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1. 14. 21:21ㆍ[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통탈목
통초(通草)[본초강목]
통탈목/ 통초(通草)
통탈목
이명:[등칡] [통초]
학명: Tetrapanax papyriferus (Hook.) K.Koch
분류군: Araliaceae(두릅나무과)
일어: ツウタツボク
영문: Rice-paper Plant, Chinese Rice-paper Plant
잎
잎은 가지 끝이나 원줄기 끝에서 총생하고 엽병은 길이 50cm 정도로서 속이 비어 있으며 엽신은 원형이고 지름 25-70cm로서 5-7개로 중앙까지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2개로 갈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엽병과 더불어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꽃
산형화서는 모여서 큰 언추화서로 되고 지름 45cm정도로서 갈색 면모로 덮여 있으며 꽃은 10월에 피고 꽃잎과 수술은 각 4개이다.
줄기
높이가 3m에 달하며 지름의 60% 정도가 골속으로 차 있다.
원산지
대만, 류큐 및 중국 남부 원산.
분포
제주도에서는 밖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형태
상록수.
크기
높이가 3m에 달한다.
학명 Tetrapanax papyriferus (Hook.) K.Koch
Wochenschr. Gartnerei Pfanzenk. 2: 371 (1859)
1. Aralia mairei Lev.
Feddes, Repert. Spec. Nov. Regni Veg. 13: 342 (1914)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Aralia papyrifera Hook.
Bot. Kew Gard. Misc. 4: 53 t. 1 & 2 (1852)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3. Fatsia papyrifera (Hook.) Benth. & Hook.f. ex Forbes & Hemsl.
J. Linn. Soc., Bot. 23 : 341 (1888)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국명 통탈목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등칡
2. 통초
영문명 : Rice-paper Plant, Chinese Rice-paper Plant
일본명 : ツウタツボク
북한명 : 넓은잎삼나무
Tetrapanax papyrifer K.Koch
C. Koch & Fint. Wochenschr. ii. (1859) 371.
ii. (1859) 371 0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通脫木(통탈목)
etrapanax papyrifer (Hook.) K. Koch
异名(이명)
Aralia mairei H. Lév.
Aralia papyrifera Hook.
Echinopanax papyriferus (Hook.) Kuntze
Didymopanax papyriferus (Hook.) K. Koch
Fatsia papyrifera Benth. et Hook. f. ex F. B. Forbes et Hemsl.
Panax papyrifer (Hook.) F.Muell.
Tetrapanax papyriferus (Hook.) K. Koch, 1859
Didymopanax papyrifer (Hook.) K. Koch
^^^^^^^^^^^^^^^^^^^^^^^^^^^^^^^^^^^^^^^^^^^^^^^^^^^^^^^^^^^^^^^^
通脫木
(《法象》)
【釋名】
通草(《綱目》)、活莌 、離南。
頌曰︰《爾雅》︰離南、活莌,即通脫也。《山海經》名寇脫。又名倚商。
爾雅(이아)에 “離南(이남)이 活莌(활탈)이다.” 라고 한 것은 즉, 通脫(통탈)이다. 山海經(산해경)에는 “ 寇脫(구탈), 또 倚商(의상)이라 한다.” 라고 하였다.
杲曰︰陰竅澀而不利,水腫閉而不行,用之立通,因有通草之名。與木通同功。
陰竅(음규)가 껄끄러워서 利(이)하지 못하는 것과 水腫(수종)으로 閉(폐)해서 行(행)하지 못하는 것은 이것을 쓰게 되면 바로 通(통)한다. 이 功力(공력)으로 인하여 通草(통초)라는 名稱(명칭)이 있게 된 것이다. 木通(목통)과 同功(동공)이다.
嘉謨曰︰白瓤中藏,脫木得之,故名通脫。
白瓤(백양)이 속에 수장된 것을 木(목)에서 脫(탈)하여 그것을 採(채)한 데서 通脫(통탈)이라 命名(명명)된 것이다.
【集解】
藏器曰︰通脫木生山側。葉似蓖麻。其莖空心,中有白瓤,輕白可愛,女人取以飾物,俗名通草。
頌曰︰郭璞言︰生江南,高丈許,大葉似荷而肥,莖中瓤正白。今園圃亦有種蒔者,或作蜜煎充果,食之甘美。
時珍曰︰蔓生山中。莖大者圍數寸。
【氣味】
甘、淡,寒,無毒。
杲曰︰甘,平。降也。陽中陰也。
【主治】
利陰竅,治五淋,除水腫癃閉,瀉肺(李杲)。
陰竅(음규)를 通利(통리)하고 五淋(오림)을 治(치)하며 水腫(수종), 癃閉(융폐)를 除去(제거)하고 肺(폐)를 瀉(사)한다.
解諸毒蟲痛(蘇頌)。
諸毒蟲(제독충)의 傷痛(상통)을 解(해)한다.
明目退熱,下乳催生(汪機)。
明目(명목), 退熱(퇴열)하고, 乳(유)가 나게 하고 分娩(분만)을 催(최)한다.
【發明】
杲曰︰通草瀉肺利小便,甘平以緩陰血也。與燈草同功。宜生用之。
通草(통초)가 肺(폐)를 瀉(사)하고 小便(소변)을 利(이)하는 데는 甘(감), 平(평)으로 陰血(음혈)을 緩和(완화)하기 때문이다. 燈草(등초)와 功力(공력)이 同日(동일)하다. 生用(생용)하는 것이 좋다.
時珍曰︰通草色白而氣寒,味淡而體輕,故入太陰肺經,引熱下降而利小便;入陽明胃經,通氣上達而下乳汁。其氣寒,降也;其味淡,升也。
通草(통초)는 色(색)이 희고 氣(기)가 寒(한), 味(미)는 淡(담)으로 그 物體(물체)가 가볍다.
따라서 太陰(태음), 肺經(폐경)에 入(입)하고 熱(열)을 引(인)하여 下降(하강)시키고 小便(소변)을 利(이)하게 한다. 陽明(양명), 胃(위)가 經(경)에 入(입)하여 氣(기)를 通(통)하고 上達(상달)시켜 乳汁(유즙)을 下(하)한다. 그 氣(기)가 寒(한)한 데는 降(강)하고 味(미)가 淡(담)한데는 升(승)하다.
【附方】新一。
洗頭風痛︰新通草瓦上燒存性,研末二錢,熱酒下。牙關緊者,斡口灌之。(王 《百一
花上粉
【主治】
諸蟲 惡瘡痔疾,納之(藏器)。
諸蟲(제충), 惡瘡(악창), 痔疾(치질)에 이것을 納入(납입)한다.
療瘰癧及胸中伏氣攻胃咽(蘇頌)
癩癧(나력) 및 胸中(흉중)의 伏氣(복기)가 胃因(위인)을 攻(공)하는 것을 療(요)한다.
【附錄】
天壽根(《圖經》)
頌曰︰出台州,每歲土貢。其性涼,治胸膈煩熱,土人常用有效。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