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제(澀劑)

2012. 1. 28. 11:20백두산 본초 이야기/본초의 기본적 이론

삽제(澀劑)

 

涩剂 之才曰∶涩可去脱,牡蛎、龙骨之属是也。

삽(澁)은 탈(脫)을 제거(除去)하는 것으로서 모려(牡蛎), 용골(龙骨)의 속(屬)을 말한다.

 

-서지재(徐之才)-

 

 

完素曰∶滑则气脱,如开肠洞泄、便溺遗失之类,必涩剂以收敛之。

 

활(滑)할 떼에는 기탈(氣脫)한다. 장(腸)이 열려서 배설(排泄)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과 시뇨(屎尿)를 유실(遺失)하는 유(類)인데, 이에는 반드시 삽제(澀劑)를 써서 수렴(收斂)하는 것이다.

 

-류완소(劉完素)-

 

 

 

从正曰∶寝汗不禁,涩以麻黄根、防风;滑泄不已,涩以豆蔻、枯矾、木贼、罂粟壳;喘嗽上奔,涩以乌梅、诃子。凡酸味同乎涩者,收敛之义也。

 

침한(寢汗)이 멎지 않는 것은 마황근(麻黄根), 방풍(防風)으로써 삽(澁)하고, 활설(滑泄)하여 멎지 않는 것에는 두구(荳蔲), 고반(枯礬), 목적(木贼), 앵속각(罌粟殼)으로써 삽(澁)하며, 천수(喘嗽)가 상분(上奔)하는 것에는 오매(烏梅), 가자(诃子)로써 삽(澁)한다. 무릇 산미(酸味)는 삽(澁)과 같고 삽(澁)은 즉, 수렴(收斂)의 의미(意味)인 것이다.

 

然此种皆宜先攻其本,而后收之可也。

 

그러나 이런 종류(種類)의 것은 모두 먼저 그 본(本)을 공(攻)한 이후(而後)에 수렴(收斂)의 작용(作用)을 시행(施行)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장종정(張從正)-

 

 

时珍曰∶脱者,气脱也,血脱也,精脱也,神脱也。脱则散而不收,故用酸涩温平之药,以敛其耗散。汗出亡阳,精滑不禁,泄痢不止,大便不固,小便自遗,久嗽亡津,皆气脱也。下血不已,崩中暴下,诸大亡血,皆血脱也。

 

탈(脫)이란 기탈(氣脫), 혈탈(血脱), 정탈(精脫), 신탈(神脫)등으로 탈(脫)하면 산(散)하여 불수(不收)하게 된다. 그러므로 산(酸), 삽(澁), 온(溫), 평(平)의 약(藥)을 써서 그 모산(耗散)을 수렴(收斂)하는 것이다. 한출(汗出)하여 양(陽)을 잃은 것, 정(精)이 활(滑)하여 금(禁)할 수 없는 것, 설리(泄痢)가 멎지 않는 것, 대변(大便)이 여물지 못하는 것, 소변(小便)이 절로 유실(遺失)하는 것, 오래도록 수(嗽)하여 망진(亡津)하는 것 등은 기탈(氣脫)이고, 하혈(下血)이 멎지 않는 것, 붕중(崩中)하여 극하(劇下)하는 것, 그 밖에 많은 혈(血)을 잃는 것은 모두 혈탈(血脱)이다.

 

 

牡蛎、龙骨、海螵蛸、五倍子、五味子、乌梅、榴皮、诃黎勒、罂粟壳、莲房、棕灰、赤石脂、麻黄根之类,皆涩药也。气脱兼以气药,血脱兼以血药及兼气药,气者血之帅也。脱阳者见鬼,脱阴者目盲,此神脱也,非涩药所能收也。

 

