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청(본초강목)

2025. 5. 19. 23:07[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석청(본초강목)

 

 

 

 

 

 

^^^^^^^^^^^^^^^^^^^^^^^^^^^^^^^^^^^^^^^^^^^^^^^^^^^^^^^^^^^^^^^^^^

 

蜂蜜

 

(《本經上品

 

釋名

 

蜂糖俗名生岩石者名石蜜(《本經》)石飴同上岩蜜

 

 

時珍曰蜜以密成故謂之蜜。《本經原作石蜜蓋以生岩石者為良耳而諸家反致疑辯今直題曰蜂蜜正名也

 

()密成(밀성)된다는 뜻에서 ()이라고 한다. 本經(본경)에서는 元來(원래) 石蜜(석밀)記載(기재)되어 있다. 생각하건대 巖石(암석)에서 産出(산출)되는 것을 良品(양품)으로 친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래서 旣往(기왕)諸家(제가)疑惑的(의혹적) 解說(해설)試行(시행)하고 있는데, 本書(본서)에서는 率直(솔직)하게 蜂蜜(봉밀)()하였다. 이것이 올바른 名稱(명칭)이라고 하였다.

 

 

正誤

 

蘇恭曰上蜜出氐羌中最勝今關中白蜜甘美耐久全勝江南者陶以未見故以南土為勝耳今以水牛乳煎沙糖作者亦名石蜜此蜜既蜂作宜去石字

 

소공이 말하였다: 상등 꿀은 저강(氐羌) 지역에서 나는 것이 가장 뛰어나다. 지금 관중(關中)의 백밀(白蜜)은 달고 아름다워 오래 견디며, 강남에서 나는 것을 완전히 능가한다. 도씨(陶氏)는 보지 못했기 때문에 남쪽 땅의 것이 뛰어나다고 한 것이다. 지금 물소 젖으로 사탕을 달여 만든 것도 석밀(石蜜)이라 부른다. 이 꿀은 벌이 만든 것이니, 마땅히 석() 자를 없애야 한다.

 

宗奭曰︰《嘉祐本草石蜜有二一見蟲魚一見果部乳糖既曰石蜜則蟲部石蜜不當言石矣石字乃白字誤耳故今人尚言白沙蜜蓋新蜜稀而黃陳蜜白而沙也

 

종석이 말하였다: 가우본초(嘉祐本草)에서 석밀(石蜜)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충어부(蟲魚部)에 있고, 하나는 과부(果部)에 있다. 유당(乳糖)을 이미 석밀(石蜜)이라 했으니, 충부(蟲部)의 석밀(石蜜)은 석() 자를 말해서는 안 된다. () 자는 백() 자의 오류이니, 지금 사람들이 여전히 백사밀(白沙蜜)이라 말하는 것이다. 새 꿀은 묽고 누렇고, 오래된 꿀은 희고 알갱이가 있다.

 

藏器曰岩蜜出南方岩嶺間入藥最勝石蜜宜改為岩字蘇恭是荊襄間人地無崖險不知石蜜之勝故也

 

장기가 말하였다: 암밀(岩蜜)은 남방의 바위 산맥 사이에서 나며, 약으로 쓰기에 가장 뛰어나다. 석밀(石蜜)은 마땅히 암() 자로 고쳐야 한다. 소공(蘇恭)은 형양(荊襄) 지방 사람으로, 그곳에는 높은 절벽이 없어 석밀(石蜜)의 뛰어남을 알지 못한 것이다.

 

時珍曰︰《別錄石蜜生諸山石中色白如膏者良則是蜜取山石者為勝矣

蘇恭不考山石字因乳糖同名而欲去石字寇氏不知真蜜有白沙而偽蜜稀黃但以新久立說並誤矣凡試蜜以燒紅火箸插入提出起氣是真起煙是偽

 

시진이 말하였다: 별록(別錄)을 살펴보면, 석밀(石蜜)은 여러 산의 바위 속에서 나며, 색이 희고 기름 같은 것이 좋다고 한다. 그러면 꿀은 산의 바위에서 얻은 것이 뛰어난 것이다. 소공(蘇恭)은 산석(山石) 자를 고려하지 않고, 유당(乳糖)과 이름이 같다는 이유로 석() 자를 없애려 했다. 구씨(寇氏)는 진꿀이 흰 알갱이가 있고 위조된 꿀이 묽고 누렇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단지 새것과 오래된 것에 따라 말하였으니, 모두 잘못된 것이다. 무릇 꿀을 시험하려면 달구어진 불꽃 핀을 꽂아 빼었을 때 기운이 오르면 진짜이고, 연기가 나면 가짜이다.

