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493)
-
수선화(水仙花)
수선화(水仙花) 수선화/ 수선화(水仙花) 수선화 이명 : [수선]] [겹첩수선화] 학명 :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Roem. 분류군 : Amaryllidaceae(수선화과) 일명 : 水仙(スイセン/Suisen) 영명 : Chinese Sacred Lily, Polyanthus narcissus, French daffodil 漢名 : 水仙(수선) 잎 잎은 늦가을에 자라기 시작하고 4-6개이며 길이 20-40㎝, 폭 8-15mm로서 긴 선형이고 끝이 둔하며 백록색을 띠고 두껍다. 열매 꽃핀 후 결실치 않으므로 종자의 모양은 불투명하다. 꽃 꽃은 12-3월에 피며 통부는 길이 18-20mm, 화경(花莖)은 높이 20-40cm이고 포는 막질이며 길이 5-6.5cm이고 꽃봉오리..
2023.09.24 -
검실(芡實)[본초강목]
검실(芡實)[본초강목] ^^^^^^^^^^^^^^^^^^^^^^^^^^^^^^^^^^^^^^^^^^^^^^^^^^^^^^^^^^^^^^^^^^^^^^^^^^^^ 芡實 《本經》上品) 【釋名】 雞頭(《本經》)雁喙(同)、雁頭(《古今注》)鴻頭(韓退之)雞雍(《莊子》)卯菱(《管子》)蔿子、水流黃。 弘景曰︰此即今蔿子也。莖上花似雞冠,故名雞頭。 이것은 지금의 蔿子(위자)를 말한다. 莖上(경상)의 꽃이 鷄冠(계관)과 같기 때문에 鷄頭(계두)라고 命名(명명)한 것이다. 頌曰︰其苞形類雞、雁頭,故有諸名。 그 苞(포)의 形(형)은 鷄(계), 鴈(안)의 頭(두)와 같다. 그래서 여러 가지 이름이 있는 것이다. 時珍曰︰芡可濟儉歉,故謂之芡。雞雍見《莊子‧徐無鬼篇》。卯菱見《管子‧五行篇》。 芡(검)은 儉歉(검겸)을 救(구)할 수 있는 것이다..
2023.09.20 -
순채(蓴菜)[본초강목]
순채(蓴菜)[본초강목] ^^^^^^^^^^^^^^^^^^^^^^^^^^^^^^^^^^^^^^^^^^^^^^^^^^^^^^^^^^^^^^^^^^^^^^^^^^^^ 蓴 (《別錄》下品) 【釋名】 茆。水葵(《詩疏》)、露葵(《綱目》)、馬蹄草。 時珍曰︰蓴字,本作蒓,從純。純乃絲名,其莖似之故也。 蓴(순)자는 원래 蒓(순)이라 쓰고, 純(순)에 따르는 것이다. 純(순)이라는 것은 絲(사)에 대하는 名稱(명칭)으로 그것을 이 草(초)의 名(명)으로 사용한 것은 그 莖(경)과 비슷했기 때문이다. 《齊民要術》雲︰ 蒓性純而易生。種以淺深為候,水深則莖肥而葉少,水淺則莖瘦而葉多。其性逐水而滑,故謂之蒓菜, 齊民要術(제민요술)에 “蒓(순)은 性(성)이 純(순)하여 자라기 쉽다. 이것을 栽培(재배)하는 데는 水(수)의 淺深(천심)으로 適度(..
2023.09.10 -
연우(蓮藕)[본초강목]
연우(蓮藕)[본초강목] ^^^^^^^^^^^^^^^^^^^^^^^^^^^^^^^^^^^^^^^^^^^^^^^^^^^^^^^^^^^^^^^^^^^^^^^^^ 蓮藕 (《本經》上品) 【釋名】 其根藕(《爾雅》)其實蓮(同上),其莖葉荷。 韓保升曰︰藕生水中,其葉名荷。按︰《爾雅》雲︰荷,芙蕖。其莖茄,其葉蕸,其本密,其華菡萏,其實蓮,其根藕,其中菂,菂中薏。 藕(우)는 水中(수중)에서 나오며, 그 잎은 荷(하)라고 한다. 爾雅(이아)에는 “荷(하)는 芙蕖(부거)이다. 그 莖(경)은 茄(가), 그 잎은 蕸(하), 그 本(본)은 蔤(밀), 그 華(화)는 菡萏(함담), 그 實(실)은 蓮(연), 그 根(근)은 藕(우), 그 中(중)은 菂(적), 菂(적)의 中(중)은 薏(의)이다.”라고 하였다. 邢昞 注雲︰芙蕖,總名也,別名芙蓉,江東人呼..
2023.09.09 -
평봉초(萍蓬草)[본초강목]
평봉초(萍蓬草)[본초강목] 왜개연꽃/평봉초자(萍蓬草子) 왜개연꽃 이명:물개구리연, 북개연, 왜개련꽃(중).애기좀련꽃.왜개련 학명:Nuphar pumilum (Timm) DC. 분류군:Nymphaeaceae(수련과) 일본명:Hime-kohone 잎 잎은 근경 끝에서 나오며 엽병이 길고 엽병은 밑부분이 반원주형이며 2개의 능선이 있고 윗부분은 거의 세모가 지며 수면에 떠 있는 잎은 넓은 난형,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8cm, 폭 6-9cm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뒷면에 잔털이 밀생한다. 잎은 두껍고 표면은 광택이 난다. 열매 열매는 장과상으로 난형이며 길이 3cm로 다실이며 8-9월에 익는다. 꽃 꽃은 8-9월에 긴 화경이 나와 물 위에서 피고 지름 2.5cm정도로서 황색이며 꽃받침은 5개이고 ..
2023.09.09 -
마치현(馬齒莧)[본초강목]
마치현(馬齒莧)[본초강목] ^^^^^^^^^^^^^^^^^^^^^^^^^^^^^^^^^^^^^^^^^^^^^^^^^^^^^^^^^^^^^^^^^^^^^^^^^^^^^ 馬齒莧 (《蜀本草》) 【釋名】 馬莧(《別錄》)五行草(《圖經》)五方草(《綱目》)長命菜(同上)九頭獅子草。 時珍曰︰其葉比並如馬齒,而性滑利似莧,故名。俗呼大葉者為㹠耳草,小葉者為鼠齒莧,又名九頭獅子草。其性耐久難燥,故有長命之稱。 그 葉(엽)이 馬齒(마치)처럼 竝列(병렬)하고 있는데다 性(성)이 滑利(활리)하며, 莧(현)과 유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大葉(대엽)인 것을 俗稱(속칭)하며, 㹠耳草(돈이초), 小葉(소엽)인 것을 鼠齒莧(서치현)이라고 한다. 또 九頭獅子草(구두사자초)라고 한다. 그 性(성)이 長期間(장기간) 견디고, 좀체 燥(조)하지 않는..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