한다. 일명 미초(美草) 또는 돈장초( 腸草)라고도 한다[본초].
⼗蘭草
性平味辛無毒殺蠱毒抗不祥利水道除胸中痰癖○葉似麥門冬而闊且靭長及一二尺四時常靑花黃中間葉上有細紫點有春芳者爲春蘭色深秋芳者爲秋蘭色淺四月五月採○葉不香惟花香盆盛置座右滿室盡香與他花香又別《本草》○葉似馬欄故名蘭草《入門》○蘭稟金水之淸氣而似有火人知其花香之貴而不知爲用之有方盖其氣能散久積陳鬱之氣甚有力東垣云味甘性寒其氣淸香生津止渴益氣潤肌肉內經曰治以蘭除陳氣也《丹心》
난초(蘭草)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고독을 죽이고 좋지 못한 기운을 막으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가슴 속의 담벽(痰癖)㈜을 없앤다.
[註] 담벽(痰癖) : 담으로 생긴 벽증.
○ 잎이 맥문동 잎과 비슷하나 넓고 질기며 길이가 1-2자나 된다. 사철 푸르고 꽃은 누르며 가운데 꽃잎에 자줏빛의 작은 점들이 있다. 봄에 피는 것을 춘란(春蘭)이라 하는데 빛이 짙고 가을에 피는 것을 추란(秋蘭)이라 하는데 빛이 연하다. 음력 4월과 5월에 뜯는다.
○ 잎에는 향기가 없고 다만 꽃에만 향기가 있다. 화분에 심어 방 안에 두면 온 방에 향기가 가득 차며 다른 꽃향기와 특별히 다르다[본초].
○ 잎이 마란(馬欄)과 비슷하므로 이름을 난초라고 한다[입문].
○ 난초는 금수의 맑은 기[金水之淸氣]를 받았는데 화기(火氣)가 있는 듯하다. 사람들이 그 향기가 좋은 것을 알고 쓰는 방법은 잘 알지 못한다. 난초는 흩어지게 하는 힘이 있으므로 오랫동안 쌓여서 묵고 몰려 있는 기를 흩어지게 하는 데 아주 좋다. 동원은 “맛이 달고 성질이 차며 그 냄새가 맑고 향기로워서 진액을 생겨나게 하며 갈증을 멈추고 기운을 도와주며 살을 윤택하게 한다”고 하였다. 『내경』에는 난초로써 묵은 기를 없앤다고 하였다[단심].
⼗忍冬
겨럁사리너출性微寒味甘無毒主寒熱身腫熱毒血痢療五尸○處處有之莖赤紫色宿者有薄白皮膜其嫩莖有毛花白蘂紫十二月採陰乾《本草》○此草藤生蔓繞古木上其藤左纏附木故名爲左纏藤凌冬不凋故又名忍冬草花有黃白二色故又名金銀花《入門》○一名老翁鬚草一名鷺攇藤又名水楊藤其藤左纏花五出而白微香體帶紅色野生蔓延《直指》○今人用此以治癰疽熱盛煩渴及感寒發表皆有功《俗方》
인동(忍冬, 겨우살이덩굴)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추웠다 열이 나면서 몸이 붓는 것과 열독, 혈리 등에 쓰며 5시(五尸)를 치료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줄기는 붉은 자줏빛이며 오랫동안 묵은 줄기에는 엷고 흰 피막이 있다. 갓 나온 줄기에는 털이 있으며 흰 꽃의 꽃술은 자줏빛이다. 음력 12월에 뜯어다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이 풀은 덩굴로서 늙은 나무에 감겨 있는데 그 덩굴이 왼쪽으로 나무에 감겨 있으므로 좌전등(左纏藤)이라 한다. 겨울에도 잘 시들지 않기 때문에 또한 인동초(忍冬草)라고도 한다. 꽃은 누른 것과 흰 것의 2가지가 있으므로 또한 금은화(金銀花)라고도 한다[입문].
○ 일명 노옹수초(老翁鬚草) 또는 노사등(鷺 藤) 또는 수양등(水楊藤)이라고도 한다. 덩굴은 왼쪽으로 감긴다. 꽃은 5개의 꽃잎이 나오면서 희고 향기가 약간 있고 덩굴은 분홍빛을 띠며 들에서 나고 덩굴로 뻗어 나간다[직지].
