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궁(본초강목)

2024. 10. 12. 23:23[본초강목]/초, 목본, 짐승등...

천궁(본초강목)

 

 

 

 

 

 

 

 

^^^^^^^^^^^^^^^^^^^^^^^^^^^^^^^^^^^^^^^^^^^^^^^^^^^^^^^^^^^^^^^^^^^^^^^^^^^

 

 

 

 

芎藭

 

本經上品

 

釋名

 

胡藭(《別錄》)、川芎(《綱目》)、香果(《別錄》)、山鞠窮(《綱目》)。

 

時珍曰芎本作营名義未詳或云人頭穹窿窮高天之象也此藥上行專治頭腦 諸疾故有芎藭之名

 

芎字(궁자)는 원래 ()이라 記載(기재)하였다. 名稱(명칭)意義(의의)詳細(상세)하지 않다. 혹은 사람의 머리는 穹窿(궁륭), 窮高(궁고)()()이므로 이 ()上行(상행)하여 오로지 頭腦(두뇌)諸疾(제질)治療(치료)하기 때문에 芎藭(궁궁)이라는 名稱(명칭)이 되었다고 한다.

 

 

以胡戎者為佳故曰胡芎古人因其根節狀如馬銜謂之馬銜芎窮後世因其狀如雀腦謂之雀腦芎其出關中者呼為京芎亦曰西芎出蜀中者為川芎出天台者為台芎出江南者為撫芎皆因地而名也。《左傳》︰楚人謂蕭人曰有麥曲乎有山鞠窮乎河魚腹疾柰何二物皆御濕故以諭之丹溪朱氏治六郁越鞠丸中用越桃鞠 窮故以命名。《金光明經謂之 莫迦

 

 

集解

 

別錄芎 葉名蘼蕪生武功川谷斜谷西嶺三月四月采根曝乾

 

普曰或生胡無桃山陰或泰山葉細香青黑紋赤如 本冬夏叢生五月花赤七月實黑附端兩葉三月採根有節如馬銜

 

弘景曰武功斜谷西嶺俱近長安今出歷陽處處亦有人家多種之葉似蛇床而香節大莖細狀如馬銜謂之馬銜芎 蜀中亦有而細

 

恭曰今出秦州其歷陽出者不複用其人間種者形塊大重實多脂山中采者瘦細味苦以九月十月採之為佳若三月四月虛惡非時也

 

頌曰關陝川蜀江東山中多有之而以蜀川者為勝四五月生葉似水芹胡荽蛇床輩作叢而莖細其葉倍香江東蜀人采葉作飲七八月開碎白花如蛇床子花根堅瘦黃黑色關 中出者形塊重實作雀腦狀者為雀腦芎最有力

 

時珍曰蜀地少寒人多栽蒔深秋莖葉亦不萎也清明後宿根生苗分其枝橫埋之則節節生根八月根下始結芎 乃可掘取蒸曝貨之。《救荒本草葉似芹而微細窄有丫叉又似白芷葉亦細又似胡荽葉而微壯一種似蛇床葉而亦粗嫩葉可炸食

 

 

宗奭曰凡用以川中大塊裡色白不油嚼之微辛甘者佳他種不入藥止可為末煎湯沐浴而已

 

무릇 이것을 사용할 때는 川中(천중)에서 ()하는 大塊(대괴)한 것으로 뒷면이 白色(백색)이고, ()가 없고 씹어 보아 微辛(미신)하고 단맛이 나는 것이 좋다. 다른 種類(종류)()에는 쓰지 않고, 단지 作末(작말)하여 ()으로 달이고 沐浴用(목욕용)으로 하고 있을 뿐이다.

 

 

 

氣味

 

無毒

普曰神農黃帝岐伯雷公無毒

扁鵲無毒李當之生溫熟寒

 

元素曰性溫味辛苦氣厚味薄浮而升陽也少陽本經引經藥入手足厥陰氣分

 

()(), ()辛苦(신고)하고, ()()하고 ()()하며, ()로써 ()하고, ()이다. 少陽本經(소양본경)引經藥(인경약)으로 手足(수족), 厥陰(궐음)氣分(기분)에 들어간다.

