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초(본초강목)

2024. 10. 15. 21:18[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지금초(본초강목)

 

 

 

 

 

 

 

큰땅빈대/지금초(地錦草)

 

큰땅빈대

 

 

이명: 애기땅빈대

학명: Euphorbia maculata L.

분류군: 대극과

일어: オオニシキソウ

영문: Eyebane

 

 

 

잎은 대생하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3cm, 6~12mm로서 끝이 둔하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털이 없고 지름 1.7mm정도로서 3개의 능선이 있으며 평활하고 종자는 사각상 난형이며 길이 1-1.2mm로서 흑갈색이고 옆으로 달린 2-3개의 주름살이 있다.

 

꽃은 일가화로 8-9월에 소형으로 피며 가지 끝에 몇 개의 배상화서가 달리고 1개의 수술로 구성된 수꽃과 1개의 암술로 구성된 암꽃이 술잔 같은 총포속에 들어 있으며 선체는 옆으로 퍼진 타원형이다.

 

줄기

높이 20-60cm이고 원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원산지

북아메리카 원산.

 

분포

유럽과 아시아에 귀하.

국내에서는 중부와 남부 지방 하천변 고수부지에 분포.

 

형태

1년초.

 

크기

높이 20~60cm.

 

 

 

 

학명 Euphorbia maculata L.

 

 

1. Anisophyllum maculatum (L.) Haw.

Syn. Pl. Succ.: 162 (1812)

1) World Cat. Species Names Published Tribe Euphorbieae (Euphorbiaceae) with their Geogr. Distrib. (Oudejans, Utrecht, NL: 1990)

 

2. Chamaesyce maculata (L.) Small

Fl. SE. U.S.: 713 (1903)

1)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Chamaesyce S.F.Gray (Euphorbiaceae) in Taiwan (Lin, & al., 1991)

 

3. Euphorbia maculata Jacq. ex Pers.

Syn. Pl. (Persoon) 2(1): 13 (Persoon., 1806)

1) World Cat. Species Names Published Tribe Euphorbieae (Euphorbiaceae) with their Geogr. Distrib. (Oudejans, Utrecht, NL: 1990)

 

4. Tithymalus maculates (L.) Beckh.

Fl. Westf.: 787 (Hasse, 1893)

1) World Cat. Species Names Published Tribe Euphorbieae (Euphorbiaceae) with their Geogr. Distrib. (Oudejans, Utrecht, NL: 1990)

 

국명 큰땅빈대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애기땅빈대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Eyebane

일본명

オオニシキソウ

 

 

Euphorbia maculata L.

Sp. Pl. 1: 455. 1753 [1 May 1753]

1: 455 1753

Original Data:

Notes: Am. bo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반지금(斑地锦)

 

Euphorbia maculata L.

 

 

이명(异名)

 

Euphorbia supina Raf.

Chamaesyce maculata (L.) Small

Tithymalus maculatus (L.) Moench

Anisophyllum maculatum (L.) Haw.

Xamesike depressa (Torr. ex Spreng.) Raf.

Xamesike littoralis Raf.

Xamesike maculata (L.) Raf.

Xamesike supina (Raf.) Raf.

Chamaesyce jovetii (Huguet) Holub

Chamaesyce pseudonutans Thell.

Chamaesyce tracyi Small

Euphorbia jovetii Huguet

Euphorbia maculata var. detonsa Engelm. ex Boiss.

Euphorbia maculata var. parvula Riddell

 

 

&&&&&&&&&&&&&&&&&&&&&&&&&&&&&&&&&&&&&&

 

애기땅빈대/지금초(地錦草)

 

 

애기땅빈대

 

이명 : [좀땅빈대] [애기점박이풀]

학명 : Euphorbia supina Raf.

분류군 : Euphorbiaceae(대극과)

일명 : コニシキソウ

영명 : Milk Purslane

 

잎은 대생하고 장 타원형으로 길이 5~10mm, 너비 2~4mm이며 양끝이 둥글고 상반부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중앙부에 붉은빛이 도는 갈색의 반점이 있다.

 

열매

과실은 삭과로 3개의 둔한 능선이 있고 겉에 털이 있으며 화서 밖으로 길게 나와 옆으로 처진다.

 

꽃은 6~7월에 홍색으로 피고 잎짬에 배상화서로 달린다. 술잔처럼 생긴 총포 속에 1개의 수술로 된 수꽃과 1개의 암술로 된 암꽃이 들어 있고 겉에 짧은 털이 있다.

