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部

2012. 1. 31. 15:50[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桂皮

性大熱味甘辛有小毒主溫中通血怴利肝肺氣治囍亂轉筋宣導百藥無所畏能墮胎○桂得蔥而軟蔥液可熬桂作水○生南方三月四月生花全類茱萸九月結實二月八月十月採皮陰乾凡使刮去㵋皮《本草》

계피(桂皮)

성질은 몹시 열하며[大熱] 맛을 달고[甘] 매우며[辛] 조금 독이 있다. 속을 따뜻하게 하며 혈맥을 잘 통하게 하고 간, 폐의 기를 고르게 하며 곽란으로 쥐가 이는 것을 낫게 한다. 온갖 약 기운을 고루 잘 퍼지게 하면서도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유산시킬 수 있다.

○ 계피는 파를 만나면 부드러워진다. 파 달인 물로 계피를 달이면 물이 되게 할 수 있다.

○ 남방에서 나며 음력 3월, 4월에 수유(茱萸)와 꼭 같은 꽃이 피고 음력 9월에 열매가 익는다. 음력 2월, 8월, 10월에 껍질을 벗겨 그늘에서 말린다. 쓸 때에 겉껍질을 긁어 버린다[본초].

⼒桂心

治九種心痛殺三盤破血止腹內冷痛治一切風氣補五勞七傷通九竅利關節益精明目煖腰膝除風痺破竎癖琋禮消瘀血續筋骨生肌肉下胞衣○卽是削除皮上甲錯處取近嚸辛而有味桂皮一斤只得五兩爲正《本草》

계심(桂心)

9가지 가슴앓이를 낫게 하며 3충을 죽인다. 어혈을 헤치고 뱃속이 차고 아픈 것을 멈추며 모든 풍기를 없앤다. 5로 7상(五勞七傷)을 보하고 9규(竅)를 잘 통하게 하며 뼈마디를 잘 놀릴 수 있게 한다. 정(精)을 돕고 눈을 밝게 하며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고 풍비(風痺)를 없앤다. 또한 현벽, 징가, 어혈을 삭이고 힘줄과 뼈를 이어 주며 살을 살아나게 하고 태반이 나오게 한다.

○ 이것은 비늘처럼 된 겉껍질을 긁어 버린 다음 그 밑층에 있는 매운 맛을 가진 부분이다. 계피 600g에서 계심 200g을 얻는 것이 기준이다[본초].

⼒肉桂

能補腎宜入治藏及下焦藥入手足少陰經色紫而厚者佳刮去㵋皮用《入門》

육계(肉桂)

신(腎)을 잘 보하므로 5장이나 하초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약[下焦藥]으로 쓴다. 수족소음경에 들어간다. 빛이 자줏빛이면서 두터운 것이 좋다.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쓴다[입문].

⼒桂枝

枝者枝條非身幹也盖取其枝上皮取其輕薄而能發散正合內經辛甘發散爲陽之義○入足太陽經能散血分寒邪《本草》○表虛自汗以桂枝發其邪衛和則表密汗自止非桂枝能收汗也《丹心》○桂枝氣味俱輕故能上行發散於表《丹心》○仲景用桂枝發表肉桂補腎本乎天者親上本乎地者親下自然之理也《湯液》

계지(桂枝)

지(枝)라는 것은 가는 가지(枝條)이고 굵은 줄기(身幹)가 아니다. 대체로 가지에 붙은 껍질의 기운을 이용하는 것인데 이것은 가벼워 뜨는 성질이 있어 발산(發散)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내경』에 “맵고 단것은 발산하므로 양에 속한다”고 하였는데 이것과 뜻이 맞는다.

○ 족태양경에 들어가며 혈분의 한사[血分寒邪]를 헤친다[본초].

○ 표(表)가 허하여 절로 나는 땀은 계지로 사기[邪]를 발산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위기[衛]가 고르게 되면 표가 치밀해지므로[密] 땀이 저절로 멎게 된다. 계지가 땀을 거두는 것은 아니다[단심].

○ 계지는 냄새와 맛이 다 경(輕)하기 때문에 올라가며 겉으로 발산시키는 작용을 한다[단심].

○ 중경은 계지로 발표(發表)시키고 육계로 신(腎)을 보하였는데 위[上]로 뜨는 것은 윗부분에 작용하고 아래에 가라앉는 것은 아랫부분에 작용한다는 자연적인 이치에 의거한 것이다[탕액].

⼒柳桂

乃小枝嫩條善行上焦補陽氣薄桂乃細薄嫩枝入上焦橫行肩臂《入門》○桂心菌桂牡桂同是一物厚者必嫩薄者必老嫩旣辛香兼又筒卷老必味淡自然板薄板薄者卽牡桂也筒卷者卽菌桂也筒厚者宜入治藏及下焦藥輕薄者宜入治頭目發散藥又有柳桂乃桂之嫩小枝尤宜入治上焦藥《本草》

유계(柳桂)

작은 가지의 만만한 순(嫩條)이다. 상초에 가서 양기를 잘 보한다. 박계(薄桂)는 가늘고 엷은 햇가지인데 상초에 들어가서 어깨와 팔로 잘 간다[입문].

○ 계심(桂心), 균계(菌桂), 모계(牡桂)는 다 한 식물이다. 냄새와 맛이 센 것은 반드시 어린것이고 약한 것은 반드시 늙은 것이다. 어린것은 맵고[辛] 향기로우면서 겸하여 둥글게 말린다. 늙은 것은 반드시 맛이 슴슴하고[淡] 자연히 널판처럼 얇게 퍼진다. 얇게 퍼진 것은 모계이고 둥글게 말린 것은 균계이다. 굵게 말린 것은 5장과 하초에 생긴 병에 약으로 쓰는 것이 좋고 가볍고 엷은 것은 머리와 눈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발산약(發散藥)으로 쓰는 것이 좋다. 또 유계라는 것은 계수나무의 어리고 작은 가지인데 상초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쓰는 것이 좋다[본초].

⼗松脂

소나모진性溫味苦甘(一云平)無毒安五藏除熱治風痺死肌主諸惡瘡頭瘍白禿疥瘙去死肌療耳聾牙有狰孔貼諸瘡生肌止痛殺盤○一名松膏一名松肪六月採自流出者勝於鑿孔及煮取脂也以通明如熏陸香者爲勝○煉法以桑灰水或酒煮軟婔內寒水中數十過白滑則可用《本草》○又法用河水煮化投冷水中令兩人琜援旣疑再煮如此三次再用酒煮三次以白如飴糖爲度凡用入石臼中嶽搗爲末不可望焙亦不可單服塞實腸胃《入門》

송지(松脂, 송진)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苦] 달며[甘](평(平)하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열을 없애며 풍비(風痺), 죽은 살[死肌], 여러 가지 악창, 머리가 헌데, 머리털 빠지는 증, 옴과 가려운 증을 낫게 한다. 귀머거리와 삭은 이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여러 가지 부스럼에 바르면 새살이 살아 나오고 통증이 멎으며 벌레도 죽는다.

○ 일명 송고(松膏), 송방(松肪)이라고도 한다. 음력 6월에 절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받으면 구멍을 뚫고서 받은 것과 졸여서 진을 낸 것보다 질이 좋다. 투명하며 유향 비슷한 것이 좋은 것이다.

○ 법제하자면 뽕나무 잿물(桑灰水)이나 술에 끓여 주물러서 찬물에 10여 번 담가내서 희고 미끈미끈해지면 쓸 수 있다[본초].

○ 또 한 가지 방법은 강물에 달여 녹여서 찬물에 넣고 두 사람이 켜다가 켜지지 않게 엉키면 재차 달여서 찬물에 넣고 켜는데 이렇게 세번 한다. 그 다음 또 술에 넣고 달이기를 세번 하여 흰 엿처럼 될 때까지 한다. 쓸 때에는 돌절구에 넣고 따로 가루낸다. 햇볕에 말려서는 안 되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도 안 된다. 이것 한 가지만 먹으면 장위(腸胃)가 막히게 된다[입문].

⼒松實

性溫味甘無毒主風痺虛羸以氣不足《本草》

송실(松實, 솔방울)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풍비로 허약하고 여윈 것과 숨쉴 기운이 없어 하는 것을 낫게 한다[본초].

⼒松葉

主風濕瘡生毛髮安五藏不飢延年《本草》

송엽(松葉, 솔잎)

풍습으로 생긴 헌데를 낫게 하고 머리털을 나게 하며 5장을 고르게 하고 배고프지 않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본초].

⼒松節

主百節風脚痺骨節痛釀酒療脚軟弱《本草》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백절풍(百節風), 다리가 저린 것[脚骨], 뼈마디가 아픈 것[骨節痛] 등을 낫게 한다. 술을 만들어 먹으면 다리가 연약한 것을 낫게 한다[본초].

⼒松花

名松黃輕身療病卽花上黃粉勝皮葉及子《本草》

송화(松花, 솔꽃)

송황(松黃)이라고도 한다. 몸을 가볍게 하고 병을 낫게 한다. 즉 꽃에 있는 누른 가루인데 껍질, 잎 또는 씨보다 좋다[본초].

⼒松根白皮

抗穀不飢益氣補五勞《本草》

송근백피(松根白皮, 소나무뿌리속껍질)

곡식을 먹지 않고 이것만 먹고도 살 수 있다. 배고프지 않게 하며 기를 보하고 5로증(五勞證)도 낫게 한다[본초].

⼒松灗

主牛馬疥瘡燒松脂取汁也《本草》

송제(松 , 솔기름)

소나 말의 진옴[疥瘡]을 낫게 한다. 소나무가지를 태워 받은 기름이다[본초].

⼒松樹皮上綠衣

名艾姭香一名狼苔合諸香燒之其烟不散團聚靑白可愛《本草》

송수피상록의(松樹皮上綠衣, 소나무껍질에 돋은 이끼)

애납향(艾 香)이라고 한다. 일명 낭태(狼苔)라고도 하는데 여러 가지 향과 같이 피우며 그 연기가 흩어지지 않고 푸르고 흰 색으로 뭉게뭉게 모여 올라가는 것이 아름답다[본초].

⼗塊實

회화나모여름性寒味苦酸稜無毒主五痔火瘡除大熱療難産墮胎殺盤去風治男女陰瘡濕痒及腸風及催生○十月上已日採實如莢新盆盛以牛膽汁拌濕封口塗泥經百日取出皮爛爲水子如大豆紫黑色能疎導風熱入藥微炒有服法久服則令腦滿髮不白而長生一名塊角卽莢也《本草》○塊者虛星之精葉晝合夜開故一名守宮《入門》

괴실(槐實, 홰나무열매)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시며[酸] 짜고[ ] 독이 없다. 5가지 치질, 불에 덴 데 주로 쓰며 높은 열[大熱]을 내리고 난산(難産)을 낫게 한다. 유산시키며 벌레를 죽이고 풍증도 낫게 한다. 남녀의 음창과 음부가 축축하며 가려운 증, 장풍 등을 낫게 하며 해산을 헐하게 한다.

○ 음력 10월 초순에 열매와 꼬투리를 따서 새 동이에 담고 우담즙(牛膽汁)을 넣고서 축축해지도록 버무린 다음 아구리를 막고 틈 사이를 진흙이긴 것으로 발라 둔다. 그리하여 백일 지나서 꺼내면 껍질이 물크러져 물이 되고 씨는 검은 자줏빛을 띤 콩처럼 된다. 이것은 풍열을 잘 헤친다. 약에 넣을 때는 약간 볶는다[微炒]. 오래 먹으면 뇌가 좋아지며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고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일명 괴각(槐角)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꼬투리를 말한다[본초].

○ 홰나무는 허성의 정기[虛星之精]로써 잎이 낮에는 맞붙고 밤에는 펴지기 때문에 일명 수궁(守宮)이라고도 한다[입문].

⼒塊枝

煮汁洗陰囊下濕痒燒灰吝齒去猼《本草》

괴지(槐枝, 홰나무가지)

삶은 물로 음낭 밑이 축축하고 가려운 부분을 씻는다. 태워 가루내서 이를 닦으면 삭은 이가 낫는다[본초].

⼒塊白皮

煮湯洗五痔及惡瘡疳媞湯火瘡《本草》

괴백피(槐白皮, 홰나무속껍질)

삶은 물로 5가지 치질, 악창, 감닉(疳 ) 그리고 끓는 물 또는 불에 덴 데를 씻는다[본초].

⼒塊膠

主急風口夝或四肢不收或破傷風口眼圦斜筋怴抽疦腰脊强硬雜諸藥用之《本草》

괴교(槐膠, 홰나무진)

급경풍[急風]으로 이를 악물거나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 또는 파상풍, 입과 눈이 비뚤어진 것, 힘줄과 혈맥이 가드라드는 것, 허리나 등이 뻣뻣해지는 것을 낫게 한다. 여러 가지 약과 배합하여 쓴다[본초].

⼒塊花

治五痔心痛殺腹藏盤幷腸風瀉血幷赤白痢凉大腸熱微炒用一名塊鵝《本草》

괴화(槐花, 홰나무꽃)

5가지 치질과 가슴앓이를 낫게 하며 뱃속에 벌레를 죽이고 장풍(腸風)으로 피똥을 누는 것, 적백이질을 낫게 하며 대장의 열을 내린다. 약간 닦아서 쓴다. 일명 괴아(槐鵝)라고도 한다[본초].

⼗枸杞子

괴좃나모여름性寒(一云平)味苦(一云甘)無毒補內傷大勞噓吸堅筋骨强陰療五勞七傷補益精氣易顔色變白明目安神令人長壽○一名地仙一名仙人杖處處有之春夏採葉秋採莖實久服之皆輕身益氣○嫩葉作羹茹食之甚佳色白無刺者良○莖名枸杞根名地骨枸杞當用梗皮地骨當用根皮枸杞子當用其紅實是一物有三用其梗皮寒根皮大寒子微寒性亦三等○陜西枸杞子如櫻桃全少核極有味《本草》

구기자(枸杞子)

성질은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내상으로 몹시 피로하고 숨쉬기도 힘든 것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하며 5로 7상을 낫게 한다. 정기를 보하며 얼굴빛을 젊어지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 일명 지선(地仙) 또는 선인장(仙人杖)이라고도 한다. 곳곳에 있는데 봄과 여름에는 잎을 따고 가을에는 줄기와 열매를 딴다. 오래 먹으면 다 몸을 가볍게 하고 기운을 나게 한다.

○ 어린 잎(嫩葉)으로 국이나 나물을 만들어 먹으면 아주 좋다. 빛이 희고 가시가 없는 것이 좋다.

○ 줄기는 구기(枸杞), 뿌리는 지골(地骨)이라 하는데 구기라 하면 줄기의 껍질을 써야 하고 지골이라 하면 뿌리의 껍질을 써야 한다. 그리고 구기자라 하면 그의 벌건 열매를 써야 한다. 이것은 한 식물에서 쓰는 부분이 3가지라는 뜻이다. 그 줄기껍질은 성질이 차고[寒] 뿌리 껍질은 몹시 차며[大寒] 구기자는 약간 차므로[微寒] 성질도 역시 3가지이다.

○ 섬서(陝西) 지방의 구기자는 앵두(櫻桃) 같으면서 씨가 아주 적어 맛이 매우 좋다[본초].

⼒地骨皮

入足少陰經手少陽經治有汗骨蒸善解肌熱《湯液》

지골피(地骨皮)

족소음경과 수소양경에 들어가서 땀이 나는 골증열[骨蒸]을 낫게 한다. 피부의 열을 잘 풀리게[解] 한다[탕액].

⼗栢實

측꟢나모여름性平味甘無毒主驚悸安五藏益氣治風潤皮膚除風濕痺虛損吸吸興陽道益壽○此側葉子也九月結子候成熟收採蒸乾去殼用《本草》○令人潤澤美顔色耳目聰明則澤腎之藥也《湯液》○萬木向陽惟栢西向故字從白稟金之正氣木之最堅者實去殼取仁微炒去油用《入門》

백실(栢實, 측백씨)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경계증을 낫게 하며 5장을 편안하게 하고 기운을 돕는다. 풍증을 낫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풍습비와 허손으로 숨을 겨우 쉬는 것을 낫게 한다. 음경을 일어서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 이것은 측백나무씨(側葉子)인데 음력 9월 열매가 익은 다음에 따 쪄서 말려 껍질을 버리고 쓴다[본초].

○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얼굴을 곱게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신을 충실하게 하는 약[澤腎之藥]이다[탕액].

○ 모든 나무가 다 양지 쪽을 향하는데 측백나무만은 서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흰 ‘백(白)’자를 따서 글자를 만든 것이다. 금(金)의 정기를 받았기 때문에 나무 가운데서 제일 굳다. 열매껍질을 버리고 알맹이만 골라서 약간 닦아 기름을 빼고 쓴다[입문].

⼒葉

味苦辛性澁皆側向而生主吐血婼血痢血補陰之要藥四時各依方而採陰乾入藥蒸用《本草》

백엽(栢葉, 측백잎)

맛은 쓰고[苦] 매우며[辛] 성질은 떫다[澁]. 다 옆으로 향하여 난다. 피를 토하는 것, 코피, 혈리(血痢)를 낫게 하며 음(陰)을 보하는 중요한 약이다. 사시절에 각각 제철 방위에 맞는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다. 약에 넣을 때에는 쪄서 쓴다[본초].

⼒白皮

主火灼爛瘡長毛髮《本草》

백백피(栢白皮, 측백나무속껍질)

불에 데서 물크러진 것을 낫게 하며 머리털을 자라게 한다[본초].

⼗茯巔

性平味甘無毒開胃止嘔逆善安心神主肺浔痰壅伐腎邪利小便下水腫淋結止消渴療健忘○仙經服食亦爲至要云其通神而致靈和魂而鍊魄明竅而益肌厚腸而開心調榮而理胃上品仙藥也善能斷穀不飢○生山中處處有之松脂入地千歲爲茯巔其抱根而輕虛者爲茯神二月八月採皆陰乾大如三四升器外皮黑細皺內堅白形如鳥獸龜鱉者良《本草》○有白赤二種白者入手太陰經足太陽經足少陽經赤者入足太陰經手太陽經少陰經又云色白者入壬癸色赤者入丙丁《湯液》○白色者補赤色者瀉《本草》○凡用去皮爲末水飛浮去赤膜望乾用免致損目陰虛人勿用《入門》

복령(茯 , 솔풍령)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입맛을 돋구고 구역을 멈추며 마음과 정신을 안정하게 한다. 폐위(肺 )로 담이 막힌 것을 낫게 하며 신(腎)에 있는 사기를 몰아내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수종(水腫)과 임병(淋病)으로 오줌이 막힌 것을 잘 나가게 하며 소갈을 멈추고 건망증[健忘]을 낫게 한다.