모려(牡蛎), 용골(龙骨), 해표소(海螵蛸), 오배자(五倍子), 오미자(五味子), 오매(烏梅), 유피(榴皮), 가려륵(诃黎勒), 앵속각(罌粟殼), 연방(莲房), 종회(棕灰), 적석지(赤石脂), 마황근(麻黄根)의 유(類)가 삽약(澁藥)이다. 기탈(氣脫)에는 이들의 삽약(澁藥)에 기약(氣藥)을 겸(兼)하고 혈탈(血脱)에는 혈약(血藥)과 기약(氣藥)을 겸(兼)한다. 기(氣)는 혈(血)의 수(帥)이기 때문이다. 탈장(脫腸)한 자(者)는 귀(鬼)를 보고 탈음(脫陰)한 자(者)는 맹인(盲人)이 된다. 이 이자(二者)는 신탈(神脫)인데 이는 삽약(澁藥)의 힘으로는 수렴(收斂)할 수가 없는 것이다.

 

- 이시진(李時珍) -

삽제(澀劑)

삽제(澀劑)는 탈출되는 것을 제거하는 약물로서 모려(牡蛎), 용골(龙骨)등이다. 삽(澁)이란 수렴(收斂)한다는 뜻이고, 탈(脫)이란 견고하지 못하여 활탈되는 것인데, 이것은 수렴약물로 치료한다. 예를 들어 병후에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은 위기(衛氣)가 견고하지 못한 것인데, 이때에는 <모려산(牡蛎散): 마황근(麻黄根), 황기(黄耆), 모려(牡蛎))를 사용한다. 신(腎)이 허하여 유정(遺精)이 생기거나 자다가도 자기도 모르는 사이 정액(精液)이 흘러 나오는 것은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아래 참고)을 사용한다.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

출전: 金锁固精丸-《医方集解·收涩之剂》

 

 

조성(組成)

 

사원질려(沙苑蒺藜)炒 검실(芡实) 蒸련수(莲须) 二两용골(龍骨) 酥炙모려(牡蛎) 盐水煮一日一夜煅粉,一两。   

 

방해(方解)

方中沙苑蒺藜甘温,补肾固精,

《本草纲目》谓其“补肾,治腰痛泄精,虚损劳气”,

《本经逢原》谓其“为泄精虚劳要药,最能固精”,故为君药。

 

芡实、莲子甘涩而平,俱能益肾固精,且补脾气,莲子并能交通心肾,共为臣药。

 

佐以龙骨甘涩平,牡蛎咸平微寒,俱能固涩止遗,莲须甘平,尤为收敛固精之妙品。诸药合用,既能补肾,又能固精,实为标本兼顾,以治标为主的良方。

因其能秘肾气,固精关,专为肾虚滑精者设,故美其名曰:“金锁固精”。   

 

용법(用法)

莲子粉糊为丸。盐汤下。   

 

방결(方诀)

金锁固精芡实研,莲须龙牡蒺藜联;又将莲粉为糊合,梦泄多遗久服蠲。   

 

방가(方歌)   

金锁固精芡莲须,蒺藜龙骨与牡蛎,莲粉糊丸盐汤下,补肾涩精止滑遗。   

 

금기(禁忌)

本方多为收敛之品,偏于固涩。

如属心、肝火旺或下焦湿热所扰以致遗精者,禁用本方

 

각가론술(各家論術)

 

  

1.《의방집해(医方集解)》   

 

此足少阴药也。蒺藜补肾益精,莲子交通心肾,牡蛎清热补水,芡实固肾补脾,合之莲须、龙骨,皆涩精秘气之品,以止滑脱也。   

 

2.《성방변독(成方便读)》   

 

夫遗精一证,不过分其有火无火,虚实两端而已。其有梦者,责相火之强,当清心肝之火,病自可已;无梦者,全属肾虚不固,又当专用补涩以固其脱。既属虚滑之证,则无火可清,无瘀可导,故以潼沙苑补摄肾精,益其不足。牡蛎固下潜阳,龙骨安魂平木,二味皆有涩可固脱之能;芡实益脾而止浊,莲肉入肾以交心,复用其须者,有赖其止涩之功,而为治虚滑遗精者设也。   

 

3.《방제학(方剂学)》

 