 

 

 

集解

 

別錄石蜜生武都山谷河源山谷及諸山石中色白如膏者良

 

별록에서 말하였다: 석밀(石蜜)은 무도(武都) 산곡과 하원(河源) 산곡 및 여러 산의 바위 속에서 난다. 색이 희고 기름처럼 된 것이 좋다.

 

 

弘景曰石蜜即崖蜜也在高山岩石間作之色青赤味微酸食之心煩其蜂黑色似虻又木蜜懸樹枝作之色青白土蜜在土中作之色亦青白味醶人家及樹空作者亦白而濃濃味美

 

石蜜(석밀)l란 즉 崖蜜(애밀)이다. 高山(고산) 巖石(암석) 사이에서 만들어 지는 것으로 ()(), ()微酸(미산)하므로 먹으면 心煩(심번)한다. ()을 만드는 ()黑色(흑색)이며 ()과 비슷한 것이다. 木蜜(목밀)樹枝上(수지상)에 걸어 놓고 만들기 때문에 ()靑白(청백)하다. 土蜜(토밀)土中(토중)에서 만들기 때문에 ()은 역시 靑白(청백)하고 ()()하다. 人家(인가)와 것도 역시 ()은 하얗고 濃厚(농후)하며 美味(미미)하다.

 

今出晉安檀崖者多土蜜云最勝出東陽臨海諸處及江南向西者多木蜜出於潛懷安諸縣者多崖蜜亦有樹木及人家養者

 

오늘날 晉安(진안), 檀崖(단애)에서 産出(산출)되는 것에는 土蜜(토밀)이 많은데, 이것이 가장 優秀(우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東陽(동양), 臨海(임해)諸處(제처)江南(강남), 向西(향서)에서 産出(산출)되는 것에는 木蜜(목밀)이 많다...

 

諸蜜例多添雜及煎煮不可入藥必須親自看取乃無雜耳凡蜂作蜜皆須人小便以釀諸花乃得和熟狀似作飴須蘖也

 

()大部分(대부분)雜物(잡물)이 많고, 또한 煎煮(전자)한 것이 있는데 이들은 藥用(약용)不可(불가)한 것이므로 반드시 自身(자신)이 보고 ()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면 雜物(잡물)()가 없는 셈이다. 대개 ()()을 만드는 데는 모두 人尿(인뇨)를 사용하여 諸種(제종)()()하는 것이다. 그래서 곧잘 和熟(화숙)하게 되는 것인데, 그것은 ()를 만들 때 ()發酵(발효)시키는 것과 유사한 것이라고 하였다.

 

 

藏器曰尋常蜜亦有木中作者土中作者北方地燥多在土中南方地濕多在木中各隨土地所宜其蜜一也

崖蜜別是一蜂如陶所說出南方崖嶺間房懸崖上或土窟中人不可到但以長竿刺令蜜出以物承取多者至三四石味醶色綠入藥勝於凡蜜

 

장기(藏器)가 말하였다: 보통 꿀도 나무 속에서 만드는 것과 흙 속에서 만드는 것이 있다. 북방은 땅이 건조하여 대부분 흙 속에 있고, 남방은 땅이 습하여 대부분 나무 속에 있다. 각 지역의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꿀의 본질은 동일하다. 애밀(崖蜜)은 별종의 벌이 만드는데, 도홍경(陶弘景)이 말한 대로 남방의 절벽 지대에서 나며, 벌집이 절벽에 매달려 있거나 토굴 속에 있다. 사람이 접근할 수 없어 긴 막대기로 쑤셔 꿀을 흘러내리게 한 후 그릇으로 받아내는데, 많으면 3~4()까지 채취되기도 한다. 맛이 진하고 색이 푸르며, 약용으로는 일반 꿀보다 우수하다.