○ 『선경(仙經)』에서는 음식 대신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 이 약은 정신을 맑게 하고 혼백을 안정시키며 9규를 잘 통하게 하며 살을 찌게 하고 대소장을 좋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또 영기(榮氣)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좋게 하므로[理] 제일 좋은 약이며 곡식을 안 먹어도 배고프지 않다고 하였다.

○ 산 속의 곳곳에 있다. 송진이 땅에 들어가 천년 지나서 솔풍령이 된다. 소나무뿌리를 싸고 있으면서 가볍고 퍼석퍼석한 것은 복신(茯神)이다. 음력 2월과 8월에 캐서 다 그늘에서 말린다. 크기가 3-4되가 되며 껍질이 검고 가는 주름이 있으며 속은 굳고 희며 생김새가 새, 짐승, 거북, 자라 같은 것이 좋다[본초].

○ 흰 것, 벌건 것 등 두 종류가 있는데 흰 것은 수태음경, 족태양경, 족소양경에 들어가고 벌건 것은 족태음경, 수태양경, 소음경에 들어간다. 또한 빛이 흰 것은 신수[壬癸]로 들어가고 빛이 벌건 것은 심화[丙丁]로 들어간다[탕액].

○ 빛이 흰 것은 보하고 빛이 벌건 것은 사한다[본초].

○ 쓸 때에 껍질을 벗기고 가루내서 수비(水飛)하여 물 위에 뜨는 잡질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 쓴다. 이렇게 해서 써야 눈이 상하지 않는다. 음이 허한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茯神

性平味甘無毒療風眩風虛止驚悸治健忘開心益智安魂魄養精神安神定志主驚癎○茯巔乃採斫訖多年松根之氣所生盖其氣味壹鬱未絶故爲是物其津氣盛者方發泄於外結爲茯巔雖有津氣而不甚盛止能結伏於本根故曰茯神《本草》○松木斫不再抽芽其根不死津液下流故生茯巔茯神因用治心神通津液《入門》

복신(茯神)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풍현(風眩)과 풍허증을 치료하고 경계증과 건망증을 낫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머리를 좋게 하며 혼백을 편안히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마음을 진정시킨다. 주로 경간(驚癎)을 낫게 한다.

○ 솔풍령은 찍은 지 여러 해 된 소나무뿌리의 기운으로 생겨 나는 것인데 대체로 그 기운이 몰려 있으면서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되는 것이다. 그 진이 차고 넘쳐 뿌리 밖으로 새어나가 뭉친 것이 솔풍령으로 된다. 진이 있기는 해도 그다지 차고 넘치지 못하면 다만 나무뿌리에 맺혀 있기만 하기 때문에 이것을 복신이라 한다[본초].

○ 소나무는 찍으면 다시 싹이 못 나오나 그 뿌리는 죽지 않고 진이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기 때문에 솔풍령과 복신이 생긴다. 그러므로 솔풍령과 복신을 써서 심(心)과 신(神)의 기능을 좋게 하고 진액을 잘 통하게 한다[입문].

⼗琥珀

性平味甘無毒安五藏定魂魄般精魅邪鬼治産後血疹通利水道通五淋明目膚次○如血色熟於布上拭摩吸得芥者爲眞凡用嶽搗如粉重篩用《本草》○茯巔琥珀皆自松出而所稟各異茯巔生成於陰琥珀生於陽而成於陰故皆治榮而安心利水《入門》

호박(琥珀)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한다. 몸푼 뒤에 궂은 피로 꽃돋이가 생기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5림을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눈의 예막을 없앤다.

○ 피 같은 색이고 천에 세게 비벼 대서 지푸라기가 들어 붙는 것이 진품이다. 쓸 때는 따로 분처럼 가루내어 다시 채로 쳐서 쓴다[본초].

○ 솔풍령과 호박은 다 소나무에서 나는데 성질은 서로 다르다. 솔풍령은 음(陰)에서 나서 음에서 자라고 호박은 양(陽)에서 나서 음에서 자란다. 그렇기 때문에 다 영(榮)을 고르게 하고 심을 편안하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입문].

⼗楡皮

느릅나모겁질性平味甘無毒性滑利主大小便不通利水道除腸胃邪熱消浮腫利五淋治不眠療糞○生山中處處有之二月採皮取白暴乾三月採實作醬食甚香美《本草》

유피(楡皮, 느릅나무껍질)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잘 나가게 하는 작용도 있기 때문에 대소변이 통하지 못하는 병에 주로 쓰인다.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장위의 사열[腸胃邪熱]을 없애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5림을 풀리게[利] 하며 불면증, 후합증을 낫게 한다.

○ 산 속 곳곳에 있으며 음력 2월에 뿌리를 캐서 속껍질만을 벗겨 햇볕에 말려서 쓴다. 3월에 열매를 따서 장을 담가 먹으면 아주 향기롭고 맛있다[본초].

⼗酸棗仁

묏대쵸󰠧平味甘無毒主煩心不得眠臍上下痛血泄虛汗益肝氣堅筋骨令人肥健又主筋骨風○生山中狀如大棗樹而不至高大其實極小八月採實取核《本草》○血不歸脾而睡臥不寧者宜用此大補心脾則血歸脾而五藏安和睡臥自安矣凡使破核取仁睡多則生用不得睡則炒熟再蒸半日去皮尖硏用《入門》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

성질은 평(平)하며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속이 답답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증, 배꼽의 위아래[上下]가 아픈 것, 피가 섞인 설사, 식은땀 등을 낫게 한다. 또한 간기(肝氣)를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몸을 살찌게 하고 든든하게 한다. 또 힘줄과 뼈의 풍증을 낫게 한다.

○ 산에서 자란다. 생김새는 대추나무 같은데 그렇게 크지는 못하다. 열매는 아주 작다. 음력 8월에 열매를 따서 씨를 빼서 쓴다[본초].

○ 혈(血)이 비(脾)에 잘 돌아오지 못하여 잠을 편안히 자지 못할 때에는 이것을 써서 심과 비를 크게 보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혈이 비에 잘 돌아오게 되고 5장이 편안해져서 잠도 잘 잘 수 있게 된다. 쓸 때에는 씨를 깨뜨려 알맹이를 쓴다. 잠이 많으면 생것대로 쓰고 잠이 안 오면 닦아 익힌[炒熱] 다음 다시 한나절 가량 쪄서 꺼풀과 끝을 버리고 갈아서 쓴다[입문].

⼗黃蘗

황벽나모겁질性寒味苦無毒主五藏腸胃中結熱黃疸腸痔療泄痢女子漏下赤白陰蝕瘡殺疳盤疥癬治目熱赤痛口瘡除骨蒸勞熱○生山中處處有之五月六月採皮去皺㵋暴乾《本草》○俗名黃栢鮮黃色厚者佳足少陰手厥陰本經藥足太陽引經藥也又瀉膀胱火亦治龍火有瀉火補陰之功《丹心》○銅刀刮去㵋皮蜜水浸半日取出灸乾用又云入下部鹽酒炒火盛者童便浸蒸《入門》○銅刀切片蜜炒酒炒人乳汁炒童便炒或生用大治陰虛《回春》

황벽(黃蘗, 황백)

성질은 차며[寒] 맛이 쓰고[苦] 독이 없다. 5장과 장위 속에 몰린 열과 황달, 장치(腸痔)㈜ 등을 주로 없앤다. 설사와 이질, 적백대하, 음식창을 낫게 하고 감충을 죽이며 옴과 버짐, 눈에 열이 있어 피지고 아픈 것, 입 안이 헌것 등을 낫게 하며 골증노열(骨蒸勞熱)을 없앤다.

[註] 장치(腸痔) : 치질의 한 가지.

○ 산의 곳곳에서 난다. 음력 5월과 6월에 껍질을 벗겨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본초].

○ 민간에서 황경피나무껍질(黃栢)이라고 한다. 노란 빛이 선명하고 껍질이 두터운 것이 좋다. 족소음과 수궐음의 본경약(本經藥)이며 족태양의 인경약(引經藥)이다. 또한 방광의 화를 사하고 신[龍]의 화도 사한다. 화를 사하고 음을 보하는 효능이 있다[단심].

○ 구리칼로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꿀물에 한나절 담갔다가 꺼낸 다음 구워 말려 쓴다. 또한 약 기운을 아래로 내려가게 하려면 소금을 푼 술에 축여 볶아서 쓰고 화가 성한 때에는 동변에 담갔다가 쪄서 쓴다[입문].

○ 구리칼로 썰어 꿀물, 술, 젖, 동변 등에 축여 볶아 쓰고 혹 생것대로도 쓴다. 음이 허한 것을 잘 낫게 한다[회춘].

⼒根

名檀桓主心腹百病久服輕身延年《本草》

황벽근(黃蘗根, 황경피나무뿌리)

이름을 단환(檀桓)이라 한다. 명치 밑에 생긴 모든 병을 낫게 한다.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오래 살 수 있게 한다[본초].

⼗楮實

닥나모여름性寒味甘無毒主陰浔壯筋骨助陽氣補虛勞煖腰膝益顔色充肌膚明目○處處有之取皮以作紙者皮斑者是楮皮白者是穀又曰葉有瓣曰楮無瓣曰穀八月九月採實暴乾《本草》○水浸去浮酒浸蒸焙乾用《入門》

저실(楮實, 닥나무열매)

성질은 차며[寒]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음위증을 낫게 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며 양기를 돕고 허로를 보하며 허리와 무릎을 덥혀준다. 또한 얼굴빛을 좋게 하며 피부를 충실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 곳곳에 있는데 껍질을 벗겨 종이를 만든다. 껍질에 얼룩점이 있는 것은 저(楮)라는 닥나무이고 껍질이 흰 것은 곡(穀)이라는 닥나무이다. 또한 잎에 비늘이 있는 것은 저라는 닥나무이고 없는 것은 곡이라는 닥나무라고 한다. 음력 8월-9월에 씨를 따서 볕에 말린다[본초].

○ 물에 담가 뜨는 것을 버리고 술에 담갔다가 쪄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입문].

⼒葉

主刺風身痒惡瘡生肌可作浴湯《本草》

저엽(楮葉, 닥나무잎)

자풍(刺風), 가려운 증[身痒], 악창을 낫게 하며 살이 살아나게 한다. 달인 물로 목욕한다[본초].

⼒樹皮

治水腫脹滿逐水利小便《本草》

저수피(楮樹皮, 닥나무껍질)

수종과 창만(脹滿)을 낫게 하며 물을 몰아내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본초].

⼒楮紙

燒灰酒調服能止血暈血崩金瘡出血不止《入門》

저지(楮紙, 닥나무로 만든 종이)

태워 가루내어 술에 타서 먹으면 혈훈, 혈붕(血崩), 쇠붙이에 다쳐 피가 계속 나오는 것을 멎게 한다[입문].

⼗乾漆

ꏁ른옷性溫味辛有毒消瘀血主女人經怴不通及疝禮利小腸去蛔盤破堅積止血暈殺三盤治傳尸勞○漆桶中自然有乾者狀如蜂房孔孔隔堅若鐵石者爲佳入藥須搗碎炒令烟出不爾損人腸胃素畏漆者勿服《本草》○性畏漆者入鷄子淸和藥內用《正傳》

건칠(乾漆, 마른옻)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어혈을 삭이며 월경이 중단된 것, 산가증(疝 證)을 낳게 한다. 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회충을 없애며 뜬뜬한 적을 헤치고 혈훈을 낫게 하며 3충을 죽인다. 전시노채(傳尸勞 )에도 쓴다.

○ 그릇에 넣어 둔 옻이 절로 말라서 벌집처럼 구멍이 나고 구멍과 구멍 사이가 쇠나 돌같이 굳어진 것이 좋다. 약에 넣을 때는 반드시 부스러뜨려 연기가 날 때까지 닦아서 쓴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의 장위(腸胃)를 상하게 한다. 본래 옻을 타는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옻을 타는 사람이면 달걀 흰자위에 개어서 약에 넣어 먹는다[정전].

⼒生漆

去長盤久服輕身耐老(仙方有服法)○夏至後採取○漆性拄急凡取時須荏油解破○凡驗漆以物濐起細而不斷斷而急收又塗於乾竹上蔭之速乾者拄佳《本草》○蟹黃能化漆爲水故解漆毒《入門》

생칠(生漆, 생옻)

회충을 죽이는데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며 늙지 않게 된다(선방에 먹는 법이 있다). 하지가 지난 뒤에 채취한다.

○ 옻은 약성질이 모두 사납다[急]. 그러므로 이것을 다룰 때에는 들깨기름을 발라서 독을 풀어야 한다.

○ 옻을 시험할 때에는 아무 것에나 묻혀서 들어본다. 그러면 가늘게 늘어지면서 잘 끊어지지 않는다. 끊어지면 급히 가다든다. 또 마른 참대에 발라 덮어 놓으면 빨리 마른다. 이런 것들이 다 좋은 것이다[본초].

○ 게장은 옻을 녹여 물이 되게 하기 때문에 옻독을 푼다[입문].

⼗五加皮

둘튓性溫(一云微寒)味辛苦無毒補五勞七傷益氣添精堅筋骨强志意男子陰浔女子陰痒療腰脊痛兩脚疼痺骨節攣急浔抖小兒三歲不能行服此便行步○生山野樹生小叢莖間有刺五葉生枝端如桃花有香氣三四月開白花結細靑子至六月漸黑色根若荊根皮黃黑肉白骨硬五月七月採莖十月採根陰乾《本草》○上應五車星精而生故葉五出者佳延年不老仙經藥也《入門》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성질은 따뜻하며[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맵고 쓰며[辛苦] 독이 없다. 5로 7상을 보하며 기운을 돕고 정수를 보충한다. 힘줄과 뼈를 든든히 하고 의지를 굳세게 하며 남자의 음위증과 여자의 음부가려움증을 낫게 한다. 허리와 등골뼈가 아픈 것, 두 다리가 아프고 저린 것, 뼈마디가 조여드는 것, 다리에 힘이 없어 늘어진 것 등을 낫게 한다. 어린이가 3살이 되어도 걷지 못할 때에 먹이면 걸어다닐 수 있게 된다.

○ 산과 들에 있는데 나무는 잔 떨기나무이고 줄기에는 가시가 돋고 다섯갈래의 잎이 가지 끝에 난다. 꽃은 복숭아꽃 비슷한데 향기롭다. 음력 3-4월에 흰 꽃이 핀 다음 잘고 푸른 씨가 달린다. 6월에 가면 차츰 검어진다. 뿌리는 광대싸리뿌리 비슷한데 겉은 검누른 빛이고 속은 희며 심은 단단하다. 음력 5월과 7월에는 줄기를 베고 10월에는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위[上]로 5거성의 정기[五車星精]를 받아서 자란다. 그렇기 때문에 잎이 다섯갈래로 나는 것이 좋다. 오래 살게 하며 늙지 않게 하는 좋은 약이다[입문].

⼗蔓荊實

승법실性微寒(一云平)味辛苦無毒主風頭痛腦鳴淚出明目堅齒利九竅長澙髮治濕痺拘攣去白盤長盤○蔓生莖高四五尺對節生枝葉如杏葉至秋結實如梧子許而輕虛八九月採《本草》○太陽經藥酒蒸望搗碎用《入門》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성질은 약간 차며[微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쓰고[苦] 맵고[辛] 독이 없다. 풍으로 머리가 아프며 골 속이 울리는 것, 눈물이 나는 것을 낫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이빨을 든든히 하며 9규를 잘 통하게 하고 수염과 머리털을 잘 자라게 한다. 습비(濕痺)로 살이 오그라드는 것을 낫게 하며 촌백충과 회충을 없앤다.

○ 덩굴이 뻗으면서 자라는데 줄기의 높이는 4-5자 정도이다. 마디에서 가지가 마주나고 잎은 살구잎 비슷하다. 가을에 벽오동씨만한 열매가 달리는데 가볍고 속이 비었다. 음력 8-9월에 딴다[본초].

○ 태양경약인데 술에 축여 쪄서 햇볕에 말린 다음 짓찧어서 쓴다[입문].

⼗辛夷

붇곳性溫味辛無毒主風頭腦痛面历通鼻塞涕出治面腫引齒痛明目生鬚髮作面脂生光澤○正月二月生花似着毛小桃子色白帶紫當未折時取之已開者劣○北方地寒二月開花呼爲木筆南方地煖正月開花呼爲迎春○用時去心及外毛苞用之《本草》

신이(辛夷)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풍으로 속골이 아픈 것을 낫게 하며 얼굴의 주근깨를 없애고 코가 메는 것, 콧물이 흐르는 것 등을 낫게 한다. 얼굴이 부은 것을 내리게 하며 치통을 멎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수염과 머리털을 나게 한다. 얼굴에 바르는 기름을 만들면 광택이 난다.

○ 음력 정월과 2월에 꽃이 피는데 털이 부시시한 작은 복숭아 비슷하며 흰빛에 자줏빛을 띤다. 꽃 피기 전에 따야 한다. 활짝 핀 것은 약 기운이 떨어진다.

○ 북쪽 찬 지방에서는 음력 2월에 꽃이 피는데 목필(木筆)이라 하고 남쪽 따뜻한 지방에서는 정월에 피는데 영춘(迎春)이라고 한다.

○ 쓸 때는 심과 겉의 털과 꽃받침을 없애고 쓴다[본초].

⼗桑上寄生

나모우희겨으사리性平味苦甘無毒助筋骨益血怴充肌膚長鬚眉主腰痛治癰腫及金瘡療女子懷胎漏血能令胎牢固除産後餘疾及崩漏○生老桑樹上葉似橘而厚軟莖似塊枝而肥脆三四月開花黃白色六七月結實黃色如小豆大他木上皆有寄生惟桑上者入藥三月三日採莖葉陰乾○此物極難得眞或云斷其莖而視之其色甚黃幷實中有汁稠粘者爲眞《本草》

상상기생(桑上寄生, 뽕나무겨우살이)

성질이 평(平)하며 맛은 쓰고[苦] 달며[甘] 독이 없다. 힘줄 뼈, 혈맥, 피부를 충실하게 하며 수염과 눈썹을 자라게 한다. 요통(腰痛), 옹종과 쇠붙이에 다친 것 등을 낫게 한다. 임신 중에 하혈하는 것을 멎게 하며 안태시키고 몸푼 뒤에 있는 병과 붕루를 낫게 한다.

○ 늙은 뽕나무가지에서 자란다. 잎은 귤잎 비슷하면서 두텁고 부드러우며 줄기는 홰나무가지(槐枝) 같으면서 살찌고 연하다. 음력 3-4월에 누르고 흰빛의 꽃이 피고 6-7월에 열매가 익는데 색이 누렇고 팥알만하다. 다른 나무에서도 붙어 자라는데 뽕나무에서 자란 것만을 약에 쓴다. 음력 3월초에 줄기와 잎을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 이것은 진짜를 얻기 어렵다. 그 줄기를 끊어볼 때 진한 노란색이고 열매 안의 즙이 끈적끈적한 것이 진짜라고 한다[본초].