 

 

之才曰白芷為之使畏黃連伏雌黃得細辛療金瘡止痛得牡蠣療頭風吐逆

 

白芷(백지)使()가 된다. 黄连(황련)()하고 雌黃(자황)()하며, 細辛(세신)配合(배합)하면 金瘡(금창)治療(치료)하고 止痛(지통)하며, 牡蛎(모려)配合(배합)하면 頭風(두풍), 吐逆(토역)治療(치료)한다.

 

 

 

主治

 

中風入腦頭痛寒痺筋攣緩急金瘡婦人血閉無子(《本經》)。

 

中風(중풍)()에 들어간 頭痛(두통), 寒痺(한비)筋挛(근련), 緩急(완급), 金瘡(금창) 婦人(부인)血閉(혈폐), 不姙症(불임증).

 

 

除腦中冷動面上游風去來目淚出多涕唾忽忽如醉諸寒冷氣心腹堅痛中惡猝急腫痛脅風痛溫中內寒(《別錄》)。

 

腦中(뇌중)冷動(냉동), 顔面(안면)游風去來(유풍거래), 눈에서 눈물이 나와 涕唾(체타)가 많은 것, 恍惚(황홀)해져서 마치 술에 취한 것과 같은 것, 諸寒冷氣(제한냉기), 心腹堅痛(심복견통), 中惡(중악), 卒急(졸급)腫痛(종통), 脅風痛(협풍통)()하고, 內寒(내한)()()하게 한다.

 

 

腰腳軟弱半身不遂胞衣不下甄權)。

 

腰脚軟弱(요각연약), 半身不遂(반신불수), 胎衣不下(태의불하).

 

 

一切風一切氣一切勞損一切血補五勞壯筋骨調眾脈破症結宿血養新血吐血鼻血溺血腦癰發背瘰癧 癭贅痔漏 瘡疥長肉排膿消瘀血大明)。

 

一切(일체)(), 一切(일체)(), 一切(일체)勞損(노손), 一切(일체)(), 五勞(오로)()하고, 筋骨(근골)()하며, 眾脈(중맥)調()하고, 癥結(징결), 宿血(숙혈)()하며, 新血(신혈)()하고 吐血(토혈), 鼻血(비혈), 溺血(닉혈), 腦癰(뇌옹), 發背(발배), 癩癧(나력), 癭贅(영췌), 痔漏(치루), 瘡疥(창개), 長肉(장육), 排膿(배농)하며, 瘀血(어혈)消解(소해)한다.

 

搜肝氣補肝血潤肝燥補風虛好古)。

 

肝氣(간기)를 살피고, 肝血(간혈)()하며, 肝燥(간조)()하고 風虛(풍허)()한다.

 

 

燥濕止瀉痢行氣開郁時珍)。

 

燥濕(조습)하고, 瀉痢(사리)()하며, 行氣(행기)하고, 開鬱(개울)한다.

 

 

蜜和大丸夜服治風痰殊效蘇頌)。齒根出血含之多瘥弘景)。

 

꿀로 調和(조화)하여 大丸(대환)을 만들고 夜間(야간)服用(복용)하면 風痰(풍담)治療(치료)하는데 殊效(수효)가 있다.

 

 

 

 

 

發明

 

宗奭曰今人用此最多頭面風不可缺也然須以他藥佐之

 

요즘은 一般(일반)에서 가장 많이 使用(사용)하는데 頭面風(두면풍)에 없어서는 안 되는 ()이다. 하지만 다른 ()()使用(사용)必要(필요)가 있는 것이다.

 

 

 

元素曰川芎上行頭目下行血海故清神及四物湯皆用之能散肝經之風治少陽厥 陰經頭痛及血虛頭痛之聖藥也其用有四為少陽引經一也諸經頭痛二也助清陽 之氣三也去濕氣在頭四也

 

川芎(천궁)은 머리와 눈에 上行(상행)하고 血海(혈해)下行(하행)하는 것으로서 精神(정신) 四物湯(사물탕)에는 모두 이것을 使用(사용)하고 있다. 충분히 肝經(간경)()()하고 少陽(소양), 厥陰經(궐음경)頭痛(두통) 血虛(혈허)頭痛(두통)治癒(치유)하는 聖藥(성약)이다. 應用(응용)에는 四種(사종)이 있다. 少陽(소양)引經(인경)이 되는 것이 (), 諸經(제경)頭痛(두통)(), 淸陽(청양)()를 돕는 것이 (), 濕氣(습기)가 머리에 있는 것을 ()하는 것이 ()이다.