 

 

 

張華博物志南方諸山幽僻處出蜜蠟蜜蠟所著皆絕巖石壁非攀緣所及惟于山頂以籃輿懸下遂得采取蜂去余蠟在石有鳥如雀群來啄之殆盡名曰靈雀至春蜂歸如舊人亦占護其處謂之蜜塞此即石蜜也


장화(張華)박물지(博物志)에 기록되길: 남방 산악지대의 외진 곳에서 밀랍(蜜蠟)이 생산된다. 밀랍이 부착된 곳은 모두 가파른 바위 절벽으로, 등반으로는 도달할 수 없다. 오직 산정상에서 바구니를 매달아 내려가야 채취할 수 있다. 벌들이 떠난 후 바위에 남은 밀랍을 참새 크기의 새들이 무리 지어 와서 거의 다 쪼아 먹는데, 이 새를 영작(靈雀)이라 부른다. 봄이 되면 벌들이 예전처럼 돌아오며, 사람들도 그 장소를 지켜보고 '밀새(蜜塞)'라고 부른다. 이것이 바로 석밀(石蜜)이다.

 

 

頌曰食蜜亦有兩種一在山林木上作房一在人家作窠檻收養之蜜皆濃厚味美近世宣州有黃連蜜色黃味小苦主目熱洛間有梨花蜜白如凝脂亳州太清宮有檜花蜜色小赤柘城縣有何首烏蜜色更赤並蜂採其花作之各隨花性之溫涼也

 

(, 본초도경저자)이 말하였다: 식용 꿀에도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산림의 나무에 벌집을 짓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람들이 벌통을 만들어 기르는 것이다. 둘 다 꿀이 농후하고 맛이 뛰어나다. 근래 선주(宣州)의 황련밀(黃連蜜)은 누런 색에 약간 쓴맛이 나며, 안열(眼熱)을 다스린다. 옹주(雍州)와 낙양(洛陽) 일대의 이화밀(梨花蜜)은 응고된 기름처럼 희다. 박주(亳州) 태청궁의 회화밀(檜花蜜)은 약간 붉은색이며, 탁성현(柘城縣)의 하수오밀(何首烏蜜)은 더욱 붉다. 모두 벌들이 해당 꽃에서 채취한 것으로, 각 꽃의 성질에 따라 따뜻하거나 서늘한 특성을 지닌다.

 

宗奭曰山蜜多在石中木上有經一二年者氣味醇厚人家者一歲二取氣味不足故不及且久收易酸也

 

종석(宗奭)이 말하였다: 산꿀은 대개 바위 틈이나 나무 위에 있으며, 1~2년 묵은 것은 향미가 순수하고 농후하다. 사육 벌꿀은 1년에 두 번 채취하므로 향미가 부족해 산꿀에 미치지 못하며, 오래 보관하면 쉽게 시어지기도 한다.

時珍曰陳藏器所謂靈雀者小鳥也一名蜜母黑色正月則至岩石間尋求安處群蜂隨之也南方有之

 

시진(李時珍)이 말하였다: 진장기(陳藏器)가 언급한 영작(靈雀)은 작은 새로, 별명이 밀모(蜜母)이며 검은색이다. [이 새는] 정월이면 바위 사이에 찾아와 자리를 잡으면 벌들이 그 뒤를 따른다. 남방에 서식한다.

 

 

 

修治

 

斅曰凡煉蜜一斤只得十二兩半是數若火少火過並用不得

 

대개 煉蜜(연밀)함에 있어서는 一斤(일근)으로 十二兩半(십이량반)을 얻는 것이 定則(정칙)인 것이며, 만약 불이 적든가 또는 過大(과대)하면 모두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時珍曰凡煉沙蜜每斤入水四兩銀石器內以桑柴火慢煉掠去浮沫至滴水成珠不散乃用謂之水火煉法又法以器盛置重湯中煮一日候滴水不散取用亦佳且不傷火也

 

()煉沙(연사)함에 있어서는 () 一斤(일근)에 물 四兩(사량)()하여 (), 石器(석기)에 넣고 桑柴(상시)慢火(만화)()한다. 浮沫(부말)掠去(약거)하여 물에 떨어뜨려도 흩어지지 않고, ()가 되면 사용한다. 이것을 水火煉法(수화연법)이라고 한다. 또한 다른 方法(방법)으로는 ()에다 담아 重湯(중탕)으로 一日間(일일간) 삶아, 물에 떨어뜨려도 흩어지지 않고, ()가 될 때까지 ()한 다음 ()하여 하는 것도 좋다. 이렇게 하면 火力(화력)에 의해 失敗(실패)憂慮(우려)는 없는 것이다.