⼗桑根白皮

나모불휘겁질治肺氣喘滿水氣浮腫消痰止渴去肺中水氣利水道治咳嗽唾血利大小腸殺腹藏盤又可縫金瘡○採無時出土者殺人初採以銅刀刮去上㵋皮取其裏白暴乾東行根益佳《本草》○入手太陰經瀉肺氣之有餘利水生用咳嗽蜜蒸或炒用《入門》

상근백피(桑根白皮, 뽕나무뿌리껍질)

폐기(肺氣)로 숨이 차고 가슴이 그득한 것, 수기(水氣)로 부종이 생긴 것을 낫게 하며 담을 삭이고 갈증을 멈춘다. 또 폐 속의 수기를 없애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기침하면서 피를 뱉는 것을 낫게 하며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한다. 뱃속의 벌레를 죽이고 또한 쇠붙이에 다친 것을 아물게 한다.

○ 아무 때나 채취하는데 땅 위에 드러나 있는 것은 사람을 상한다. 처음 캐서 구리칼로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속에 있는 흰 껍질을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동쪽으로 뻗어간 뿌리가 더욱 좋다[본초].

○ 수태음경에 들어가서 폐기를 사한다. 오줌을 잘 나가게 하려면 생것을 쓰고 기침에는 꿀물에 축여 찌거나 볶아 쓴다[입문].

⼒葉

家桑葉煖無毒除脚氣水腫利大小腸下氣除風痛○葉梩者名鷄桑最佳夏秋再生葉爲上霜後採用《本草》

상엽(桑葉, 뽕잎)

심은 뽕잎은 성질이 따뜻하고[煖] 독이 없다. 각기와 수종을 낫게 하며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기를 내리며 풍(風)으로 오는 통증을 멈춘다.

○ 잎이 갈라진[葉 ] 것은 가새뽕( 桑)이라 하여 제일 좋다. 여름과 가을에 재차 난 잎이 좋은데 서리내린 이후에 따서 쓴다[본초].

⼒枝

春葉未開枝切炒煮湯飮一切風療水氣脚氣肺氣咳嗽上氣消食利小便治臂痛療口乾卽桑枝茶也《本草》

상지(桑枝, 뽕나무가지)

봄에 잎이 내돋지 않은 때에 베어서 닦아[炒] 물에 달여서 먹으면 모든 풍증, 수기, 각기, 폐기, 기침, 상기(上氣) 등을 낫게 한다. 먹은 것을 잘 삭이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팔이 아픈 것, 입 안이 마르는 것을 낫게 하는 데는 즉 뽕나무가지로 만든 차가 제일이다[본초].

⼒桷

性寒味甘無毒主消渴利三藏久服不飢○黑桷桑之精英盡在於此《本草》

상심(桑 , 오디)

성질은 차고[寒]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소갈증을 낫게 하고 5장을 편안하게 한다. 오래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게 된다.

○ 검은 오디(黑 )는 뽕나무의 정기[桑之精]가 다 들어 있다[본초].

《그림》218

⼒桑花

性暖無毒主鼻洪吐血腸風崩中帶下此桑樹皮上白蘚花也以刀削取炒乾用《本草》

상화(桑花, 뽕나무이끼)

성질은 따뜻하며[暖] 독이 없다. 코피가 몹시 나는 것[鼻洪], 피 토하기[吐血], 장풍, 붕루, 대하를 낫게 한다. 이것은 뽕나무껍질 위에 있는 흰 이끼다. 칼로 긁어 볶아 말려서 쓴다[본초].

⼒桑柴灰淋汁

性寒味辛有小毒煮赤小豆作粥喫大下水脹《本草》

상시회림즙(桑柴灰淋汁, 뽕나무잿물)

성질은 차며[寒] 맛은 맵고[辛] 조금 독이 있다. 이 물에 붉은팥(적소두)을 삶아서 죽을 쑤어 먹으면 수종, 창만이 잘 내린다[본초].

⼒桑履盤

主暴心痛金瘡肉生不足老桑樹中有之《本草》

상두충(桑 蟲, 뽕나무좀벌레)

갑자기 생긴 가슴앓이를 낫게 하며 쇠붙이에 다친 데서 새살이 잘 살아나지 않는 것을 낫게 한다. 늙은 뽕나무 속에 있다[본초].

⼒潣木

뫼性溫味甘無毒主風虛耳聾秇疾煮汁堪染黃《本草》

자목( 木, 산뽕나무)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풍허(風虛)로 귀먹은 것과 학질을 낫게 한다. 삶은 물은 노랗게 물이 든다[본초].

⼗夑竹葉

왕댓닙性寒味甘(一云苦)無毒止咳逆上氣除煩熱止消渴壓丹石毒療風眙喉痺嘔吐主吐血熱毒風惡瘍殺小盤○竹有夑淡苦三種夑竹體圓而質勁大者宜刺船細者可爲苗甘竹似夑而茂卽淡竹也苦竹有白有紫《本草》○夑竹淡竹爲上苦竹次之《入門》

근죽엽( 竹葉, 왕대잎)

성질은 차며[寒] 맛이 달고[甘](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을 멈추고 번열을 없애며 소갈을 멎게 하고 광물성 약독을 풀어 준다. 풍경(風痙), 후비(喉痺), 구토, 토혈(吐血), 열독풍(熱毒風), 악창을 낫게 하며 잔벌레를 죽인다.

○ 참대 잎에는 근대엽[ 葉], 담죽엽(淡竹葉), 고죽엽(苦竹葉) 3가지가 있다. 왕대[ 竹]는 둥글고 질이 굳은데 큰 것은 배의 상앗대를 만들 수 있고 가는 것은 피리를 만든다. 감죽(甘竹)은 왕대 비슷한데 가늘고 무성하다. 즉 솜대(淡竹)이다. 고죽은 흰 것과 자줏빛 나는 것이 있다[본초].

○ 왕대, 담죽이 상품이고 고죽은 그 다음 간다[입문].

⼒淡竹葉

소옴댓닙性寒味甘無毒消痰淸熱主中風失音不語壯熱頭痛止驚悸溫疫狂悶治咳逆上氣眩暈倒地小兒驚癎天弔《本草》

담죽엽(淡竹葉)

성질은 차며[寒]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담을 삭이고 열을 내리며 중풍으로 목이 쉬어 말 못하는 것, 열이 세게 나고 머리가 아픈 것[壯熱頭痛] 등을 낫게 한다. 경계증, 온역(瘟疫)으로 발광하며 안타까워 하는 것[狂悶],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 임신부가 어지럼증이 나서 넘어지는 것, 어린이의 경간(驚癎), 천조풍(天弔風) 등을 낫게 한다[본초].

⼒苦竹葉

오靂性冷味苦無毒治不睡止消渴解酒毒除煩熱發汗治中風失音《本草》

고죽엽(苦竹葉, 오죽잎)

성질은 서늘하며[冷] 맛이 쓰고[苦] 독이 없다. 잠 못자는 것을 낫게 하며 소갈을 멈추고 술독을 풀며 번열을 없애고 땀을 낸다. 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것도 낫게 한다[본초].

⼒竹瀝

主暴中風胸中大熱止煩悶卒中風失音不語痰熱昏迷止消渴治破傷風及産後發熱小兒驚癎一切危急之疾○苦竹瀝療口瘡明目利九竅《本草》○竹瀝非薑汁不能行經竹瀝六分加薑汁一分用《入門》○取瀝法見雜方

죽력(竹瀝, 참대기름)

갑자기 중풍이 된 것, 가슴 속의 심한 열을 주로 낫게 한다. 속이 답답한 것, 갑자기 중풍으로 소리를 내지 못하거나 말 못하는 것, 담열로 정신을 잃는 것 등을 낫게 한다. 또한 소갈을 멎게 하며 파상풍과 몸푼 뒤에 열이 나는 것, 어린이 경간 등 모든 위급한 병을 낫게 한다.

○ 고죽력(苦竹瀝)은 입 안이 헌 것을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9규를 잘 통하게 한다[본초].

○ 참대기름은 생강즙이 아니면 경락에 가지 못한다. 참대기름 6, 생강즙 1의 비례로 배합하여 쓴다[입문].

○ 기름내는 방법은 잡방에 있다.

⼒竹實

生於竹木茂盛蒙密之中大如鷄子竹葉層層包嚸味甘通神明令心膈淸凉輕身益氣《入門》○一云狀如小麥堪可爲飯喫《本草》

죽실(竹實, 참대열매)

대숲이 무성하고 빽빽한 가운데서 나는데 크기가 달걀만하고 참대잎이 층층으로 쌓인다. 맛은 달다. 정신을 좋게 하고 가슴을 시원하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하고 기운을 돕는다[입문].

○ 생김새가 밀알 비슷한데 밥을 지어 먹을 수 있다고 했다[본초].

⼒竹根

煮湯服除煩熱止渴補虛下氣小毒又主風치《本草》

죽근(竹根, 참대뿌리)

달여 먹으면 번열과 갈증을 없애며 허한 것을 보하고 기를 내리며 독을 풀어 준다. 또는 풍경[風痔]을 낫게 한다[본초].

⼒竹茹

主嘔籖咳逆止肺浔吐唾血鼻婼崩中卽刮靑竹皮也《本草》

죽여(竹茹, 참대속껍질)

구역, 딸꾹질,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 폐위로 피를 뱉거나 토하는 것, 코피나는 것, 붕루 등을 낫게 한다. 즉 참대의 푸픈 껍질을 긁어 낸 것이다[본초].

⼒竹黃

卽竹節間黃白者味甘又制丹石藥毒發熱《本草》

죽황(竹黃)

즉 참대마디 속에 있는 누르고 흰빛의 물질이다. 맛은 달다[甘]. 광물성 약재의 독으로 나는 열을 없앤다[본초].

⼗吳茱萸

性熱味辛苦有小毒主溫中下氣止痛心腹積冷絞痛諸冷實不消中惡心腹痛治囍亂吐瀉轉筋消痰破琋癖除濕血㴇痺療腎氣脚氣胃中冷氣○葉似椿闊厚紫色三月開花紅紫色七八月結實似椒子嫩時微黃至成熟則深紫九月九日採陰乾《本草》○入足太陰經少陰經厥陰經多食則令人氣塞口開目琌《湯液》○色靑綠凡使湯浸去苦汁六七遍然後或鹽水或黃連水醋浸○製法以熱湯同浸半日方炒各揀用之《入門》○我國惟慶州有之他處無《俗方》

오수유(吳茱萸)

성질은 열(熱)하며 맛은 맵고[辛] 조금 독이 잇다. 속을 덥히고 기를 내리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명치 밑에 냉이 쌓여 비트는 듯이 아픈 것, 여러 가지 냉이 뭉쳐 삭지 않는 것, 중악(中惡)으로 명치 밑이 아픈 것 등을 낫게 한다.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쥐가 이는 것을 낫게 하며 담을 삭이고 징벽을 헤치며 습과 어혈로 감각을 모르는 것을 낫게 한다. 신기(腎氣), 각기, 위(胃) 속의 냉기를 낫게 한다.

○ 잎은 가죽나무 비슷한데 넓고 두터우며 자줏빛이다. 음력 3월에 자줏빛의 꽃이 피고 7-8월에 조피열매(椒子) 비슷한 열매가 열리는데 어릴 때는 약간 노랗고 다 익으면 진한 자줏빛으로 된다. 9월초에 따서 그늘에 말린다[본초].

○ 족태음경, 소음경, 궐음경에 들어간다. 많이 먹으면 기가 막히고 입을 벌리며 눈을 치뜬다[탕액].

○ 빛은 청록색이다. 더운물에 담가서 쓴 물을 예닐곱번 우려버린 다음에 쓴다. 혹 소금물이나 황련 우린 물에 축여 볶아서도 쓴다.

○ 법제하는 법은 끓는 물에 한나절 동안 황련과 같이 담가 두었다가 볶아 따로따로 가려서 쓴다[입문].

○ 우리나라에는 오직 경주에만 있으며 다른 곳에는 없다[속방].

⼒根白皮

治喉痺咳逆止泄注療白白癬殺三盤○根東南行者爲勝道家去三尸方用之《本草》

오수유근백피(吳茱萸根白皮, 오수유나무뿌리속껍질)

후비(喉痺)와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을 낫게 한다. 설사를 멈추며 백선(白癬)을 없애고 3충을 죽인다.

○ 뿌리가 동남쪽으로 뻗어간 것이 좋다. 도가(道家)들은 3시충을 죽이는 처방에 썼다[본초].

⼒葉

性熱治囍亂心腹痛內外腎釣痛鹽炒硏椕神驗《本草》

오수유엽(吳茱萸葉, 오수유나뭇잎)

성질은 열(熱)하다. 곽란과 명치 밑이 아픈 것, 음낭이 켕기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소금을 두고 볶아 갈아서 싸매면 좋은 효과가 난다[본초].

⼗食茱萸

수유나모여름主冷痺腰脚軟弱起陽殺牙齒盤痛及腸中三盤惡盤毒療腸風痔疾去虛冷療水氣○在處有之功用與吳茱萸同少爲劣爾顆粒大經久色黃黑乃是食茱萸顆粒緊小經久色靑綠是吳茱萸也《本草》○又云皮薄開口者食茱萸也《本草》

식수유(食茱萸)

냉비(冷痺)로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고 약한 것을 낫게 하며 성기능을 세게 하고 이삭기[齒蟲]와 치통(齒痛)을 멎게 하며 장 안의 3충을 죽이고 충독을 없애며 장풍, 치질, 허랭 및 수기를 낫게 한다. 곳곳에서 난다. 효능은 오수유와 같은데 조금 떨어진다. 알이 굵고 오래되면 빛이 검누른 빛으로 되는 것이 식수유이다. 알이 작고 오래되면 빛이 초록색으로 되는 것이 바로 오수유이다[본초].

○ 또한 껍질이 엷고 벌어진 것을 식수유라고 한 데도 있다[본초].

⼒樹皮

殺牙齒盤止痛《本草》

식수유수피(食茱萸樹皮, 식수유나무껍질)

이삭기를 낫게 하고 통증을 멈춘다[본초].

⼗山茱萸

性微溫味酸澁無毒强陰益精補腎氣興陽道堅長陰莖添精髓煖腰膝助水藏止小便利老人尿不節除頭風鼻塞耳聾○在處有之葉似楡花白子初熟未乾赤色大如枸杞子有核亦可啖旣乾皮甚薄每一片去核取肉皮四兩爲正○肉壯元氣秘精核能滑精故去之九月十月採實陰乾《本草》○酒浸去核慢火焙乾用一名石棗《入門》

산수유(山茱萸)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은 시고[酸] 떫으며[澁] 독이 없다. 음(陰)을 왕성하게 하며 신정[精]과 신기(腎氣)를 보하고 성기능을 높이며 음경을 딴딴하고 크게 한다. 또한 정수(精髓)를 보해 주고 허리와 무릎을 덥혀 주어 신[水藏]을 돕는다. 오줌이 잦은 것을 낫게 하며 늙은이가 때없이 오줌 누는 것을 낫게 하고 두풍과 코가 메는 것, 귀먹는 것을 낫게 한다.

○ 곳곳에서 난다. 잎은 느릅나무 비슷하고 꽃은 희다. 열매가 처음 익어 마르지 않았을 때는 색이 벌건데 크기가 구기자만하며 씨가 있는데 또한 먹을 수 있다. 마른 것은 껍질이 몹시 얇다. 매 600g에서 씨를 빼버리면 살이 160g되는 것이 기준이다.

○ 살은 원기를 세게 하며 정액을 굳건하게 한다. 그런데 씨는 정(精)을 미끄러져 나가게 하기 때문에 쓰지 않는다. 음력 9-10월에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술에 담갔다가 씨를 버리고 약한 불에 말려서 쓴다. 일명 석조(石棗)라고도 한다[입문].

⼗杜沖

性平溫味辛甘無毒治腎勞腰脊攣痛脚中攣疼堅筋骨除陰下濕痒小便餘瀝益精氣能治腎冷㵐腰痛○狀如厚朴折之內有白絲相連者佳削去上皮橫理切令絲斷《本草》○削去㵋皮切曧蜜炒或薑汁炒以絲斷爲度一名思仙木又名石思仙《丹心》

두충(杜仲)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맛이 맵고[辛] 달며[甘] 독이 없다. 신로(腎勞)로 허리와 등뼈가 조여들고 아프며 다리가 시글면서 아픈 [ 疼]것을 낫게 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며 음낭 밑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 등을 낫게 한다. 정기를 돕고 신의 찬 증[腎冷]과 갑자기 오는 요통을 낫게 한다.

○ 생김새가 후박 비슷하고 끊을 때 속에 흰 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가로 썰어서 실이 끊어지게 한다[본초].

○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썰어 졸인 젖( ) 또는 꿀에 축여 볶거나 또는 생강즙에 축여 실이 끊어질 정도로 볶아서 쓴다. 일명 사선목(思仙木) 또는 석사선(石思仙)이라고도 한다[단심].

⼗淅核

性微寒味甘溫無毒主明目目赤痛傷淚出目腫潮爛《本草》○去殼取仁湯泡去皮尖硏膏用紙壓去油用之《入門》

유핵( 核, 유인)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며 눈에 피가 지고 아픈 증[目赤痛], 눈물이 나며 눈이 붓고 눈귀[ ]가 물크러지는 것을 낫게 한다[본초].

○ 껍질을 버리고 씨를 가려 끓는 물에 우려낸 다음 꺼풀과 끝을 버리고 고약처럼 되게 갈아 종이에 싸서 눌러 기름을 짜버리고 쓴다[입문].

⼗丁香

性溫味辛無毒溫脾胃止囍亂及腎氣奔豚氣冷氣腹痛陰痛壯陽煖腰膝療反胃殺酒毒消風毒諸腫除齒疳媞能發諸香○有雌雄雄顆小雌顆大若欲使雄須去丁盖免發背癰也○丁香中有㵋大如山茱萸者俗呼爲母丁香氣味尤佳《本草》○形似釘入手太陰足陽明少陰經與五味子蓬朮同用治奔豚之氣《湯液》

정향(丁香)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곽란, 신기(腎氣), 분돈기(奔豚氣)와 냉기(冷氣)로 배가 아프고 음낭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성기능을 높이고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반위증[反胃]을 낫게 하고 술독과 풍독을 없애며 여러 가지 종기를 낫게 한다. 치감(齒疳)을 낫게 하며 여러 가지 향기를 낸다.

○ 수컷, 암컷이 있는데 수컷은 알이 잘고 암컷은 알이 굵다. 수컷을 쓰려면 꼭지를 떼버려야 등창과 옹종[背癰]이 생기는 것을 면할 수 있다.

○ 정향 가운데는 크기가 산수유만한 것이 있다. 이것을 민간에서는 모정향(母丁香)이라고 하는데 냄새와 맛이 더욱 좋다[본초].