 

 

杲曰頭痛必用川芎如不愈加各引經藥太陽羌活陽明白芷少陽柴胡太陰蒼朮厥陰吳茱萸少陰細辛是也

 

頭痛(두통)에는 반드시 川芎(천궁)을 사용하고 만약 그것을 治癒(치유)되지 않으면 () 引經藥(인경약)添加(첨가)한다. 그것은 太陽(태양)에는 羌活(강활), 陽明(양명)에는 白芷(백지), 少陽(소양)에는 柴胡(시호), 太陰(태음)에는 蒼朮(창출), 厥陰(궐음)에는 吴茱萸(오수유), 少陰(소음)에는 細辛(세신)을 첨가하는 것이다.

 

 

震亨曰鬱在中焦須撫芎開提其氣以升之氣升則郁自降故撫芎總解諸郁直達三焦為通陰陽氣血之使

 

()中焦(중초)에 있을 때에는 撫芎(무궁)을 사용하여 그 ()(무궁)開提(개제)하고 ()하게 한다. ()()하면 ()은 스스로 ()한다. 따라서 芎藭(궁궁)諸鬱(제울)의 모든 것을 解消(해소)하고 즉시 三焦(삼초)()하며 陰陽(음양)(), ()()하는 使藥(사약)이다.

 

 

時珍曰芎藭血中氣藥也肝苦急以辛補之故血虛者宜之辛以散之故氣鬱者宜之

 

芎藭(궁궁)血中(혈중)()()으로서 ()苦急(고급)할 때에는 ()으로써 이를 ()하게 함으로 血虛(혈허)()에게 適當(적당)하다. ()으로써 이것을 ()하기 때문에 氣鬱(기울)()에게 適合(적합)하다.

 

 

左傳麥曲鞠窮御濕治河魚腹疾予治濕瀉每加二味其應如響也血痢已 通而痛不止者乃陰虧氣郁藥中加芎為佐氣行血調其病立止此皆醫學妙旨圓機之士始可語之

 

左傳(좌전)麥麴(맥국), 菊窮(국궁)()을 막고 河魚腹疾(하어복질)()한다. 하였으나, 自身(자신)濕瀉(습사)()할 때에 언제나 이 二味(이미)()하여 ()()()함과 같은 좋은 効果(효과)를 거두고 있다. 血痢(혈리)가 이미 온몸에 퍼져서 아픔이 멈추지 않는 ()()缺少(결소)하여 ()()하기 때문이다. 藥中(약중)()添加(첨가)하여 ()()하면 ()()하여 ()調和(조화)하고 그 痛症(통증)은 즉시 멎는다. 이 모든 것은 醫學術(의학술)妙旨(묘지)로서 완전히 妙機(묘기)體得(체득)한 사람들만이 말을 나눌 수 있을 것이다.

 

 

宗奭曰沈括筆談一族子舊服芎藭醫鄭叔熊見之云芎藭不可久服多令人暴死後族子果無疾而卒

 

沈括(심괄)筆談(필담)兄弟(형제)간의 한 子息(자식)이 오랫동안 芎藭(궁궁)服用(복용)하고 있었는데, 醫師(의사) 鄭叔(정숙)이 이것을 보고 <芎藭(궁궁)久服(구복)하면 안 된다. 대개 頓死(돈사)하는 경우가 많다.> 라고 하였다. 그런데 그 () 그 젊은이는 과연 아무런 ()도 없이 死亡(사망)하였다.