 

 

 

氣味

 

無毒。《別錄微溫

 

穎曰諸蜜氣味當以花為主夏為上秋次之春則易變而酸廣蜜極熱以南方少霜雪諸花多熱也川蜜溫西蜜則涼矣

 

모든 꿀의 기미(氣味)는 벌이 흡취(吸取)하는 꽃에 의하는 것이고, 겨울 여름의 것이 상위(上位)이고, 가을의 것이 버금간다.” "봄의 것은 미()가 변하여 산()이 되기 쉽다."

(), ()()은 매우 ()한데 그것은 南方地域(남방지역)에는 霜雪(상설)이 적어서 諸種(제종)의 꽃이 대부분 ()하기 때문이다. 川蜜(천밀)(), 西蜜(서밀)()하다.

 

劉完素曰蜜成於蜂蜂寒而蜜溫同質異性也

 

()()()하는 것이나, ()()하며, ()()하다. ()은 같으나, ()은 다르다.

 

 

時珍曰蜂蜜生涼熟溫不冷不燥得中和之氣故十二臟腑之病罔不宜之但多食亦生濕熱蟲 小兒尤當戒之

 

봉밀(蜂蜜)은 생()은 양(). ()은 온()한데 불랭(不冷), 부조(不燥), 중화(中和)의 기()를 가진 것으로 십이장부(十二臟腑)의 병에 좋지 않는 것이 없으나, 많이 먹으면 습열(濕熱), 충닉(蟲䘌)을 일으키기 때문에 특히, 소아에게는 주의가 필요하다.

 

 

王充論衡蜂蠆稟太陽火氣而生故毒在尾蜜為蜂液食多則令人毒不可不知煉過則無毒矣

 

王充(왕충)論衡(논형)에는 蜂蠆(봉채)太陽(태양)火氣(화기)를 받아 發生(발생)하기 때문에 ()이 꼬리에 있다. ()()()으로서 多食(다식)하면 人體(인체)()가 있다. ”라고 注意(주의)必要(필요)하겠으나, ()한 것이라면 ()은 없다.

 

 

宗奭曰蜜雖無毒多食亦生諸風也

 

()無毒(무독)하기는 하나 多食(다식)하면 역시 諸風(제풍)發生(발생)한다.

 

 

 

朱震亨曰蜜喜入脾西北高燥故人食之有益東南卑濕多食則害生於脾也

 

()은 즐겨 비()에 들어가는 것으로, 西北地方(서북지방)은 고조(高燥)하기 때문에 그 지방인이 먹으며 건강(健康)을 보익(補益)하나, 東南地方(동남지방)은 비습(卑濕)하기 때문에 많이 먹으면 비()에 장애(障碍)가 발생한다.

 

 

 

思邈曰七月勿食生蜜令人暴下霍亂青赤酸 者食之心煩不可與生蔥萵苣同食下利食蜜飽後不可食鲜 令人暴亡

 

 

칠월에 생밀(生蜜)을 먹어서는 안 되며 폭하(暴下), 곽란(癨亂)을 일으키며, 생총(), 와거(萵苣)와 함께 먹어서는 안 되며, 하리(下利)하게 되며, ()을 충분히 먹은 후에 자(:소금에 절인 어물, 젓등)를 먹어서는 안 된다. 돈사(頓死)하는 경우가 있다.”

 

 

 

主治

 

心腹邪氣諸驚癇痙安五臟諸不足益氣補中止痛解毒除眾病和百藥久服強志輕身不飢不老延年神仙(《本經》)。

 

心腹邪氣(심복사기), 諸驚癎痙(제경간경), 五臟(오장)安定(안정)시키고, 諸不足(제부족)益氣(익기)하며, 中補止痛(중보지통)하고, 解毒(해독)한다. 衆病(중병)除去(제거)하고, 모든 ()()한다. 久服(구복)하면 强志輕身(강지경신)하게 하고, 不飢不老(불기불노)하며, 延年神仙(연년신선)한다.

 

養脾氣除心煩飲食不下止腸肌中疼痛口瘡明耳目(《別錄》)。

 

脾氣(비기)慈養(자양)하고, 心煩(심번), 飮食不下(음식불하)除去(제거)하며, 腸澼(장벽), 肌中疼痛(기중동통), 口瘡(구창)을 멎게 하고, 耳目(이목)을 밝게 한다.