○ 생김새가 못과 같으며 수태음, 족양명, 소음경에 들어간다. 오미자, 봉출과 같이 쓰면 분돈기를 낫게 한다[탕액].

⼒鷄舌香

療口臭漢侍中應邵年老口臭帝賜鷄舌香含之○今人於丁香中大如棗核者呼爲鷄舌香堅頑枯燥乃無香氣或云鷄舌香出崑崙交廣採百花釀之以成香故口含此香欲使氣芬芳耳《本草》

계설향( 舌香)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을 낫게 한다. 한(漢)나라 시중(侍中) 응소(應邵)가 늙어서 입에서 냄새가 났는데 임금이 늘 계설향을 주면서 입 안에 물고 있으라고 하였다.

○ 지금 사람들은 정향 가운데서 대추씨만치 큰 것을 계설향이라고 부른다. 너무 굳고 바짝 마른 것은 향기가 없다. 혹 계설향이 곤륜산과 광동, 광서에서 나는데 백가지 꽃[百花]을 따서 빚어 계설향을 만들었기 때문에 입에 물면 꽃향기가 풍기는 것이라고 하였다[본초].

⼗沈香

性熱味辛(一云苦)無毒主風水毒腫去惡氣止心腹痛益精壯陽治冷風麻痺囍亂吐瀉轉筋○生嶺南交廣土人見香木必以刀斫成坎經年得雨水所漬逐結香其堅黑中實無空心而沈水者爲沈香浮水者爲煎香煎香中形如鷄骨者爲雄骨香形如馬蹄者爲馬蹄香雖沈水而有空心則是鷄骨也燔之極淸烈《本草》○沈香能養諸氣上而至天下而至泉用爲使《湯液》○入湯磨刺腹入丸散嶽硏極細用《入門》

침향(沈香)

성질은 열(熱)하고 맛은 매우며[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풍수(風水)나 독종을 낫게 하며 나쁜 기운을 없애고 명치 끝이 아픈 것을 멎게 한다. 신정을 돕고 성기능을 높이며 냉풍으로 마비된 것,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거나 쥐가 이는 것을 낫게 한다.

○ 영남과 광동, 광서지방 사람들이 침향나무를 도끼로 찍어 홈타기를 만들어 두면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 빗물에 젖으면서 향이 뭉친다. 그것은 굳고 검으며 속이 꼭차서 빈 데가 없고 물에 가라앉은 것을 침향이라 하고 물에 뜨는 것을 전향(煎香)이라 한다. 전향 가운데서 생김새가 닭의 다리뼈처럼 생긴 것은 계골향( 骨香)이라 하고 말발굽처럼 생긴 것을 마제향(馬蹄香)이라 한다. 물에 가라앉아도 속이 빈 것은 계골향이다. 불을 붙이면 아주 맑은 향기가 세게 난다[본초].

○ 침향은 여러 가지 기를 돕는데 위로는 머리끝까지 가고 아래로는 발밑까지 가므로 사약[使]으로 쓰인다[탕액].

○ 달이는[湯] 약에는 갈아서 타 먹고 알약이나 가루약에는 따로 보드랍게 가루내어 먹는다[입문].

⼗乳香

性熱(一云溫)味辛微毒主風水毒腫去惡氣止心腹痛狟氣療耳聾中風口夝婦人血氣治諸瘡令內消止大腸泄○生南海波斯國松樹脂也紫赤如櫻桃者爲上盖薰陸之類也今人不腹分別通謂乳香爲薰陸香耳○形如乳頭以粉紅透明者爲上《本草》○入藥微炒殺毒得不粘或搗碎紙包席下眠一宿嶽硏用《入門》○又云以竹葉包浐斗火浐乃硏細用《直指》

유향(乳香)

성질은 열(熱)하고(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은 매우며[辛] 약간 독이 있다. 풍수와 독종을 치료하며 나쁜 기운을 없애고 명치 아래가 아픈 것과 주기( 氣) 등을 낫게 한다. 귀머거리, 중풍으로 이를 악무는 것, 부인의 혈기증(血氣證)을 낫게 하며 여러 가지 헌데를 속으로 삭게 하고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한다.

○ 남해와 파사국(波斯國)에서 나는 소나무의 진이다. 자줏빛이며 앵두 같은 것이 제일 좋은 것인데 대개 훈육향 종류이다. 지금 사람들은 구별하지 않고 통틀어 유향을 훈육향(薰陸香)이라 하고 있다.

○ 생김새가 젖꼭지 같고 분홍색으로 투명한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 약으로는 약간 닦아 독을 빼고 끈적끈적한 것이 없게 해서 쓰거나 짓찧어 종이에 싸서 자리 밑에 깔고 하룻밤 지나 따로 가루내어 쓰기도 한다[입문].

○ 또한 참대잎에 싸서 다리미로 다린 다음 아주 보드랍게 갈아서 쓴다고도 한다[직지].

⼒白膠香

性平味辛苦無毒主温疹風痒齒痛○卽楓香脂也外科要藥也《本草》

백교향(白膠香)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맵고[辛] 쓰며[苦] 독이 없다. 두드러기, 풍으로 가려운 것, 치통(齒痛) 등을 낫게 한다.

○ 즉 풍향지(楓香脂)이다. 외과(外科)에서 쓰는 중요한 약이다[본초].

⼗藿香

性微溫味辛無毒療風水毒腫去惡氣止囍亂治脾胃吐逆爲最要之藥《本草》○入手足太陰經止嘔吐發散風寒爲上《湯液》○巔藿虛燥古人乃以合熏香也《本草》○入藥水洗去土梗用葉《入門》

곽향(藿香)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풍수와 독종을 낫게 하며 나쁜 기운을 없애고 곽란을 멎게 하며 비위병으로 오는 구토와 구역질을 낫게 하는 데 가장 필요한 약이다[본초].

○ 수족태음경에 들어가며 토하는 것을 멎게 하고 풍한을 헤치는데 제일 좋은 약이다[탕액].

○ 영곽( 藿)은 퍼석퍼석하고 바짝 마르므로 옛사람들이 피우는 향 만드는 데 썼다[본초].

○ 약으로는 물로 씻어 흙과 줄기를 버리고 잎을 쓴다[입문].

⼗白檀香

性溫味辛無毒消熱腫治腎氣腹痛又主心腹痛囍亂中惡鬼氣殺盤《本草》○樹如檀有黃白紫三種入手太陰經足少陰經通行陽明經引胃氣上升抑論諸香動火耗氣非冷氣不舒者不可輕服腦麝芳竄尤甚宜戒之《入門》○能調氣而淸香引芳香之物上行至極高之分最宜獕橘之屬佐以薑棗葛根豆埼縮砂益智通行陽明之經《湯液》

백단향(白檀香)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열로 부은 것을 삭이고 신기로 오는 복통을 낫게 한다. 명치 아래가 아픈 것, 곽란, 중악,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하며 벌레를 죽인다[본초].

○ 나무는 박달나무 비슷한데 노란 것, 흰 것, 자줏빛 나는 것 등 3가지가 있다. 수태음경, 족소음경에 들어가며 양명경에 들어가서 위기(胃氣)를 끌고 올라간다. 모든 향은 다 화(火)를 발동시키고 기를 소모하므로 냉기가 퍼지지 않는 증이 아니면 경솔히 먹지 말아야 한다. 더구나 용뇌와 사향은 향기롭고 뚫고 들어가는 힘이 세므로 특히 삼가해야 한다[입문].

○ 기를 고르게 하여서 맑게 하며 향기로워서 방향성 약을 끌고[引] 아주 높은 곳까지 가게도 한다. 등피와 귤껍질(橙橘) 같은 것과 함께 쓰는 것이 가장 좋다. 생강, 대추, 칡뿌리(갈근), 육두구, 사인, 익지인을 좌약으로 쓰면 양명경으로 잘 돌아간다[탕액].

⼗紫檀香

性溫味辛無毒主惡毒風毒囍亂心腹痛中惡鬼氣一名紫眞檀《本草》○我國江原道多有之《俗方》

자단향(紫檀香)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약독, 풍독, 곽란, 명치 아래가 아픈 것, 중악, 헛것에 들린 것 등을 낫게 한다. 일명 자진단(紫眞檀)이라고도 한다[본초].

○ 우리나라에는 강원도에서 많이 난다[속방].

⼗降眞香

性溫平無毒主天行時氣宅舍怪異燒之抗邪惡之氣○燒之引鶴降盤旋於上醮星辰度帱燒之功第一《本草》

강진향(降眞香)

성질은 따뜻하며[溫] 평(平)하고 독이 없다. 돌림열병이 도는 시기, 집안에 괴상한 기운이 있을 때에 피우면 사기와 나쁜 기운을 물리친다.

○ 이것을 태우면 학이 내려와 빙빙 날아다닌다고도 하며 또 피우면 덕을 많이 입는다고 했다[본초].

⼗蘇合香

性溫味甘無毒主抗惡殺鬼精物溫秇蠱毒去三盤令人無夢櫃○中天竺出蘇合是諸香汁煎之非自然一物也今人用如膏油者極芬烈耳《本草》

소합향(蘇合香)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헛것에 들린 것을 없앤다. 온학, 고독을 낫게 하며 3충을 죽이고 가위눌리지 않게 한다.

○ 중인도[中天竺]에서 소합향이 나는데 여러 가지 향기나는 즙을 졸여서 만든 것이지 천연물은 아니다. 지금 사람들이 쓰고 있는 것은 기름 같으며 향기가 아주 세다[본초].

⼗金櫻子

性平溫味酸澁無毒療脾泄下利止小便利澁精氣止遺精泄精○其子有刺黃赤色形如小石榴九月十月半黃熟時採紅熟則却失本性《本草》○叢生於籬落山野間類薔薇有刺經霜方紅熟《日用》

금앵자(金櫻子)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맛은 시고 떫으며[酸澁] 독이 없다. 비설(脾泄)로 오는 설사, 오줌이 너무 많이 나가는 것을 낫게 하고 정액이 잘 나오지 못하게 하며 유정과 몽설을 멎게 한다.

○ 열매에는 가시가 있고 노라발간 빛이며 생김새는 작은 석류 비슷하다. 음력 9월, 10월에 절반쯤 누렇게 익었을 때 딴다. 벌겋게 익으면 본래의 약효가 떨어진다[본초].

○ 울타리 밑이나 산과 들에 떨기로 난다. 장미 비슷하며 가시가 있다. 서리를 맞아야 빨갛게 익는다[일용].

⼗檳峹

性溫(一云寒)味辛無毒除一切風下一切氣通關節利九竅消穀逐水除痰癖下水腫破琋結宣利五藏六府壅滯氣○生嶺南人啖之以當果實云南方地溫不食此無以禦瀆嵀其實春生至夏乃熟然其肉極易爛先以灰汁煮熟因火焙乾始堪停久○小而味甘名山檳峹大而味澁名猪檳峹最小者名姭子土人呼爲檳峹○尖長而有紫文者名曰檳圓而矮者名曰檳今不復細分但取如鷄心狀存坐正穩心不空破之作綿文者爲佳○取尖長者取其快銳速效之意《本草》○向陽者爲檳峹向陰者爲大腹子性沈有若鐵石之重白者味辛多散氣赤者味苦澁殺盤《入門》○刀刮去底細切急治則生用經火則無力緩治則略炒或醋煮過《入門》

빈랑(檳 )

성질은 따뜻하며[溫](차다[寒]고도 한다)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모든 풍을 없애며 모든 기를 내려가게 한다. 뼈마디와 9규를 순조롭게 하며 먹은 것을 잘 삭이고 물을 잘 몰아낸다[逐]. 담벽(痰癖), 수종, 징결( 結)을 낫게 하며 5장 6부에 막혀 있는 기를 잘 퍼지게 하고 돌게 한다.

○ 영남지방에서 나는데 과실 대신 먹는다. 남방은 기후가 더워 이것을 먹지 않으면 장기와 역려[ ]를 막아낼 수 없다고 한다. 그 열매는 봄에 열리며 여름에 익는다. 그러나 그 살은 썩기 쉽기 때문에 먼저 잿물에다 삶아 익혀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야 오래 둘 수 있다.

○ 잘고 맛이 단것을 산빈랑(山檳 )이라 하고 크고 맛이 떫은 것을 저빈랑(猪檳 )이라 한다. 제일 작은 것을 납자( 子)라 하는데 그 지방 사람들은 빈랑손(檳 孫)이라고 한다.

○ 끝이 뾰족하고 길며 자줏빛 무늬가 있는 것을 빈(檳)이라 하고 둥글고 짤막한 것을 낭( )이라 한다. 지금은 그렇게 세분하지 않고 다만 닭의 염통 비슷하면서 바로 세워 놓을 수 있고 속이 비어 있지 않으며 깨뜨릴 때 비단 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면 좋은 것으로 본다.

○ 뾰족하고 긴 것을 골라 쓰는 것은 빨리 효과를 보기 위한 것이다[본초].

○ 양지 쪽을 향한 것은 빈랑이고 음지 쪽을 향한 것은 대복자(大腹子)이다. 가라앉는 성질이 있고 쇠나 돌같이 무겁다. 빛이 흰 것은 맛이 맵고[辛] 기를 잘 헤치며 벌건 것은 맛이 쓰고[苦] 떫으며[澁] 벌레를 죽인다[입문].

○ 칼로 밑을 긁어 버리고 잘게 썬다. 빨리 효과를 내려면 생것대로 써야 한다. 불에 닦으면 약힘이 없어진다. 효과를 천천히 내려면 약간 닦거나 식초에 삶아서 쓴다[입문].

⼒大腹皮

性微溫無毒下一切氣止囍亂通大小腸治痰隔醋心健脾開胃泄浮腫脹滿○大腹所出與檳峹相似但莖葉根幹小異幷皮收之《本草》○腹大而平者名大腹尖者名檳峹《入門》○珼鳥多栖此樹上凡用皮先以酒洗仍以黑豆汁洗焙乾方可用《本草》

대복피(大腹皮)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독이 없다. 모든 기를 내려가게 하고 곽란을 멎게 하며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한다. 담이 막혀 있는 것, 시큼한 물이 올라오는 것을 낫게 하고 비(脾)를 든든하게[健] 하며 입맛을 돋구고 부종과 창만을 내리게 한다.

○ 대복은 생김새와 나는 지방이 빈랑과 비슷한데 다만 줄기, 잎, 뿌리, 몸체가 약간 다르다. 또 껍질째로 딴다[본초].

○ 배가 크고 평평한 것은 대복이고 뾰족한 것은 빈랑이다[입문].

○ 짐새( 鳥)가 흔히 이 나무 위에서 산다. 껍질을 쓰는데 먼저 술로 씻고 다음 검정콩(흑두) 삶은 물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쓴다[본초].

⼗梔子

지지性寒味苦無毒主胸心大小腸大熱胃中熱氣心中煩悶去熱毒風利五淋通小便除五種黃病止消渴治口乾目赤腫痛面赤酒礓攉鼻白癩赤癩瘡瘍殺徵盤毒○葉似李而厚硬二三月開白花花皆六出甚芬香夏秋結實生靑熟黃中仁深紅九月採實暴乾○入藥用山梔子方書所謂越桃皮薄而圓小刻房七稜至久稜者爲佳《本草》○小而七稜者佳長大者亦可用但無力耳《丹心》○入手太陰經治心煩懊婓不得眠能瀉肺中之火《湯液》○用仁去心胸熱用皮去肌表熱尋常生用虛火童便炒七次至黑色止血炒如墨凉肺胃酒泡用《入門》

치자(梔子, 산치자)

성질은 차며[寒] 맛이 쓰고[苦] 독이 없다. 가슴과 대소장에 있는 심한 열과 위 안에 있는 열[胃中熱氣] 그리고 속이 답답한 것[煩悶]을 낫게 한다. 열독을 없애고 5림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5가지 황달을 낫게 하며 소갈을 멎게 한다. 입 안이 마르고 눈에 피서며 붓고 아픈 것, 얼굴까지 벌개지는 주사비, 문둥병, 창양(瘡瘍)을 낫게 하고 지충의 독[ 蟲毒]을 없앤다.

○ 잎은 추리나무잎 비슷한데 두껍고 굳으며 음력 2-3월에 흰 꽃이 핀다. 꽃은 다 6잎이며 아주 향기롭다. 늦은 여름, 초가을에 열매가 열린다. 처음에는 푸르다가 익으면 노래지는데 속은 진한 벌건색이다. 음력 9월에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 약으로 쓰이는 산치자는 의학책에 나와 있는 월도(越桃)라는 것을 말한다. 껍질이 엷고 둥글며 작고 거푸집에 도드라진 금이 7모[稜] 또는 9모 나는 것이 좋다[본초].

○ 작고 7모가 난 것이 좋다. 길고 큰 것도 쓸 수 있는데 약 효과가 못하다[단심].

○ 수태음경에 들어가며 가슴이 답답하고 안타까워 잠 못 자는 증을 낫게 하고 폐화(肺火)를 사한다[탕액].

○ 속씨를 쓰면 가슴 속의 열을 없애고 껍질을 쓰면 피부의 열을 없앤다. 보통 때는 생것을 쓰고 허화(虛火)에는 동변에 축여 새까맣게 되도록 일곱번정도 볶아서 쓰고 피를 멈추는 데는 먹같이 검게 닦아서 쓴다. 폐와 위를 시원하게 하려면 술에 우려서 쓴다[입문].

⼗龍腦香

性微寒(一云溫平)味辛苦無毒主內外障眼明目鎭心去目赤膚次心腹邪氣風濕積聚去三盤治五痔○出嶺南狀若梅花瓣者甚佳其淸香爲百藥之先然非常服之藥獨行則勢弱佐使則有功於茶亦相宜合姎米炭相思子貯之則不耗《本草》○卽婆律國杉木脂也腦乃流出香液也形似松脂作杉木氣明淨狀若梅花瓣者佳入藥嶽硏用《入門》○龍腦屬火世人誤以爲寒而不知其性散甚似乎寒耳人欲死者呑之氣卽散盡盖芳之甚而散之速也《丹心》○龍腦入腎治骨《綱目》○相思子出嶺南樹高丈餘子赤黑間者佳《本草》○今以黑大豆燈心草同貯易不耗《俗方》

용뇌향(龍腦香)

성질은 약간 차며[微寒](따뜻하고[溫]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맵고[辛] 쓰며[苦] 독이 없다. 눈에 생긴 내장과 외장을 낫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진정시킨다. 눈에 피지면서 예막이 생긴 것을 낫게 한다. 명치 밑에 있는 사기와 풍습, 적취를 없애며 3충을 죽이고 5가지 치질을 낫게 한다.

○ 영남 지방에서 난다. 생김새는 매화의 꽃판(梅花瓣) 같은 것이 가장 좋다. 그의 맑은 향기는 여러 가지 약들보다 앞설 수가 있으나 늘 먹을 약으로는 못 된다. 한 가지만 쓰면 약힘이 약하고 다른 약을 배합하여 쓰면 효과가 좋다. 차에 넣어 마셔도 좋다. 찹쌀 태운 것과 상사자(相思子, 홍두)를 합하여 저장하여 두면 날아가지 않는다[不耗][본초].