 

 

 

又朝士張子通之妻病腦風服芎 甚久一旦暴亡皆目見者此皆單服既久則走散真氣若使他藥佐使又不久服中病便已則焉能至此哉

 

朝士張子通(조사장자통)()腦風(뇌풍)으로 참으로 오랫동안 芎藭(궁궁)服用(복용)하고 있었는데 돌연 死亡(사망)하였다. 이 모든 일은 눈으로 實見(실견)事實(사실)이다.”라고 되어 있다. 이것은 모두 芎藭(궁궁)單獨(단독)으로 服用(복용)하였던 것으로서 오랜 其間(기간)에 걸쳐 眞氣(진기)走散(주산)하였던 것이다. 만약 다른 ()左使(좌사)로 했든가 또는 久服(구복)하지 않고 ()的中(적중)하였을 때에 服用(복용)을 멈추었다면 ()는 입지 아니했을 것이다.

 

虞搏曰骨蒸多汗及氣弱之人不可久服其性辛散令真氣走泄而陰愈虛也

 

骨蒸多寒(골증다한)() 氣弱(기약)한 사람은 久服(구복)하면 안 된다. ()()하고, ()하기 때문에 眞氣(진기)走泄(주설)시켜 ()이 점점 ()하게 된다.

 

 

時珍曰五味入胃各歸其本臟久服則增氣偏勝必有偏絕故有暴夭之患若藥具 五味備四氣君臣佐使配合得宜豈有此害哉

 

五味(오미)()에 들어가면 제각기 本臟(본장)에 돌아간다. 久服(구복)함녀 ()()하여 偏勝(편승)하게 되고 반드시 偏絶(편절)現象(현상)()하여 頓死(돈사)()을 당하게 된다. 만약 ()五味(오미)()하고 四氣(사기)()하여 君臣佐使(군신좌사)配合(배합)適當(적당)하였더라면 결코 이러한 ()()하지 않았을 것이다.

 

 

如芎藭肝經藥也若單服既久則辛喜 歸肺肺氣偏勝金來賊木肝必受邪久則偏絕豈不夭亡故醫者貴在格物也

 

芎藭(궁궁)肝經藥(간경약)이다. 만약 單獨(단독)으로 服用(복용)하여 그것이 오랫동안 계속되면 그 ()은 즐겨 ()로 돌아가고 肺氣(폐기)偏勝(편승)이 되어 ()에서 나아가 ()을 치니 ()은 반드시 ()를 받게 된다. 그것이 더욱 오래되면 偏絶(편절)하고 死亡(사망)이외에는 方法(방법)이 없게 된다. 따라서 醫者(의자)는 어디까지나 科學的(과학적)正確性(정확성)을 마음에 두지 않으면 안 된다.

 

 

附方舊七新一十三

 

生犀丸宋真宗賜高相國去痰清目進飲食生犀丸用川芎十兩緊小者粟米泔 浸二日換切片子晒乾為末分作兩料每料入麝腦各一分生犀半兩重湯煮蜜和丸小彈子大酒嚼下一丸加朱砂半兩膈壅加牛黃一分水飛鐵粉一分頭目昏眩加細辛一分口眼 斜加炮天南星一分。(《御藥院方》)

氣虛頭痛真川芎 為末臘茶調服二錢甚捷曾有婦人產後頭痛一服即愈。(《集 簡方》)

氣厥頭痛婦人氣盛頭痛及產後頭痛川芎 天台烏藥等分為末每服二錢蔥茶調下。《御藥院方》︰加白朮水煎服風熱頭痛川芎一錢茶葉二錢水一鐘煎五分食前熱服。(《簡便方》)

頭風化痰川芎洗切晒乾為末煉蜜丸如小彈子大不拘時嚼一丸茶清下。(《經 驗後方》)

偏頭風痛京芎細銼浸酒日飲之。(《斗門方》)

風熱上沖頭目運眩或胸中不利川芎槐子各一兩為末每服三錢用茶清調下胸中不利以水煎服。(張潔古保命集》)

首風旋運及偏正頭疼多汗惡風胸膈痰飲川 芎一斤天麻四兩為末煉蜜丸如彈子大每嚼一丸茶清下。(劉河間宣明方》)

失血眩暈方見當歸下一切心痛大芎一個為末燒酒服之一個住一年兩個住 二年。(《孫氏集效方》)

經閉驗胎經水三個月不行驗胎法川芎生為末空心煎艾湯服一匙腹內微動者是有胎不動者非也。(《靈苑方》)