○ 지금 사람들은 이것으로써 옹저 때 열이 몹시 나고 번갈증이 나는 것과 감기 때 땀을 내어 표(表)를 풀어 주는 데 써서 다 효과를 본다[속방].
⼗蛇床子
얌도랏平(一云溫)味苦辛甘無毒(一云小毒)主婦人陰中腫痛男子陰浔濕痒溫中下氣令婦人子藏熱男子陰强浴男女陰去風冷大益陽事腰痛陰汗濕癬縮小便療赤白帶下○處處有之似小葉芎塥花白子如黍粒黃白至輕虛生下濕地五月採實陰乾《本草》○凡入丸散微炒婔去皮殼取淨仁用之若作湯洗病則生使《入門》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성질은 평(平)하고(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 맵고[辛] 달며[甘] 독이 없다(조금 독이 있다고도 한다). 부인의 음부가 부어서 아픈 것과 남자의 음위증(陰 證), 사타구니가 축축하고 가려운 데 쓴다. 속을 덥히고 기를 내린다. 자궁을 덥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한다. 남녀의 생식기를 씻으면 풍랭(風冷)을 없앤다. 성욕을 세게 하며 허리가 아픈 것, 사타구니에 땀이 나는 것, 진버짐이 생긴 것 등을 낫게 한다. 오줌이 많은 것을 줄이며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작은 잎은 궁궁이(천궁)와 비슷하며 꽃은 희고 열매는 기장쌀알(黍粒) 같으며 누르고 흰빛이며 가볍다. 습지대에서 나고 자란다. 음력 5월에 열매를 받아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알약, 가루약에 넣어 쓸 때 약간 닦은 다음 비벼서 껍질을 버리고 알맹이만 가려서 쓴다. 만일 달인 물로 환처를 씻으려면 생것을 그대로 쓴다[입문].
⼗地膚子
대여름性寒味苦無毒主膀胱熱利小便治陰卵硒疾及客熱丹腫○處處有之莖赤葉靑大似荊芥花黃白子靑白色似一眠起蠶沙堪爲掃皁一名落皁子八九月採實陰乾《本草》○一名千頭子《回春》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성질은 차고[寒]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방광에 열이 있을 때에 쓰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퇴산[ ]과 열이 있는 단독으로 부은 것을 치료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줄기는 붉고 잎은 푸르며 크기는 형개와 비슷하다. 꽃은 누르고 흰빛이다. 씨는 푸르고 흰빛인데 한잠 자고 눈 누에 똥과 비슷하다. 빗자루를 맬 수 있다. 일명 낙추자(落 子)라고도 한다. 음력 8월과 9월에 씨를 받아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일명 천두자(千頭子)라고도 한다[회춘].
⼒葉
止赤白痢澁腸胃解惡瘡毒洗目去熱暗雀盲澁痛四五月採用之《本草》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적백이질을 멎게 하고 장위(腸胃)를 수렴하여 설사를 멈추며 악창의 독을 풀어 준다. 눈을 씻으면 눈에 열이 있으면서 잘 보지 못하는 것과 밤눈증[雀盲]이 있으면서 깔깔하고[澁]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음력 4월과 5월에 뜯어 쓴다[본초].
⼗景天
집우디기性平(一云冷)味苦酸無毒(一云小毒)治心煩熱狂赤眼頭痛遊風丹腫及大熱火瘡婦人帶下小兒丹毒○苗葉似馬齒竔而大作層而生莖極脆弱夏中開紅紫碎花秋後枯死四月四日七月七日採陰乾○今人以盆盛植屋上以抗火故謂之愼火草《本草》
경천(景天)
성질은 평(平)하며(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쓰고[苦] 시며[酸] 독이 없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가슴에 번열이 있어서 발광하는 것과 눈에 피지고 머리가 아픈 것, 유풍(遊風)으로 벌겋게 부은 것과 센 불에 덴 것, 부인의 대하, 어린이의 단독 등을 치료한다.
○ 싹과 잎은 쇠비름(마치현)과 비슷한데 크게 층(層)을 지어[作] 난다[生]. 줄기는 몹시 연약하며 여름에 붉은 자줏빛의 잔꽃이 핀다. 가을에는 말라 죽는다. 음력 4월과 7월에 뜯어서 그늘에 말린다.
○ 지금 사람들은 화분에 심어 지붕에 올려 놓으면 불이 붙지 않게 한다고 하여 신화초(愼火草)라고도 한다[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