○ 즉 파률국(婆律國)에 있는 삼나무의 진이다. 용뇌향은 흘러내린 향기로운 액체이다. 생김새는 송진과 비슷하고 삼나무 냄새가 나며 투명하고 매화꽃판처럼 깨끗한 것이 좋다. 약에 넣을 때에는 따로 갈아 쓴다[입문].

○ 용뇌는 화(火)에 속하는데 세상 사람들은 찬 것으로 잘못 알면서 그의 성질이 헤치는[散] 작용이 있어 찬약과 비슷하다는 것은 알지 못하고 있다. 죽어가는 사람에게 먹이면 기가 곧 다 흩어지고 만다. 이것이 바로 냄새가 센 것은 헤치는 작용을 빨리 나타낸다는 뜻이다[단심].

○ 용뇌는 신(腎)에 들어가서 뼈의 병을 낫게 한다[강목].

○ 상사자는 영남 지방에서 나는데 나무의 너비가 10여자나 된다. 씨는 검붉은 것이 좋다[본초].

○ 검정콩(흑대두)이나 골풀(등심초)과 함께 보관해도 향기가 날아가지 않는다[속방].

⼒樟腦

乃樟木屑液造成治疥癬癩瘡作熱付之入香料一名昭腦《入門》

장뇌(樟腦)

장나무에서 나오는 진으로 만든 것이다. 옴과 버짐, 문둥병으로 열이 나는 것을 낫게 하는 데 붙인다. 향료로도 쓴다. 일명 소뇌(昭腦)라고도 한다[입문].

⼗蕪荑

느릅나모󰠧平味辛無毒治腸風痔瘻惡瘡疥癬殺三盤及寸白盤○此山楡仁也氣烲者良三月採實陰乾《本草》

무이(蕪荑, 참느릅나무열매)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장풍, 치루, 악창, 옴과 버짐 등을 낫게 하며 3충과 촌백충을 죽인다.

○ 이것은 산에서 자라는 느릅나무의 열매이다. 누린내가 나는 것이 좋다. 음력 3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 말린다[본초].

⼗枳實

쯷믁여름性寒(一云微寒)味苦酸(一云苦辛)無毒主皮膚苦痒除痰癖消脹滿心下搽痛消宿食○木如橘而小葉如煳多刺春生白花至秋結實七八月採暴乾○以飜屠如盆口脣狀須陳久者爲勝○古云橘渡淮爲枳又云江南爲橘江北爲枳今江南俱有橘枳江北有枳無橘此是別種非關變也《本草》○枳實瀉痰有衝墻倒壁之功水浸去榺掦炒用《入門》○枳實不去榺其效更速《丹心》

지실(枳實, 탱자열매)

성질은 차며[寒](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쓰고[苦] 시며[酸](쓰고[苦] 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피부의 심한 가려운 증과 담벽(痰癖)을 낫게 하며 창만과 명치 밑이 트직하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하고 오랜 식체를 삭인다.

○ 나무는 귤나무 비슷한데 약간 작다. 잎은 문설주와 비슷하고 가시가 많다. 봄에 흰 꽃이 피고 가을에 열매가 익는다. 음력 7-8월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 배 껍데기가 뒤집어진 것이 마치 물동이의 아가리 비슷한데 오래 묵혀 둔 것이 좋다.

○ 옛말에 귤나무가 회수(淮水)를 건너가면 탱자나무가 된다고 하였고 또한 양자강 남쪽에서는 귤나무가 되고 강북쪽에서는 탱자나무가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지금 양자강 남쪽에는 귤나무와 탱자나무가 다 있고 강북쪽에는 탱자나무만 있다. 귤나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딴 종류이며 변해서 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본초].

○ 지실은 담을 삭이는 데서 담장을 찌르고 벽을 넘어 뜨릴 만큼 힘이 세다. 물에 담갔다가 속을 긁어 버리고 밀기울과 함께 볶아서 쓴다[입문].

○ 속을 버리지 않은 지실은 효력을 더 빨리 나타낸다[단심].

⼒莖皮

療水脹暴風骨節攣急《本草》

지경피(枳莖皮, 탱자나무줄기의 껍질)

수창(水脹), 갑자기 생긴 풍증, 뼈마디가 몹시 가드라드는 것을 낫게 한다[본초].

⼒根皮

主五痔大便下血《本草》

지근피(枳根皮, 탱자나무뿌리껍질)

5가지 치질과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낫게 한다[본초].

⼗枳殼

性寒(一云微寒)味苦酸(一云苦辛)無毒主肺氣咳嗽散胸中痰滯利大小腸消脹滿除關格壅塞消痰逐水破琋癖結氣除風痒麻痺去腸風痔腫○七八月採實暴乾以肉厚飜屠如盆口狀陳久者爲上《本草》○殼主高而實主下殼高主皮膚胸膈之病實低主心胃之病其主治大同小異《湯液》○枳卽橘屬水浸去榺掦炒用《入門》○我國惟濟州有之名倭橘《俗方》

지각(枳殼)

성질은 차고[寒](혹은 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쓰며[苦] 시고[酸](쓰고[苦] 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폐기로 기침하는 것을 낫게 하며 가슴 속에 몰려 있는 담을 헤치고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창만을 삭히고 관격(關格)으로 몰리고 막힌 것을 열어 준다. 담을 삭이고 물을 몰아내며 징벽( 癖)과 몰려 있는 사기를 헤치고 풍으로 가렵고 마비된 것, 장풍, 치질을 낫게 한다.

○ 음력 7-8월에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배껍데기가 뒤집어진 것이 마치 물동이의 아가리와 비슷하면서 오래 묵혀 둔 것이 좋다[본초].

○ 지각의 약 기운은 주로 올라가고 지실의 약 기운은 주로 내려간다. 지각은 올라가서 피부와 흉격의 병을 낫게 하고 지실은 내려가서 명치와 위(胃)의 병을 낫게 하는데 그 맞음증은 거의 같다[탕액].

○ 탱자는 즉 귤의 종류인데 물에 담갔다가 속을 버리고 밀기울과 함께 볶아서 쓴다[입문].

○ 우리나라에는 오직 제주도에서만 난다. 왜귤(倭橘)이라고도 한다[속방].

⼗厚朴

性溫味苦(一云辛)無毒主積年冷氣腹中脹滿雷鳴宿食不消大溫胃氣止囍亂吐瀉轉筋消痰下氣厚腸胃治泄痢嘔逆去三盤泄五藏一切氣○以肉厚色紫而潤者爲好薄而白者不堪用削去上甲錯皮以薑汁灸用或犫薑汁炒用不以薑製則戟人喉舌《本草》

후박(厚朴)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쓰고[苦](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여러 해 된 냉기, 배가 창만하고 끓으면서 소리가 나는 것, 식체가 소화되지 않는 것을 낫게 하며 위기를 몹시 덥게 한다.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쥐가 이는 것을 낫게 하고 담을 삭이며 기를 내리고 장위의 기능을 좋게 한다. 또는 설사와 이질, 구역을 낫게 하고 3충을 죽이며 5장에 몰려 있는 모든 기를 내보낸다.

○ 살이 두텁고 자줏빛이면서 윤기가 나는 것이 좋고 엷고 흰 것은 쓰지 못한다. 투들투들한 겉껍질을 깎아 버리고 생강즙에 축여서 볶아 쓴다. 생강으로 법제하지 않으면 목구멍과 혀를 자극한다[본초].

⼗苦茶

쟉셜차性微寒(一云冷)味甘苦無毒下氣消宿食淸頭目利小便止消渴令人少睡又解炙炒毒○樹小似梔子冬生葉早採爲茶晩採爲茗其名有五一曰茶二曰匩三曰晐四曰茗五曰甶古人謂其芽爲雀舌麥顆言其至嫩卽臘茶是也採嫩芽搗作餠拄得火良○茗或曰甶葉老者也《本草》○入手足厥陰經飮之宜熱冷則聚痰久服去人脂令人瘦《入門》○蒙山茶性溫治病最好宜興茶陸安茶東白山茶神華山茶龍井茶間臘茶蜀苦茶寶慶茶廬山雲霧茶俱以味佳得名○一人好食燒鵝不輟醫者謂其必生內癰後卒不病訪知此人每夜必畆凉茶一椀此其解毒《食物》

고다(苦茶, 작설차)

성질은 약간 차며[微寒](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은 달고[甘] 쓰며[苦] 독이 없다. 기를 내리고 오랜 식체를 삭이며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소갈증을 낫게 하고 잠을 덜 자게 한다. 또한 굽거나 볶아서 먹고 생긴 독을 푼다.

○ 나무는 작고 산치자나무 비슷한데 겨울에 잎이 난다. 일찍 딴 것은 작설차(茶)이고 늦게 딴 것은 명차(茗)다. 이름은 5가지가 있는데 작설차(茶), 가차( ), 설차( ), 명차(茗) 노차( )이다. 옛사람들은 차의 싹을 작설(雀舌), 맥과(麥顆)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아주 어린 잎을 말한 것이다. 즉 납다(臘茶)라는 것이 이것이다. 어린 잎을 따서 짓찧어 떡을 만든다. 어느 것이나 불을 거쳐야 좋다.

○ 엽차는 노차라고도 하는데 잎이 센 것을 말한다[본초].

○ 수족궐음경에 들어가는데 덥게 해서 마시는 것이 좋다. 식혀서 마시면 담이 몰린다. 오랫동안 먹으면 기름이 빠져서 여위게 된다[입문].

○ 몽산(蒙山)에서 나는 차는 성질이 따뜻하므로[溫] 병을 낫게 하는데 아주 좋다. 의흥차(宜興茶), 육안차(陸安茶), 동백산차(東白山茶), 신화산차(神華山茶), 용정차(龍井茶), 민랍차( 臘茶), 촉고차(蜀苦茶), 보경차(寶慶茶), 여산운무차(廬山雲霧茶) 등이 있는데 다 맛이 좋다는 데서 지어진 이름이다.

○ 군 거위고기(燒鵝)를 먹기 좋아한 어떤 사람에게 의사는 반드시 내옹(內癰)이 생길 것이라고 하였는데 끝내 그 병이 생기지 않았다. 찾아가서 알아본 데 의하면 그 사람은 매일 밤 꼭 식힌 차 한 사발씩을 먹곤 하였는데 이것이 해독(解毒)을 하였던 것이다[식물].

⼗秦皮

무프렛겁질性寒味苦無毒主肝中久熱兩目赤腫疼痛風淚不止除目中靑次白膜洗眼益精明目療熱痢婦人帶下小兒癎熱○處處有之樹似檀葉細皮有白點而不㵋錯皮有白點故俗呼爲白桸木二月八月採皮陰乾○採皮水漬便碧色書紙看靑色者眞也《本草》

진피(秦皮, 물푸레나무껍질)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간의 오랜 열기로 두 눈에 피가 지고 부으면서 아픈 것과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계속 흐르는 것을 낫게 하며 눈에 생기는 푸른 예막, 흰 예막을 없앤다. 눈을 씻으면 정기를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열리(熱痢)와 부인의 대하, 어린이의 열을 겸한 간질을 낫게 한다.

○ 곳곳에서 난다. 나무는 박달나무 비슷한데 잎이 가늘고 껍질에 흰 점이 있으며 거칠지 않다. 껍질에 흰 점이 있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백심목(白 木)이라고 한다. 음력 2월과 8월에 껍질을 벗겨 그늘에서 말린다.

○ 껍질을 물에 담그면 푸른 빛이 되는데 이것으로 종이에 글을 쓰면 푸른 빛으로 보이는 것이 진짜이다[본초].

⼗蜀椒

쵸피나모여름性熱味辛有毒(一云小毒)溫中主皮膚死肌寒濕痺痛除六府寒冷鬼狟蠱毒殺盤魚毒除齒痛壯陽止陰汗煖腰膝逐小便下氣○在處有之樹高四五尺似茱萸而小有鍼刺葉堅而滑四月結子無花但生於葉間如小豆顆而圓皮紫赤色八月採實陰乾一名川椒一名巴椒一名漢椒○蜀椒皮肉厚腹裏白氣味濃烈凡使須去目及閉口者勿用合口者殺人微火熬之令汗出乃有勢力沃之取紅末用《本草》○酒拌濕蒸入瓮陰乾勿見風《入門》

촉초(蜀椒, 조피열매)

성질은 열(熱)하며 맛은 맵고[辛] 독이 있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속을 따뜻하게 하며 피부에 죽은 살, 한습비(寒濕痺)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6부에 있는 한랭기운을 없애며 귀주(鬼 ), 고독(蠱毒)을 낫게 하고 벌레독이나 생선독을 없애며 치통을 멈추고 성기능을 높이며 음낭에서 땀나는 것을 멈춘다.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오줌횟수를 줄이고 기를 내려가게 한다.

○ 곳곳에서 난다. 나무의 높이는 4-5자 된다. 수유나무와 비슷한데 작고 가시가 있으며 잎이 굳고 미끄럽다. 음력 4월에 열매가 열리는데 꽃은 없다. 다만 잎 사이에 팥알 비슷하고 둥근 것이 자란다. 껍질은 자줏빛이다. 음력 8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일명 천초(川椒), 파초(巴椒), 한초(漢椒)라고도 한다.

○ 촉초는 껍질과 살이 두텁고 속이 희며 냄새와 맛이 진하고 세다. 쓸 때는 씨와 벌어지지 않은 것을 버려야 한다. 벌어지지 않은 것은 사람을 죽인다. 약한 불에서 진이 날 정도로 닦은 것이라야 효과가 좋다. 절구에 쓸어 붉은 가루만 골라 쓴다[본초].

○ 술에 축축하게 버무려 쪄서 동이에 넣어 그늘에서 말린다. 바람을 쏘이면 안 된다[입문].

⼒椒目

쳔쵸󰠧寒味苦無毒(一云小毒)治十二種水氣能行水利小便治水蠱《本草》○此藥只行渗道不行穀道所以下水最速○微炒用之《入門》

초목(椒木, 조피열매씨)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12가지 수종을 낫게 한다. 물을 잘 빠지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수고(水蠱)를 낫게 한다[본초].

○ 이 약은 물을 오줌으로만 몰아내고 대변으로는 내보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물을 내보내는 효과가 제일 빨리 나타난다.

○ 약간 닦아서[微炒] 쓴다[입문].

⼒椒葉

性熱治奔豚伏梁氣及內外腎釣痛幷囍亂轉筋蒸浐之《本草》

초엽(椒葉, 조피나무잎)

성질은 열(熱)하다. 분돈(奔豚), 복량(伏梁) 및 신과 음낭이 켕기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곽란으로 쥐가 이는 때에는 쪄서 찜질한다[본초].

⼒秦椒

분디여름又云鏅되性溫味辛(一云苦)有毒主大風㴇痺堅齒髮明目療腹中冷痛止痢○秦地所出者故言秦椒樹葉及莖子都似蜀椒但味短實細色黃黑八九月採《本草》○出四川謂之蜀椒川椒出關陝謂之秦椒《入門》

진초(秦椒, 분지)

성질이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있다. 문둥병으로 감각이 아주 없는 것을 낫게 하며 이빨을 든든하게 하고 머리털을 빠지지 않게 한다. 눈을 밝게 하고 냉으로 오는 복통과 이질을 낫게 한다.

○ 진나라 땅에서 나기 때문에 진초라고 한다. 나무의 잎, 줄기, 열매는 다 조피나무와 비슷한데 다만 맛이 좀 못하고 열매가 잘고 빛이 검누른 색이다. 음력 8-9월에 딴다[본초].

○ 사천성에서 나는 것을 촉초(蜀椒), 천초(川椒)라 하고 관중, 협서에서 나는 것을 진초(秦椒)라고 한다[입문].

⼗紫浙

금등화性微寒味酸(一云甘)無毒主婦人産乳餘疾崩中琋禮血閉産後奔血不定及崩中帶下能養血安胎治酒擔熱毒風刺利大小便○一名凌曨花在處有之初作藤蔓生依大木歲久延引至嶺而有花其花黃赤色夏中乃盛採花乾用《本草》○凌曨花治血中痛之要藥也且補陰甚捷《丹心》

자위(紫 )

성질은 약간 차며[微寒] 맛이 시고[酸](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몸푼 뒤에 깨끗지 못한 것, 붕루, 징가, 월경이 중단된 것 등을 낫게 한다. 또한 몸푼 뒤에 어혈이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것과 붕루대하를 낫게 하며 혈을 보하고 안태시킨다. 주사비와 열독과 풍자(風刺)를 낫게 하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 일명 용소화(凌 花)라고도 하는데 곳곳에 있다. 처음 덩굴로 뻗으면서 큰 나무에 감겨 의지해 자라는데 오랜 세월을 지나면 나무꼭대기까지 올라가서 꽃이 핀다. 그 꽃은 누르고 붉은 색이다. 여름에 꽃이 활짝 필 때 따서 말려 쓴다[본초].

○ 용소화는 혈병으로 오는 통증을 낫게 하는데 주요하게 쓰는 약이다. 또한 음을 보하는 효능이 아주 빠르다[단심].

⼒莖葉

主浔蹶益氣健脚力《本草》

자위경엽(紫 莖葉, 자위줄기와 잎)

팔다리에 힘이 없어서 쓰지 못하고 싸늘해지는 것을 낫게 한다. 기를 돕고 다리힘을 세게 한다[본초].

⼒根

治熱風身痒風疹及瘀血帶下《本草》

자위근(紫 根, 자위뿌리)

열풍으로 몸이 가려운 것과 풍진(風疹), 어혈, 대하를 낫게 한다[본초].

⼗胡桐淚

性大寒味稜苦無毒主大毒熱心腹煩滿止風熱牙疼療牛馬急黃○形似黃礬而堅實有挾爛木者是西域胡桐樹脂也味苦稜若入水便消○治口齒爲最要之藥又爲金銀秬藥能軟一切物《本草》○投少許於醋中便沸者是眞也《本草》○岤嵤結核非此不能除《湯液》

호동루(胡桐淚)

성질은 몹시 차며[大寒] 맛은 짜고[ ] 쓰며[苦] 독이 없다. 심한 독열로 명치 밑이 답답하고 그득한 것과 풍열로 오는 치통을 낫게 한다. 또 소와 말의 급황병(急黃病)을 낫게 한다.

○ 생김새가 황반과 비슷하고 단단하며 속이 비지 않으면서 썩은 나무가 들어 있는 것은 서역의 호동나무진이다. 맛을 쓰고[苦] 짠데 쓴 맛은 물에 들어가면 곧 없어진다.

○ 입과 이빨병에 매우 필요한 약이다. 또한 금과 은을 땜하는 데 쓰기도 한다. 모든 물체를 무르게 하는 작용이 있다[본초].