方中沙苑蒺藜补肾涩精为君药;莲子、芡实助君药以补肾涩精,为臣药;君臣相配,以补不足为主;莲须、煅龙骨、牡蛎性涩收敛,专以涩精为用,共为佐使药。诸药合用,既可涩精液之外泄,又能补肾精之不足。但本方究以固涩为主,故遗精滑泄已止,便需用补肾之品,补虚固肾以治本。

 

 

가감(加減)

  

1.복사(腹瀉):加补骨脂、五味子。   

2.요산심(腰酸甚):加杜仲、川断。   

3.대변간결(大便干结):加肉苁蓉、当归。   

4.양허(陽虛)、性欲减退、阳痿:加淫羊藿、锁阳。   

5.유정몽설(遗精梦泄):加金樱子、五味子。   

6.소변백탁(小便白濁):合萆薢分清饮。   

7.부녀백대(婦女白帶):加茯苓、薏苡仁。   

8.신음허(腎陰虛):加龟板、女贞子。   

9.음허화왕(陰虛火旺):加知母、黄柏。   

10.심번실면(心煩失眠):加酸枣仁、柏子仁。   

11.겸한심자(兼寒甚者):加附子、肉桂。

 

임상응용(臨床應用)

  

有报道本方治疗重症遗精、盗汗取得较好疗效,治疗慢性肠炎所致的腹泻亦有效,加味治疗崩漏有良效,并有对重症肌无力临床治愈的报道。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

《北京市中药成方选集》

  

【来源】《北京市中药成方选集》。   

【组成】熟地4两,山药2两,茯苓2两,丹皮1两5钱,菟丝子2两,山萸肉(炙)1两5钱,莲子1两,芡实(炒)2两,牡蛎(煅)8钱,龙骨(煅)8钱,补骨脂(炙)2两,沙苑子2两,巴戟肉(炙)3两,杜仲炭(炒)2两,人参(去芦)1两,龟版胶1两,鹿茸(去毛)1两5钱,泽泻1两5钱。   

【功效】滋阴益气,补肾固精。   

【主治】肾虚气亏,夜梦遗精,精神疲倦,阴虚盗汗。   

【制法】上为细末,炼蜜为小丸,7厘重,每盒80粒。   

【用法】每服40粒,1日2次,温开水送下。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

《鳞爪集》卷二

  

【来源】《鳞爪集》卷二。   

【组成】琐阳8两,苁蓉8两,莲须8两,芡实8两,鹿角霜8两,龙骨4两,巴戟8两,茯苓8两,牡蛎4两。   

【主治】心肾不交,气血两损,以致精关不固,无梦频遗,腰痛耳鸣,四肢困倦,虚烦盗汗,睡卧不安,遗泄等症。   

【制法】上为细末,水泛为丸。   

【用法】每服4钱,空心淡盐汤送下。   

【禁忌】忌烧酒、萝卜,并房室劳役等事。巴戟、鹿角霜,相火易动者不宜,是有梦者弗服为是。   

 

“金锁”,形容其坚固如金制之锁;“固精”,谓固敛肾气,秘涩阴精之效。人之精藏于肾,肾气固则精自敛藏,肾气虚则精关不固而遗泄。本方专为治疗肾虚滑精之证而设。方中诸药合用,既可补肾,又能涩精,实为标本兼顾,偏于治标之效方。服之能像金锁一样把守住精关,使肾气秘固,遗精滑泄自止。故名“金锁固精丸”。

 

 

 

공효(功效)

 

보신익정(補腎益精)、고삽활탈(固涩滑脱)、교통심신(交通心肾)。

 

주치(主治)

  

정활불금(精滑不禁)、진원우손(真元亏损)、몽유활정(夢遺滑精)、도한허번(盗汗虚烦)、요통이명(腰痛耳鸣)、사지무력(四肢無力)。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본초의 기본적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제(濕劑)  (0) 2012.01.28
조제(燥劑)  (0) 2012.01.28
활제(滑劑)   (0) 2012.01.28
중제(重剂)  (0) 2012.01.28
경제(轻剂)  (0) 2012.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