 

줄기

줄기는 사상으로 지면을 따라 4방으로 퍼지며 잎과 더불어 털이 약간 있으며 왕왕 암홍색이다.

 

원산지

북미

 

형태

섬세한 일년초, 귀화식물이다.

 

 

 

생육 환경

들이나 밭

 

 

 

 

학명 Euphorbia supina Raf.

Amer. mon. Mag. 2: 119

 

 

1. Chamaesyce maculata Small

Fl. SE. U. S. 713 (1903)

1) An Enumeration of Korean Plants. (M.K.Park, 1949)

 

2. Chamaesyce supina (Raf.) Moldenke

Annot. Classif. List Moldenke Collect. 135 (1939)

1) Euphorbia subgenus Chamaesyce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southern Florida (Wheeler, 1941)

 

3. Xamesike supine (Raf.) Raf.

Aut. Bot. 87 (1840)

1) Euphorbia subgenus Chamaesyce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southern Florida (Wheeler, 1941)

 

국명 애기땅빈대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애기점박이풀

2. 좀땅빈대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애기땅빈대

외국명 영문명

Milk Purslane

일본명

コニシキソウ

 

 

 

Euphorbia supina Raf.

Amer. Monthly Mag. & Crit. Rev. 2(2): 119. 1817 [Dec 1817]

2(2): 119 1817

Distribution:

New York.

 

Original Data:

Distribution: New York.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紫叶地锦 Euphorbia supina Raf. 异名

 

正名Euphorbia maculata L. 斑地锦

 

 

 

반지금(斑地锦)

Euphorbia maculata L.

 

 

이명(异名)

 

Euphorbia supina Raf.

Chamaesyce maculata (L.) Small

Tithymalus maculatus (L.) Moench

Anisophyllum maculatum (L.) Haw.

Xamesike depressa (Torr. ex Spreng.) Raf.

Xamesike littoralis Raf.

Xamesike maculata (L.) Raf.

Xamesike supina (Raf.) Raf.

Chamaesyce jovetii (Huguet) Holub

Chamaesyce pseudonutans Thell.

Chamaesyce tracyi Small

Euphorbia jovetii Huguet

Euphorbia maculata var. detonsa Engelm. ex Boiss.

Euphorbia maculata var. parvula Riddell

 

 

 

&&&&&&&&&&&&&&&&&&&&&&&&&&&

 

 

땅빈대/지금초(地錦草)

 

 

 

땅빈대

 

이명 : [점박이풀]

학명 : Euphorbia humifusa Willd. ex Schltdl.

분류군 :Euphorbiaceae(대극과)

일명 : ニシキソウ(Nishiki-so)

영명 : Humifuse Euphorbia

생약명 : 地錦草(지금초)

 

잎은 대생하며 수평으로 퍼져서 2줄로 배열되고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둥글지만 밑부분의 한쪽이 좁고 길이 7-15mm, 3-7mm로 표면은 청록색이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양면에 털이 있다가 없다지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탁엽은 선형이고 8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

삭과는 편평한 난형이고 길이 0.7mm로서 가는 털이 있거나 없으며 3개의 능선이 있고 3조각으로 갈라진다.

 

꽃은 8-9월에 피며 배상화서는 가지 끝과 엽액에 달리고 1개의 꽃처럼 보이는 연한 적자색이며 종형의 소총포 가장자리에 있는 선체는 옆으로 퍼진 타원형이고 부속체가 달려 있다. 배상화서는 배상총포와 그 속에서 나는 1개의 암꽃과 몇개의 수꽃들이 핀다. 배상총포는 홍자색을 띤 종모양이고 웃머리에 3각상의 4개의 열편이 있으며 장타원형인 4개 선체가 있다. 배상총포안에는 1개의 암꽃과 1개의 수술로 된 몇개의 수꽃이 있으며 수꽃사이에 선형의 포가 있다.

 

줄기

줄기는 가늘어서 눕고 길이 10-30cm이며 가지는 보통 2개로 갈라지고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으며 흰즙액이 나온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형태

1년생 초본.

 

 

 

 

생육 환경

길가나 집주변의 빈터, 밭에 흔히 난다.

/번식방법

실생으로 번식한다.

 

이용방안

 

땅빈대/애기땅빈대/큰땅빈대의 全草(전초)地錦草(지금초)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전초에는 flavonoid(quercetin ), 沒食子酸(몰식자산), myoinositoltriterpenoids로서 isomotiol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tannin 12.89%가 함유되어 있다.