○ 식초에 조금 넣으면 곧 끓는 것이 진짜이다[본초].

○ 나력과 멍울은 이 약이라야 없앨 수 있다[탕액].

⼗松烟墨

숑연으로ꏷ诅먹性溫味辛無毒主産後血暈崩中卒下血療金瘡止血生肌○墨松之烟也入藥須松烟墨方可久速者佳《本草》○湯藥磨刺服丸散則火禭細硏用他墨光潤五香者勿用《入門》

송연묵(松烟墨)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몸푼 뒤의 혈훈과 붕루와 갑자기 하혈하는 것, 쇠붙이에 다친 것을 낫게 한다. 피를 멈추고 새살이 나오게 한다.

○ 먹은 소나무의 그을음으로 만든 것이다. 약에 쓰는 것은 반드시 소나무 그을음으로 만든 것이라야 한다. 오래된 것이 좋다[본초].

○ 달이는 약에는 갈아서 타 먹고 알약이나 가루약에는 불에 구워서 보드랍게 갈아 먹는다. 다른 먹 가운데 광택이 있고 좋은 향기가 있어도 쓰지 못한다[입문].

⼗猪巔

性平味甘苦無毒主腫脹腹滿利水道治淋療穡秇○一名朱巔是楓樹巔其皮至黑作塊似猪屎故以名之肉白而實者佳二月八月採陰乾《本草》○入足太陽少陰經除濕比諸淡渗藥太燥亡津液無濕病勿服久服傷腎《湯液》○銅刀削去黑皮微焙乾用《入門》

저령(猪 )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부종, 창만과 배가 그득한 것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임병과 오랜 학질을 낫게 한다.

○ 일명 주령(朱 )이라고도 하는데 신나무에 생기는 것이다. 그 껍질은 검고 덩어리진 것이 마치 돼지똥 같다 하여 저령이라 한 것이다. 살이 희고 실한 것이 좋다. 음력 2월과 8월에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족태양, 족소음경에 들어가서 습을 없앤다. 습을 스며나가게 하는 다른 약과 대비하면 약성이 너무 말라 진액을 몹시 줄어들게 하기 때문에 습병이 없는 데는 쓰지 말아야 한다. 오래 먹으면 신(腎)을 상한다[탕액].

○ 구리칼로 검은 껍질을 긁어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약간 말려 쓴다[입문].

⼗白棘

性寒味辛無毒療丈夫虛損陰浔精自出補腎氣益精髓又主心腹痛癰腫潰膿止痛決刺結○一名棘鍼一名棘刺刺小棗也叢生花葉莖實都似棗而有赤白二種白者莖白如粉○有鉤直二種直者宜入補藥鉤者宜入癰腫藥○棘鍼採無時《本草》

백극(白棘)

성질은 차며[寒]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남자가 허손으로 음위증이 되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것을 낫게 한다. 신기를 보하여 정수를 불쿠어 준다. 또한 명치 아래가 아픈 것과 옹종을 낫게 한다. 곪은 것을 터지게 하며 통증을 멈추고 가시가 들어서 뭉친 것을 터뜨린다.

○ 일명 극침(棘鍼) 또는 극자(棘刺)라고도 한다. 극은 작은 대추나무라는 말이다. 떨기로 나며 꽃, 잎, 줄기, 열매가 다 대추와 비슷한데 벌건 것과 흰 것 두 가지가 있다. 흰 것은 줄기가 분처럼 희다.

○ 갈구리 진 것과 곧은 것이 있는데 곧은 것은 보약으로 쓰고 갈구리진 것은 옹종약으로 쓴다.

○ 백극은 아무 때나 벤다[본초].

⼗烏藥

性溫味辛無毒治一切氣除一切冷主中惡心腹痛狟歑鬼氣療膀胱腎間冷氣攻衝背嵈治囍亂及反胃吐食瀉痢癰癤疥癩止小便滑數婦人血氣痛小兒腹中諸盤○生天台者爲勝白而虛軟以作車嘪形如連珠狀者爲佳《本草》○入足陽明少陰經生嶺南者色褐而堅硬土産亦好去皮心略炒用或磨刺入湯服《入門》

오약(烏藥)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맵고[辛] 독이 없다. 모든 기병과 냉병을 낫게 하며 중악으로 명치 아래가 아픈 것, 주오( )와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하고 방광과 신의 냉기가 등심으로 치미는 것을 낫게 한다. 곽란과 반위, 구토, 설사, 이질, 옹종, 옴, 문둥병을 낫게 하고 오줌이 술술 자주 나가는 것, 부인의 혈, 기로 오는 통증 등을 낫게 하며 어린이 뱃속의 여러 가지 충을 죽인다.

○ 천태(天台)에서 나는 것이 좋다. 희면서 퍼석퍼석하여[虛軟] 뿌리의 무늬가 수레바퀴 비슷하며 생김새가 구슬을 꿰놓은 것 같은 것이 좋다[본초].

○ 족양명경,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영남 지방에서 나는 것은 빛이 갈색이면서 단단하다. 다른 지방에서 나는 것도 좋다. 껍질과 심을 버리고 약간 닦아서[略炒] 쓴다. 갈아서 달임약에 타 먹기도 한다[입문].

⼗沒藥

性平(一云溫)味苦(一云辛)無毒破琋結宿血止痛主打撲傷折筋骨瘀痛金瘡杖瘡諸惡瘡痔漏消腫毒卒下血去目中次暈痛膚赤○似安息香其塊大小不定黑色硏細入藥或熱酒和服《本草》○波斯國松脂也破血消腫止痛爲瘡家奇藥也《入門》

몰약(沒藥)

성질은 평(平)하며(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은 쓰고[苦](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결(結)과 어혈[宿血]을 헤치고 통증을 멈춘다. 타박상, 뼈와 힘줄이 상하거나 부러져서 어혈이 지고 아픈 것, 쇠붙이에 다친 것, 매맞아 생긴 상처, 여러 가지 악창과 치루를 낫게 한다. 또한 종독(腫毒)을 삭이고 갑자기 하혈하는 것을 멎게 하며 눈에 예장이 생기면서 어지럽고 아프고 그 둘레가 피지는 것을 낫게 한다.

○ 안식향과 비슷한데 그 덩어리의 크기가 고르지 않고 빛이 검다. 보드랍게 갈아 약에 넣어 쓰거나 또는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 파사국(페르시아)에 있는 소나무진이다. 어혈을 헤치고 부은 것을 가라앉히며 통증을 멎게 한다. 종창 치료에 신기한 약이다[입문].

⼗安息香

Ꝫ나모긴性平味辛苦無毒主心腹惡氣鬼狟治邪氣怒崯鬼胎抗蠱毒瘟疫療腎氣囍亂治婦人血夝産後血暈○生南海刻其樹皮其膠如飴六七月堅凝乃取之似松脂黃黑色爲塊新者亦柔軟燒之通神抗中惡《本草》○我國出濟州如膏油者名水安息香作塊者名乾安息香忠淸道亦有之《俗方》

안식향(安息香)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맵고[辛] 쓰며[苦] 독이 없다. 명치 밑에 있는 악기(惡氣)와 귀주, 사기나 헛것에 들려 귀태(鬼胎)가 된 것, 고독, 온역을 낫게 하고 신기와 곽란, 월경이 중단된 것, 산후혈훈 등을 낫게 한다.

○ 남해에서 난다. 그 나무의 껍질에 홈을 파놓으면 엿 같은 진이 나온다. 음력 6-7월에 뜬뜬하게 엉킨 것을 채취한다. 송진 비슷한 검누른 빛의 덩어리다. 갓 채취한 것은 무르다. 이것은 태우면 좋은 냄새를 내면서 모든 악기를 없앤다[본초].

○ 우리나라는 제주도에서 나는데 기름 같은 것은 수안식향(水安息香)이라 하고 덩어리가 진 것은 건안식향(乾安息香)이라 한다. 충청도에서 난다[속방].

⼗松蘿

소나모우쎁숑낙性平(一云微熱)味苦甘(一云苦辛)無毒主寒熱溫秇能吐胸中客熱痰涎利水道去頭瘡消項上櫬瘤除嗔怒邪氣令人得睡○一名女蘿松樹上寄生也五月採陰乾在松上者爲眞《本草》

송라(松蘿, 소나무겨우살이)

성질은 평(平)하며(약간 열하다[微熱]고도 한다) 맛은 쓰고[苦] 달며[甘](쓰고[苦] 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추웠다 열이 나는 온학을 낫게 한다. 가슴에 맺혀 있는 열과 담연을 토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머리의 헌데를 낫게 하고 목에 생긴 영류( 瘤)를 삭이며 성내는 것을 진정시켜 잠을 잘 자게 한다.

○ 일명 여라(女蘿)라고도 하는데 즉 소나무에 붙어 자란다. 음력 5월에 걷어서 그늘에 말린다. 소나무에 붙어 자라는 것이 진짜이다[본초].

⼗衛矛

ꟁ韡회性寒味苦無毒(一云小毒)主蠱狟中惡腹痛除邪殺鬼及百邪鬼魅殺腹藏盤通月經破琋結止血崩漏下産後瘀痛消風毒腫能落胎○一名鬼箭處處有之其幹有三羽狀如箭翎八月十一月十二月採削取皮羽用之《本草》○又名鬼箭羽人家多燔之以祛杜《入門》

위모(衛矛)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고독, 시주, 중악으로 배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사기나 헛것에 들린 것, 가위 눌리는 것을 낫게 하며 뱃속에 있는 충을 죽인다. 월경을 잘하게 하며 징결을 헤치고 붕루, 대하, 산후어혈로 아픈 것을 멎게 하며 풍독종(風毒腫)을 삭히고 유산시킨다.

○ 일명 귀전(鬼箭)이라고도 하는데 곳곳에서 난다. 그 줄기에 세개의 깃이 달려 모양이 화살깃 비슷하다. 음력 8월, 11월, 12월에 베어 껍질과 깃을 벗겨서 쓴다[본초].

○ 또 귀전우(鬼箭羽)라고도 하는데 민간에서는 태워서 좋지 못한 기운을 없앴다[입문].

⼗海桐皮

엄나모겁질性平(一云溫)味苦無毒主腰脚不遂麻痺疼痛赤白瀉痢治中惡囍亂療疳媞疥癬牙齒痛及目赤除風氣○似자白皮不拘時月採《本草》○我國惟濟州有之《俗方》

해동피(海桐皮, 엄나무껍질)

성질은 평(平)하며(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허리나 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과 마비되고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적백이질, 중악과 곽란, 감닉, 옴, 버짐, 치통 및 눈에 피가 진 것 등을 낫게 하며 풍증을 없앤다.

○ 재백피(梓白皮) 비슷한데 아무 때나 벗긴다[본초].

○ 우리나라에는 오직 제주도에서만 난다[속방].

⼗合歡皮

자괴나모겁질性平味甘無毒主安五藏利心志令人歡樂無憂○木似梧桐枝甚柔弱葉似爣莢塊等極細而繁密互相交結其葉至暮而合故一名合昏五月花發黃白色瓣上若絲茸然至秋而實作莢子極薄細不拘時月採皮及葉用又名夜合皮《本草》○主肺癰吐膿又殺盤續筋骨消癰腫《入門》○養生論曰合歡哸忿卽此也樹之階庭使人不忿《入門》○榮花樹皮卽夜合花根也《回春》

합환피(合歡皮, 자귀나무껍질)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정신과 의지를 안정시키며 근심을 없애고 마음을 즐겁게 한다.

○ 나무는 오동나무 비슷한데 가지가 아주 부드럽고 약하다. 잎은 주염나무나 홰나무 비슷한데 아주 잘고 빽빽이 나는데 서로 맞붙었다. 그 잎이 저녁이면 맞붙기 때문에 합혼(合昏)이라고도 한다. 음력 5월에 누르고 흰빛의 꽃이 핀다. 화판은 색실 비슷하다. 가을에 콩꼬투리 같은 열매가 열리는데 씨는 아주 얇고 작다. 아무 때나 껍질과 또는 잎을 채취하여 쓴다. 또한 야합피(夜合皮)라고도 한다[입문].

○ 폐옹(肺癰)으로 고름을 뱉는 증을 낫게 하며 충을 죽이고 힘줄과 뼈를 이으며 옹종을 삭인다[입문].

○ 『양생론(養生論)』에서 합환이 분을 삭인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 뜰에 이 나무를 심으면 사람이 성내지 않게 된다고 하였다[입문].

○ 영화수의 껍질(榮花樹枝)이란 즉 자귀나무뿌리를 말한 것이다[회춘].

⼗五倍子

Ꝫ나모여름性平味苦酸無毒主齒宣疳媞肺藏風毒作皮膚瘡癬瘙痒膿水五痔下血不止小兒面鼻疳瘡大人口瘡○處處有之生膚木葉上七月結實無花其實生靑熟黃大者如拳內多盤九月採子暴乾一名百盤倉一名蚊蛤《本草》○剝去內盤湯洗生用入丸藥略炒《入門》

오배자(五倍子, 붉나무열매집)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쓰고[苦] 시며[酸] 독이 없다. 치선(齒宣)과 감닉, 폐에 풍독이 있어서 피부가 헐거나 버짐이 생겨 가렵고 고름 또는 진물이 흐르는 것을 낫게 하며 5가지 치질로 하혈이 멎지 않는 것, 어린이의 얼굴과 코에 생긴 감창(疳瘡), 어른의 입 안이 헌 것 등을 낫게 한다.

○ 곳곳에 있는데 붉나무의 잎에서 생긴다. 음력 7월에 열리는데 꽃은 없다. 생것은 푸르고 익으면 누렇다. 큰 것은 주먹만 하며 속에 벌레가 많다. 음력 9월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일명 백충창(百蟲倉) 또는 문합(蚊蛤)이라고도 한다[본초].

○ 속에 벌레를 긁어 버리고 끓는 물에 씻어서 날것대로 쓴다. 알약으로는 약간 닦아서 넣는다[입문].

⼗天竺黃

性寒(一云平)味甘無毒治中風痰塞卒失音不語去諸盤風熱主小兒驚風天弔客歑癎疾療金瘡○生南海邊竹內塵沙結成如黃土着竹作片凉心去熱小兒病最宜一名竹膏《本草》○生天竺國竹內如黃土《入門》

천축황(天竺黃, 참대속진)

성질은 차며[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중풍으로 담이 막혀 갑자기 목이 쉬고 말을 못하는 증을 낫게 하며 여러 가지 풍열과 어린이 경풍, 천조(天弔), 객오(客 ), 간질 및 쇠붙이에 다친 것을 낫게 한다.

○ 남해 바닷가에서 난다. 참대 속에 먼지와 모래가 모여 누런 흙처럼 뭉쳐 참대에 붙어 조각이 된 것이다. 가슴을 시원하게 하며 열을 없애므로 어린이의 병에 좋다. 일명 죽고(竹膏)라고도 한다[본초].

○ 인도에서 난다. 참대 속에 있는 누런 흙 같은 것이다[입문].

⼗密蒙花

性平(一云微寒)味甘無毒主靑盲膚次赤怴多淚小兒瘡疹及疳氣攻眼○花細碎數十房成一朶冬生春開二三月採花暴乾《本草》○酒浸一宿侯乾拌蜜蒸望用《入門》

밀몽화(密蒙花)

성질은 평(平)하며(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청맹, 예막, 눈이 피지는 것, 눈물이 많이 나는 것과 어린이의 마마, 홍역 및 감질의 독이 눈에 침범한 것 등을 낫게 한다.

○ 꽃은 아주 잘아 수십 개의 꽃잎으로 한 송이가 되었다. 겨울에 돋아나서 봄에 꽃이 핀다. 음력 2-3월에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본초].

○ 술에 하룻밤 담갔다가 말린 다음 꿀에 버무려 쪄서 햇볕에 말려서 쓴다[입문].

⼗巴豆

性熱(一云生溫熟寒)味辛有大毒蕩鍊五藏六府開通閉塞利水穀道破琋禮積聚痰癖留飮治十種水病除鬼狟蠱毒去惡瘡息肉墮胎殺盤魚及斑猫毒又殺腹藏盤○出巴蜀形似大豆最能瀉人新者佳得火良○其中一名江子顆小似棗核兩頭尖者勿用能殺人《本草》○斬關奪門之將不可輕用若急治爲水穀道路之劑去皮心膜油生用若緩治爲消堅磨積之劑換水煮五次或炒烟盡色紫黑硏用可以通腸可以止泄《湯液》○凡用去皮及心膜《本草》

파두(巴豆)

성질은 열(熱)하며(생으로 쓰면 따뜻하고[溫] 익혀 쓰면 차다[寒]고도 한다) 맛은 맵고[辛] 독이 많다. 5장 6부를 확 씻어 내어 깨끗이 하고 막힌 것을 통하게 하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징가, 적취, 담벽, 유음(留飮)과 10가지 수종병을 낫게 한다. 귀주, 고독, 악창을 낫게 하고 군살을 삭히며 유산시킨다. 또한 벌레, 물고기 및 반묘독(斑猫毒)을 없애고 뱃속의 벌레를 죽인다.

○ 사천성에서 난다. 생김새는 콩 비슷한데 설사를 아주 세게 시킨다. 햇것이 좋고 불에 법제한 것이 좋다.

○ 파두 가운데 일명 강자(江子)라고 하는 것도 있는데 알이 잘고 대추씨처럼 생겼다. 양쪽 끝이 뾰족한 것은 쓰지 못한다. 쓰면 사람을 죽일 수 있다[본초].

○ 성문을 지키는 장수를 찔러 죽이고 적진지를 빼앗은 장군과 같은 약이므로 경솔히 쓰지 말아야 한다. 만일 급히 대소변을 통하게 할 약으로 쓰려면 껍질과 심과 막을 버리고 기름을 뺀 다음 생것으로 쓴다. 만일 천천히 효과를 내게 하려거나 또는 딴딴한 것 또는 적을 삭이려는 약으로 쓰려면 물을 갈아 부으면서 다섯번 삶아 연기가 나지 않고 빛이 검은 자줏빛이 될 때까지 볶아 가루내서 쓴다. 설사도 시키고 설사를 멎게도 한다[탕액].

○ 쓸 때에 껍질과 심과 막을 버린다[본초].

⼗爣莢

주엽나모여름性溫味辛稜有小毒通關節除頭風利九竅消痰涎止咳嗽療脹滿破堅琋能墮胎治中風口夝殺勞盤○在處有之樹高枝間生大刺九月十月採莢陰乾○有長爣莢猪牙爣莢二種今醫家作曣風氣九散多用長爣莢治齒及取積藥多用猪牙爣莢大抵性味不相達○不狰而肥者佳可爲沐湯去垢甚妙《本草》○引入厥陰經藥也去皮及子曧炙或蜜炙用《入門》○鐵睖以禹金銀雖千百年不壞以槌爣莢則卽碎一名爣角《丹心》

조협( 莢, 주염열매)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짜며[ ] 조금 독이 있다. 뼈마디를 잘 쓰게 하고 두풍(頭風)을 낫게 하며 9규를 잘 통하게 하고 담연을 삭게 한다. 기침을 멈추며 창만을 낫게 하며 징가를 헤치고 유산시킨다. 또 중풍으로 이를 악문 것을 낫게 하며 노채충(勞 蟲)을 죽인다.