 

 

牙齒疳䘌唇口瘡目膚赤障殺蟲藏器)。

 

牙齒(아치)疳䘌(감닉), 脣口瘡(순구창), 目膚赤障(목부적장), 殺蟲(살충)한다.

 

 

治卒心痛及赤白痢水作蜜漿頓服一碗止或以薑汁同蜜各一合水和頓服常服面如花紅甄權)。

 

卒心痛(졸심통) 赤白痢(적백리)()하려면 물로 蜜漿(밀장)을 만들어 一碗(일완)顿服(돈복)하면 멎는다. 또는 薑汁(강즙)() () 一合(일합)을 물로 混化(혼화)하여 顿服(돈복)한다. 常服(상복)하면 顔色(안색)이 꽃처럼 紅色(홍색)이 된다.

 

 

治心腹血刺痛及赤白痢同生地黃汁各一匙服即下孟詵)。

 

心腹(심복)血刺痛(혈자통) 赤白痢(적백리)()할 경우에는 生地黃汁(생지황즙)() 一匙(일시)服用(복용)하면 ()한다.

 

 

同薤白搗塗湯火傷卽時痛調止. 宗奭: 肘後方: 用白蜜塗上, 竹膜點之, 日三和營衛, 潤臟腑, 通三焦, 調脾胃.時珍)。

 

薤白(해백)과 함께 찧어 燙火傷(탕화상)塗布(도포)하면 즉시 止痛(지통)한다. 宗奭曰(종석왈) 肘後方(주후방)에서 一日(일일), 三回(삼회) 白蜜(백밀)을 위에 바르고 竹膜(죽막)에 붙인다. “(), ()()하고 臟腑(장부)()하며, 三焦(삼초)()하고, 脾胃(비위)調節(조절)한다.

 

 

 

發明

 

 

弘景曰石蜜道家丸餌莫不須之仙方亦單煉服食云致長生不老也

 

石蜜(석밀)道家(도가)에서는 ()을 만들어 服餌(복이)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지만, 仙方(선방)에서도 역시 單服(단복)하면 長生不老(장생불노)하게 된다. 라고 하였다.

 

時珍曰蜂采無毒之花釀以小便而成蜜所謂臭腐生神奇也其入藥之功有五清熱也補中也解毒也潤燥也止痛也生則性涼故能清熱熟則性溫故能補中甘而和平故能解毒柔而濡澤故能潤燥緩可以去急故能止心腹肌肉瘡瘍之痛和可以致中故能調和百藥而與甘草同功張仲景治陽明結燥大便不通蜜煎導法誠千古神方也

 

()은 무독한 꽃에서 채취하여 대변(大便)을 빚어 꿀을 만든다. 소위 취부신기(臭腐神奇)를 생()한다.” 약용(藥用)의 공력(功力)에는 청열(淸熱), 보중(補中), 해독(解毒), 윤조(潤燥), 지통(止痛)의 오종이 있으며, 생것은 성()이 양()하기 때문에 곧잘 청열(淸熱)하고, ()하면 성()이 온()하기 때문에 곧잘 보중(補中)하며, ()하면서 화평(和平)하기 때문에 곧잘 해독(解毒)하고, ()하면서 윤택(潤澤)하기 때문에 곧잘 윤조(潤燥)하며, ()은 급()을 제거하기 때문에 곧잘 심복(心腹), 기육(肌肉), 창양(瘡瘍)의 통증을 멎게 하는 것이고, 조화(調和)의 작용은 중정(中正)의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온갖 약을 (調和)하는데 감초와 같다.

 

 

詵曰但凡覺有熱四肢不和即服蜜漿一碗甚良又點目中熱膜以家養白蜜為上木蜜次之崖蜜更次之也與薑汁熬煉治癩甚效

 

단지 일반적인 ()이 있다는 것을 느끼고, 四肢(사지)不和(불화)한 경우에는 蜜漿(밀장) 一碗(일완)服用(복용)하는 것이 매우 좋다. 또한 目中(목중)熱膜(열막)()하려면 人家(인가)에서 飼養(사양)白蜜(백밀)第一(제일)이고, 木蜜(목밀)은 그 다음, 崖蜜(애밀)은 다시 그에 버금가는 것이다. 薑汁(강즙)과 함께 熬煉(오련)한 것은 ()()하는데 매우 ()가 있다.