 

약효 : 淸熱解毒(청열해독), 活血止血(활혈지혈), 利濕(이습), 通乳(통유)의 효능이 있다.

菌性下痢(세균성하리), 腸炎(장염), 咳嗽時出血(해수시출혈), 血便(혈변), 崩漏(붕루), 外傷出

(외상출혈), 濕熱(습열)에 의한 황달, 乳汁不通(유즙불통), 옹종정창, 타박상에 의한 腫痛

(종통)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6g(生用時(생용시)15-30g)을 달여서 마시거나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

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粉末(분말)로 하여 살포한다.

 

유사종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등대풀(E. helioscopia):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도란형,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록색이다.

특징

자르면 흰 즙액이 나온다.

 

 

 

학명 Euphorbia humifusa Willd. ex Schltdl.

Enum. Pl. Hort. Berol., Suppl.: 27

 

 

1. Anisophyllum humifusum (Willd.) Klotzsch & Garcke ex Schltdl.

Abh. Konigl. Akad. Wiss. Berlin 1859: 21 (1860)

1) World Cat. Species Names Published Tribe Euphorbieae (Euphorbiaceae) with their Geogr. Distrib. (Oudejans, Utrecht, NL: 1990)

 

2. Chamaesyce humifusa (Willd.) Prokh. ex Schltdl.

Consp. Syst. Tithym. As. Med.: 16-19 (1933)

1) World Cat. Species Names Published Tribe Euphorbieae (Euphorbiaceae) with their Geogr. Distrib. (Oudejans, Utrecht, NL: 1990)

 

3. Tithymalus humifusus (Willd.) Bubani ex Schltdl.

Fl. Pyren. 1: 116 (1897)

1) World Cat. Species Names Published Tribe Euphorbieae (Euphorbiaceae) with their Geogr. Distrib. (Oudejans, Utrecht, NL: 1990)

 

국명 땅빈대

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점박이풀

북한명 땅빈대

외국명 영문명

Humifuse Euphorbia

일본명

ニシキソウ

 

 

 

Euphorbia humifusa Willd.

Enum. Pl. Suppl. [Willdenow] 27. 1814 [Jul-Dec 1814]

27 1814

Original Data:

Notes: Sibir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지금초(地錦草)

 

Euphorbia humifusa Willd. ex Schlecht.

 

이명(异名)

 

Euphorbia tashiroi Hayata

Euphorbia pseudochamaesyce Fisch. et C. A. Mey.

Chamaesyce tashiroi H. Hara

Tithymalus humifusus (Willd.) Bubani

Anisophyllum humifusum (Willd.) Klotzsch & Garcke

Chamaesyce humifusa (Willd.) Prokh.

Euphorbia confusa Blume ex Boiss.

Euphorbia goeringii Steud. ex Boiss.

Euphorbia polygonisperma Gren. & Godr.

Chamaesyce humifusa var. glabra (Thell.) H.Hara

Chamaesyce humifusa f. glabra (Thell.) Hurus.

Chamaesyce humifusa var. pilosa (Thell.) H.Hara

Chamaesyce humifusa f. pilosa (Thell.) Hurus.

Chamaesyce humifusa var. pseudochamaesyce (Fisch. & C.A.Mey.) Hurus.

Euphorbia humifusa var. glabra Thell.

Euphorbia humifusa f. pilosa (Thell.) S.Z.Liou

Euphorbia humifusa var. pilosa Thell.

Euphorbia humifusa var. pseudochamaesyce (Fisch. & C.A.Mey.) Murata

Euphorbia pseudochamaesyce f. pilosa (Thell.) Kitag.

 

 

一年生草本全株灰绿色茎细平卧10-30厘米由基部多次叉状分枝常带红色托叶甚小叶对生长圆形或倒卵状长圆形基部不对称先端钝圆边缘有细锯齿背面疏被柔毛或无毛杯状聚伞花序单生于小枝叶腋内总苞倒圆锥形浅红色具裂齿腺体4扁长圆形雄花极小5-8雌花1子房无毛3纵槽花柱32蒴果三棱状球形光滑果瓣背部呈钝的龙骨状并分裂种子卵形褐色花期6-9果期7-10

 

 

^^^^^^^^^^^^^^^^^^^^^^^^^^^^^^^^^^^^^^^^^^^^^^^^^^^^^^^^^^^^^^^^^

地錦

 

嘉祐 》)

 

校正

 

並入有名未用別錄地朕

 

釋名

 

地朕(《吳普》)、地噤(《拾遺》)、夜光(《吳普》)、承夜(《吳普》)、草血竭(《綱目》)、血見愁(《綱目》)、血風草(《綱目》)、馬蟻草(《綱目》)、雀兒臥單(《綱目》)、醬瓣草(《玉冊》)、猢猻頭草

 

別錄地朕三月採之

藏器曰地朕一名地錦一名地噤蔓延著地葉光淨露下有光

 

時珍曰赤莖布地故曰地錦

 

()이 붉고 땅에 기면서 자라는 데서 地錦(지금)이라고 한다.