○ 곳곳에서 난다. 나무의 키는 높고 가지 사이에서 큰 가시가 돋아 있다. 음력 9-10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장조협(長 莢), 저아조협(猪牙 莢) 등 두 가지가 있는데 지금 의사들은 풍기를 없애는 알약이나 가루약에는 장조협을 쓰고 이빨의 병과 적을 낫게 하는 약에는 저아조협을 많이 쓴다. 성질과 맛은 대체로 비슷하다.

○ 좀 안 먹고 잘 여문 것이 좋다. 주염열매 달인 물로 목욕하면 때가 아주 잘 씻어진다[본초].

○ 궐음경으로 들어가는 약이다. 껍질과 씨를 버리고 졸인 젖( )을 발라 굽거나 꿀을 발라 구워서 쓴다[입문].

○ 쇠모루에 금, 은을 두드리면 천백 년까지도 깨지지 않는데 주염열매를 놓고 두드리면 곧 부서진다. 일명 조각( 角)이라고도 한다[단심].

⼒爣莢子

疎導五藏風熱壅滯又入治肺藥療大腸風秘礐核取中心嚼餌治膈痰呑酸《本草》

조협자( 莢子, 주염열매씨)

5장에 풍열이 옹체(癰滯)된 것을 내보낸다. 또한 폐병약으로도 쓴다. 대장에 풍사가 있어 변비가 된 것을 풀리게 한다. 싸서 구워 속에 있는 씨를 꺼내어 씹어 먹으면 가슴에 담이 있는 것과 신물이 올라오는 것을 낫게 한다[본초].

⼒爣角刺

一名天丁凡癰疽未破者能開竅已破者能引藥達瘡處乃諸惡瘡及嵀風要藥也《本草》

조각자( 角刺, 주염나무가시)

일명 천정(天丁)이라고도 한다. 터지지 않은 옹종을 터지게 한다. 이미 터진 때에는 약 기운을 끌고 종처에까지 가므로 모든 악창과 문둥병에 좋은 약으로 된다[입문].

⼒鬼爣莢

生澤畔如爣莢高一二尺可作浴湯去風瘡疥癬衣垢又沐頭長髮《本草》

귀조협(鬼 莢)

못가에서 난다. 주염나무와 비슷한데 높이가 1-2자이다. 이것을 달인 물로 목욕하면 풍창(風瘡)과 옴과 버짐이 낫게 되고 옷의 때도 잘 진다. 또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잘 자란다[본초].

⼗訶子

性溫味苦(一云酸澁)無毒消痰下氣治肺氣喘急囍亂奔豚腎氣止瀉痢腸風瀉血崩中帶下破結氣心腹脹滿消食開胃療膈氣安胎○子似梔子皮肉相着七八月實熟時採六稜黑色肉厚者良一名訶梨勒○其子未熟時風飄墮者謂之墮風子暴乾收之彼人尤珍貴益小者益佳《本草》○此物能澁腸而又泄氣盖其味苦澁故爾《湯液》○訶子以水濕麵包嚸氖熟或酒浸蒸拄去核取肉焙乾用《入門》

가자(訶子)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苦](시고 떫다[酸澁]고도 한다) 독이 없다. 담을 삭이고 기를 내리며 폐기로 숨이 찬 것과 곽란, 분돈, 신기를 낫게 한다. 설사와 이질, 장풍으로 피를 쏟는 것, 붕루, 대하를 멎게 하며 기가 몰린 것을 풀어 주고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을 낫게 한다. 먹은 것을 잘 삭이고 입맛을 돋구며 열격[膈]을 낫게 하고 안태시킨다.

○ 열매가 산치자 비슷한데 껍질과 살이 서로 붙어 있다. 음력 7-8월에 열매가 익을 때 딴다. 6모가 나고 빛이 검으며 살이 두터운 것이 좋다. 일명 가리륵(訶梨勒)이라고도 한다.

○ 열매가 익지 않았는데 바람에 날려서 떨어진 것은 수풍자(隨風子)라 하는데 햇볕에 말려서 보관한다. 저쪽 사람들은 이것을 더 귀하게 여긴다. 작을수록 좋다고 한다[본초].

○ 이 약은 대소장을 수렴하면서도 기를 내보낸다. 그것은 그 맛이 쓰고[苦] 떫기[澁] 때문이다[탕액].

○ 가자를 물에 적셔 밀가루떡에 싸서 잿불에 묻어 익히거나 또는 술에 담갔다가 쪄서 씨를 버리고 살만 발라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입문].

⼗柳花

버들가야지性寒味苦無毒主風水黃疸面熱黑痂疥惡瘡金瘡止血治濕痺○柳花卽初發時黃蘂也及其花乾絮方出謂之柳絮收之貼灸瘡及爲漨褥子乃飛絮絮之下連小黑子因風而起其子極細入池塘化爲浮萍《本草》○楊與柳不相似楊葉圓闊而赤枝條短硬柳葉狹長靑綠枝條長軟《本草》

유화(柳花, 버들개지)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풍수종, 황달, 얼굴이 뜨거운 증과 검은 딱지가 앉는 증, 악창을 낫게 하며 쇠붙이에 다쳐서 출혈을 멈추며 습비(濕痺)를 낫게 한다.

○ 버들개지는 처음 필 때의 누른 꽃술(黃蘂)이다. 그 꽃이 말라야 솜 같은 것이 나오는데 이것을 버들솜(柳絮)이라고 한다. 이것을 모아 뜸자리 헌데에도 바르고 포단도 만든다. 이것은 날아다니는 솜인데 그 속에 잘고 검은 씨가 달려 있다. 바람에 날려 다닌다. 그 씨는 아주 잔데 못에 떨어지면 개구리밥(浮萍)이 된다[본초].

○ 백양나무와 버드나무는 다르다. 백양나무는 잎이 둥글고 넓으며 붉고 가지가 짧고 단단하다. 버드나무는 잎이 좁고 길며 연한 풀빛이고 가지가 길며 부드럽다[본초].

⼒枝

主齒痛風熱腫痒可作浴湯膏藥牙齒病爲最要之藥《本草》

유지(柳枝, 버드나무가지)

치통과 풍열로 붓고 가려운 때에 씻음약[浴湯] 또는 고약(膏藥)을 만들어 쓴다. 이빨병[牙齒病]에 매우 요긴한 약이다[본초].

⼒木中盤屑

主風瘙痒温疹《本草》

목중충설(木中蟲屑, 버드나무 속의 좀똥)

풍증과 가려운 것, 두드러기를 낫게 한다[본초].

⼒葉

主丁瘡湯火瘡毒入腹熱悶治傳尸骨蒸勞下水氣○煎膏續筋骨長肉止牙痛《本草》

유엽(柳葉, 버들잎)

정창( 瘡)과 끓는 물 또는 불에 데어 독이 속에 들어가서 열이 나고 답답해하는 것을 낫게 한다. 전시(傳尸), 골증로(骨蒸勞)를 낫게 하며 부종을 내리게 한다.

○ 고약을 만들어 쓰면 힘줄과 뼈를 이어지게 하며 새살을 잘 살아나오게 하고 치통을 멎게 한다[본초].

⼒赤檉

一名兩師今河邊小楊莖赤葉細所謂赤柳主疥癬及一切惡瘡《本草》

적정(赤檉, 붉은 개버들)

일명 우사(雨師)라고도 하는데 강가에서 자라는 작은 버들이다. 줄기가 벌겋고 잎이 가늘다. 즉 벌건 버들이다. 옴과 버짐 모든 악창을 낫게 한다[본초].

⼗練實

性寒味苦無毒主瘟病傷寒大熱煩狂利水道殺三盤疥癬○一名金鈴子一名川練子一名苦練子木高丈餘葉密如塊而長三四月開花紅紫色芬香滿庭實如彈丸生靑熟黃十二月採實《本草》○入心經主上下部腹痛及諸疝《湯液》○酒浸濕蒸軟剝取肉去皮核望乾用《入門》

연실(練實, 고련실, 멀구슬나무열매)

성질은 차고[寒]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온병, 상한으로 열이 몹시 나고 답답하여 미칠 듯한 것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배안의 3가지 충을 죽이며 옴과 헌데를 낫게 한다.

○ 일명 금령자(金鈴子) 또는 천련자(川練子) 또는 고련자(苦練子)라고도 한다. 나무의 높이는 10여자가 되고 잎은 빽빽하게 나며 홰나무잎 비슷한데 좀 길다. 음력 3-4월에 붉은 자주색의 꽃이 피는데 그 향기가 뜰에 차고 넘친다. 열매는 탄알 비슷한데 생것은 푸르고 익은 것은 누르다. 열매는 음력 12월에 딴다[본초].

○ 심경에 들어간다. 윗배와 아랫배의 통증 및 여러 가지 산증을 낫게 한다[탕액].

○ 술에 담가 축축해진 다음 쪄서 껍질과 씨를 버리고 살만을 발라 햇볕에 말려서 쓴다[입문].

⼒根

性微寒味苦微毒殺諸盤利大腸○有雌雄雄者根赤無子有大毒服之令人吐不止雌者根白有子微毒藥用當取雌者《本草》○皮一兩入姎米五十粒煎煮殺毒《入門》○我國惟濟州有之他處無《俗方》

연근(練根, 고련근)

성질은 약간 차며[微寒] 맛은 쓰고[苦] 조금 독이 있다. 모든 충을 죽이고 대장을 잘 통하게 한다.

○ 수컷, 암컷이 있는데 수컷은 뿌리가 벌겋고 씨가 없으며 독이 많다. 그래서 먹으면 구토가 멎지 않는다. 암컷은 뿌리가 희고 열매가 열리며 약간 독이 있다. 약으로는 암컷을 써야 한다[본초].

○ 껍질 40g에 찹쌀 50알을 두고 삶아서 독을 빼야 한다[입문].

○ 우리나라에는 제주도에만 있고 다른 곳에는 없다[속방].

⼗樗根白皮

가靂나모불휫겁질性凉味苦有小毒主赤白久痢腸滑及痔疾腸風瀉血不住殺口鼻中疳盤去疥媞主鬼狟傳尸蠱毒下血能縮小便○樗與椿大抵相類但樗木臭而疎椿木實而葉香拄採無時○又云椿樗皆臭但一種有花結子一種無花不結子世以無花不實木身大幹端直者爲椿椿用根葉其有花而莢木身小幹多迂矮者爲樗樗用根葉莢○樗一名虎目樹以葉脫處有痕如目也《本草》○性凉而燥須炒用或塗蜜灸用《丹心》○服此忌油媐熱麵毒物《本草》

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뿌리껍질)

성질은 서늘하며[ ] 맛은 쓰고[苦] 조금 독이 있다. 오래된 적리, 백리와 설사, 치질, 장풍으로 피를 계속 쏟는 것을 낫게 한다. 입과 코의 감충, 옴, 익창의 벌레를 죽이며 귀주, 전시, 고독으로 하혈하는 것을 멎게 한다. 그리고 오줌 횟수를 줄인다.

○ 가죽나무는 춘나무(椿)와 거의 같다. 그러나 가죽나무는 냄새가 나면서 성글고 춘나무는 속이 실하면서 잎이 향기롭다. 모두 아무 때나 뿌리를 캔다.

○ 또 춘나무와 가죽나무는 다 냄새가 나는데 다만 하나는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고 다른 하나는 꽃이 피지 않으며 열매도 열리지 않는다고 한다. 세상 사람들은 꽃이 없고 열매가 열리지 않으며 나무줄기가 굵고 곧게 자라는 것을 춘나무로 본다. 춘나무는 뿌리와 잎을 쓴다. 꽃이 피고 꼬투리가 열리며 나무가 작고 줄기가 구불구불한 것을 가죽나무로 본다. 가죽나무는 뿌리, 잎, 꼬투리를 쓴다.

○ 가죽나무는 일명 호목수(虎目樹)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잎이 떨어진 자리에 눈알 같은 흔적이 남는 데서 온 이름이다[본초].

○ 성질은 서늘하고[ ] 조(燥)하다. 반드시 닦아 쓰거나 꿀을 발라 구워 써야 한다[단심].

○ 약을 먹을 때는 기름, 기름진 것, 뜨거운 국수나 독이 있는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椿木葉

味苦有毒主洗瘡疥風疽○根皮一名苦木瘡性溫主疳媞又止瀉澁精氣《本草》

춘목엽(椿木葉, 춘나무잎)

맛은 쓰고[苦] 독이 있다. 헌데, 옴, 풍저(風疽)를 씻는다.

○ 뿌리껍질(根皮)을 일명 고목창(苦木瘡)이라고도 한다. 성질은 따뜻한데 감닉을 낫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정기를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한다[본초].

⼗郁李仁

묏이스랏󯯈名산ꏡ믁性平味苦辛無毒主通身浮腫利小便治腸中結氣關格不通通泄膀胱五藏急痛宣腰脚冷膿消宿食下氣○處處有之枝條花葉皆若李惟子小若櫻桃赤色而味甘酸微澁核隨子熟六月採實幷根用一名車下李《本草》○去殼湯浸去皮尖雙仁蜜水浸一宿硏用《入門》○一名千金藤破血潤燥《正傳》

욱리인(郁李仁, 이스라치씨)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온몸의 부종을 가라앉히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장 안에 뭉쳐 있는 기와 관격(關格)으로 통하지 못하는 기를 잘 통하게 한다. 또한 방광의 기를 잘 통하게 하고 5장이 켕기고 아픈 것을 낫게 한다. 허리와 다리의 찬 고름을 빠지게 하고 오랜 체기를 삭히며 기를 내리게 한다.

○ 곳곳에서 난다. 가지, 줄기, 꽃잎이 모두 추리 비슷한데 다만 열매가 잘다. 앵두만하고 빛이 벌거며 맛이 달고[甘] 시며 약간 떫다. 씨는 열매와 같이 익는다. 음력 6월에 열매를 따고 뿌리를 캐어 쓴다. 일명 차하리(車下李)라고도 한다[본초].

○ 껍질을 버리고 더운물에 담갔다가 꺼풀과 끝을 두알들이를 버리고 꿀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갈아서 쓴다[입문].

○ 일명 천금등(千金藤)이라고도 하는데 어혈을 헤치고 마른 것을 축여 준다[정전].

⼒根

主齒痛治根腫法堅齒去白盤煎湯含漱《本草》

욱리근(郁李根, 이스라치뿌리)

치통과 잇몸이 붓는 것, 이삭기를 낫게 하며 이빨을 든든하게 한다. 촌백충도 죽인다. 달인 물로 양치한다[본초].

⼗沒食子

性溫(一云平)味苦無毒主赤白痢腸滑治陰瘡陰汗小兒疳痢能黑鬚髮○一名無食子圓如彈丸色微黑皮無孔者入藥《本草》○凡使勿犯銅鐵炒硏細用《入門》

몰식자(沒食子)

성질은 따뜻하며[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적백, 이질, 설사, 음창과 음낭에 땀이 나는 것, 어린이의 감리를 낫게 하며 수염과 머리털을 검게 한다.

○ 일명 무식자(無食子)라고도 하는데 탄알같이 둥글고 빛이 약간 검다. 껍질에 구멍이 없는 것을 약으로 쓴다[본초].

○ 구리나 쇠에 대지 말고 닦아서 보드랍게 갈아 쓴다[입문].

⼗雷丸

性寒味苦稜有小毒殺三盤及寸白盤去蠱毒竹之巔也○色白者善醋浸礐去黑皮焙用《入門》

뇌환(雷丸)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짜며[ ] 조금 독이 있다. 3가지 충과 촌백충을 죽이고 고독을 없앤다. 참대뿌리에 생긴 혹이다.

○ 흰 것이 좋은데 식초에 담갔다가 싸서 구워 검은 껍질을 버리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입문].

⼗橡實

굴근도토리性溫味苦澁無毒主下痢厚腸胃肥健人澁腸止瀉充飢禦唦○橡實嵡木子也處處有之其實爲爣斗嘘嵡皆有斗而以嵡爲勝不拘時採皮幷實用入藥拄炒○澧也嵡也灎也窖也皆橡嵡之通名也《本草》

상실(橡實, 도토리)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쓰며[苦] 떫고[澁] 독이 없다. 설사와 이질을 낫게 하고 장위를 든든하게 하며 몸에 살을 오르게 하고 든든하게 한다. 장을 수렴하여[澁] 설사를 멈춘다. 배불리기 위해 흉년에 먹는다.

○ 도토리는 참나무의 열매이다. 곳곳에서 난다. 그 열매에는 누두 같은 꼭지가 달려 있다. 조리참나무와 떡갈나무열매에도 다 꼭지가 있다. 상수리가 좋다. 아무 때나 껍질과 열매를 함께 채취하여 약으로 쓰는데 어느 것이나 다 닦아 쓴다.

○ 가락나무, 떡갈나무 등이다.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두루 부르는 이름이다[본초].

⼒橡殼

卽斗也止腸風崩中帶下冷熱瀉痢堪染爣拄染鬚髮令黑《本草》

상각(橡殼, 도토리껍질)

즉 꼭지이다. 장풍, 붕루, 대하를 낫게 하고 냉과 열로 나는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한다. 천에 검은 물을 들일 수 있으며 수염과 머리털을 검게 물들인다[본초].

⼒嵡樹皮

性平味苦無毒主水痢消岤嵤除惡瘡及瘡中風露腫痛者《本草》

낙수피( 樹皮, 떡갈나무껍질)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물 같은 설사를 멎게 하고 나력을 삭히며 악창과 헌데가 바람이나 이슬을 맞은 후 부어 오르며 아픈 것을 낫게 한다.

⼒嘘若

조리쏑나모닙性平味甘苦無毒療血痢主痔止渴取葉灸用若卽葉也○樹皮味苦澁除蠱及瘻治惡瘡○與嵡相類亦有但小不中用不拘時採用《本草》

곡약( 若, 조리참나무잎)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쓰며[苦] 독이 없다. 혈리, 치질, 갈증을 낫게 한다. 잎을 따서 구워 쓴다.

○ 조리참나무껍질은 맛이 쓰고[苦] 떫다[澁]. 고독, 누창 및 악창을 낫게 한다. 떡갈나무와 비슷하다. 또한 꼭지가 달려 있는데 작아서 쓸모가 없다. 아무 때나 딴다[본초].