 

附方

 

舊十四新六大便不通張仲景傷寒論陽明病自汗小便反利大便硬者津液內竭也蜜煎導之用蜜二合銅器中微火煎之候凝如飴狀至可丸乘熱捻作挺令頭銳大如指長寸半許候冷即硬納便道中少頃即通也
一法加皂角細辛為末少許尤速

 

구본(舊本) 14가지, 신본(新本) 6가지 대변불통(大便不通)

 

장중경(張仲景)상한론(傷寒論)에 기록되길: 양명병(陽明病)으로 자한(自汗)이 나고 소변이 오히려 잘 통하나 대변이 굳은 경우, 이는 진액(津液)이 내부에서 고갈되었기 때문이다. 꿀로 도입(導引)한다. 2()을 구리 그릇에 넣고 약한 불로 달여, 엿처럼 걸쭉해져 환약(丸藥)을 만들 수 있을 정도가 되면, 뜨거울 때 주물러 뾰족한 끝이 나오도록 하여 손가락 크기(長寸半)의 막대기를 만든다. 식혀 굳으면 항문에 삽입하면 잠시 후 통한다.

 

다른 방법: 조각(皂角)과 세신(細辛) 가루를 약간 추가하면 더욱 빠르다.

 

噫不下食取崖蜜含微微嚥下。(《廣利方》)

 

 

產後口渴用煉過蜜不計多少熟水調服即止。(《產書》)

難產橫生蜂蜜真麻油各半碗煎減半服立下。(《海上方》)

天行虜瘡比歲有病天行斑瘡頭面及身須臾周匝狀如火瘡皆戴白漿隨決隨生

不即療數日必死瘥後瘡瘢黯色一歲方滅此惡毒之氣世人云建武中南陽擊虜所得仍呼為虜瘡諸醫參詳療之取好蜜通摩瘡上以蜜煎升麻數數拭之。(《肘後》)痘疹作癢難忍抓成瘡及疱欲落不落百花膏用上等石蜜不拘多少湯和時時以翎刷之其瘡易落自無瘢痕。(《全幼心鑑》)

癮疹瘙癢白蜜不以多少好酒調下有效。(《聖惠方》)

五色丹毒蜜和乾薑末敷之。(《肘後》)

口中生瘡蜜浸大青葉含之。(《藥性論》)

陰頭生瘡以蜜煎甘草塗之瘥。(《外臺》)

肛門生瘡肛門主肺肺熱即肛塞腫縮生瘡白蜜一升豬膽汁一枚相和微火煎令可丸丸三寸長作挺塗油納下部臥令後重須臾通泄。(《梅師》)

熱油燒痛以白蜜塗之。(《梅師》)

疔腫惡毒用生蜜與隔年蔥研膏先刺破塗之如人行五里許則疔出後以熱醋湯洗去。(《濟急仙方》)

大風癩瘡取白蜜一斤生薑二斤搗取汁)。先秤銅鐺斤兩下薑汁於蜜中消之又秤之令知斤兩即下蜜於鐺中微火煎令薑汁盡秤蜜斤兩在即藥已成矣患三十年癩者平旦服棗許大一丸一日三服溫酒下忌生冷臭物功用甚多不能一一具之。(《食療方》)

面上䵟點取白蜜和茯苓末塗之七日便瘥也
(《孫真人食忌》)

目生珠管以生蜜塗目仰臥半日乃可洗之日一次。(《肘後方》)

誤吞銅錢煉蜜服二升可出矣。(葛氏方

諸魚骨鯁以好蜜稍稍服之令下。(葛氏

拔白生黑治年少發白拔去白髮以白蜜塗毛孔中即生黑髮不生取梧桐子搗汁塗上必生黑者。(《梅師方》)

 

 

트림이 나고 음식을 삼키지 못할 때:

암벽 꿀을 입에 머금고, 조금씩 삼킨다. (광리방)

산후 구갈(口渴):

정제한 꿀을 사용하여, 양을 따지지 않고, 익힌 물에 타서 복용하면 즉시 멈춘다. (산서)

난산 횡생(横生):

꿀과 참기름을 각각 반 사발씩 사용하여, 절반으로 졸여서 복용하면 즉시 출산한다. (해상방)

천행 노창(虜瘡):

해마다 천행 반창(斑瘡)의 병이 있어, 머리와 얼굴 및 몸에 순식간에 퍼지며, 모양이 화창(火瘡)과 같고, 모두 흰 고름을 머금고 있으며, 터지면 곧 다시 생긴다.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며칠 내에 반드시 죽는다. 병이 나은 후에도 흉터가 어두운 색으로 남아, 1년이 지나야 사라진다. 이는 악독한 기운이다. 세상 사람들은 건무(建武) 중에 남양에서 노적(虜賊)을 공격하여 얻은 것이라 하여, 이를 '노창'이라 부른다.