 

專治血病故俗稱為血竭血見愁馬蟻雀兒喜聚之故有馬蟻雀單之名醬瓣猢猻頭象花葉形也

 

 

集解

 

禹錫曰地錦草生近道田野出滁州者尤良莖葉細弱蔓延於地莖赤葉青紫色夏中茂盛六月開紅花結細實取苗子用之絡石注有地錦是藤蔓之類與此同名異物

 

時珍曰田野寺院及階砌間皆有之小草也就地而生赤莖黃花黑實狀如蒺藜之朵斷莖有汁方士秋月採煮雌雄丹砂硫黃

 

氣味

 

無毒

 

別錄地朕無毒

 

 

主治

 

地朕主心氣女子陰疝血結(《別錄》)。

 

地朕(지짐)心氣(심기), 婦人(부인)陰疝(음산), 血結(혈결)主效(주효)가 있다.

 

 

地錦通流血脈亦可治氣(《嘉祐》)。

 

地錦(지금)血脈(혈맥)通流(통류)한다. 또한 ()()하는 데도 쓸 수 있다.

 

 

主癰腫惡瘡金刃撲損出血血痢下血崩中能散血 止血痢 小便時珍)。

 

 

癰腫(옹종), 惡瘡(악창), 金刃(금인), 撲損(박손)出血(출혈), 血痢(혈리), 下血(하혈), 崩中(붕중)主效(주효)가 있고, ()散血(산혈)하며, 血痢(혈리), 小便(소변)()한다.

 

 

附方舊一新十一

 

臟毒赤白地錦草洗曝乾為末米飲服一錢立止。(《經驗方》)。

 

血痢不止地錦草晒研每服二錢空心米飲下。(《乾坤生意》)。

 

大腸瀉血血見愁少許薑汁和搗米飲服之。(戴原禮証治要訣》)。

 

婦人血崩草血竭嫩者蒸熟以油薑淹食之飲酒一二杯送下或陰乾為末薑酒調服一二錢一服即止生於磚縫井砌間少在地上也。(危亦林得效方》)。

 

小便血淋血風草井水擂服三度即愈。(劉長春經驗方》)。

 

金瘡出血不止血見愁草研爛塗之。(危氏得效方》)。

 

惡瘡見血方同上

 

瘡瘍刺骨草血竭搗罨之自出。(《本草權度》)。

 

癰腫背瘡血見愁一兩酸漿草半兩),當歸二錢半),乳香沒藥各一錢二分半為末每服七錢熱酒調下如有生者擂酒熱服以渣敷之亦效血見愁惟雄瘡用之雌瘡不用。(楊清叟外科方》)。

 

風瘡疥癬血見愁草同滿江紅草搗末敷之。(《乾坤秘韞》)。

 

趾間雞眼割破出血以血見愁草搗敷之妙。(《乾坤秘韞》)。

 

脾勞黃疸如聖丸用草血竭羊膻草桔梗蒼朮各一兩甘草五錢為末先以陳醋二碗入鍋下皂礬四兩煎熬良久下藥末再入白面不拘多少和成一塊丸如小豆大每服三五十丸空腹醋湯下一日二服數日面色複舊也。(《乾坤秘韞》)

 

附錄金瘡小草(《拾遺》)

 

藏器曰味甘無毒主金瘡止血長肌斷鼻中衄血取葉 敷亦煮汁服斷血瘀及卒下血又預和鍛石杵為丸日乾臨時刮敷之生江南村落田野間下濕地高一二寸許如薺而葉短春夏間有淺紫花長一粳米許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상자(본초강목)  (0) 2024.10.18
희렴초(본초강목)  (1) 2024.10.15
천궁(본초강목)  (3) 2024.10.12
약밤(본초강목)  (0) 2024.10.12
아불식초(본초강목)  (1) 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