⼗白楊樹皮

사꿁나모겁질性冷味苦(一云酸)無毒主毒風脚氣腫去風痺消撲損瘀血作痛療折傷血瀝痛煎膏可續筋骨○處處有之不身微白故曰白楊葉面靑背白體圓疵弱微風大搖古人多種於墟墓間《本草》

백양수피(白楊樹皮, 백양나무껍질)

성질은 서늘하며[ ] 맛은 쓰고[苦](시다[酸]고도 한다) 독이 없다. 독풍(毒風)과 각기로 부은 것과 풍비를 낫게 하며 다쳐서 어혈이 지고 아픈 것, 부러져서 피가 뚝뚝 떨어지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쓰면 힘줄이나 뼈가 끊어진 것을 잇는다.

○ 곳곳에서 난다. 나무가 약간 희기 때문에 백양이라 한다. 잎의 앞쪽은 푸르고 뒤쪽은 희면서 둥글다. 잎자루가 연약하여 약한 바람에도 몹시 흔들린다. 옛사람들은 많은 경우 집 주변과 무덤 가까이에 심었다[본초].

⼗蘇方木

다목性平(一云寒)味甘稜無毒治婦人血氣心腹痛及産後血脹悶欲死女子血夝失音消癰腫撲損瘀血排膿止痛能破血○一名蘇木令人用染色者《本草》○酒煮去皮節用《入門》

소방목(蘇方木)

성질은 평(平)하며(차다[寒]고도 한다) 맛은 달고[甘] 짜며[ ] 독이 없다. 부인이 혈기병(血氣病)으로 명치 아래가 아픈 것, 몸푼 뒤에 혈창(血脹)이 생겨서 답답하여 죽을 지경인 것, 월경이 중단된 것과 목이 쉰 것을 낫게 하고 옹종을 삭이며 다쳐서 어혈이 진 것을 낫게 한다. 고름을 빨아내며 아픈 것을 멈추고 어혈을 잘 헤친다.

○ 일명 소목(蘇木)이라고도 한다. 지금 사람들은 물들이는 데 쓴다[본초]

○ 술에 삶아서 껍질과 마디를 버리고 쓴다[입문].

⼗桐葉

미귀나모닙性寒味苦無毒主惡蝕瘡着陰○桐有四種靑桐無子梧桐皮白葉靑有子白桐有花與子堪作琴瑟者崗桐似白桐惟無子藥中所用是白桐也《本草》○白桐二月開淡紅花結子可作油《入門》○桐子似蔓荊子而梢大靑綠色《俗方》

동엽(桐葉, 오동나무잎)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음식창을 낫게 한다.

○ 오동나무에는 4가지가 있다. 청동(靑桐)은 씨가 없다. 오동나무껍질(梧桐皮)은 희며 잎이 푸르고 씨가 있다. 백동(白桐)은 꽃과 씨가 다 있으며 악기를 만드는 데 쓸 수 있다. 강동(崗桐)은 백동과 비슷한데 다만 씨가 없다. 약에 쓰는 것은 백동이다[본초].

○ 백동은 음력 2월에 담홍색의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는데 기름을 짤 수 있다[입문].

○ 벽오동씨(桐子)는 순비기열매(만형자) 비슷한데 약간 크고 청록색이다[속방].

⼒桐皮

主五痔殺三盤治五淋沐頭去風生髮《本草》

동피(桐皮, 오동나무껍질)

5가지 치질을 낫게 하고 3가지 충을 죽인다. 5림을 치료하는데 달인 물로 머리를 감으면 풍증을 없애고 머리털을 나게 한다[본초].

⼒桐油

性冷微毒付惡瘡疥鼠咬瘡取桐子瑄取油也《本草》

동유(桐油, 오동나무기름)

성질은 서늘하며[ ] 약간 독이 있다. 악창과 옴, 쥐에게 물린 헌데를 낫게 한다. 오동나무의 씨를 따서 기름을 짠다[본초].

⼗胡椒

性大溫味辛無毒下氣溫中去痰除藏府中風冷止囍亂心腹冷痛及主冷痢殺一切魚肉鱉菌梁毒○出南方形如鼠李子調食用之向陽者爲胡椒向陰者爲禕澄茄硏末入藥一名浮椒《本草》

호초(胡椒, 후추)

성질은 몹시 따뜻하며[大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기를 내리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담을 삭이고 장부의 풍과 냉을 없애며 곽란과 명치 밑에 냉이 있어 아픈 것, 냉리를 낫게 한다. 또한 모든 생선, 고기 및 버섯독을 풀어 준다.

○ 남방에서 난다. 생김새는 우엉씨(대력자) 비슷하다. 양념으로 쓴다. 양지 쪽으로 향하여 자란 것이 후추이고 음지 쪽으로 향하여 자라는 것이 필징가인데 가루내어 약으로 쓴다. 일명 부초(浮椒)라고도 한다[본초].

⼒禕澄茄

性溫味辛無毒主下氣消食治囍亂泄瀉屠腹痛幷腎氣膀胱冷能染髮及香身○生南海嫩胡椒也赦梧桐子及蔓荊子而微大靑時就樹採摘有柄㵋而疵圓是也《本草》○去柄酒浸蒸半日杵細用《入門》

필징가( 澄茄)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기를 내리고 소화를 잘 시키며 곽란, 설사, 복통 그리고 신기와 방광이 차서 아픈 것 등을 낫게 한다. 머리털을 물들이며 몸에서 향기가 풍기게 한다.

○ 남해에서 나는 어린 후추이다. 벽오동씨나 순비기열매(만형자) 비슷한데 약간 크다. 푸른 때에 딴다. 굵직한 자루가 있고 꼭지가 둥근 것이 그것이다[본초].

○ 꼭지를 버리고 술에 담갔다가 한나절 쪄서 보드랍게 빻아서 쓴다[입문].

⼗無患子皮

모관쥬나모겁질性平有小毒主澣垢去面历喉痺○子中仁燒令香抗惡氣其子如漆珠僧家貫之爲念珠紫紅色小者佳昔有神巫以此木爲棒擊鬼殺之故名曰無患《本草》○我國惟濟州有之《俗方》

무환자피(無患子皮)

성질은 평(平)하며 조금 독이 있다. 때를 씻고 얼굴의 주근깨와 후비를 낫게 한다.

○ 씨 속에 있는 알맹이를 태워서 냄새를 피우면 악기를 물리친다. 그 씨는 옻칠한 구슬 같아서 중들이 꿰어 염주를 만든다. 자홍색이면서 작은 것이 좋다. 옛날 어떤 무당이 이 나무로 방망이를 만들어 귀신을 때려 죽였다 하여 무환(無患)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본초].

○ 우리나라에는 제주도에서만 난다[속방].

⼗益智子

性溫味辛無毒主遺精縮小便攝涎唾益氣安神調諸氣○形大如棗皮白中仁黑核細者佳《本草》○服之益人智慧故名主君相二火入手足太陰足少陰經本脾經藥也治脾胃寒邪以鹽煎煖胃固精《入門》

익지자(益智子, 익지인)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유정(遺精)을 낫게 하고 오줌횟수를 줄인다. 침을 흘리지 않게 하며 기운을 돕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모든 기를 고르게 한다.

○ 생김새가 대추만큼 크고 껍질이 희며 속알맹이가 검고 씨가 잔 것이 좋다[본초].

○ 오랫동안 먹으면 머리가 좋아지기 때문에 익지라 한 것이다. 군화(君火)와 상화(相火)로 병이 생긴 것을 낫게 하고 수, 족태음경과 족소음경에 들어가는데 본래 비경(脾經)의 약이다. 비위에 한사가 들어 있는 것을 낫게 한다. 소금을 넣고 달여 먹으면 위(胃)를 덥게 하고 정(精)을 굳건히 간직하게 한다[입문].

⼗牛李子

性微寒味苦有小毒主寒熱岤嵤能下血除疝禮冷氣治水腫脹滿○一名鼠李子生野道邊木高七八丈枝葉如李而不澤至秋結實狀若五味子生於條上四邊生則靑熟則紫黑色成穗至秋葉落子尙在枝實熟時採日乾用之酒蒸《本草》○小兒瘡疹能起發最妙《錢氏》

우이자(牛李子)

성질은 약간 차며[微寒] 맛은 쓰고[苦] 조금 독이 있다. 추웠다 열이 나는 나력을 낫게 하며 어혈을 풀리게 하고 산가(疝 )와 냉기를 없애며 수종, 창만을 내리게 한다.

○ 일명 서리자(鼠李子)라고도 한다. 들판과 길가에 나는데 나무의 높이가 70-80자나 된다. 가지와 잎이 추리나무 비슷한데 윤택하지 않다. 가을에 열매가 익는데 오미자 비슷하다. 가지 위에 사방으로 열린다. 생것은 푸르고 익으면 검붉은 색이 되는데 이삭으로 되어 있다. 가을에 잎이 떨어져도 열매는 가지에 달려 있다. 열매가 익을 때 따서 햇볕에 말려 쓴다. 술에 축여 쪄서 쓴다[본초].

○ 어린이의 마마와 홍역에 쓰면 아주 잘 내돋게 한다[전씨].

⼒根汁

空心服治脊骨疳口含治齒媞《本草》

우이근즙(牛李根汁, 서리자뿌리즙)

빈속에 먹으면 척골감(脊骨疳)을 낫게 한다. 입에 머금고 있으면 치닉(齒 )이 낫는다[본초].

⼒樹皮

主諸瘡除身皮熱毒《本草》

우이수피(牛李樹皮, 서리자나무뿌리껍질)

모든 헌데와 피부열독을 낫게 한다[본초].

⼗丁公藤

마가목性溫味辛無毒主風熱補衰老起陽强腰脚除痺變白排風邪○一名南藤莖如馬鞭有節紫褐色葉如杏葉而尖採無時漬酒服《本草》○解叔謙母病禱神遇異人得服此藥卽此也《南史》

정공등(丁公藤)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풍증과 어혈을 낫게 하고 늙은이와 쇠약한 것을 보하고 성기능을 높이며 허리힘, 다리맥을 세게 하고 비증[痺]을 낫게 한다. 흰 머리를 검게도 하고 풍사를 물리치기도 한다.

○ 일명 남등(南藤)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마편초 같은데 마디가 있고 자갈색이다. 잎은 살구나무잎 비슷한데 뾰족하다. 아무 때나 베서 술에 담가 우러난 것을 먹는다[본초].

○ 해숙겸(解叔謙)의 어머니가 병들어 귀신에게 빌었더니 이인(異人)이 나타나 약을 주기에 먹고 나았는데 그 약이 이것이다[남사].

⼗樺木皮

봇性平味苦無毒主黃疸及乳癰肺風瘡小兒瘡疹○今之裝弓樺皮也木似山桃皮有花紋北來者佳《本草》

화목피(樺木皮)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황달, 유옹, 폐풍창(肺風瘡)과 어린이 마마, 홍역을 낫게 한다.

○ 지금 활을 장식하는 봇나무껍질(樺皮)이다. 나무는 산복숭아(山桃) 비슷하고 껍질에는 꽃무늬가 있다. 북쪽 지방에서 온 것이 좋다[본초].

⼗木鼈子

性溫味甘無毒消結腫惡瘡肛門痔腫婦人乳癰○木實也形似鱉故以爲名去殼犫掦炒用《本草》

목별자(木鼈子)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멍울이 지고 부은 것, 악창을 삭이며 항문이 치질로 부은 것, 부인의 유옹을 낫게 한다.

○ 나무의 열매인데 생김새가 자라 같기 때문에 목별자라 한 것이다. 껍질을 버리고 썰어서 밀기울과 함께 볶아서 쓴다[본초].

⼗釣藤

性寒(一云平)味苦(一云甘)無毒主小兒十二驚癎及客歑胎風專治驚熱○葉細莖長節間有刺若釣鉤者是也《本草》

조등(釣藤, 조구등)

성질은 차며[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고[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어린이의 12가지 경간과 객오와 태풍(胎風)을 낫게 하며 경열(驚熱)을 주로 치료한다.

○ 잎은 가늘고 줄기는 길며 마디 사이에 낚시 같은 가시가 있기 때문에 조구등(釣鉤藤)이라 한 것이다[본초].

⼗棕櫚皮

性平無毒止鼻洪吐血腸風赤白痢及婦人崩中帶下○木皮也形如馬犥赤黑色燒存性用《本草》

종려피(棕櫚皮)

성질은 평(平)하며 독이 없다. 코피가 마구 쏟아지는 것과 피를 토하는 것을 멎게 하며 장풍, 적백이질, 부인의 붕루, 대하를 낫게 한다.

○ 나무의 껍질인데 생김새는 말의 갈기 비슷하고 빛은 검은 자줏빛이다. 약성이 남게 태워서 쓴다[본초].

⼗木槿

무궁화性平無毒止腸風瀉血及痢後渴○處處有之作飮服令人得睡採無時《本草》

목근(木槿, 무궁화)

성질은 평(平)하며 독이 없다. 장풍으로 피를 쏟는 것과 이질 앓은 뒤에 갈증이 있는 것을 멈춘다.

○ 곳곳에 있으며 달여 먹으면 잠을 자게 한다. 아무 때나 껍질을 벗긴다[본초].

⼒花

性凉無毒治赤白痢及腸風瀉血宜炒用○作湯代茶喫治風《本草》

목근화(木槿花, 무궁화꽃)

성질은 서늘하며[ ] 독이 없다. 적백이질과 장풍으로 피를 쏟는 것을 낫게 하는 데 닦아 쓰는 것이 좋다.

○ 달여서 차 대신 마시면 풍증을 낫게 한다.

⼗洑花

性溫味辛苦有毒(一云大毒)治心腹脹滿去水腫寒痰喜唾療咳嗽瀆秇盤毒治癰腫惡瘡風濕殺盤魚肉毒○正二月花發紫碧色葉未生時收花日乾○凡使醋炒用不可近眼《本草》

원화( 花)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쓰며[苦] 독이 있다(독이 많다고도 한다). 배가 창만한 것, 수종, 한담(寒痰)으로 침뱉기를 좋아하는 것, 기침, 장학( ), 고독, 옹종, 악창, 풍습증을 낫게 하며 벌레나 생선 물고기의 독을 푼다.

○ 음력 1-2월에 꽃이 피는데 붉고 푸른 빛이다. 잎이 돋기 전에 꽃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 쓸 때는 식초에 축여 볶아 쓰는데 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본초].

⼗楸木皮

证래나모겁질性小寒味苦無毒殺三盤及皮膚盤煎膏付惡瘡疽瘻癰腫下部疳媞除膿血生肌膚長筋骨《本草》○處處有之多生山中採無時木性堅硬可爲器用《俗方》

추목피(秋木皮, 가래나무껍질, 초목피)

성질은 약간 차며[小寒]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3충과 피부충을 죽인다. 졸여 고약을 만들어 악창, 저창(疽瘡), 누창(瘻瘡), 옹종, 음부에 생긴 감닉창을 낫게 하는데 피고름을 없애고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본초].

○ 곳곳에 있는데 산에 많이 있으며 아무 때나 껍질을 벗긴다. 나무의 성질이 굳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가구를 만들 수 있다[속방].

⼗石南葉

主筋骨皮膚風養腎强陰療脚弱○此藥生終南山石上如枇杷葉無毛猪脂炒用《入門》

석남엽(石南葉, 만병초잎)

힘줄과 뼈의 병과 피부의 가려운 증을 낫게 하며 성기능을 세게 하고 다리가 약한 것을 낫게 한다.

○ 이 약은 종남산 바위 위에서 자라고 나뭇잎이 비파잎 비슷한데 털이 없다. 돼지기름(저지)에 볶아서 쓴다[입문].

⼗大風子

性熱味甘主嵀風疥癩瘡癬殺盤多服燥痰傷血○入丸藥去殼紙槌去油外塗帶油《入門》

대풍자(大風子)

성질은 열(熱)하며 맛은 달다[甘]. 문둥병, 옴, 헌데, 버짐을 낫게 하며 충을 죽인다. 많이 먹으면 가래가 마르고 혈을 상한다.

○ 알약에 넣어 쓸 때에는 껍질을 버리고 종이에 싸서 방망이로 두드려 기름을 빼고 쓰며 외용약으로 쓸 때는 기름을 빼지 않는다[입문].

⼗血竭

主一切惡瘡疥癬療金瘡止血定痛生肌但性急不可多用反能引膿○一名麒麟竭乃麒麟樹之津液結成色紅凡使味稜甘作梔子氣嚼之不爛如蠟者佳味稜甚作腥氣者非也嶽硏入藥用《入門》

혈갈(血竭)

여러 가지 악창과 옴과 버짐을 낫게 하며 쇠붙이에 다친 것을 낫게 한다. 지혈과 통증을 멎게 하며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그러나 성질이 급하기 때문에 많이 쓸 수 없다. 많이 쓰면 도리어 고름이 생기게 한다.

○ 일명 기린갈(麒麟竭)이라고도 하는데 기린나무의 진이 엉킨 것이며 빛이 벌겋다. 맛이 약간 짜고[微 ] 달며[甘] 산치자 냄새가 나고 씹어서 헤어지지 않고 황랍과 같이 되는 것이 좋다. 맛이 몹시 짜고 비린내가 나는 것은 이 약이 아니다. 따로 갈아 약에 넣어 쓴다[입문].

⼒紫圓

治濕痒瘡疥癬○亦木脂液結成形若爛石與血竭同條而功效全別《入門》

자광(紫 )

축축하면서 가려운 헌데와 옴버짐을 낫게 한다.

○ 나무진이 엉켜서 된 것인데 생김새는 부스러진 돌과 같으며 혈갈과 같다고 하나 약 효능은 전혀 다르다[입문].

⼗白蠟

무프레나모진生肌止血定痛接骨續筋補虛止咳止瀉潤肺藏厚腸胃殺勞盤○一名盤蠟冬靑樹上細盤食樹液而成者屬金專稟收斂堅凝之氣外科之要藥也得合歡皮良肉膏神效《入門》○在處有之濟州尤多産作燭明淨甚佳勝蜜蠟《俗方》

백랍(白蠟)/나무부

새살을 살아나게 하며 지혈과 통증을 멎게 한다. 또 힘줄과 뼈를 잇고 허한 것을 보하며 설사와 기침을 낫게 한다. 또한 폐를 눅여 주고 장위(腸胃)를 든든하게 하며 노채충을 죽인다.

○ 일명 충랍(蟲蠟)이라고도 하는데 동청나무에 있는 작은 벌레가 나무진을 먹고 된 것이다. 금(金)에 속하기 때문에 주로 아물게만 하고 단단히 엉키는 힘을 가지고 있어서 외과에 좋은 약으로 쓰인다. 자귀나무껍질과 배합하면 좋다. 살을 살아 나오게 하는 고약에 넣으면 아주 효과가 좋다[입문].

○ 곳곳에 있으며 제주도에서 더욱 많이 난다. 초를 만들어 쓰면 밝고 깨끗하여 좋은데 황랍보다도 좋다[속방].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草部(下)   (0) 2012.01.31
草部(上)   (0) 2012.01.31
菜部   (0) 2012.01.31
果部   (0) 2012.01.31
탕액서례[湯液序例] :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0) 2007.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