여러 의사들이 치료를 상의하여, 좋은 꿀을 취하여 상처에 바르고, 꿀로 승마(升麻)를 달여서 자주 닦는다. (주후)

두진(痘疹)이 가려울 때:

참기 어렵고, 긁어서 상처나 물집이 생기며, 떨어지지 않고 남아 있다.

백화고(百花膏): 상등 석밀(石蜜)을 사용하여, 양을 따지지 않고, 뜨거운 물에 타서, 수시로 깃털로 바른다. 그 상처가 쉽게 떨어지고, 흉터가 남지 않는다. (전유심감)

은진(癮疹)으로 가려울 때:

백밀(白蜜)을 양을 따지지 않고, 좋은 술에 타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성혜방)

오색 단독(丹毒):

꿀에 건강(乾薑) 가루를 섞어 바른다. (주후)

입안에 생긴 상처:

꿀에 대청엽(大青葉)을 담가서 머금는다. (약성론)

음경에 생긴 상처:

꿀로 감초를 달여서 바르면 낫는다. (외대)

항문에 생긴 상처:

항문은 폐를 주관하니, 폐열이 있으면 항문이 막히고 부어오르며 상처가 생긴다.

백밀(白蜜) 한 되와 돼지 쓸개즙 한 개를 섞어, 약한 불로 달여서 알약처럼 만들고, 길이 3촌 정도로 만든다. 기름을 발라 항문에 삽입하고, 누워서 기다리면 곧 배변이 통한다. (매사)

뜨거운 기름에 데었을 때:

백밀(白蜜)을 발라준다. (매사)

정종(疔腫)과 악독한 종기:

생꿀과 오래된 파를 함께 갈아서 고약을 만들어, 먼저 찔러서 터뜨린 후 바른다. 사람이 약 5리 정도 걸을 시간이 지나면 종기가 빠져나오고, 이후 뜨거운 식초물로 씻어낸다. (제급선방)

대풍 나병(癩瘡):

백밀(白蜜) 1근과 생강 2(즙을 짜서 사용)을 준비한다.

먼저 구리 솥의 무게를 재고, 생강즙을 꿀에 넣어 녹인 후, 다시 무게를 재어 확인한다. 그 후 꿀을 솥에 넣고, 약한 불로 생강즙이 완전히 졸아들 때까지 달인다. 무게가 처음과 같으면 약이 완성된 것이다.

30년 된 나병 환자도, 새벽에 대추 크기만큼 한 알을 복용하고, 하루에 세 번, 따뜻한 술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생냉한 음식, 식초, 미끄러운 음식, 상한 음식은 금한다. 효능이 매우 많아 일일이 다 말할 수 없다. (식료방)

얼굴에 검은 점이 생겼을 때:

백밀(白蜜)과 복령 가루를 섞어 바르면, 7일 만에 낫는다. (손진인 식기)

눈에 주관(珠管)이 생겼을 때:

생꿀을 눈에 발라, 누워서 반나절 동안 있다가 씻어낸다. 하루에 한 번 시행한다. (주후방)

동전을 잘못 삼켰을 때:

정제한 꿀을 두 되 복용하면 배출된다. (갈씨방)

생선 가시가 걸렸을 때:

좋은 꿀을 조금씩 복용하면 내려간다. (갈씨)

백발을 검게 하려면:

백발을 뽑고, 백밀(白蜜)을 모공에 바르면 검은 머리카락이 난다. 나지 않으면 오동나무 씨를 찧어 즙을 내어 바르면 반드시 검은 머리카락이 난다. (매사방)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호(본초강목)  (0) 2025.02.22
형개(본초강목)  (0) 2024.11.17
능금(본초강목)  (0) 2024.11.17
통초(通草)[본초강목]  (1) 2024.11.14
야국화(본초강목)  (0) 2024.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