損動胎氣因跌撲舉重損胎不安或子死腹中者芎 為末酒服方寸匕須臾一二服立出。(《續十全方》)

崩中下血晝夜不止。《千金方》︰用芎 一兩清酒一大盞煎取五分徐徐進之。《聖惠》︰加生地黃汁二合同煎酒癖脅脹時複嘔吐腹有水聲川 芎三棱各一兩為末每服二錢蔥白湯下。(《聖濟總錄》)

小兒腦熱好閉目或太陽痛或目赤腫川芎 薄荷朴消各二錢為末以少許吹鼻中。(《全幼心鑒》)

齒敗口臭水煎芎 含之。(《廣濟方》)

牙齒疼痛大川芎 一個入舊糟內藏一月取焙入細辛同研末揩牙。(《本事方》)

諸瘡腫痛撫芎 研入輕粉麻油調塗。(《普濟方》)

產後乳懸婦人產後兩乳忽長細小如腸垂過小肚痛不可忍危亡須臾名曰乳懸將芎 當歸各一斤以半斤銼散於瓦石器內用水濃煎不拘多少頻服仍以一斤 半銼塊於病患桌下燒煙令將口鼻吸煙用盡未愈再作一料仍以蓖麻子一粒貼其頂 心。(夏子益奇疾方》)

 

 

 

蘼蕪

 

(《本經上品

 

釋名

 

薇蕪(《本經》)、蘄茝茳蘺(別錄)

 

頌曰蘄茝古芹芷字也

 

蘄茝(기채)芹芷(근지)古字(고자)이다.

 

 

時珍曰蘼蕪一作薇蕪其莖葉靡弱而繁蕪故以名之

 

蘼蕪(미무) 또는 薇蕪(미무)라고 쓴다. 莖葉(경엽)靡弱(미약)한 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當歸名蘄白芷名蘺其葉似當歸其香似白芷故有蘄 江蘺之名王逸云蘺草生江中故曰江蘺是也余見

 

 

 

 

集解

 

別錄芎 葉名蘼蕪又曰蘼蕪一名江蘺芎 苗也生雍州川澤及冤句四月五月採葉曝乾

 

弘景曰今出歷陽處處人家多種之葉似蛇床而香騷人借以為譬方藥稀用

 

恭曰此有二種一種似芹葉一種似蛇床香氣相似用亦不殊

 

時珍曰︰《別錄蘼蕪一名江蘺芎 苗也而司馬相如子虛賦芎 菖 蒲江蘺蘼蕪。《上林賦被以江蘺揉以蘼蕪似非一物何耶蓋嫩苗未結根時則為蘼蕪既結根後乃為芎 大葉似芹者為江蘺細葉似蛇床者為蘼蕪如此分別自 明白矣。《淮南子亂人者若芎 之與 本蛇床之與蘼蕪亦指細葉者言也。《廣志蘼蕪香草可藏衣中。《管子五沃之土生蘼蕪郭璞贊云蘼蕪香草亂之蛇床不損其真自烈以芳

 

氣味

 

無毒

 

 

主治

 

咳逆定驚氣辟邪惡除蠱毒鬼疰去三蟲久服通神(《本經》)。

 

咳逆(해역), 驚氣(경기)()하고 邪惡(사악)을 물리치며, 蠱毒(고독), 鬼疰(귀주)()하고, 三蟲(삼충)()한다. 久服(구복)하면 神通(신통)한다.

 

主身中老風頭中久風風眩(《別錄》)。

 

身中(신중)老風(노풍), 頭中久風(두중구풍), 風眩(풍현)主效(주효)가 있다.

 

 

作飲止泄瀉蘇頌)。

 

音容(음용)함녀 泄瀉(설사)를 멈춘다.

 

 

 

 

主治

 

入面脂用時珍)。

 

面脂(면지)材料(재료)에 넣는다.

 

 

 

[本草綱目]

 

'[본초강목] > 초, 목본, 짐승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렴초(본초강목)  (1) 2024.10.15
지금초(본초강목)  (1) 2024.10.15
약밤(본초강목)  (0) 2024.10.12
아불식초(본초강목)  (1) 2024.10.09
신근초(본초강목)  (15) 2024.10.08